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인크래프트/NBT)] ||※ [[마인크래프트/자바 에디션|JE]]의 최신버전인 1.20.2 기준이며, 상하위 버전에 맞지 않는 태그가 있을 수 있습니다.|| [include(틀:마인크래프트/관련 문서)] [include(틀:마인크래프트/NBT)] [목차] == 개요 == 몹의 NBT를 나열하는 문서이다. == 목록 == === 전용 태그 없음: 블레이즈, 동굴 거미, 엘더 가디언, 자이언트, 가디언, 좀벌레, 거미, 오징어, 스트레이, 위더 스켈레톤 === || [[파일:nbtFileIcon.svg]][br]{{{+3 '''전용 태그 없는 몹 NBT'''}}} || || * [[마인크래프트/NBT/몹#MobCommons|''< 몹 공통 태그 >'']] || 해당 몹은 엔티티, 몹 공통 NBT 외에 다른 NBT를 가지지 않는다. === [[마인크래프트/NBT/몹/ㄱ~ㅅ|ㄱ~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인크래프트/NBT/몹/ㄱ~ㅅ)] === [[마인크래프트/NBT/몹/ㅇ~ㅎ|ㅇ~ㅎ]]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인크래프트/NBT/몹/ㅇ~ㅎ)] === [[마인크래프트/NBT/몹/플레이어|플레이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인크래프트/NBT/몹/플레이어)] == 모든 몹 공용[anchor(MobCommons)] == 플레이어는 HandItems, ArmorItems, HandDropChances, ArmorDropChances, CanPickUpLoot, PersistenceRequired, Leash, NoAI가 없다. || [[파일:nbtFileIcon.svg]][br]{{{+3 '''몹 공통 NBT'''}}} || || * [[마인크래프트/NBT/엔티티#EntityCommons|''< 엔티티 공통 태그 >'']] * '''AbsorptionAmount''' < [include(틀:NBTFloat)] > * '''ActiveEffects''' < [include(틀:NBTList)] > * < [include(틀:NBTCompound)] > * '''ambient''' < [include(틀:NBTByte)] > * '''amplifier''' < [include(틀:NBTByte)] > * '''duration''' < [include(틀:NBTInt)] > * '''hidden_effect''' < [include(틀:NBTCompound)] > * '''id''' < [include(틀:NBTString)] > * '''show_icon''' < [include(틀:NBTByte)] > * '''show_particles''' < [include(틀:NBTByte)] > * '''ArmorDropChances''' < [include(틀:NBTList)] > * < [include(틀:NBTFloat)] > * < [include(틀:NBTFloat)] > * < [include(틀:NBTFloat)] > * < [include(틀:NBTFloat)] > * '''ArmorItems''' < [include(틀:NBTList)] > * < [include(틀:NBTCompound)] > * < [include(틀:NBTCompound)] > * < [include(틀:NBTCompound)] > * < [include(틀:NBTCompound)] > * '''Attribute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Compound)] > * '''Base''' < [include(틀:NBTDouble)] > * '''Modifier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Compound)] > * '''Amount''' < [include(틀:NBTDouble)] > * '''Name''' < [include(틀:NBTString)] > * '''Operation''' < [include(틀:NBTInt)] > * '''UUID''' < [include(틀:NBTIntArray)] > * '''Name''' < [include(틀:NBTString)] > * '''Brain''' < [include(틀:NBTCompound)] > * '''memories''' < [include(틀:NBTCompound)] > ... * '''CanPickUpLoot''' < [include(틀:NBTBoolean)] > * '''DeathLootTable''' < [include(틀:NBTString)] > * '''DeathLootTableSeed''' < [include(틀:NBTLong)] > * '''DeathTime''' < [include(틀:NBTShort)] > * '''FallFlying''' < [include(틀:NBTByte)] > * '''Health''' < [include(틀:NBTFloat)] > * '''HurtByTimestamp''' < [include(틀:NBTInt)] > * '''HurtTime''' < [include(틀:NBTShort)] > * '''HandDropChances''' < [include(틀:NBTList)] > * < [include(틀:NBTFloat)] > * < [include(틀:NBTFloat)] > * '''HandItems''' < [include(틀:NBTList)] > * < [include(틀:NBTCompound)] > * < [include(틀:NBTCompound)] > * '''Leash''' < [include(틀:NBTCompound)] > * '''UUID''' < [include(틀:NBTIntArray)] > * '''X''' < [include(틀:NBTInt)] > * '''Y''' < [include(틀:NBTInt)] > * '''Z''' < [include(틀:NBTInt)] > * '''LeftHanded''' < [include(틀:NBTByte)] > * '''NoAI''' < [include(틀:NBTByte)] > * '''PersistenceRequired''' < [include(틀:NBTByte)] > * '''SleepingX''' < [include(틀:NBTInt)] > * '''SleepingY''' < [include(틀:NBTInt)] > * '''SleepingZ''' < [include(틀:NBTInt)] > * '''Team''' < [include(틀:NBTString)] > || === AbsorptionAmount === ||<-6> {{{+3 {{{#000 '''AbsorptionAmount'''}}}}}} || ||<-6> {{{ { AbsorptionAmount: 값f } }}} || ||<-3> '''기능''' ||<-3> 몹의 흡수 체력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Health}}} || ||<-3> '''유형''' ||<-3> [include(틀:NBTFloat)] || 몹의 '''흡수''' 체력을 정한다. 최대는 2048이다. === active_effects === ||<-6> {{{+3 {{{#000 '''active_effects'''}}}}}} || ||<-6> {{{ {active_effects: [{}, {}, ...] } }}} || ||<-3> '''기능''' ||<-3> 몹에 현재 걸려 있는 [[마인크래프트/상태 효과|물약 효과]].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List)]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active_effects''' -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Compound)] > - 물약 효과 중 하나. * '''ambient''' - < [include(틀:NBTBoolean)] > - 신호기에 의해서 공급되는 효과인지 설정. * '''amplifier''' - < [include(틀:NBTByte)] > - 효과 증폭. 기본값은 레벨 I(0) * '''duration''' - < [include(틀:NBTInt)] > - 지속 시간(틱). 기본값은 1(틱) * '''hidden_effect''' < [include(틀:NBTCompound)] > - 이 효과가 끝나고 다음에 일어날 효과. * '''id''' - < [include(틀:NBTString)] > - 효과 이름. * '''show_icon''' - < [include(틀:NBTBoolean)] > - 효과 아이콘을 보일지 설정. * '''show_particles''' - < [include(틀:NBTBoolean)] > - 파티클을 생성할지 설정. || 몹에게 현재 걸려 있는 효과를 정한다. 사용법은 [[마인크래프트/명령어#effect|/effect 명령어]]를 참고하여 적으면 된다. 단, 신속 등의 효과는 적용되지 않고 발광이나 공중 부양, 투명화 등의 효과들은 적용된다. === ArmorDropChances === ||<-6> {{{+3 {{{#000 '''ArmorDropChances'''}}}}}} || ||<-6> {{{ {ArmorDropChances:[1.0f,1.0f,1.0f,1.0f]} }}} || ||<-3> '''기능''' ||<-3> 착용한 아이템의 드롭 확률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List)]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ArmorDropChance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Float)] > - 발 슬롯의 드롭 확률 * - < [include(틀:NBTFloat)] > - 다리 슬롯의 드롭 확률 * - < [include(틀:NBTFloat)] > - 가슴 슬롯의 드롭 확률 * - < [include(틀:NBTFloat)] > - 머리 슬롯의 드롭 확률 || 밑의 {{{ArmorItems}}}의 부속격 태그로, 현재 착용한 아이템의 드롭 확률을 정한다. 표기시 뒤에 '''f'''를 붙여 표기하며. 0.0f 는 확률이 0%이고 1.0f 는 100%이다. 1.0f을 초과하는 값을 입력하면 내구도가 닳지 않은 상태에서 드롭되고 플레이어에 의한 죽음이 아닐 시에도 드롭된다. === ArmorItems === ||<-6> {{{+3 {{{#000 '''ArmorItems'''}}}}}} || ||<-6> {{{ {ArmorItems:[{ ... },{ ... },{ ... },{ ... }]} }}} || ||<-3> '''기능''' ||<-3> 착용한 아이템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List)]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ArmorItem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Compound)] > - 발 슬롯의 아이템(착용구) * - < [include(틀:NBTCompound)] > - 다리 슬롯의 아이템(착용구) * - < [include(틀:NBTCompound)] > - 가슴 슬롯의 아이템(착용구) * - < [include(틀:NBTCompound)] > - 머리 슬롯의 아이템(착용구) || 좀비 등 갑옷을 입을 수 있는 몹에게 적용된다. 4개의 중괄호가 연달아 나와야 하며, 1번째 괄호부터 발, 다리, 몸통, 머리 순서이다. === Attributes === ||<-6> {{{+3 {{{#000 '''Attributes'''}}}}}} || ||<-6> {{{ { Attributes: [{ ... }, { ... }, ...] } }}} || ||<-3> '''기능''' ||<-3> 몹에 추가 속성을 부여한다.