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포뮬러 원 서킷)] [include(틀:FIA 그레이드 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마인.jpg|width=100%]]}}}|| ||<-2><:><#1F2D31> '''{{{#ffffff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 ||<-2><:><#000000> '''{{{#ffffff Miami International Autodrome}}}''' || ||<-2><:><#ffffff,#191919> [[파일:마이애미 시가지 서킷 레이아웃.png|width=100%]] || ||<-2><#fc4720> '''{{{#ffffff 서킷 정보}}}''' || || '''{{{#ffffff 위치}}}''' ||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마이애미 가든스]] || || '''{{{#ffffff 수용 능력}}}''' || - 명 || || '''{{{#ffffff [[FIA 그레이드]]}}}''' || 1 || || '''{{{#ffffff 개장}}}''' || 2022년 5월 6일 || || '''{{{#ffffff 개최 경기}}}''' || [[포뮬러 1]][* 2022년부터 개최] || || '''{{{#ffffff 길이}}}''' || 5.41km || || '''{{{#ffffff 코너}}}''' || 19개 || || '''{{{#ffffff 트랙 레코드}}}'''[* 이 서킷에서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 || 1:26.814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RB19]], 2023) || || '''{{{#ffffff 랩 레코드}}}'''[* 이 서킷에서 열린 레이스 도중 기록된 가장 빠른 랩타임. 대회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 1:29.708([[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RB19]], 2023) || ||<-2> [include(틀:지도, 장소= hard rock stadium, 너비= 100%)] || ||<-2> [youtube(0kKpmeoZ54U)] || ||<-2> 풀 코스 레이아웃 주행[* [[샤를 르클레르]]의 2022년 마이애미 그랑프리 폴 포지션 랩]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부터 [[포뮬러 1]] 캘린더에 합류할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위성도시인 마이애미 가든스에 위치한 [[하드록 스타디움]]을 도는 시가지 서킷이며, 미국에서 [[F1]]이 열리는 11번째 도시가 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 [[포트 임페리얼 시가지 서킷]] 이후 공표된 2번째 서킷이다. 시가지 서킷의 특성상 실제 도로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교통 혼잡도를 줄이고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해야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 서킷을 설계하기 위해서 36가지의 레이아웃을 테스트해보았다고 한다. 서킷의 전체적인 느낌이 호주의 [[멜버른 그랑프리 서킷]]과 비슷한 느낌을 낼 것이라고 한다. 마이애미에서도 F1경기를 진행하면 현재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에서 열리는 경기와 함께 미국에서 두 개의 그랑프리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세브링 인터내셔널 레이스웨이]] 이후 오랜만에 플로리다에서 열리는 F1 경기가 된다. 이 서킷에서 멀지 않은 곳에 [[NASCAR]] 서킷인 [[홈스테드-마이애미 스피드웨이]]가 있을 만큼 나스카가 매우 인기 있는 모터스포츠이기 때문에 도메니칼리 회장을 비롯한 F1 관계자 측에서도 미국에서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COTA]] 말고도 더 많은 곳에서 열기를 바랐다. 그 결과물이 바로 마이애미 시가지 서킷이며, 앞으로 추가적인 미국 그랑프리가 열릴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인기를 보여주듯 첫 마이애미 그랑프리 티켓이 40분만에 매진되었다고 한다. 2021년 9월 2일, 이 서킷의 이름이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으로 정해졌다. 약자는 MIA인데, 공교롭게도 마이애미시의 약칭과 동일하다. == 서킷의 특징 == 최고속도는 약 320km/h 정도로 예상되며, 평균속도는 222km/h 로 예상된다. [[DRS]]는 3개의 구간에서 쓸 수 있다. 주요 추월 포인트는 DRS가 각각 끝나는 1번, 11번, 17번 코너라고 한다. == 역대 기록 == === F1 === * 다승 기록(드라이버) ||<#1F2D31> '''{{{#fff 우승 횟수}}}''' ||<#1F2D31> '''{{{#fff 드라이버}}}''' ||<#1F2D31> '''{{{#fff 우승 연도}}}''' || || '''2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막스 베르스타펜]] ||2022, 2023 || * 다승 기록(컨스트럭터) ||<#1F2D31> '''{{{#fff 우승 횟수}}}''' ||<#1F2D31> '''{{{#fff 컨스트럭터}}}''' ||<#1F2D31> '''{{{#fff 우승 연도}}}''' || || '''2회''' ||<#002147> [[레드불 레이싱|'''{{{#e51837 레드불}}}''']] ||2022, 2023 || * 연도별 우승 기록 ||<#1F2D31> '''{{{#fff 연도}}}''' ||<#1F2D31> '''{{{#fff 드라이버}}}''' ||<#1F2D31> '''{{{#fff 소속팀}}}''' || ||<#fc4720> [[포뮬러 1/2022시즌|'''{{{#fff 2022년}}}''']]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막스 베르스타펜]] ||<|2><#002147> [[레드불 레이싱|'''{{{#e51837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 ||<#fc4720> [[포뮬러 1/2023시즌|'''{{{#fff 2023년}}}''']] || == 여담 == *서킷의 중심에 있는 하드록 스타디움의 옥상 데크에 올라가면 서킷이 한 눈에 들어올 것이라고 한다. 마치 [[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위에서 대부분이 보이는 것처럼 보일 예정이다. *2023년에는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서킷]]과 함께 미국에서 3개의 그랑프리를 개최할 예정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이애미 시가지 서킷, version=28)] [[분류:미국의 레이싱 서킷]][[분류:2022년 건설]][[분류:마이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