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마이클 키튼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 || ||<-5> [[파일:emmylogo.png|width=150]] || ||<-5> {{{#e5d85c '''남우주연상 - 리미티드 시리즈/ TV 영화 부문'''}}} || || '''[[제7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3회]] [br] ([[2021년]])''' || {{{+1 → }}} ||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4회]] [br] ([[2022년]])''' || {{{+1 → }}} || '''[[제75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5회]] [br] ([[2023년]])''' || || [[이완 맥그리거]][br](할스턴) || {{{+1 → }}} || '''마이클 키튼[br]([[돕식: 약물의 늪]])''' || {{{+1 → }}} || || ||<-5>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남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 || ''' 제71회 [br] ([[2014년]]) ''' || {{{+1 → }}} || ''' [[제7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2회]] [br] ([[2015년]]) ''' || {{{+1 → }}} || ''' [[제73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3회]] [br] ([[2016년]]) ''' ||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br]([[더 울프 오브 월스트리트]]) || {{{+1 → }}} || '''마이클 키튼[br]([[버드맨(영화)|버드맨]])''' || {{{+1 → }}} || [[맷 데이먼]][br]([[마션(영화)|마션]]) || ||<-5> {{{#e5d85c '''남우주연상 - 리미티드 시리즈 / TV 영화'''}}} || || ''' [[제78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8회]] [br] ([[2021년]]) ''' || {{{+1 → }}} || '''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9회]] [br] ([[2022년]]) ''' || {{{+1 → }}} || ''' [[제8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0회]] [br] ([[2023년]]) ''' || || [[마크 러팔로]][br]([[아이 노우 디스 머치 이즈 트루]]) || {{{+1 → }}} || '''마이클 키튼[br]([[돕식: 약물의 늪]])''' || {{{+1 → }}} || [[에반 피터스]][br]([[다머(드라마)|다머 - 괴물: 제프리 다머 이야기]]) || ||<-5> || ---- ||<-5>
{{{+1 '''{{{#white 역대}}}''' [[미국배우조합상|[[파일:SAG-AFTRA_Logo.png|width=120]]]]}}} || ||<-5> [[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미국배우조합상/남우주연상|{{{#white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남우주연상'''}}}]] || || ''' [[제27회 미국 배우조합상|제27회]][br]([[2021년]]) ''' || {{{+1 →}}} || ''' [[제28회 미국 배우조합상|제28회]][br]([[2022년]]) ''' || {{{+1 →}}} || ''' [[제29회 미국 배우조합상|제29회]][br]([[2023년]]) ''' || || [[마크 러팔로]][br]([[아이 노우 디스 머치 이즈 트루]]) || → || {{{#fff '''마이클 키튼[br]([[돕식: 약물의 늪|{{{#fff 돕식: 약물의 늪}}}]])'''}}} || → || 샘 엘리엇[br]([[1883(드라마)|1883]]) || ||<-5> || ---- ||<-5>
{{{#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5>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width=70]] || ||<-5> {{{#e5d85c '''남우주연상(영화)'''}}} || || '''제19회[br]([[2014년]])''' || {{{+1 → }}} || '''[[제20회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제20회]][br]([[2015년]])''' || {{{+1 → }}} || '''[[제21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1회]][br]([[2016년]])''' || || [[매튜 매커너히]][br]([[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 {{{+1 → }}} || '''{{{#eb4684 마이클 키튼}}}[br]{{{#eb4684 ([[버드맨(영화)|{{{#eb4684 버드맨}}}]])}}}''' || {{{+1 → }}}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br]([[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 ||<-5> {{{#e5d85c '''코미디 영화 남우주연상'''}}} || || '''제19회[br]([[2014년]])''' || {{{+1 → }}} || '''[[제20회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제20회]][br]([[2015년]])''' || {{{+1 → }}} || '''[[제21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1회]][br]([[2016년]])''' || ||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br]([[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 {{{+1 → }}} || '''{{{#eb4684 마이클 키튼}}}[br]{{{#eb4684 ([[버드맨(영화)|{{{#eb4684 버드맨}}}]])}}}''' || {{{+1 → }}} || [[크리스찬 베일]][br]([[빅쇼트]]) || ||<-5> {{{#e5d85c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남우주연상'''}}} || || '''[[제26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6회]][br]([[2021년]])''' || {{{+1 → }}} || '''[[제27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7회]][br]([[2022년]])''' || {{{+1 → }}} || '''[[제28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8회]][br]([[2023년]])''' || || [[존 보예가]][br](스몰 엑스) || {{{+1 → }}} || '''{{{#eb4684 마이클 키튼}}}[br]{{{#eb4684 ([[돕식: 약물의 늪|{{{#eb4684 돕식: 약물의 늪}}}]])}}}''' || {{{+1 → }}} || [[다니엘 래드클리프]][br](위어드 디알 얀코빅 스토리) || ||<-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한글명=마이클 키튼, 영어명=MICHAEL KEATON, 분야=영화, 입성날짜=2016년 7월 28일, 위치=6931)] }}} || ||<-2>
'''{{{+1 마이클 키튼}}}[br]Michael Keato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이클 키튼 2022 베니티페어 커버.jpg|width=100%]]}}}|| || '''본명''' ||마이클 존 더글러스[br]Michael John Douglas || ||<|2> '''출생''' ||[[1951년]] [[9월 5일]] ([age(1951-09-05)]세) || ||[[펜실베이니아 주]] 코라오폴리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75cm|| || '''학력''' ||켄트 주립대학교|| || '''직업''' ||[[배우]], [[감독]]|| || '''활동''' ||[[1975년]] – 현재 || || '''배우자''' ||캐롤라인 맥윌리엄즈^^(1982년~1990년)^^|| || '''자녀''' ||아들 션 더글러스^^(1983년생)^^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www.goliath.com/johnnydangerously-730x411.jpg]] 90년대 활동 당시의 모습. [[미국]]의 배우. 1951년 9월 5일생. 본명은 마이클 존 더글러스(Michael John Douglas)[* 같은 이름을 가진 [[마이클 더글라스|마이클 커크 더글라스]]도 할리우드 배우이다. 참고로 이 둘은 재밌게도 모두 MCU에 출연한다.]이고, 마이클 키튼[* [[외래어표기법]]에 근거하면 '키튼'이 아니라 '키턴'이라고 표기해야 하나, '키튼'이 훨씬 더 자주 사용되어 이를 항목명으로 정함. 대표적인 예가 [[버스터 키튼]].]은 예명이다. == 주요 경력 == 1970년대 중반부터 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주로 코미디 연기에 치중하다 《[[비틀쥬스]]》 등의 작품에 출연하며 유명해지기 시작했고, [[팀 버튼]]이 감독한 《[[배트맨(1989년 영화)|배트맨]]》과 《[[배트맨 2|배트맨 리턴즈]]》에 [[배트맨(배트맨 모던 에이지 시리즈)|배트맨]]으로 출연하면서 정점을 찍었다. 배트맨 캐스팅에 관한 일화가 있는데, 팀 버튼이 자신의 전작 비틀쥬스에서 같이 손발을 맞춘 마이클 키튼을 배트맨에 캐스팅하자 비틀쥬스 이미지가 워낙 강하게 심어졌으며, 젊은 시절 그 특유의 곱슬머리까지 겹쳐 도저히 브루스 웨인이라는 캐릭터에 맞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 사실 팀 버튼은 본래 조커에 그를 캐스팅하려고 했다. 그가 연기한 비틀쥬스는 팀 버튼의 배트맨 조커와 매우 흡사한 부분이 많다.] 하지만 영화 내에서 그는 팀 버튼판 배트맨의 브루스 웨인과 배트맨이라는 캐릭터를 완벽히 소화해 역대 실사영화 배트맨 시리즈 브루스 웨인 중 몇 손가락에 반드시 꼽힌다. 