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마인크래프트/NBT/아이템#AttributeModifiers|{{{AttributeModifiers}}}]] || ||<-3> '''유형''' ||<-3> [include(틀:NBTList)]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Attribute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Compound)] > - 속성들 중 하나의 속성 * '''Base''' < [include(틀:NBTDouble)] > * '''Name''' < [include(틀:NBTString)] > * '''Modifier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Compound)] > * '''Amount''' < [include(틀:NBTDouble)] > * '''Name''' < [include(틀:NBTString)] > * '''Operation''' < [include(틀:NBTInt)] > * '''UUID''' < [include(틀:NBTIntArray)] > * '''Name''' < [include(틀:NBTString)] > || 참고로 자바 에디션 명령어인 [[마인크래프트/명령어#attribute|{{{attribute}}}]]와 매우 유사하다. ==== Base ==== ||<-6> {{{+3 {{{#000 '''Base'''}}}}}} || ||<-6> {{{ { Base: 값 } }}} || ||<-3> '''기능''' ||<-3> 속성의 기본 값을 설정한다.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속성자에 따라 다름. 아래 Base 참고)''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Double)] || 속성의 기본 값을 설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Name}}} 속성의 속성 정보 참고. ==== Name ==== ||<-6> {{{+3 {{{#000 '''Name'''}}}}}} || ||<-6> {{{ { Name: 값 } }}} || ||<-3> '''기능''' ||<-3> 속성자의 이름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String)] || 참고로 모든 속성자 앞에서는 minecraft: 네임스페이스를 붙여야 한다.[* 예를 들어 {{{minecraft:generic.knockback_resistance}}} 식으로.] ||<-5> '''속성 정보''' || || 속성 이름 || 설명 || 기본값 || 최솟값 || 최댓값 || ||<-5> '''{{{#fff 공통 속성}}}''' || || {{{generic.max_health}}} || 몹의 최대 체력(회복 가능한 체력) || 20.0 || 0.0 || 1024.0 || || {{{generic.follow_range}}} || 몹의 인식 범위. 단위는 블록이며,[br]대부분은 16, 좀비는 40, 엔더맨은 60이 기본값이다. || 32.0{{{-2 ''(몹에 따라 다름)''}}} || 0.0 || 2048.0 || || {{{generic.knockback_resistance}}} || 밀치기 저항 강도. 폭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br]1.0은 100% 저항을, 0.4는 40%의 저항을 뜻한다. || 0.0 || 0.0 || 1.0 || || {{{generic.movement_speed}}} || 몹의 이동 속도. 몹의 최대 속도는 이 값의 43배를 약간 넘기며,[br]상태에 따라 이 값은 변할 수 있다. || ''(몹에 따라 다름)'' || 0.0 || 1024.0 || || {{{generic.attack_damage}}} || 몹의 공격 데미지. 기준은 하트 반 칸이다. (2.0이 한칸)[br]이 속성은 비공격적 몹과 골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2.0 || 0.0 || 2048.0 || || {{{generic.armor}}} || 체력바 위의 갑옷 모양 수치인 방어 포인트를 정한다. || 0.0 || 0.0 || 30.0 || || {{{generic.armor_toughness}}} || 방어 강도를 정한다. 네더라이트나 다이아몬드 갑옷을 입었을 때[br]아이템 설명으로 나타나는 방어 강도가 그것이다. 자세한 것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전투#방어 계열|여기]] 참고. || 0.0 || 0.0 || 20.0 || || {{{generic.attack_knockback}}} || 공격에 적용되는 밀치기. 공격이 가능한 몹만 적용 가능하다.[br]파괴수는 1.5, 호글린과 조글린은 1.0의 밀치기를 갖는다. || ''(몹에 따라 다름)'' || 0.0 || 5.0 || ||<-5> '''{{{#fff 플레이어 전용}}}''' || || {{{generic.attack_speed}}} || 플레이어의 공격 속도. 이를 아이템에 적용시킬 시,[br]추가 공격 속도가 붙으며 기본적인 검들의 공격 속도는 약 -2.4이다. || 4.0 || 0.0 || 1024.0 || || {{{generic.luck}}} || 플레이어가 낚시에서 보물을 낚을 확률이 증가한다.[br]상자 내용물, 몹 전리품 확률 등 변화를 줄 수 있으나 현재 quality(행운) 값에 따라 영향 받는 것은 [[낚싯대(마인크래프트)|낚시]]만이 있다. || 0.0 || -1024.0 || 1024.0 || ||<-5> '''{{{#fff 말 전용}}}''' || || {{{horse.jump_strength}}} || [[말(마인크래프트)|말]]의 점프력을 정한다. || 0.7[* 2.875칸] || 0.0 || 2.0[* 16.4375칸] || ||<-5> '''{{{#fff 앵무새와 벌 전용}}}''' || || {{{generic.flying_speed}}} || 비행 속도. 앵무새는 0.4, 벌은 0.6이 기본값이다. || ''(몹에 따라 다름)'' || 0.0 || 1024.0 || ||<-5> '''{{{#fff 좀비 전용}}}''' || || {{{zombie.spawn_reinforcements}}} || 좀비를 공격하면 다른 좀비가 나올 확률을 정한다. 1.0이 100%이다. || 0.0 || 0.0 || 1.0 || ==== Modifiers ==== ===== Amount ===== ||<-6> {{{+3 {{{#000 '''Amount'''}}}}}} || ||<-6> {{{ { Amount: 값 } }}} || ||<-3> '''기능''' ||<-3> 이 속성자가 {{{Base}}} 속성을 수정하는 양이다.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Double)] || 위의 {{{Base}}} 값과 Amount를 연산하여 {{{Base}}} 값으로 산출해낸다. ===== Name ===== ||<-6> {{{+3 {{{#000 '''Name'''}}}}}} || ||<-6> {{{ { Name: 값 } }}} || ||<-3> '''기능''' ||<-3> 설정자의 이름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String)] || 위의 속성자와는 다르다. summon으로 몹을 생성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설정자이며, 이 설정자에 따라 UUID가 고정될 수도 있다. ===== Operation ===== ||<-6> {{{+3 {{{#000 '''Operation'''}}}}}} || ||<-6> {{{{Operation:인자}}}} || ||<-3> '''기능''' ||<-3> 지정할 속성의 값 연산을 어떻게 할지 지정한다.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 || 0부터 2까지의 값이 지정되어 있으며 0은 +값, 1은 퍼센테이지 값이 되며, 2로 할 시엔 곱하기 값이 된다. 3 이상의 수를 넣을 경우 속성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 UUID ===== ||<-6> {{{+3 {{{#000 '''UUID'''}}}}}} || ||<-6> {{{{UUID:[I; int, int, int, int]} }}} || ||<-3> '''기능''' ||<-3> 속성의 UUID를 구분한다.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마인크래프트/NBT/엔티티#UUID|{{{UUID}}}]] || ||<-3> '''유형''' ||<-3> [include(틀:NBTIntArray)] || 아무 값이나 넣어도 상관 없으나 [[https://www.soltoder.com/mc-uuid-converter/|이런 사이트]]같이 랜덤으로 지정하는게 더 안전하다. === Brain === ||<-6> {{{+3 {{{#000 '''Brain'''}}}}}} || ||<-6> {{{ {Brain: {...} } }}} || ||<-3> '''기능''' ||<-3> 이 몹이 기억하거나 해야할 것을 저장해야 할 모든 것.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Brain 태그는 알레이, 아홀로틀, 개구리, 염소, 피글린, 주민, 워든에게만 부여되며, 다른 몹은 비어있다. ==== memories ==== ===== minecraft:admiring_disabled ===== ||<-6> {{{+3 {{{#000 '''minecraft:admiring_disabled'''}}}}}} || ||<-6> {{{ { minecraft:admiring_disabled: { value: false } } }}} || ||<-3> '''기능''' ||<-3> 피글린이 아이템 감상을 하는지 여부 || ||<-3> '''사용 대상''' ||<-3> 피글린 || ||<-3> '''기본값''' ||<-3> value: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이 태그가 있으면 피글린이 금을 감상(물물교환)하지 않는다. 금으로 피글린의 눈길을 돌릴 수 없다.