||||<:>[[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px-COA_Magadan%2C_Russian_Federation.svg.png]]|| ||||<:>'''마가단'''[br]Магадан || || 설립 || [[1929년]] || || 인구 || 91,797명^^([[2021년]])^^ || || 면적 || 295㎢ || || 인구 밀도 || 311.18명/㎢ || || 시간대 || UTC+10 || ||<-2>[include(틀:지도, 장소=Магадан)]|| [목차] [youtube(MVb_M7CkgmQ)] == 개요 == 러시아 [[마가단주]]의 주도이다. 인구는 [[1989년]]에 151,652명이었으나 잇단 감소 끝에 [[2010년]]에는 95,925명까지 줄어들었다. [[1929년]]에 세워진 그저 그런 마을이었으나 [[1931년]]에 [[굴라크]]가 세워져, [[예카테린부르크]]와 [[보르쿠타]]와 함께 가장 '''악명 높은 곳'''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절에는 [[추축국]]의 [[포로]]들을 상대로 생체실험까지 행해진 곳이기도 하다. [[1953년]] [[굴라크]]가 폐쇄될 때까지 100만 명 정도의 사람들이 이곳에 수감되었으며, 그중 10만여 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마가단에는 [[슬픔의 가면]]이라는 기념비가 존재하는데 이 당시 굴라크에서 사망한 이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렇게 늘어난 인구는 [[소련 해체]] 이후 급감하고 있다. 해안가라 기후는 아주 춥지는 않지만, 어디까지나 주변 지역인 [[사하 공화국]]과 비교해서이다.[* 사실 사하 공화국과 비슷한 기온에 강수량을 반대로 바꾼 것과 같은 [[고지 지중해성 기후|고지 지중해성 기후(Dsd)]]를 띄는 지역이 북부 내륙 어딘가에 있기는 하다.] [[1월]] 평균 기온은 -15.6℃, [[8월]] 평균 기온은 12.2℃로 [[겨울]]이 아주 긴 편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2015년]] [[7월 8일]]의 27.2℃이고, 역대 최저 기온은 [[1995년]] [[12월 20일]]의 -37.0℃이다. 이론상 이 도시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Quoin Point'까지 도보로 걸을 수 있다. 거리는 약 '''22,400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도보 루트이다. 16개국을 통과하고 국경을 20회나 넘나들어야 하며 일부 구간에서는 페리를 타야 한다. 방향은 약 2,000개 정도라고 한다. == 역사 == 원래 이 지역에는 [[에벤족|에웬족(라무트인)]]과 소수의 [[유카기르|유카기르인]]들이 살고 있었지만 [[17세기]]에 [[러시아]]가 극동으로 동진하는 과정에서 많은 원주민들이 착취당하고 인구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1930년]] 초,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 시대에 접어들어 마가단 북동부, 즉 콜리마 산맥 부근에서 대규모 금광이 발견되자 콜리마 [[굴라그]]에 있었던 죄수들을 강제로 이주시켜 채굴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 지역에는 '달스트로이(Dalstroy)'라는 조직이 있었는데 주로 금광 채굴, 도로 건설을 위해 설립된 조직이었다.[* 정확히는 마가단 북부에 위치하였으며 [[1957년]]에 해체되었다.] 그리고 이런 것들을 총체적으로 계획하고 지도하기 위해 [[1931년]]에 콜리마 강 상류 지역 도로 및 산업 발전 국가 트러스트가 설립되었다. 이후 원주민들이 [[순록]] 유목을 할 수 없어 마가단 해안가가 아닌 삼림 지대로 쫒겨나게 되었다. == 관광 == 후에 서술하겠지만 바이커들이 대륙을 횡단할 때 한 번 쯤은 방문하는 지역이 바로 '콜리마 고속도로'이다. 어떻게 보면 콜리마 고속도로 덕분에 이 지역이 알려지게 된 것일 수도 있다.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와 [[캄차카 지방]]을 제외하면 [[극동 연방관구]] 중에서 마가단이 '''그나마''' 큰 도시에 속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마가단 북서쪽에 [[슬픔의 가면]]이라는 조각상이 존재한다. 마가단 도시 자체가 면적이 그리 넓지 않기 때문에[* [[서울특별시|서울]]과 비교하였을 때 약 2/3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렌터카가 없는 여행자라면 도보 여행을 하면서 동네를 둘러봐도 되고, 아니면 택시를 타고 식당이나 관광지에 가는 것도 좋다. 도시 중앙에 관람차와 몇몆 놀이기구가 있는 공원이 있다. 전반적으로 낙후된 건물들이 많으나 [[2022년]] 기준으로 도심 아파트 건물들을 재도색, 혹은 [[https://youtu.be/rFJK83kbyjU|외관을 리모델링하면서]] [[아나디리]]처럼 그럭저럭 보기 좋게 도색된 건물들이 늘어났다. 