마이클 키튼의 브루스 웨인은 코믹스의 키가 크고 떡대가 큰 브루스 웨인과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으나, 그 이질감마저도 덮어버릴 정도로 강렬한 연기를 보여줬다. 찡그린 눈썹이 배트맨 특유의 가면과 닮았다는 말도 나왔을 정도이고, 강렬한 눈동자를 가지고 있어 그의 배트맨 영화에는 눈클로즈업이 인상적이다. 그 이후에도 꾸준한 작품 활동을 지속해왔으며, 2010년대에 들어서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의 《[[버드맨(영화)|버드맨]]》과 톰 매카시의 《[[스포트라이트(영화)|스포트라이트]]》에 주요 인물로 출연했는데, 두 편 모두 [[아카데미 시상식]]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할 정도로 극찬을 받은 작품이고, 배우로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본인 역시도 《버드맨》에서의 극찬을 받은 연기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하지는 못했고, 대신 [[골든글로브상]] 남우주연상 - 뮤지컬 / 코미디 부문에서 수상했다. 키튼의 일부 영화가 국내에서도 방영되었으며 더빙판 성우는 [[이정구]]가 맡았다.(★ 표시가 한국에서 방영된 영화들)[* 이정구는 마이클 키튼 외에도 같이 배트맨를 맡았던 [[발 킬머]]와 [[조지 클루니]]의 일부 영화도 더빙했다. 한국에서 배트맨 TAS가 방영될때에도 배트맨 더빙을 하기도 했다.] 2016년 7월 28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491496|'''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하였다.]] [[스파이더맨: 홈커밍]](2017)의 빌런인 [[벌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벌처]]로 출연하였다. 과거 DC 코믹스 슈퍼히어로를 연기한 경력이 있는 배우가 오랜기간 후 마블 코믹스의 빌런을 연기하게 되었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단독 주연을 맡기기 힘든 업라이징 스타들을 과감히 주연에 배치하는 대신, 무게감을 보정하기 위해 빌런이나 히어로를 보좌하는 조연 역에 베테랑 주연급 배우들을 배치하는 행위는 [[슈퍼맨]] 실사영화 이후로 히어로물의 관례처럼 여겨져왔는데, MCU 역시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이 방식을 철저히 고수한다. 일례로 MCU 세계관 전체를 관통하는 닉 퓨리 역에 [[사무엘 잭슨]]이 있고, [[로버트 레드포드]]와 [[안소니 홉킨스]]는 말하면 입 아플 정도로 할리우드의 전설로 자리매김한 배우들. 홈커밍 다음의 [[파 프롬 홈]]에서도 메인 빌런에 베테랑급 배우를 출연시켜 20대 초반의 주연이 자칫 무너트릴 수 있는 네임밸류 밸런스를 맞춰주었다. 물론 MCU에 키튼이 출연한 것에 배트맨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덧붙여서, 이러한 관례대로 당시 비교적 라이징 스타 정도의 마이클 키튼의 상대 역으로 확실한 주연급의 [[잭 니콜슨]]이나 조연계에 감초로 유명한 [[대니 드비토]]가 빌런이 되어주어 커리어 정점을 찍은 그가, 이번에는 반대입장이 되어 빌런으로 출연한 것, 그것도 DC에서 마블로, 여러모로 캐스팅만으로 말할 거리가 많았다.] 영화 개봉후 벌처는 복합적인 캐릭터성과 더불어, 마이클 키튼의 명연기로 대호평을 받았고, 영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관람객들도 마이클 키튼의 벌처 연기만큼은 호평할 정도였다.[* 피터 파커 역할을 맡은 톰 홀랜드는 영화 중반부의 자동차 안의 대화하는 장면에서 마이클 키튼의 벌쳐 연기가 너무 실감나게 무서워서 차 안에서 키튼을 대하는 내내 연기가 아니라 진짜로 무서워하며 대화했다고 한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에서 CIA 요원인 [[제이슨 허드슨]]의 성우를 담당했다. 원래는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블랙 옵스 1]]에서의 성우는 [[에드 해리스]]였지만 스케줄 문제로 2편에서는 키튼이 대신했다. == 여담 == * 자신이 스타 배우로 성장하게 된 계기인 배트맨 역에 엄청난 애정을 가지고 있어서 토크쇼에 나간다고 하면 배트맨 이야기를 절대로 빼놓지 않는다. 심지어 경쟁사인 마블 영화인 스파이더맨 홈커밍 홍보를 위해 나간 토크쇼에서 [[지미 키멜]]이 스파이더맨을 가장 좋아한다고 하자 멱살 잡는 시늉을 하면서 항의를 하고 키멜이 '당신이 벌처를 연기한걸 깜박했네요.'라고 농담 삼아 얘기하자 '무슨 씨발 같은 소릴 하는거야? '''난 배트맨이라고!'''' 얘기 할 정도다.[[https://youtu.be/eK-OSTfpdMA|#]] * [[꼰대]](?) 기질이 있다. 물론 농담. [[로보캅(2014)|2014년작 로보캅]]에서 갑갑한 로보캅 복장을 입고 답답해하는 [[조엘 킨나만]]에게 "젊은이, 내가 배트맨을 할 때는 등판에 나무 작대기를 꽂아넣고 옷을 입었다고.[* 키튼이 입었던 배트맨 슈트는 그냥 고무덩어리에 가까웠고, 지퍼 하나도 없었다... 대소변도 물론 옷을 벗을 때까지 다 참아야 했으며 결정적으로 통풍이 하나도 안돼서 그야말로 사우나에 가까웠다고 한다. 이런걸 입고 액션 신을 찍어야 했으니 보통 고생이 아니었다고 한다. 이런 문제는 극중에도 나오는데 [[배트맨 2|리턴즈]]에서 가면을 벗을 수 없어서 그냥 뜯어내버린다. 