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admiring_disabled'''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금을 감상하지 않는다면 true이다. * '''ttl''' < [include(틀:NBTLong)] > - 이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 ===== minecraft:admiring_item ===== ||<-6> {{{+3 {{{#000 '''minecraft:admiring_item'''}}}}}} || ||<-6> {{{ { minecraft:admiring_item: { value: false } } }}} || ||<-3> '''기능''' ||<-3> 피글린이 아이템에 감탄하고 있는 경우. || ||<-3> '''사용 대상''' ||<-3> 피글린 || ||<-3> '''기본값''' ||<-3> value: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admiring_item'''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금을 감상하고 있으면 true이다. * '''ttl''' < [include(틀:NBTLong)] > - 이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만약 금을 들고 있고 0에 다다를 경우 물물교환한 아이템을 던진다. || ===== minecraft:angry_at ===== ||<-6> {{{+3 {{{#000 '''minecraft:angry_at'''}}}}}} || ||<-6> {{{ { minecraft:angry_at: { value: [I; int, int, int, int ] }} } }}} || ||<-3> '''기능''' ||<-3> 피글린의 공격 대상 || ||<-3> '''사용 대상''' ||<-3> 피글린 || ||<-3> '''기본값''' ||<-3> value: ''(비어 있음)''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angry_at'''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Array)] > - 피글린이 공격하는 대상의 엔티티 UUID. * '''ttl''' < [include(틀:NBTLong)] > - 이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 ===== minecraft:dig_cooldown ===== ||<-6> {{{+3 {{{#000 '''minecraft:dig_cooldown'''}}}}}} || ||<-6> {{{ { minecraft:dig_cooldown: {value: {}} } } }}} || ||<-3> '''기능''' ||<-3> 이 메모리가 존재하면 워든이 땅을 파고 들어가지 않는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value: ''(비어 있음)''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dig_cooldow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ttl''' < [include(틀:NBTLong)] > - 이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기본값은 1200틱, 60초로 설정된다. || ===== minecraft:golem_detected_recently ===== ||<-6> {{{+3 {{{#000 '''minecraft:golem_detected_recently'''}}}}}} || ||<-6> {{{ { minecraft:golem_detected_recently: {value: false} } } }}} || ||<-3> '''기능''' ||<-3> 주민이 최근에 철골렘을 발견한 경우.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value: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golem_detected_recently'''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주민이 철골렘을 본 경우 true. * '''ttl''' < [include(틀:NBTLong)] > - 이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 ===== minecraft:has_hunting_cooldown ===== ||<-6> {{{+3 {{{#000 '''minecraft:has_hunting_cooldown'''}}}}}} || ||<-6> {{{ { minecraft:has_hunting_cooldown: {value: false} } } }}} || ||<-3> '''기능''' ||<-3> 아홀로틀이 사냥 쿨타운에 든 경우. || ||<-3> '''사용 대상''' ||<-3> 아홀로틀 || ||<-3> '''기본값''' ||<-3> value: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has_hunting_cooldow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아홀로틀이 방금 사냥한 경우엔 true. * '''ttl''' < [include(틀:NBTLong)] > - 이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 ===== minecraft:home ===== ||<-6> {{{+3 {{{#000 '''minecraft:home '''}}}}}} || ||<-6> {{{ { minecraft:home : {value: { ... }} } }}} || ||<-3> '''기능''' ||<-3> 주민의 침대 위치, 피글린 정찰지의 위치. || ||<-3> '''사용 대상''' ||<-3> 주민, 피글린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home'''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값 * '''dimension''' < [include(틀:NBTString)] > - 침대 또는 정찰지 위치의 차원 ID. * '''pos''' < [include(틀:NBTIntArray)] > - 침대 또는 정찰지 위치의 X, Y, Z 정수 값. || ===== minecraft:hunted_recently ===== ||<-6> {{{+3 {{{#000 '''minecraft:hunted_recently'''}}}}}} || ||<-6> {{{ { minecraft:hunted_recently: {value: false} } }}} || ||<-3> '''기능''' ||<-3> 피글린이 방금 사냥을 한 경우. || ||<-3> '''사용 대상''' ||<-3> 피글린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hunted_recently'''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피글린이 방금 사냥을 한 경우엔 true. * '''ttl''' < [include(틀:NBTLong)] > - 이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 ===== minecraft:is_emerging ===== ||<-6> {{{+3 {{{#000 '''minecraft:is_emerging'''}}}}}} || ||<-6> {{{ { minecraft:is_emerging: {value: {}} } }}} || ||<-3> '''기능''' ||<-3> 워든이 출현하는 경우에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is_emerging'''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 minecraft:is_in_water ===== ||<-6> {{{+3 {{{#000 '''minecraft:is_in_water'''}}}}}} || ||<-6> {{{ { minecraft:is_in_water: {value: {}} } }}} || ||<-3> '''기능''' ||<-3> 개구리가 물 속에 있는 경우에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개구리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is_in_water'''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 minecraft:is_pregnant ===== ||<-6> {{{+3 {{{#000 '''minecraft:is_pregnant'''}}}}}} || ||<-6> {{{ { minecraft:is_pregnant: {value: {}} } }}} || ||<-3> '''기능''' ||<-3> 개구리가 임신한 경우에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개구리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is_pregnant'''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 minecraft:is_sniffing ===== ||<-6> {{{+3 {{{#000 '''minecraft:is_sniffing'''}}}}}} || ||<-6> {{{ { minecraft:is_sniffing: {value: {}} } }}} || ||<-3> '''기능''' ||<-3> 워든이 킁킁거리며 엔티티를 찾는 경우에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is_sniffing'''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 minecraft:is_tempted ===== ||<-6> {{{+3 {{{#000 '''minecraft:is_tempted'''}}}}}} || ||<-6> {{{ { minecraft:is_tempted: {value: false} } }}} || ||<-3> '''기능''' ||<-3> 아홀로틀이나 염소가 플레이어에 의해 끌려지는(유혹되는) 경우 || ||<-3> '''사용 대상''' ||<-3> 아홀로틀, 염소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is_tempted'''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끌려지면 true. || ===== minecraft:item_pickup_cooldown_ticks ===== ||<-6> {{{+3 {{{#000 '''minecraft:item_pickup_cooldown_ticks'''}}}}}} || ||<-6> {{{ { minecraft:item_pickup_cooldown_ticks: {value: 0} } }}} || ||<-3> '''기능''' ||<-3> 떨어진 아이템을 다시 얻는데(픽업) 필요한 시간. || ||<-3> '''사용 대상''' ||<-3> 메모리와 인벤토리가 있는 모든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is_tempted'''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 > - 메모리의 값. 