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275/2012/02/15/resize_mike_bernardo_6_20100204_2056280533_0_20120215110302.jpg|width=100%]]}}} || || '''{{{#white 이름}}}''' ||마이클 숀 베르나르도[br](Michael Shawn Bernardo) || || '''{{{#white 생년월일}}}''' ||[[1969년]] [[7월 28일]] || || '''{{{#white 출생지}}}''' ||[[웨스턴케이프]] [[케이프타운]] || || '''{{{#white 사망월일}}}''' ||[[2012년]] [[2월 14일]] (향년 42세)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남아프리카 공화국)] || || '''{{{#white 권투 전적}}}''' ||13전 11승 (9 KO) 1패 1무 || || '''{{{#white 입식 전적}}}''' ||77전 54승 (42 KO) 18패 3무 2무효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Mike-Bernardo-3418| 1전 1무]] || || '''{{{#white 승}}}''' ||없음 || || '''{{{#white 패}}}''' ||없음 || || '''{{{#white 체격}}}''' ||193cm / 110kg || ||<|3> '''{{{#white 주요 타이틀}}}''' ||2000 [[K-1 Global Holdings Ltd.|K-1WGP]] in 후쿠오카 우승 || ||WBF World 헤비급 챔피언 || ||World Olympic Kickboxing 슈퍼 헤비급 챔피언 || ||<|1> '''{{{#white 기타}}}''' ||1996 [[K-1 Global Holdings Ltd.|K-1 WGP]] 준우승 || [목차] == 개요 == 강력한 펀치를 주무기로 한 [[복싱]]과 [[킥복싱]] 베이스의 파이터. 우월한 체격조건과 민머리 스타일로 강한 인상을 심어 주었다. 프로복싱 WBF 챔피언을 지냈던 전력이 있고, K-1 역사에서 하드 펀처를 이야기할 때 반드시 들어가는 선수이다. == 전적 == ※ 입식 전적 * 주요 승: [[앤디 훅]](2), 스탠 롱기니디스, 제프 루퍼스, [[피터 아츠]](3), [[무사시(1972)|무사시]], [[사타케 마사아키]](2), [[브랑코 시카틱]], 글라우베 페이토자, 앤드류 톰슨(2), [[모리스 스미스]], 사다우 키아트송그리트, [[프란시스코 필리오]], 로니 세포, 요겐 크루스, [[미르코 크로캅]], 아마다 히로미, 애덤 왓, [[톰 에릭슨]], 나카사코 츠요시, [[개리 굿리지]], [[에릭 에쉬|버터빈]], 세르게이 구르, 페타르 마이스토로비치 * 주요 패: [[제롬 르 밴너]](2), [[피터 아츠]](2), [[샘 그레코]], [[앤디 훅]](2), [[어네스트 후스트]], [[스테판 레코]], 론 벨리뷰, [[미르코 크로캅]], 애덤 왓, [[레이 세포]], [[개리 굿리지]], 알렉세이 이그나쇼프, [[얀 노르키아]], 토미히라 타츠후미 * 무승부: 스탠 롱기니디스, [[제롬 르 밴너]], [[프란시스코 필리오]], [[카오클라이 카엔노르싱]] ※ 종합격투기 전적 * 무승부: [[타카다 노부히코]] == 커리어 == 1995년 K-1에 데뷔하였으며, K-1의 전성시대에 [[앤디 훅]], [[미르코 크로캅]], [[제롬 르 밴너]] 등의 한다하는 선수들과 명승부를 만들어냈다. [[피터 아츠]]를 세 번이나 이기기도 해 피터 아츠의 천적이라는 소리를 들었다. 전성기 이후 슬럼프와 노쇠화로 인해 [[얀 노르키아]] 등의 선수는 물론, 무명 선수에게도 패하는 등 1999년 이후부터 하락세가 역력해졌고 부상까지 겹치면서 기량과 몸상태는 전성기 때로 다시 돌아오지 못하게 되었다. 2006년 월드그랑프리 개막전에서 공식 은퇴했다. 일화로 이그나쇼프를 꺾으며 8강에 진출하게 된 [[카오클라이 카엔노르싱]]과 2004년에 타 단체에서 내기 경기를 가진 일이 있다. 카오클라이가 패배할 시 베르나르도가 대신 8강에 진출한다는 조건. 그러나 무승부로 끝나서 그를 다시 FINAL 무대에서 보게 되는 것은 무산되었다. == 파이팅 스타일 == 남아공의 대포로 불릴 정도로 어마어마한 펀치력을 지닌 하드펀처이다. 핵펀치와 살인도 가능할 것 같은 러시, 복싱 스킬, 거리 감각 등 타격가로서 갖춰야 할 장점들은 거의 다 지니고 있다. 다만 킥 능력의 부재가 있었다. 다른 약점은 신장에 비해 리치가 짧았으며, 경기력에 기복이 있었고 맷집 역시 다소 좋지 못했다는 것이다. 킥복싱에 익숙하지 않아 레그킥 대응 능력 역시 상당히 떨어졌고, 때문에 [[앤디 훅]]과의 3차전에서는 레그킥 연타에 무너진 바 있다. 이러한 약점들 때문에 경기의 흐름을 잘 이끌다가도 어이없이 패하는 일이 많았고 전성기가 지나면서 이런 일은 더욱 두드러졌다. == 주요 수상 경력 == K-1 WGP 2000 in 후쿠오카 우승 월드 올림픽 킥복싱 슈퍼헤비급 챔피언 WBF 세계 헤비급 챔피언 == 사망 == 2012년 2월 15일 사망 기사가 보도되어 많은 이들을 충격에 몰아넣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75&aid=0000031872|#]] 사망 당시 SNS 등을 통해 자살 징후를 보였다는 증언과, 뇌출혈이 사인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등 사인에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그와 절친했던 얀 노르키아의 증언으로 인해 [[우울증]]에 의한 자살로 결론이 났다. 칼로 목을 그어 자살했다고. 펀치 드렁크로 인한 우울증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 인터뷰 등에 독실한 가톨릭 신자라고 자신을 소개하던 그가 자살할 정도면 심각한 수준이었던걸로 보인다. [각주] [[분류:1969년 출생]][[분류:케이프타운 출신 인물]][[분류:2012년 사망]][[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권투 선수]][[분류:자살한 운동선수]][[분류:입식격투기 선수]][[분류:1990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분류: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