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마을 공동체 사업, rd1=마을(사단법인))] || [[파일:한국의 전형적 어촌마을.jpg|width=330]] || || [[충청남도]] [[홍성군]] [[죽도]] 어촌마을[[http://www.ksw-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933|#]][* 사진에 나온 부분이 섬 전체의 절반 정도일 정도로 작은 섬이다.] || [목차] == 소개 == 고대부터 현대까지 있는 공동체집단의 군락이다. 마을은 특정한 입지 조건을 가진 곳에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살기 시작하는 데서부터 형성되며, 계획을 세우고 조성한 것 없이 정말로 자연스레 생긴 마을들(주로 역사가 오래된 마을들이 많다)을 특별히 '자연마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에는 [[도시화]]가 진행되어 대도시 지역에서는 '마을'이라고 부를 만한 크기의 군락을 찾기 쉽지 않다. 한국에서는 [[신도시]] 개발시에 아파트 단지 구역을 'OO(주로 두 글자)마을'로 짓기도 하지만[* 일례로 '[[호수마을]]' 같은 것이 있다.] 대개 통용되는 '마을'과는 뜻이 약간 다르다. [[동네]]와는 비슷하면서 다르다. 동네는 '자기가 사는 집의 근처'로 다소 인식적인 범위이다. [[여행]]자들한테는 매우 중요한 [[휴게소]] 구실을 한다. 특히 [[도보여행]]이나 자전거 여행을 하는 경우, 수도권 지역을 벗어나서 한참 적적한 산골짜기나 허허벌판을 지나가다가 정말 작은 마을 하나가 보이고 작은 구멍가게라도 발견하면 정말 반갑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주요 [[국도]] 인근 마을에서는 실제로 'OO휴게소'와 같은 간판을 걸고 운영하는 가게들이 간간히 보인다. [[http://map.daum.net/?map_type=DEFAULT&map_hybrid=false&q=%EC%84%9D%EC%86%8C%ED%9C%B4%EA%B2%8C%EC%86%8C|청주 석소리 석소휴게소]] 과거에 지역 이동이 어렵던 시절에는 작은 마을에서는 이웃들이 죄다 멀고 가까운 친척 관계였다고 한다. 아예 부계 혈통으로 성씨가 같은 [[집성촌]]도 존재한다. 창작물에서는 폐쇄적이고 외부인을 배척하는 [[작은 사회]]로 그려지는 일이 많다. 또한 아직 도시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지 않은 [[중세]]를 배경으로 하는 RPG에서는 마을을 중심으로 주인공의 일대기가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 어형 == 한국어: 마을 일본어: 村(むら), 里(さと), 町(まち) 중국어: 村(cūn) 영어: Village,[* 작은 마을] [[타운|Town]],[* 비교적 큰 마을. 인근 지역의 중심지. 그래서 타운을 '''[[읍(행정구역)|읍]]'''으로 번안하기도 한다.] '''City''' 독일어: Dorf[* 영어에서는 사어화한 thorp와 [[동원어]]이다.] === 한국어 === [[석보상절]]에서는 'ᄆᆞᅀᆞᆶ'로 확인된다. 첫 음절 이하 음절의 [[반치음]]이 상실되는 과정에 따라 '마을'로 변하였으며, 일부 방언에서 [[반치음]]이 '[[ㅅ]]'으로 변한 형태가 '마실'로 남아있다. 이 단어는 표준어에서는 '마실 간다' (이웃으로 놀러간다)와 같은 표현으로 남아있다. [[아래아]] 역시 첫 음절은 '[[ㅏ]]'로, 두 번째 음절부터는 '[[ㅡ]]'로 바뀌는 일반적인 변화를 겪었다. [[ㅎ 말음 체언]]이기도 하였다.[* 이 변화는 ᄀᆞᅀᆞᆶ>가을로 변한 [[가을]]과 정확히 동일하다.] [[향가]] [[모죽지랑가]]에서는 제8구 蓬次叱__巷__中宿尸夜音有叱下是에서 '巷(거리 항)[* 이 글자는 지금도 중국에서 주소에 쓰이는 도로명으로 쓰인다]'이라는 한자를 사용하였는데 '마을'의 의미로 생각하는 해독자들도 있다. 정확한 발음은 알 수 없지만 '마을'의 의미로 추측하는 경우 '골', 'ᄆᆞᅀᆞᆶ'로 읽는 편이다. [[마실]]과도 동계어일 가능성이 높다. === 영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시)] 주로 [[빌리지|village]], [[타운|town]], '''[[시티|city]]''' 등에 대응된다. city는 보통 [[도시]]라고 번역되며 많은 경우 city가 실제로도 도시에 해당하는 거주지이지만, 한국어의 도시와 영어의 city는 1대1로 대응되는 개념이 아닌데, 종종 city는 행정구역으로서 번화하지 않은 곳들도 그렇게 명명되고는 한다. 그래서 인구가 1300여명인 [[베르호얀스크]]나 [[http://wiki.answers.com/Q/What_are_the_five_smallest_cities_in_the_US_by_population|이런 깡촌 중의 깡촌도 city라고 일컫기도 한다]].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도시 개념에 해당하는 말은 도시 내에서도 [[도심]]이나 [[부도심]] 및 그 주변부와 같은 시가지에 대해 쓰이는 '[[어반|urban]]'에 더 가까우나,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명사로서 쓰이지 않는다. 위에서 소개된 사례처럼 깡촌 중의 깡촌을 city로 표기하는가 하면, 반대로 town이 도시를 지칭하기도 했다. 원래 전근대의 'town'은 [[게르만어파|게르만어]]계 낱말로서 [[성벽]] 혹은 [[울타리]] 등 [[성(건축)|방어구조물]]로 둘러싼 거주지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유럽에서는 보통 거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건설과 유지보수를 하기 마련이라 자연스럽게 그럴만한 재력을 보유한 도시를 가리키는 말로 통했었다.