처음에는 100틱(5초)로 설정되었다가 매 틱마다 1씩 감소한다. || ===== minecraft:job_site ===== ||<-6> {{{+3 {{{#000 '''minecraft:job_site'''}}}}}} || ||<-6> {{{ { minecraft:job_site: 값 } }}} || ||<-3> '''기능''' ||<-3> 주민의 직업 블록이 있는 위치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job_site'''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메모리의 값 * '''dimension''' < [include(틀:NBTString)] > - 직업 블록이 있는 차원 ID. * '''pos''' < [include(틀:NBTIntArray)] > - 직업 블록이 있는 좌표값. || ===== minecraft:last_slept ===== ||<-6> {{{+3 {{{#000 '''minecraft:last_slept'''}}}}}} || ||<-6> {{{ { minecraft:last_slept: 값 } }}} || ||<-3> '''기능''' ||<-3> 주민이 침대에서 마지막으로 잤던 틱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last_sleep'''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의 값 || ===== minecraft:last_woken ===== ||<-6> {{{+3 {{{#000 '''minecraft:last_woken'''}}}}}} || ||<-6> {{{ { minecraft:last_woken: 값 } }}} || ||<-3> '''기능''' ||<-3> 주민이 침대에서 마지막으로 깨어났던 틱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last_woke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의 값 || ===== minecraft:last_worked_at_poi ===== ||<-6> {{{+3 {{{#000 '''minecraft:last'''}}}}}} || ||<-6> {{{ { minecraft:last_worked_at_poi: 값 } }}} || ||<-3> '''기능''' ||<-3> 주민이 마지막으로 직업 블록에서 작업했던 틱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last_worked_at_poi'''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의 값 || ===== minecraft:liked_noteblock ===== ||<-6> {{{+3 {{{#000 '''minecraft:liked_noteblock'''}}}}}} || ||<-6> {{{ { minecraft:liked_noteblock: 값 } }}} || ||<-3> '''기능''' ||<-3> 알레이가 좋아하는 노트 블록. || ||<-3> '''사용 대상''' ||<-3> 알레이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liked_noteblock'''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메모리의 값 * '''dimension''' < [include(틀:NBTString)] > - 노트 블록이 있는 차원 ID. * '''pos''' < [include(틀:NBTIntArray)] > - 노트 블록이 있는 좌표값. || ===== minecraft:liked_noteblock_cooldown_ticks ===== ||<-6> {{{+3 {{{#000 '''minecraft:liked_noteblock_cooldown_ticks'''}}}}}} || ||<-6> {{{ { minecraft:liked_noteblock_cooldown_ticks: 값 } }}} || ||<-3> '''기능''' ||<-3> 알레이가 좋아하는 노트 블록에 아이템을 두는 것을 멈추기 전까지의 틱 수. || ||<-3> '''사용 대상''' ||<-3> 알레이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liked_noteblock_cooldown_ticks'''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 > - 메모리의 값. 처음에는 600틱(30초)로 설정되며 매틱마다 1씩 감소한다. || ===== minecraft:liked_player ===== ||<-6> {{{+3 {{{#000 '''minecraft:liked_player'''}}}}}} || ||<-6> {{{ { minecraft:liked_player: 값 } }}} || ||<-3> '''기능''' ||<-3> 알레이가 좋아하는 플레이어 || ||<-3> '''사용 대상''' ||<-3> 알레이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liked_player'''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Array)] > - 알레이가 좋아하는 플레이어의 UUID 값. || ===== minecraft:long_jump_cooling_down ===== ||<-6> {{{+3 {{{#000 '''minecraft:long_jump_cooling_down'''}}}}}} || ||<-6> {{{ { minecraft:long_jump_cooling_down: 값 } }}} || ||<-3> '''기능''' ||<-3> 선택 사항. 염소가 멀리뛰기 후 쿨다운 상태인 경우. || ||<-3> '''사용 대상''' ||<-3> 염소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long_jump_cooling_dow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 > - 염소가 다시 멀리뛰기를 할 수 있고, 태그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남은 틱의 양. || ===== minecraft:meeting_point ===== ||<-6> {{{+3 {{{#000 '''minecraft:meeting_point'''}}}}}} || ||<-6> {{{ { minecraft:meeting_point: 값 } }}} || ||<-3> '''기능''' ||<-3> 주민의 만남의 장소의 위치.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meeting_point'''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메모리의 값 * '''dimension''' < [include(틀:NBTString)] > - 만남의 장소가 있는 차원 ID. * '''pos''' < [include(틀:NBTIntArray)] > - 만남의 장소가 있는 좌표값. || ===== minecraft:play_dead_ticks ===== ||<-6> {{{+3 {{{#000 '''minecraft:play_dead_ticks'''}}}}}} || ||<-6> {{{ { minecraft:play_dead_ticks: 값 } }}} || ||<-3> '''기능''' ||<-3> 선택 사항. 아홀로틀이 죽은 척 하는 경우. || ||<-3> '''사용 대상''' ||<-3> 아홀로틀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play_dead_ticks'''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 > - 아홀로틀이 죽은 척을 멈추고, 태그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남은 틱의 양. || ===== minecraft:potential_job_site ===== ||<-6> {{{+3 {{{#000 '''minecraft:potential_job_site'''}}}}}} || ||<-6> {{{ { minecraft:potential_job_site: 값 } }}} || ||<-3> '''기능''' ||<-3> 주민의 잠재적인 직업 블록의 위치. 주민이 주변의 직업 블록을 찾아가는 위치이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potential_job_site'''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메모리의 값 * '''dimension''' < [include(틀:NBTString)] > - 잠재적 직업 블록이 있는 차원 ID. * '''pos''' < [include(틀:NBTIntArray)] > - 잠재적 직업 블록이 있는 좌표값. || ===== minecraft:ram_cooldown_ticks ===== ||<-6> {{{+3 {{{#000 '''minecraft:ram_cooldown_ticks'''}}}}}} || ||<-6> {{{ { minecraft:ram_cooldown_ticks: 값 } }}} || ||<-3> '''기능''' ||<-3> 선택 사항. 염소가 화가 난 후 쿨타임 상태인 경우. || ||<-3> '''사용 대상''' ||<-3> 염소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ram_cooldown_ticks'''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 > - 염소가 다시 공격할 수 있고, 태그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남은 틱의 양. || ===== minecraft:recent_projectile ===== ||<-6> {{{+3 {{{#000 '''minecraft:recent_projectile'''}}}}}} || ||<-6> {{{ { minecraft:recent_projectile: 값 } }}} || ||<-3> '''기능''' ||<-3> 워든이 발사체에 의해 자극을 받은 경우에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recent_projectile'''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ttl'''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100틱(5초)이 기본값이다. || ===== minecraft:roar_sound_cooldown ===== ||<-6> {{{+3 {{{#000 '''minecraft:roar_sound_cooldown'''}}}}}} || ||<-6> {{{ { minecraft:roar_sound_cooldown: 값 } }}} || ||<-3> '''기능''' ||<-3> 워든이 포효 쿨타임 