이때 얼굴이 뭉개지기도 한다.] 그러니 끙끙거리지 좀 말게."라고 핀잔을 줬다. 이에 조엘 킨나만은 "제기랄, 마이클, 그건 벌써 20년 전 이야기잖아요!"라고 답했다고 한다. 또한 [[스파이더맨: 홈커밍]]에서는 스파이더맨 역할을 맡은 [[톰 홀랜드]]에게 자신이 배트맨을 연기했었다는 것을 굉장히 강조했다는 듯하다. 허나 마이클 키튼이 마지막으로 배트맨 역할을 맡은 연도는 1992년이고 톰 홀랜드는 1996년생, 즉 당시에는 태어나지도 않았다.(...) * 2015년 11월에 출연한 토크쇼 인터뷰에서 "자신의 배트맨은 절대로 스파이더맨마냥 울지 않는다"라고 언급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0GkJSjOxD4U|#]] 그리고 2년 후에 스파이더맨: 홈커밍이 개봉하면서 이 인터뷰가 다시 한 번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 팀 버튼의 신작 [[덤보(영화)|덤보]]에 캐스팅이 되었다. 이는 무려 27년 만의 팀 버튼과의 재회다. * [[벤 에플렉]]과 함께 영화 [[플래시(영화)|플래시]]에서 30년 만에 배트맨 역으로 재출연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처음 배트맨으로 캐스팅 됐을때의 반응과는 다르게 노년의 배트맨으로 재출연이 확인되자 엄청난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 필모그래피 == || '''연도''' || '''작품''' || '''배역''' || '''비고''' || ||1982||뉴욕의 사랑||빌 블레이즈조스키|| || ||1983||미스터 마마||잭 버틀러|| || ||1984||갱 파티||쟈니 켈리/쟈니 댄저러슬리|| || ||<|2>1986||사랑의 탈출||로버트 "바비" 바바토|| || ||겅호||헌트 스테븐슨|| || ||1987||위험한 트릭||해롤드 "해리" 베르그|| || ||1988||[[비틀쥬스]]||비틀쥬스|| || ||<|2>1989||[[배트맨(1989년 영화)|배트맨]]★||[[배트맨(배트맨 모던 에이지 시리즈)|배트맨/브루스 웨인]]|| || ||4인의 방랑자||윌리엄 "빌리" 카우필드|| ||1990||퍼시픽 하이츠||카터 헤이스|| || ||1991||어떤 정의||아서 "아티" 루이스|| || ||<|2>1992||[[배트맨 2|배트맨 리턴즈]]★||[[배트맨(배트맨 모던 에이지 시리즈)|배트맨/브루스 웨인]]|| || ||[[붉은 돼지]]||포르코 롯소 영어더빙|| || ||<|2>1993||헛소동||도그베리|| || ||마이 라이프★||로버트 "밥" 존스|| || ||<|2>1994||페이퍼||헨리 해켓|| || ||스피치리스||케빈 발릭크|| || ||1996||멀티플리시티||더글라그 "덕" 키니/"투"/"쓰리"/"포"|| || ||1997||[[재키 브라운]]||레이몬드 "레이" 니콜렛|| || ||<|2>1998||잭 프로스트★||잭 프로스트|| || ||데스퍼레이트★||피터.J 맥케이브|| || ||2002||라이브 프롬 바그다드||로버트 위너|| || ||2003||퀵샌드||마틴 레이크스|| || ||2005||화이트 노이즈||조나단 리버스|| || ||<|2>2006||[[카(애니메이션)|카]]||[[칙 힉스]](목소리 출연)|| || ||더 라스트 타임||테드 "테오도르"|| || ||2008||메리 젠틀맨||프랭클린 "프랭크" 로건|| || ||2010||[[토이 스토리 3]]||켄(목소리 출연)|| || ||<|2>2013||펜트하우스 노스||홀랜더|| || ||토이 스토리 오브 테러||켄(목소리 출연)|| || ||<|3>2014||[[버드맨(영화)|버드맨]]||리건 톰슨|| || ||[[로보캅(2014)|로보캅]]||레이몬드 셀러스|| || ||[[니드 포 스피드(영화)|니드 포 스피드]]||모나크|| || ||<|2>2015||[[스포트라이트(영화)|스포트라이트]]★||월터 V.로빈슨|| || ||[[미니언즈]]||월터 넬슨(목소리 출연)|| || ||2016||[[파운더(영화)|파운더]]||[[맥도날드#s-2|레이 크록]]|| || ||<|2>2017||[[스파이더맨: 홈커밍]]||[[벌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벌처/에이드리언 툼즈]]|| || ||[[어쌔신: 더 비기닝]]||스탠 헐리|| || ||2019||[[덤보(영화)|덤보]]||반데비어|| || ||<|2>2020||[[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램지 클락|| || ||워스||케네스 파인버그|| || ||<|2>2021||[[킬링 카인드: 킬러의 수제자]]||마이클 렘브란트|| || ||[[돕식: 약물의 늪]]||새뮤얼 피닉스||[* TV 미니시리즈] || ||2022||[[모비우스(영화)|모비우스]]||[[벌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벌처/에이드리언 툼즈]]|| || ||2023||[[플래시(영화)|플래시]]||[[배트맨(배트맨 모던 에이지 시리즈)|배트맨/브루스 웨인]]|| || ||미정||정글의 왕||미정|| || [[분류:미국 남배우]][[분류:1951년 출생]][[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앨러게니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영국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