[* 이와 같은 뜻으로는 [[보로|'burh' 혹은 'borough']]가 있었는데, [[동원어]]로는 독일어 '[[부르크|burg]]'가 잘 알려져있다.] [[노르만 정복]] 이후 [[노르만어]]의 영향으로 [[로망스어군|로망스어]]계 단어인 city가 도시라는 뜻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지만, 여전히 도시를 가리키는 말 중 하나로 쓰였다. 18~19세기 영국에서 도시 내에 지어진 중산층을 위한 연립주택이나 귀족을 위한 저택을 '[[타운하우스|town house]]'라고 부른 것이 좋은 예. 이는 교외의 전원지역이나 [[시골]]의 소유지에 지어진 country house와 대비되는 명칭으로써 도시 주택을 의미했다. 이러한 town의 지위를 잘 보여주는 예시 중에는 [[안나 콤네나]]의 저작 [[알렉시아스]] 영역본이 있다. 당시 로마인들은 동로마와 유럽 굴지의 대도시였던 [[테살로니키]]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는 못 미친다는 의미에서 후자는 "[ruby(Η πολή, ruby=I poli)]"(도시)라고 부르고 테살로니키를 포함한 나머지 도시는 그냥 "[ruby(η χώρα, ruby=i chóra)]"(마을)이라고 [[서울공화국|불렀다]]. 그래서 영어에서도 이를 번역할 때 각각 "city"와 "town"으로 옮겼다. ~~진정한 로마인이라면 [[로마]]나 [[콘스탄티노폴리스]]만을 도시라고 불러주는 법이다.~~ 즉, town 역시 인구밀집지역으로서 도시라는 뉘앙스를 분명히 가지는 표현이므로 한국어의 도시-마을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은 다소 부적절한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말에서 town에 가장 잘 대응하는 말은 역사적 변화양상으로나 언어습관으로나 '[[읍]]'([[邑]])이다. == 마을의 종류 == === 위치에 따른 분류 === * 야촌(野村) - 평야 지역에 형성된 마을. * 산촌(山村) - 산간 지역에 형성된 마을. '''"산지촌"'''이라고 하기도 한다. * 진촌(津村) - 강변(주로 나루터)에 형성된 마을. * 사하촌(寺下村) - 절 주변에 있는 마을. * 광산촌 - 광산 주변에 형성된 마을. 광산의 경기에 따라 흥망이 좌우된다. * 관광촌 - 관광지 주변에 형성된 마을. 주민 대다수가 관광객들의 지출로 먹고 사는 마을. * [[기지촌]] - 군부대, 기지 주변에 형성된 마을. * 교촌(校村) - 향교, 학교, 대학 등 교육기관 주변에 형성된 마을. === 형태에 따른 분류 === * 집촌(集村) - 주택들이 밀집되어 있는 마을.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마을 형태이다. * 산촌(散村) - 주택들이 흩어져 있는 마을. 주로 신개척지, 간척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열촌(列村) - 주택들이 도로 혹은 강을 따라 줄지어 있는 마을. 도시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괴촌(塊村) - 주택들이 한데 뭉쳐 있는 마을. 시골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마을 한복판에 중심지를 두고 둥글게 형성된 마을을 환촌(環村)이라고도 한다. === 종사하는 산업에 따른 분류 === * [[농촌]](農村) - 주민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는 마을. * [[어촌]](漁村) - 주민 대다수가 [[어업]]에 종사하는 마을. === 거주민의 혈연, 직업, 신분 등에 따른 분류 === * [[집성촌]](集姓村) - 특정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거주하는 마을. * 백정촌 - [[백정]] 신분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 반촌(班村) - 양반 등 사족 신분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 부촌(富村) == 마을을 나타내는 단어 == 한국에서는 이러한 마을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순우리말]]로는 '-골', '-말' 등의 표현을, 한자로는 '-리(里)', '-동(洞)' 등의 표현을 사용해왔다. '-촌(村)'은 '산촌', '어촌' 등 마을의 속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로 쓰였고 특정 마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리', '-동'에 비해 다소 적게 쓰였던 듯하다. 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이웃 [[일본]]에서는 [[시정촌]](市町村)으로 '촌(村)' 역시 행정구역으로 쓰이지만 한국에서는 이 글자가 행정구역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 공식 행정구역 === * [[읍(행정구역)]] * [[면(행정구역)]] * [[동(행정구역)]] * [[리(행정구역)]] === 비공식 행정구역 === * 마을 * [[부락]] * 권역: 지역 발전을 위해 몇 개의 마을을 묶어 편성한다. 주로 농어촌에 많다. * [[푸에블로]] == 문서가 존재하는 마을 == === 국내 === * [[감천문화마을]] * [[밤일마을]] * [[봉하마을]] * [[양동마을]] * [[전주 한옥마을]] * [[하회마을]] * [[청학동마을]] * [[헤이리 예술마을]] * [[흰여울문화마을]] * [[제주 월산마을]] * [[비석문화마을]] === 국외 === * [[배로우]]: 세계에서 가장 북극점에 가까운 마을. * [[오이먀콘]]: 세계에서 가장 추운 마을. * [[웰렌]]: 유라시아 최동단 마을. * [[휘티어]]: 모든 주민이 아파트 한 동에 몰려살아서, 아파트 자체가 마을인 마을. === [[외국인 마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국인 마을)] === [[가공의 마을]] === [[가공의 마을]] 문서 참고. === 이름에 마을이 들어가지만 마을이 아닌 문서 === * [[마을 - 아치아라의 비밀]] * [[영어마을]] [[분류: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