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2년 출생]][[분류:펄레슈티 구 출신 인물]][[분류:복수국적자]][[분류: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 출신]][[분류:몰도바의 경제학자]][[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몰도바 총리]][[분류:몰도바 대통령]] [include(틀:역대 몰도바 대통령)] || '''{{{#fff 마이아 산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몰도바 총리)] ---- }}} || ||<-2> '''{{{#fff 몰도바 공화국 제6대 대통령[br]{{{+1 마이아 산두}}}[br]Maia Sand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ia-Sandu.jpg|width=100%]]}}} || ||<|2> '''출생''' ||[[1972년]] [[5월 24일]] ([age(1972-05-24)]세) || ||[[소련]]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몰도바 SSR]] 펄레슈티구 리시페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몰도바, 크기=36)] | [include(틀:국기, 국명=루마니아)] || ||<|4> '''재임기간''' ||제13대 총리 || ||[[2019년]] [[6월 8일]] ~ [[2019년]] [[11월 14일]] || ||제6대 대통령 || ||[[2020년]] [[12월 24일]] ~ [[현직]]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andumaiamd,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maia.sand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maia.sand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몰도바 경제학 연구원 {{{-2 ([[경영학]] / [[학사]])}}}[br]공공 행정 아카데미 {{{-2 ([[국제학부|국제학]] / [[학사]])}}}[br][[하버드 대학교]] {{{-2 ([[행정학]] / [[석사]])}}}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대통령 취임으로 인해 [[행동연대당]] 탈당] || || '''의원 선수''' ||'''2'''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몰도바]]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제13대 총리였으며, 현직 몰도바 공화국의 대통령이다. == 약력 == * 세계은행 전무이사 * 제13대 교육문화연구부 장관 (2012~2015) * 몰도바 의회 의원 (2014~2015, 2019) * [[행동연대당]] 대표 (2016~2020) * '''제13대 몰도바 총리''' (2019) * '''제6대 몰도바 대통령''' (2020~) == 생애 == 1972년에 당시 소련 몰도바 SSR의 리시페니에서 태어나 몰도바 경제학 연구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세계은행 전무이사를 지냈다. 2012년에 교육문화연구부 장관이 되면서 정치에 입문하였으며, 2014년에는 몰도바 의회 의원에 당선되었다. 2016년에는 대통령 선거에 나섰으나 [[이고르 도돈]] 후보에게 패했고, 이후 몰도바 총리를 지냈다. === 취임 후 === 2020년 대통령 선거에서 현역이던 [[이고르 도돈]] 대통령을 꺾고 당선되었다. 친러 성향이던 도돈 전 대통령과는 달리 강력한 친서방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트란스니스트리아]] 문제에 있어서도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통령 당선 직후에는 트란스니스트리아에 주둔하는 [[러시아]] [[평화유지군]]의 철수를 공개적으로 요구하기도 했다. 반면 대선 기간 중인 2020년 10월에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통일|루마니아와의 통일]]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에 찬성한다고 답했다.[[https://www.impact.ro/ce-ar-vota-maia-sandu-la-un-referendum-pentru-unirea-republicii-moldova-cu-romania-declaratia-care-nu-i-a-picat-bine-lui-putin-110652.html|#]] 대통령 취임 후에도 사실상 여당 역할을 맡고 있는 [[행동연대당]]이 의회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면서 총리 지명안을 비롯한 여러 과제가 벽에 막히자 2021년 4월 28일 과감히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선언했다.[[https://emerging-europe.com/news/moldovas-tough-president-gets-the-election-she-wanted/|#]] 당초 여론조사에서는 친러 정당이 과반을 점할 것이란 분석이 많았지만 7월 11일 선거 결과, 행동연대당이 과반인 51석을 훌쩍 뛰어넘은 63석을 확보하여 승리, 정국 주도권을 잡았다.[[https://www.politico.eu/article/moldova-pro-eu-election-center-right-pas-parliament/|##]] 이전 정권에서 임명한 알렉산드르 스토야노글로 검찰총장과의 갈등이 발생하자 [[2021년]] [[10월 6일]] 직위해제한 후 [[직권남용]] 등 4개의 혐의를 적용해 긴급 체포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006163800080|#]] 2022년 2월 24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격적으로 침공]]하자 [[몰도바]] 역시 [[트란스니스트리아|국내 사정이 우크라이나와 판박이]]인지라 큰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이다. 특히 [[러시아]]를 지원하고 있는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안보 회의 중 [[몰도바]]를 침공하려는 계획이 담긴 듯이 보이는 지도를 공개해 논란이 커졌다. 이에 3월 6일, [[미국]]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회담하여 "[[미국]]은 [[몰도바]] 영토가 완전하게 보전돼야 한다는 원칙을 지지한다"는 답변을 얻어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30800090007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면서 결국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전기와 가스 생산 및 수입에 차질이 생겨 에너지 대란]]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산두 행정부에게 친러시아 정책을 펼치라는 요구와 에너지 대란 해결을 하라는 반정부시위가 거세지고 있다.[* 다만 이 시위가 해외 도피 중인 올리가르히 일란 쇼르가 배후에 있는 공작이라는 의견도 있다.] 2023년 2월에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러시아가 공작원을 침투시켜 정부 전복을 시도한 사실을 공개했다. 러시아가 자국 몰도바 국적자뿐만 아니라 친러 성향인 [[벨라루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적자 등을 몰도바에 잠입시켜 반정부 시위를 조장하려 한 정황이 파악됐다는 것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214027500009|#]] == 기타 == *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영어]], [[스페인어]] 4개 국어가 가능하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