상태면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roar_sound_cooldow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ttl'''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60틱(3초)이 기본값이다. || ===== minecraft:roar_sound_delay ===== ||<-6> {{{+3 {{{#000 '''minecraft:roar_sound_delay'''}}}}}} || ||<-6> {{{ { minecraft:roar_sound_delay: 값 } }}} || ||<-3> '''기능''' ||<-3> 워든이 포효하지 않으면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roar_sound_delay'''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ttl'''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25틱(1.25초)이 기본값이다. || ===== minecraft:sniff_cooldown ===== ||<-6> {{{+3 {{{#000 '''minecraft:sniff_cooldown'''}}}}}} || ||<-6> {{{ { minecraft:sniff_cooldown: 값 } }}} || ||<-3> '''기능''' ||<-3> 워든이 냄새를 맡지 않으면 메모리가 존재한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sniff_cooldow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ttl'''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100틱(5초)이 기본값이다. || ===== minecraft:temptation_cooldown_ticks ===== ||<-6> {{{+3 {{{#000 '''minecraft:temptation_cooldown_ticks'''}}}}}} || ||<-6> {{{ { minecraft:temptation_cooldown_ticks: 값 } }}} || ||<-3> '''기능''' ||<-3> 선택 사항. 아홀로틀 또는 염소가 유혹을 받은 후 쿨타임 상태인 경우. || ||<-3> '''사용 대상''' ||<-3> 아홀로틀, 염소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temptation_cooldown_ticks'''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 > - 아홀로틀과 염소가 다시 유혹될 수 있고, 태그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남은 틱의 양. || ===== minecraft:touch_cooldown ===== ||<-6> {{{+3 {{{#000 '''minecraft:touch_cooldown'''}}}}}} || ||<-6> {{{ { minecraft:touch_cooldown: 값 } }}} || ||<-3> '''기능''' ||<-3> 이 메모리가 존재할 경우 워든은 엔티티에 대해 분노 값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touch_cooldow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ttl'''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20틱(1초)이 기본값이다. || ===== minecraft:universal_anger ===== ||<-6> {{{+3 {{{#000 '''minecraft:universal_anger'''}}}}}} || ||<-6> {{{ { minecraft:universal_anger: 값 } }}} || ||<-3> '''기능''' ||<-3> 피글린이 중립적이지 않고 보편적으로 화를 내는 경우. universialAnger 게임 규칙이 활성화되었을 때만 사용 가능하다. || ||<-3> '''사용 대상''' ||<-3> 피글린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universal_anger'''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Boolean)] > - 보편적으로 화난 경우 true. * '''ttl'''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 ===== minecraft:vibration_cooldown ===== ||<-6> {{{+3 {{{#000 '''minecraft:vibration_cooldown'''}}}}}} || ||<-6> {{{ { minecraft:vibration_cooldown: 값 } }}} || ||<-3> '''기능''' ||<-3> 이 메모리가 존재할 경우 워든은 엔티티의 진동을 듣지 않는다. || ||<-3> '''사용 대상''' ||<-3> 워든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minecraft:vibration_cooldown'''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Compound)] > - 비어 있음. * '''ttl''' < [include(틀:NBTLong)] > - 메모리가 제거되기 전까지의 시간(틱) 양. 40틱(2초)이 기본값이다. || === CanPickUpLoot === ||<-6> {{{+3 {{{#000 '''CanPickUpLoot'''}}}}}} || ||<-6> {{{{CanPickUpLoot: 값b } }}} || ||<-3> '''기능''' ||<-3> 몹이 전리품을 집을 수 있는 여부.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Byte)] || 1 또는 0. 몹이 아이템을 집을 수 있는지 여부. 집는 게 가능하면 1이다. === DeathLootTable === ||<-6> {{{+3 {{{#000 '''DeathLootTable'''}}}}}} || ||<-6> {{{{DeathLootTable: "값" } }}} || ||<-3> '''기능''' ||<-3> 몹을 처치하면 드롭되는 루트 테이블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몹에 따라 다름)''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String)] || 몹이 죽을때 얻는 보상을 정한다. [[마인크래프트/명령어#loot|{{{loot spawn ~ ~ ~ loot}}}]]뒤에 나오는 값이 루트 테이블이다. 예: 아이템 보상은 '엔드 시티에 있는 상자'인 좀비 소환하기: {{{/summon minecraft:zombie ~ ~ ~ {DeathLootTable:"minecraft:chests/end_city_treasure"} }}} === DeathLootTableSeed === ||<-6> {{{+3 {{{#000 '''DeathLootTable'''}}}}}} || ||<-6> {{{{DeathLootTable: 값l } }}} || ||<-3> '''기능''' ||<-3> 루트 테이블의 시드값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Long)] || 0이거나 비어있을 시 무작위 숫자이다. === DeathTime === ||<-6> {{{+3 {{{#000 '''DeathTime'''}}}}}} || ||<-6> {{{{DeathTime: 값s } }}} || ||<-3> '''기능''' ||<-3> 몹 사망 이후 증발할 때까지 남은 시간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Short)] || 몹이 죽은 후 증가하며, 20이 되면 몹이 증발한다.(몹이 죽을 때 빨개지면서 쓰러지는 시간을 뜻한다.) 몹이 죽자마자 증발하게 하려면 이 값에 19를 입력하면 된다. '''경고''': 이 값을 20 이상 넣으면 몹은 죽었지만 증발하지 않아 '''명령어로도 통하지 않게 되어''' 그 자리에 영원히 남겨지게 된다.(수정됨) [[https://bugs.mojang.com/browse/MC-84873|MC-84873]] === FallFlying === ||<-6> {{{+3 {{{#000 '''FallFlying'''}}}}}} || ||<-6> {{{{FallFlying: 값b } }}} || ||<-3> '''기능''' ||<-3> [[겉날개]] 활공 여부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Byte)] || 몹의 [[겉날개]] 비행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의 몸통에 겉날개가 있으면 겉날개를 피면서 떨어진다. 엔티티의 수평 시야를 기준으로 날아간다. === Health === ||<-6> {{{+3 {{{#000 '''Health'''}}}}}} || ||<-6> {{{{Health: 값f } }}} || ||<-3> '''기능''' ||<-3> 몹의 현재 체력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몹에 따라 다름) || ||<-3> '''관련 NBT 태그''' ||<-3> {{{AbsorptionAmount}}} || ||<-3> '''유형''' ||<-3> [include(틀:NBTFloat)] || 몹의 '''현재''' 체력을 정한다. === HurtByTimestamp === ||<-6> {{{+3 {{{#000 '''HurtByTimestamp'''}}}}}} || ||<-6> {{{{HurtByTimestamp: 값 } }}} || ||<-3> '''기능''' ||<-3> 몹 생성 이후 마지막으로 피해를 입은 시간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 || 몹 생성 이후 마지막으로 피해를 입은 시간이다. 피해를 받을 때마다 새로운 값을 갱신하고 101틱 후 한번 더 갱신한다. === HurtTime === ||<-6> {{{+3 {{{#000 '''HurtTime'''}}}}}} || ||<-6> {{{{HurtTime: 값 } }}} || ||<-3> '''기능''' ||<-3> 피해를 받을 때 빨간색으로 변하는 시간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Short)] || 피해를 받으면 값이 10으로 되면서 빨갛게 변한다. 빨간색이 아닌 경우 {{{0}}}이다. === HandDropChances === ||<-6> {{{+3 {{{#000 '''HandDropChances'''}}}}}} || ||<-6> {{{ {HandDropChances:[1.0f,1.0f]} }}} || ||<-3> '''기능''' ||<-3> 손에 든 아이템의 드롭 확률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List)]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HandDropChance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Float)] > - 오른손 슬롯의 드롭 확률 * - < [include(틀:NBTFloat)] > - 왼손 슬롯의 드롭 확률 || {{{HandItems}}}의 부속격 태그로, 손에 든 아이템의 드롭 확률을 정한다. 