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平忠吉 [[1580년]] [[10월 18일]] ~ [[1607년]] [[4월 1일]] 1580년 도토미국(遠江国)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4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사이고노 츠보네[* [[도쿠가와 히데타다]]와는 어머니가 같다.]. 아명은 후쿠마쓰마루(福松丸) 1581년 도죠 마쓰다이라 가문[* 종가인 미카와 마쓰다이라 가문의 분가]의 당주 마쓰다이라 이에타다가 병사하자, 이에타다의 양자가 되는 형식으로 도죠 마쓰다이라 가문의 가독을 잇고 미카와국(三河国)의 도죠성(東条城)과 1만석의 영지를 받는다. 이때 이름을 후쿠마쓰마루(福松丸)에서 타다야스(忠康)[* 할아버지 히로타다의 "타다"와 아버지 이에야스의 "야스"를 한자씩 받아 지은 이름이다.]로 고친다. 1582년 스루가국(駿河国) 누마즈성(沼津城)의 4만석으로 전봉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 이후 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간토(関東)로 전봉되면서, 1592년 간토(関東) 무사시국(武蔵国) 오시성(忍城)[* 영화 "노보우의 성" 주요 무대]의 성주가 된다. 겐푸쿠[* 元服 - 일종의 성인식]를 치르고 이름을 타다요시(忠吉)로 개명한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선 장인인 [[이이 나오마사]]의 후견 아래 첫 출진을 하고, 같은 동군인 [[후쿠시마 마사노리]]와는 서로 선진을 다투며 서군인 [[시마즈 토요히사]]의 군을 공격하여 패퇴시키는 등 공훈을 세우지만 타다요시도 전투 중 부상을 입는다. 결국 세키가하라 전투는 이에야스측의 동군이 승리하고 이후 논공행상에서 타다요시는 오와리국(尾張国)와 미노국(美濃国)에 걸쳐 52만석의 영지와 키요스성(清洲城)을 받는다. 그리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셋째형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세키가하라 전장에 지참[* 전장에 늦게 도착하는 것으로 패전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보통은 할복감이다.]하는 바람에 아버지 이에야스가 크게 진노하며 히데타다를 후계자 자리에서 몰아내고 새로운 후계자를 세울려고 했었고, 이때 타다요시와 둘째형 [[유키 히데야스]]가 새로운 후계자로 거론 됐었다. 1603년 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막부를 세우게됨에 따라 타다요시의 영지는 자연스레 키요스번(清洲藩)이 된다. 1607년 에도(江戸)에서 병으로[* 악성종양 혹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입은 부상이 악화되어 사망했다고도 한다.] 사망한다[* 이 해에 둘째형 [[유키 히데야스]]도 병사했는데, 타다요시는 히데야스보다 약 한달 먼저 사망했다.]. 향년 28세. 동복형제라곤 타다요시 밖에 없는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매우 슬퍼했다고 한다. 또한 타다요시의 자식으로는 친아들이 한명 있었으나, 생후 16일 만에 죽었고 이후 다른 자식은 없었다. 타다요시는 자식이 없었기에 타다요시 사후 키요스번(清洲藩)에는 나이 차이가 21살이나 나는 동생 [[도쿠가와 요시나오]]가 들어오게 되는데, 요시나오는 기존의 키요스성(清洲藩)을 폐성처리하고 새로이 나고야성(名古屋城)을 축성하여 번청(藩庁)등을 옮겨 가게 된다. 이후 키요스번(清洲藩)은 오와리번(尾張藩)[* 혹은 오와리번의 거성(居城)인 나고야성(名古屋城)의 이름을 딴 나고야번(名古屋藩)]으로 이름이 바뀌게 되고, 도쿠가와 요시나오는 도쿠가와 [[고산케]] 중 하나인 오와리 도쿠가와 가문(尾張徳川家)의 초대 당주와 오와리번(尾張藩)의 초대 번주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