또한 도심 서쪽 해변가 등대 근처에 수변공원을 만들면서 해변가 근처를 어느 정도 현대적으로 정비했다. [[대한민국]]의 바닷가 카페처럼 세련된 외관의 카페도 한 곳이 생겼다. == 교통 == 마가단에 도착하면 소콜 공항(Sokol Airport)에서 내리게 되는데 소콜은 마가단 시내와 약 50km 떨어져 있는 외곽이다.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예카테린부르크]], [[노보시비르스크]] 등 [[러시아]]의 다른 대도시들과 달리 지하철은 당연히 없으며, 버스를 타고 시내로 이동할 수 있다. 극동 지역의 현실상 마땅한 교통수단이 없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파일:마가단.jpg|width=100%]] * 111번: 소콜 공항과 우프타르 공항을 왕복한다. * 105번: 소콜 공항과 올라 지역을 왕복한다. * 111번: 소콜 공항과 마가단 버스정류장을 왕복한다.[* 마가단의 시내 지역을 운행한다.] * 501/502번: 마가단과 수수만 지역을 왕복한다. * 515/516번: 마가단과 세임찬 지역을 왕복한다. * 525/526번: 마가단과 플라트카 지역을 왕복한다. * 551/552번: 마가단과 시네고례 지역을 왕복한다. 자세한 사항은 [[https://rfbus.ru/?lang=en|이곳]]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 밖에도 여러 노선이 존재하는데 러시아의 영토가 넓은 것을 감안하면 수수만, 세임찬, 시네고례 등 500번대의 시외버스는 목적지까지 편도 운행을 하는 시간만 최소 10시간 가까이 소요된다. 왕복하면 하루 가까이 소요가 되므로 사전에 미리미리 준비를 해두는 것이 좋다. ~~대신 버스에서 취침하면 되므로 숙소 값을 아낄 수 있다.~~ [[2022년]]에 수수만으로 가는 버스가 [[https://youtu.be/LvTudbbOSes|신형으로 교체되었다.]] 전술했듯 이 도시를 방문하려면 [[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 모스크바, 노보시비르스크에서 열심히 비행기를 타고 소콜 공항으로 오면 된다. 특히 모스크바 노선은 8시간 정도 걸리는 초장거리 국내선이며 아에로플로트 자회사인 [[로시야 항공]]에서 운항한다. 아무래도 작은 도시이다 보니 주 5회 정도로 운항한다. === 콜리마 고속도로 === ||<-6><:>[include(틀:지도, 장소=Kolyma highway)] || || [youtube(alYVCCAIo1c)] || [[슬로바키아]]에서 마가단까지 오토바이 여행을 하는 영상이다. 원래 콜리마 고속도로는 [[야쿠츠크]]에서 출발하므로 위 영상의 3분 50초부터 시청하면 될 것이다. 야쿠츠크에서 마가단까지 약 1,700km에 달하는 고속도로가 있다. 이 고속도로는 흔히 "뼈의 길(Road of bones)"이라고 불리우는데 고속도로를 건설하다 사망한 노동자들을 그대로 이곳에 매장시켰다고 해서 이러한 별칭이 생기게 되었다. 고속도로 코드는 'P-504'이다. 국내에서는 마가단에 대한 인지도가 없으나[* 굳이 말하자면 [[블라디보스토크]]와 더불어 [[대게]]가 많다 보니 인터넷이나 유튜브에 마가단을 검색하면 '마가단 대게'가 나온다(...).] 서양에서는 의외로 오토바이 동호회 사람들에게 최적의 장소로 알려져 있다. 주로 [[영미권|미국인, 캐나다인, 영국인]] 등 서방 국가 출신의 관광객들이 오토바이를 타고 마가단까지 콜리마 고속도로를 달리기도 한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이 장소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일반적인 교통사고라기보다 [[러시아]]의 도로 실태를 보여주는 [[라스푸티차]] 때문에 자동차가 진흙에 빠져 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예전에 [[https://siberiantimes.com/other/others/news/tragedy-as-british-tourist-69-dies-in-motorbike-accident-on-road-of-bones/|한 영국인 바이커가 교통사고로 사망한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http://helenstakeon.com/blog/kolyma-highway-photos-winter-biking-2000km-yakutsk-to-magadan/|자전거를 타고 여행을 하는 사람도 있는데,]] 지형이 험난하므로 자전거를 타고 여행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 현지인들이 아니고서야 저 엄청나게 긴 고속도로를 일개 외국인 관광객이 자전거 주행으로 완주하는 것은 목숨을 걸어야 한다. 웬만하면 자동차를 타고 가는 것이 안전하다. [[오이먀콘]]으로 가는 길도 이 고속도로에서 빠진다. [[분류:러시아의 도시]][[분류:극동 연방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