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마리아 테레지아의 딸, rd1=마리아 아말리아)] ||<-3> '''프랑스 왕국 루이필리프 1세의 왕비[br]{{{+1 마리아 아말리아 테레사}}}[br]Maria Amalia di Napoli e di Sicilia'''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ouis_Hersent_-_Marie-Amélie_de_Bourbon,_princesse_des_Deux-Siciles,_reine_des_Français.jpg|width=100%]]}}} || ||<|2> '''이름''' || 이탈리아어 ||마리아 아말리아 테레사 디 보르보네[br](Maria Amalia Teresa di Borbone)|| || 프랑스어 ||마리 아멜리 테레즈 드 부르봉[br](Marie-Amélie Thérèse de Bourbon)|| || '''출생''' ||<-2>[[1782년]] [[4월 26일]][br][[나폴리 왕국]] 카세르타 궁전|| || '''사망''' ||<-2>[[1866년]] [[3월 24일]] (향년 83세)[br][[잉글랜드]] [[서리주]] 클레어몬트 하우스|| || '''배우자''' ||<-2>[[루이필리프 1세]] ,,(1809년 결혼 / 1850년 사망),,|| || '''자녀''' ||<-2>[[페르디낭 필리프]], [[루이즈 도를레앙|루이즈]], 마리, 루이, 프랑수아즈, [[클레망틴 도를레앙|클레망틴]], 프랑수아, 샤를, 앙리, 앙투안|| || '''아버지''' ||<-2>[[페르디난도 1세]]|| || '''어머니''' ||<-2>[[마리아 카롤리나|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 '''형제''' ||<-2>[[마리아 테레사(양시칠리아)|마리아 테레사]], 루이사 마리아, 카를로, 마리아 안나, [[프란체스코 1세]], 마리아 크리스티나, 젠나로, 주세페, 마리아 안토니아, 마리아 클로틸다, 마리아 엔리케타, 레오폴도, 알베르토, 마리아 이사벨라|| || '''종교''' ||<-2>[[가톨릭]]||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왕국]] [[루이필리프 1세]]의 왕비. 프랑스 역사상 마지막 왕비다. == 생애 == === 어린 시절 === 1782년 4월 26일 [[페르디난도 1세]]와 [[마리아 카롤리나]]의 6남 9녀 중 5녀로 태어났다. 어머니 마리아 카롤리나는 [[프란츠 1세]]와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로 [[오스트리아]]의 공주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inting_of_the_family_of_Ferdinando_IV_(Angelica_Kauffmann,_1782).jpg|width=100%]]}}} || || '''가족 초상화''' || 마리아 아말리아는 [[가톨릭]]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모 [[마리 앙투아네트]]의 아들인 루이 조제프 왕세자와 약혼했지만 그가 1789년에 요절하면서 결혼은 무산됐다. 1793년에는 마리 앙투아네트가 [[프랑스 혁명]]으로 처형당하여 혼란한 시기를 겪었고, 마리아 아말리아는 [[나폴리]]를 떠나 외가인 [[오스트리아]]에서 2년을 보냈다. 1802년에 다시 나폴리로 돌아왔지만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의 침공으로 다시 [[시칠리아]]로 피신했다. 그곳에서는 영국군의 보호 아래 팔레르모에 정착했다. === 오를레앙 공작부인 === 망명 중이던 1806년, 마리아 아말리아는 미래의 남편이 될 [[루이필리프 1세|루이필리프]]를 만났다. 그러나 루이필리프의 아버지인 [[루이필리프 2세|오를레앙 공작 루이필리프 2세]]가 [[마리 앙투아네트]]의 처형에 일조했다는 사실 때문에 논란이 있었다. 