표기 방식은 [[마인크래프트/NBT/몹#ArmorDropChances|ArmorDropChances]]와 같다. === HandItems === ||<-6> {{{+3 {{{#000 '''HandItems'''}}}}}} || ||<-6> {{{ {HandItems:[{ ... },{ ... }]} }}} || ||<-3> '''기능''' ||<-3> 손에 든 아이템의 죵류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List)]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HandItems''' < [include(틀:NBTList)] > * - < [include(틀:NBTCompound)] > - 오른손 아이템 * - < [include(틀:NBTCompound)] > - 왼손 아이템 || 몹의 양손에 들고 있는 아이템을 설정한다. 좀비나 스켈레톤처럼 손에 든 아이템이 보이는 몹은 해당 아이템이 보이며, 좀벌레나 크리퍼처럼 손이 없거나 보이지 않는 몹은 보이지 않는다. 표기 방식은 [[마인크래프트/NBT/몹#ArmorItems|ArmorItems]]와 동일하다. 형식: {{{ {HandItems:[{id: "아이디" , Count: 값b },{id: "아이디" , Count: 값b }]} }}} === Leash === ||<-6> {{{+3 {{{#000 '''Leash'''}}}}}} || ||<-6> {{{ { Leash: { ... } } }}} || ||<-3> '''기능''' ||<-3> 몹이 끈으로 연결된 엔티티 또는 울타리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Compound)] || 몹이 엔티티에게 끈으로 연결되었을 때 UUID가 존재하고, 울타리에 연결되었을 때 X, Y, Z 좌표가 존재한다.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Leash''' < [include(틀:NBTCompound)] > * '''UUID''' < [include(틀:NBTIntArray)] > - 엔티티에 연결되었을 때 엔티티의 UUID * '''X, Y, Z''' < [include(틀:NBTInt)] > - 울타리에 연결되었을 때 울타리의 좌표 || === LeftHanded === ||<-6> {{{+3 {{{#000 '''LeftHanded'''}}}}}} || ||<-6> {{{ {LeftHanded: 값b } }}} || ||<-3> '''기능''' ||<-3> 몹의 왼손잡이 여부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Byte)] || 몹이 주로 사용하는 손이 왼손으로 바뀐다. === NoAI === ||<-6> {{{+3 {{{#000 '''NoAI'''}}}}}} || ||<-6> {{{ {NoAI: 값b } }}} || ||<-3> '''기능''' ||<-3> 몹의 인공지능 여부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Byte)] || 몹의 [[인공지능]](AI)의 여부를 결정하는 태그이다. 1일 경우 '''아예''' 움직이지 않으며 중력의 영향도 없어지고 밀려나지도 않는다. 하지만 소리는 난다. 소리를 없애고 싶다면 따로 [[마인크래프트/NBT/엔티티#Silent|Silent]] 태그를 설정해줘야한다. 예: {{{ /summon minecraft:villager ~ ~ ~ {NoAI: 1b} }}} → 자신이 있는 위치에 AI가 없는 주민을 소환한다. 응용: {{{ /summon minecraft:villager ~ ~ ~ {NoAI: 1b, Silent: 1b} }}} → 자신이 있는 위치에 AI가 없고 소리가 안 나는 주민을 소환한다. AI가 없어지면 미동도 없는 상태가 되기에 Rotation, Silent, Attribute 관련, Health 등의 태그와 같이 쓰인다. === PersistenceRequired === ||<-6> {{{+3 {{{#000 '''PersistenceRequired'''}}}}}} || ||<-6> {{{{PersistenceRequired: 값b } }}} || ||<-3> '''기능''' ||<-3> 몹 디스폰 여부 || ||<-3> '''사용 대상''' ||<-3> 플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몹 || ||<-3> '''기본값''' ||<-3> {{{0}}}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Byte)] || 몹의 디스폰(플레이어와 일정 청크 이상 떨어져 사라지는 것) 여부를 결정한다. 1인 경우 디스폰되지 않는다. 떠돌이 상인이 디스폰하지 않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떠돌이 상인한테 이 태그를 부여하는 것이다. === SleepingX, SleepingY, SleepingZ === ||<-6> {{{+3 {{{#000 '''SleepingX, SleepingY, SleepingZ'''}}}}}} || ||<-6> {{{{SleepingX:X좌표}, {SleepingY:Y좌표}, {SleepingZ:Z좌표} }}} || ||<-3> '''기능''' ||<-3> 침대 베개 기준 자고 있는 좌표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 || 몹이 자고 있는 좌표를 정한다. 침대의 베개의 좌표를 기준으로 한다. === Team === ||<-6> {{{+3 {{{#000 '''Team'''}}}}}} || ||<-6> {{{ { Team: 값 } }}} || ||<-3> '''기능''' ||<-3> 몹이 속한 팀. 이 속성에 부여되면 스코어보드 팀에 바로 들어가게 된다. || ||<-3> '''사용 대상''' ||<-3> 몹 || ||<-3> '''기본값''' ||<-3> ''(비어있음)''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String)] || == 공통 NBT == === 번식할 수 있는 몹 공통 NBT[anchor(CanBreed)] === || [[파일:nbtFileIcon.svg]][br]{{{+3 '''번식할 수 있는 몹 공통 NBT'''}}} || || * '''Age''' < [include(틀:NBTInt)] > * '''ForcedAge''' < [include(틀:NBTInt)] > * '''InLove''' < [include(틀:NBTInt)] > * '''LoveCause''' < [include(틀:NBTIntArray)] > || 번식할 수 있는 몹은 돼지, 양, 소, 닭, 고양이, 오실롯, 길들인 늑대, 토끼, 말, 라마, 무시룸, 거북이, 판다, 여우, 호글린이다. ==== Age ==== ||<-6> {{{+3 {{{#000 '''Age'''}}}}}} || ||<-6> {{{ { Age: 값 } }}} || ||<-3> '''기능''' ||<-3> 몹의 나이를 틱으로 나타냄. 음수 일땐 아기이고 0 이상이면 성인. || ||<-3> '''사용 대상''' ||<-3> 번식할 수 있는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 || ==== ForcedAge ==== ||<-6> {{{+3 {{{#000 '''ForcedAge'''}}}}}} || ||<-6> {{{ { ForcedAge: 값 } }}} || ||<-3> '''기능''' ||<-3> 몹이 성장 때 할당된 나이값. 아기에게 먹이를 주면 Age + ForcedAge 만큼 증가한다. || ||<-3> '''사용 대상''' ||<-3> 번식할 수 있는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 || ==== InLove ==== ||<-6> {{{+3 {{{#000 '''InLove'''}}}}}} || ||<-6> {{{ { InLove: 값 } }}} || ||<-3> '''기능''' ||<-3> 몹이 번식하는 마음을 잃고 멈출 때까지의 시간(틱). 하트 파티클이 없어지면 값은 0이다. || ||<-3> '''사용 대상''' ||<-3> 번식할 수 있는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 || ==== LoveCause ==== ||<-6> {{{+3 {{{#000 '''LoveCause'''}}}}}} || ||<-6> {{{ { LoveCause: 값 } }}} || ||<-3> '''기능''' ||<-3> 몹을 번식시킨 플레이어의 UUID. || ||<-3> '''사용 대상''' ||<-3> 번식 할 수 있는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Array)] || === 중립적인 몹 공통 NBT[anchor(CanAngry)] === || [[파일:nbtFileIcon.svg]][br]{{{+3 '''중립적인 몹 공통 NBT'''}}} || || * '''AngerTime''' < [include(틀:NBTInt)] > * '''AngryAt''' < [include(틀:NBTIntArray)] > || ==== AngerTime ==== ||<-6> {{{+3 {{{#000 '''AngerTime'''}}}}}} || ||<-6> {{{ { AngerTime: 값 } }}} || ||<-3> '''기능''' ||<-3> 중립이 될때까지의 시간 || ||<-3> '''사용 대상''' ||<-3> 중립적인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 || ==== AngryAt ==== ||<-6> {{{+3 {{{#000 '''AngryAt'''}}}}}} || ||<-6> {{{ { AngryAt: 값 } }}} || ||<-3> '''기능''' ||<-3> 몹이 화난 대상의 UUID. || ||<-3> '''사용 대상''' ||<-3> 중립적인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Array)] || === 길들일 수 있는 몹 공통 NBT[anchor(CanTame)] === || [[파일:nbtFileIcon.svg]][br]{{{+3 '''길들일 수 있는 몹 공통 NBT'''}}} || || * '''Owner''' < [include(틀:NBTIntArray)] > * '''Sitting''' < [include(틀:NBTBoolean)] > || ==== Owner ==== ||<-6> {{{+3 {{{#000 '''Owner'''}}}}}} || ||<-6> {{{ { Owner: 값 } }}} || ||<-3> '''기능''' ||<-3> 몹의 주인 UUID. || ||<-3> '''사용 대상''' ||<-3> 길들일 수 있는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Array)] || ==== Sitting ==== ||<-6> {{{+3 {{{#000 '''Sitting'''}}}}}} || ||<-6> {{{ { Sitting: 값 } }}} || ||<-3> '''기능''' ||<-3> 몹이 앉아있는 경우. || ||<-3> '''사용 대상''' ||<-3> 길들일 수 있는 몹 || ||<-3> '''기본값''' ||<-3>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Boolean)] || === 말 종류 공통 NBT[anchor(TypeHorse)] === || [[파일:nbtFileIcon.svg]][br]{{{+3 '''말 종류 공통 NBT'''}}} || || * '''Bred''' < [include(틀:NBTBoolean)] > * '''EatingHaystack''' < [include(틀:NBTBoolean)] > * '''Owner''' < [include(틀:NBTIntArray)] > * '''SaddleItem''' < [include(틀:NBTCompound)] > * '''Tame''' < [include(틀:NBTBoolean)] > * '''Temper''' < [include(틀:NBTInt)] > || ==== Bred ==== ||<-6> {{{+3 {{{#000 '''Bred'''}}}}}} || ||<-6> {{{ { Bred: false } }}} || ||<-3> '''기능''' ||<-3> 번식 후 false로 유지되며 true일 경우 다른 true인 말과 가까이 붙는다. || ||<-3> '''사용 대상''' ||<-3> 말 종류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EatingHaystack ==== ||<-6> {{{+3 {{{#000 '''EatingHaystack'''}}}}}} || ||<-6> {{{ { EatingHaystack: false } }}} || ||<-3> '''기능''' ||<-3> 말이 풀을 뜯고 있는 경우 true. || ||<-3> '''사용 대상''' ||<-3> 말 종류 || ||<-3> '''기본값''' ||<-3>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Owner ==== ||<-6> {{{+3 {{{#000 '''Owner'''}}}}}} || ||<-6> {{{ { Owner: 값 } }}} || ||<-3> '''기능''' ||<-3> 몹의 주인 UUID. || ||<-3> '''사용 대상''' ||<-3> 말 종류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IntArray)] || ==== SaddleItem ==== ||<-6> {{{+3 {{{#000 '''SaddleItem'''}}}}}} || ||<-6> {{{ { SaddleItem: {Id:"minecraft:saddle"} } }}} || ||<-3> '''기능''' ||<-3> 말이 착용중인 안장을 나타낸다. || ||<-3> '''사용 대상''' ||<-3> 말 종류(라마 제외)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Compound)] || ==== Tame ==== ||<-6> {{{+3 {{{#000 '''Tame'''}}}}}} || ||<-6> {{{ { Tame: false } }}} || ||<-3> '''기능''' ||<-3> 말이 길들여진 경우 true. || ||<-3> '''사용 대상''' ||<-3> 말 종류 || ||<-3> '''기본값''' ||<-3>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Temper ==== ||<-6> {{{+3 {{{#000 '''Temper'''}}}}}} || ||<-6> {{{ { Temper: 0 } }}} || ||<-3> '''기능''' ||<-3> 0~100까지의 범위이며 먹이를 줄 수록 증가한다. 높은 숫자일 수록 길들이기 쉽다. || ||<-3> '''사용 대상''' ||<-3> 말 종류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좀비 종류 공통 NBT[anchor(TypeZombie)] === || [[파일:nbtFileIcon.svg]][br]{{{+3 '''좀비 종류 공통 NBT'''}}} || || * '''CanBreakDoors''' < [include(틀:NBTBoolean)] > * '''DrownedConversionTime''' < [include(틀:NBTInt)] > * '''InWaterTime''' < [include(틀:NBTInt)] > * '''IsBaby''' < [include(틀:NBTBoolean)] > || ==== CanBreakDoors ==== ||<-6> {{{+3 {{{#000 '''CanBreakDoors'''}}}}}} || ||<-6> {{{ { CanBreakDoors: false } }}} || ||<-3> '''기능''' ||<-3> 좀비가 나무 문을 부술 수 있는지 여부 || ||<-3> '''사용 대상''' ||<-3> 좀비 종류 || ||<-3> '''기본값''' ||<-3> fals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3> [include(틀:NBTBoolean)] || ==== DrownedConversionTime ==== ||<-6> {{{+3 {{{#000 '''DrownedConversionTime'''}}}}}} || ||<-6> {{{ { DrownedConversionTime: 0 } }}} || ||<-3> '''기능''' ||<-3> 좀비가 드라운드로, 허스크가 좀비로 변하기 까지 남은 시간. || ||<-3> '''사용 대상''' ||<-3> 좀비 종류 || ||<-3> '''기본값''' ||<-3> -1(상호 변환이 없을 때)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InWaterTime ==== ||<-6> {{{+3 {{{#000 '''InWaterTime'''}}}}}} || ||<-6> {{{ { InWaterTime: false } }}} || ||<-3> '''기능''' ||<-3> 좀비나 허스크가 익사되는 시간. || ||<-3> '''사용 대상''' ||<-3> 좀비 종류 || ||<-3> '''기본값''' ||<-3> -1(상호 변환이 없을 때)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IsBaby ==== ||<-6> {{{+3 {{{#000 '''IsBaby'''}}}}}} || ||<-6> {{{ { IsBaby: false } }}} || ||<-3> '''기능''' ||<-3> 아기 좀비일 경우 true. || ||<-3> '''사용 대상''' ||<-3> 좀비 종류 || ||<-3> '''기본값''' ||<-3> 정해지지 않음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주민 종류 공통 NBT[anchor(TypeVillager)] === || [[파일:nbtFileIcon.svg]][br]{{{+3 '''주민 종류 공통 NBT'''}}} || || * '''Gossips''' < [include(틀:NBTList)] > * ''( 소문 한 개 )'' < [include(틀:NBTCompound)] > * '''Value''' < [include(틀:NBTInt)] > * '''Target''' < [include(틀:NBTIntArray)] > * '''Type''' < [include(틀:NBTString)] > * '''Offers''' < [include(틀:NBTCompound)] > * '''Recipes''' < [include(틀:NBTList)] > * ''( 교환 옵션 한 개 )'' < [include(틀:NBTCompound)] > * '''buy''' < [include(틀:NBTCompound)] > * [[마인크래프트/NBT/아이템|''< 아이템 공통 태그 >'']] * '''buyB''' < [include(틀:NBTCompound)] > * [[마인크래프트/NBT/아이템|''< 아이템 공통 태그 >'']] * '''demand''' < [include(틀:NBTInt)] > * '''maxUses''' < [include(틀:NBTInt)] > * '''priceMultiplier''' < [include(틀:NBTFloat)] > * '''rewardExp''' < [include(틀:NBTBoolean)] > * '''sell''' < [include(틀:NBTCompound)] > * [[마인크래프트/NBT/아이템|''< 아이템 공통 태그 >'']] * '''specialPrice''' < [include(틀:NBTInt)] > * '''uses''' < [include(틀:NBTInt)] > * '''xp''' < [include(틀:NBTInt)] > * '''VillagerData''' < [include(틀:NBTCompound)] > * '''level''' < [include(틀:NBTInt)] > * '''profession''' < [include(틀:NBTString)] > * '''type''' < [include(틀:NBTString)] > * '''Xp''' < [include(틀:NBTInt)] > || ==== Gossips ==== ||<-6> {{{+3 {{{#000 '''Gossips'''}}}}}} || ||<-6> {{{ { Gossips: [{Value: int, Target: UUID, Type: string}, { ... }, ...] } }}} || ||<-3> '''기능''' ||<-3> 주민들이 만났을 때 거래하는 플레이어에 대한 소문.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List)] || ===== Value ===== ||<-6> {{{+3 {{{#000 '''Value'''}}}}}} || ||<-6> {{{ { Value: 값 } }}} || ||<-3> '''기능''' ||<-3> 소문의 강도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밑의 {{{Type}}} 태그에 따라 이 값이 정의내리는 강도가 달라진다. ||<-6> {{{Type}}}에 따른 {{{Value}}} || || {{{Type}}} || 무게 || 최대 || 변경 조건 || 주기 || 다른 주민과 공유 시 || || major_negative || -5 || 100 || 플레이어가 주민을 죽이는 걸 목격한 경우 +25 || 20분 마다 -10 || -10 || || minor_negative || -1 || 200 || 플레이어에게 맞은 경우 +25 || 20분 마다 -20 || -20 || || minor_positive || 5 || 100 || 플레이어에게 치유된 경우 +20 || 없음 || 공유 안함 || || major_positive || 1 || 200 || 플레이어에게 치유된 경우 +25 || 20분 마다 -1 || -5 || || trading || 1 || 25 || 플레이어와 거래하면 +2 || 20분 마다 -2 || -20 || ===== Target ===== ||<-6> {{{+3 {{{#000 '''Target'''}}}}}} || ||<-6> {{{ { Target: [I; int, int, int, int] } }}} || ||<-3> '''기능''' ||<-3> 소문을 낼 플레이어의 UUID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Array)] || ===== Type ===== ||<-6> {{{+3 {{{#000 '''Type'''}}}}}} || ||<-6> {{{ { Type: 값 } }}} || ||<-3> '''기능''' ||<-3> 소문의 유형.