마리아 아말리아의 어머니이자 마리 앙투아네트의 언니였던 [[마리아 카롤리나]]는 결혼을 반대했지만 결국 두 사람은 1809년 11월 25일 [[팔레르모]]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이후 마리 아말리아는 프랑스식 이름인 마리 아멜리로 불렸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10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ng_Louis_Philippe_of_France_and_his_family.jpg|width=100%]]}}} || || '''남편, 아이들과 함께''' || 두 사람은 신혼 초반을 [[팔레르모]]에서 보냈다. [[부르봉 왕조]]가 복고된 이후 [[프랑스]]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지속적인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레 루아얄]]을 복원하는 데 수백만 프랑을 들였고, 그곳을 귀족 사회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 왕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anz_Xaver_Winterhalter_Queen_Marie_Amelie.jpg|width=100%]]}}} || 1830년 [[7월 혁명]]이 일어나면서 [[샤를 10세]]가 퇴위하고 남편이 [[루이필리프 1세]]로 즉위했다. 마리 아멜리는 자신이 왕비가 된다는 사실을 달가워하지 않았으며, 남편이 왕위를 수락하자 눈물을 흘렸다. 그녀에게 왕위는 그저 평화로운 가정을 파괴하는 수단에 불과했다. 비록 왕비의 자리를 원하지 않았지만, 마리 아멜리는 자신의 의무를 다하려 노력했다. 그녀는 정치에는 일절 개입하지 않았고 아이들을 돌보며 자선활동에 힘썼다. [[루이필리프 1세]]는 화려한 궁중생활보다는 서민적인 인상을 주길 원했기에, 마리 아멜리도 비교적 소박한 생활을 추구했다. [[튈르리 궁]]의 예절 역시 대폭 간소화되었다. 이러한 삶에 마리 아멜리는 나름 만족했다고 한다. === 말년 ===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으로 [[프랑스 제2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남편 [[루이필리프 1세]]가 퇴위하였다. 루이필리프 1세와 그의 가족은 프랑스를 떠나 [[영국]]으로 망명했다.[* 며느리 [[헬레네 루이제 엘리자베트|오를레앙 공작부인 엘렌]]과 맏손자 파리 백작 필리프는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기 위해 프랑스에 남았다.] [[영국]]에서 [[루이필리프 1세]]와 마리 아멜리는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환대를 받았다. 두 사람은 [[서리주]]의 클레어몬트 하우스에 머물렀다. 1850년에 루이필리프 1세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마리 아멜리는 자신의 가족 및 영국 왕족들과 교류하며 여생을 보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Claudet,_Antoine_(1797-1867)_-_Maria_Amelia_di_Borbone-Napoli_(1782-1866)_Regina_dei_francesi.jpg|width=100%]]}}} || || '''말년의 사진''' || 1866년 3월 24일, 마리 아멜리는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마리아 테레지아]]의 손주들 중 마지막으로 생존한 왕족이었다. 유해는 오를레앙 가문의 왕족들이 묻혀있는 드뢰 왕실 예배당에 안장됐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br]{{{-2 (Marie Amélie of Naples and Sicily)}}} ||<|6> [[페르디난도 1세]][br]{{{-2 (Ferdinand I)}}} ||<|3> [[카를로스 3세]][br]{{{-2 (Charles III)}}} || || [[펠리페 5세]][br]{{{-2 (Philip V)}}} || || 엘리사베타 파르네세[br]{{{-2 (Elisabeth Farnese)}}} || ||<|3>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br]{{{-2 (Maria Amalia of Saxony)}}} || || [[아우구스트 3세]][br]{{{-2 (Augustus III)}}}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요제파[br]{{{-2 (Maria Josepha of Austria)}}} || ||<|7> [[마리아 카롤리나|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br]{{{-2 (Maria Carolina of Austria)}}} || ||<|3> [[프란츠 1세]][br]{{{-2 (Francis I)}}} || || [[로렌 공국|로렌]] 공작 레오폴드[br]{{{-2 (Leopold, Duke of Lorraine)}}} || || 오를레앙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br]{{{-2 (Élisabeth Charlotte of Orléans)}}} || ||<|3> [[마리아 테레지아]][br]{{{-2 (Maria Theresa)}}} || || [[카를 6세]][br]{{{-2 (Charles VI)}}} || ||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br]{{{-2 (Elisabeth Christine of Brunswick)}}}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페르디낭 필리프|오를레앙 공작 페르디낭 필리프]][br]{{{-2 (Ferdinand Philippe, Duke of Orléans)}}} || [[1810년]] [[9월 3일]] || [[1842년]] [[7월 13일]] || [[헬레네 루이제 엘리자베트|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헬레네 여공작]][br]슬하 2남 || || '''1녀''' || [[루이즈 도를레앙|벨기에의 왕비 루이즈]][br]{{{-2 (Louise, Queen of the Belgians)}}} || [[1812년]] [[4월 3일]] || [[1850년]] [[10월 11일]] || [[레오폴드 1세]][br]슬하 3남 1녀[* [[레오폴드 2세]], [[벨기에의 샤를로트|멕시코의 황후 카를로타]] 등] || || '''2녀''' || [[뷔르템베르크]]의 알렉산더 공작부인 마리[br]{{{-2 (Marie, Duchess Alexander of Württemberg)}}} || [[1813년]] [[4월 12일]] || [[1839년]] [[1월 6일]] || [[뷔르템베르크]]의 알렉산더 공작[br]슬하 1남 || || '''2남''' || 느무르 공작 루이 왕자[br]{{{-2 (Prince Louis, Duke of Nemours)}}} || [[1814년]] [[10월 25일]] || [[1896년]] [[6월 26일]]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빅토리아 공녀[br]슬하 2남 2녀 || || '''3녀''' || 프랑수아즈 공주[br]{{{-2 (Princess Françoise)}}} || [[1816년]] [[3월 26일]] || [[1818년]] [[5월 20일]] || || || '''4녀''' || [[클레망틴 도를레앙|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비 클레멘티네]][br]{{{-2 (Clémentine, Princess of Saxe-Coburg and Gotha)}}} || [[1817년]] [[6월 3일]] || [[1907년]] [[2월 16일]]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아우구스트 공자[br]슬하 3남 2녀[* [[페르디난트 1세(불가리아)|페르디난트 1세]] 등] || || '''3남''' || 주앵빌 공 프랑수아[br]{{{-2 (François, Prince of Joinville)}}} || [[1818년]] [[8월 14일]] || [[1900년]] [[6월 16일]] || [[브라질 제국|브라질]]의 프란시스카 공주[br]슬하 1남 2녀 || || '''4남''' || 팡티에브르 공작 샤를 왕자[br]{{{-2 (Prince Charles, Duke of Penthièvre)}}} || [[1820년]] [[1월 1일]] || [[1828년]] [[7월 25일]] || || || '''5남''' || 오말 공작 앙리 왕자[br]{{{-2 (Prince Henri, Duke of Aumale)}}} || [[1822년]] [[1월 16일]] || [[1897년]] [[5월 7일]] || [[양시칠리아 왕국|양시칠리아]]의 카롤리나 아우구스타[br]슬하 2남 || || '''6남''' || 몽팡시에 공작 앙투안 왕자[br]{{{-2 (Prince Antoine, Duke of Montpensier)}}} || [[1824년]] [[7월 31일]] || [[1890년]] [[2월 4일]] || [[루이사 페르난다|스페인의 루이사 페르난다 공주]][br]슬하 4남 5녀[* [[스페인]]의 왕비 메르세데스 등] || [[분류:1782년 출생]][[분류:1866년 사망]][[분류:양시칠리아의 공주]][[분류:프랑스 왕비]][[분류:오를레앙 공작부인]][[분류:부르봉양시칠리아 가문]][[분류:오를레앙 가문]][[분류:카세르타 출신 인물]][[분류:드뢰 왕실 예배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