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String)] || 소문의 종류는 major_negative, minor_negative, major_positive, minor_positive, trading이 있다. ==== Offers ==== ||<-6> {{{+3 {{{#000 '''Offers'''}}}}}} || ||<-6> {{{ { Offers: 값 } }}} || ||<-3> '''기능''' ||<-3> 처음 거래창이 생겼을때 생성된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Compound)] || ===== Recipes ===== ||<-6> {{{+3 {{{#000 '''Recipes'''}}}}}} || ||<-6> {{{ { Recipes: 값 } }}} || ||<-3> '''기능''' ||<-3> 교환 옵션의 목록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List)]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Recipes''' < [include(틀:NBTList)] > * ''( 교환 옵션 한 개 )'' < [include(틀:NBTCompound)] > * '''buy''' < [include(틀:NBTCompound)] > * [[마인크래프트/NBT/아이템|''< 아이템 공통 태그 >'']] * '''buyB''' < [include(틀:NBTCompound)] > * [[마인크래프트/NBT/아이템|''< 아이템 공통 태그 >'']] * '''demand''' < [include(틀:NBTInt)] > * '''maxUses''' < [include(틀:NBTInt)] > * '''priceMultiplier''' < [include(틀:NBTFloat)] > * '''rewardExp''' < [include(틀:NBTBoolean)] > * '''sell''' < [include(틀:NBTCompound)] > * [[마인크래프트/NBT/아이템|''< 아이템 공통 태그 >'']] * '''specialPrice''' < [include(틀:NBTInt)] > * '''uses''' < [include(틀:NBTInt)] > * '''xp''' < [include(틀:NBTInt)] > || 주민의 거래 품목을 바꿀 수 있다. * 예시: 다이아몬드 2개와 막대기 1개로 다이아몬드 검을 구매할 수 있는 주민을 소환한다. {{{ /summon villager ~ ~ ~ {Offers:{Recipes:[{buy:{id:"minecraft:diamond",Count:2b},buyB:{id:"minecraft:stick",Count:1b},sell:{id:"minecraft:diamond_sword",Count:1b}}]}} }}} ====== buy ====== ||<-6> {{{+3 {{{#000 '''buy'''}}}}}} || ||<-6> {{{ { buy: { ... } } }}} || ||<-3> '''기능''' ||<-3> 주민이 플레이어에게 첫번째로 받을 아이템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Compound)] || * 예시: 철 블록 위에 설치할 수 있는 돌을 3개 제공하라. {{{ { buy:{Count:3b, id:"minecraft:stone", tag:{CanPlaceOn: ["minecraft:iron_block"]}} } }}} ====== buyB ====== ||<-6> {{{+3 {{{#000 '''buyB'''}}}}}} || ||<-6> {{{ { buyB: { ... } } }}} || ||<-3> '''기능''' ||<-3> 주민이 플레이어에게 두번째로 받을 아이템. 생략 가능하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Compound)] || * 예시: 다이아몬드 한개를 추가로 제공하라. {{{ { buy: { ... }, buyB:{Count:1b, id:"minecraft:diamond"} } }}} ====== demand ====== ||<-6> {{{+3 {{{#000 '''demand'''}}}}}} || ||<-6> {{{ { demand: 값 } }}} || ||<-3> '''기능''' ||<-3> 아이템 수요에 기반한 가격 조정자이다. 주민이 아이템을 재보급 할 때 업데이트된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maxUses ====== ||<-6> {{{+3 {{{#000 '''maxUses'''}}}}}} || ||<-6> {{{ { maxUses: 값 } }}} || ||<-3> '''기능''' ||<-3> 거래할 수 있는 최대 횟수.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priceMultiplier ====== ||<-6> {{{+3 {{{#000 '''priceMultiplier'''}}}}}} || ||<-6> {{{ { priceMultiplier: 값 } }}} || ||<-3> '''기능''' ||<-3> {{{demand}}} 태그에 priceMultiplier 값을 곱한다. 이 적용된 값은 가격에 반영된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Float)] || ====== rewardExp ====== ||<-6> {{{+3 {{{#000 '''rewardExp'''}}}}}} || ||<-6> {{{ { rewardExp: true } }}} || ||<-3> '''기능''' ||<-3> 주민과 거래했을 때 주민이 경험치를 제공할 지 설정한다. || ||<-3> '''사용 대상''' ||<-3> - || ||<-3> '''기본값''' ||<-3> tru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sell ====== ||<-6> {{{+3 {{{#000 '''sell'''}}}}}} || ||<-6> {{{ { sell: { ... } } }}} || ||<-3> '''기능''' ||<-3> 주민이 플레이어에게 팔 아이템.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Compound)] || * 예시: 다이아몬드 검을 판다. {{{ { sell:{Count:1b, id:"minecraft:diamond_sword"} } }}} ====== specialPrice ====== ||<-6> {{{+3 {{{#000 '''specialPrice'''}}}}}} || ||<-6> {{{ { specialPrice: 값 } }}} || ||<-3> '''기능''' ||<-3> 원래의 상품 가격을 대대적으로 수정한다. || ||<-3> '''사용 대상''' ||<-3> -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uses ====== ||<-6> {{{+3 {{{#000 '''uses'''}}}}}} || ||<-6> {{{ { uses: 값 } }}} || ||<-3> '''기능''' ||<-3> 주민이 거래를 얼마나 많이 했는지 나타낸다. || ||<-3> '''사용 대상''' ||<-3> -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xp ====== ||<-6> {{{+3 {{{#000 '''xp'''}}}}}} || ||<-6> {{{ { xp: 값 } }}} || ||<-3> '''기능''' ||<-3> 주민이 이 거래에서 얼마나 많은 경험치를 얻을지를 나타낸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VillagerData ==== ||<-6> {{{+3 {{{#000 '''VillagerData'''}}}}}} || ||<-6> {{{ { VillagerData: 값 } }}} || ||<-3> '''기능''' ||<-3> 주민에 관한 정보의 집합체이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Compound)] || || [[파일:nbtFileIcon.svg]][br]{{{+3 '''NBT 구조'''}}} || || * '''VillagerData''' < [include(틀:NBTCompound)] > * '''level''' < [include(틀:NBTInt)] > * '''profession''' < [include(틀:NBTString)] > * '''type''' < [include(틀:NBTString)] > || ===== level ===== ||<-6> {{{+3 {{{#000 '''level'''}}}}}} || ||<-6> {{{ { level: 값 } }}} || ||<-3> '''기능''' ||<-3> 주민의 레벨. 거래창의 xp 바가 꽉찼을 경우 레벨 업을 한다.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1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값은 다음과 같다. ||<-2> 레벨 표 || || 값 || 레벨 || || 1 || 초심자 || || 2 || 수습생 || || 3 || 기능공 || || 4 || 전문 || || 5 || 달인 || || 99 || ''(달인+숨김)'' || ===== profession ===== ||<-6> {{{+3 {{{#000 '''profession'''}}}}}} || ||<-6> {{{ { profession: 값 } }}} || ||<-3> '''기능''' ||<-3> 주민의 직업.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minecraft:none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String)] || 자세한 정보는 [[주민(마인크래프트)#s-3|주민의 직업과 거래품]]을 참고. ||<-6> 직업 목록 || || 직업 || 값 || 직업 || 값 || 직업 || 값 || || 실업자 || minecraft:none || 사서 || minecraft:librarian || 도구 대장장이 || minecraft:toolsmith || || 농부 || minecraft:farmer || 지도 제작자 || minecraft:cartographer || 석공 || minecraft:mason || || 어부 || minecraft:fisherman || 성직자 || minecraft:cleric || 도살업자 || minecraft:butcher || || 양치기 || minecraft:shepherd || 갑옷 제조인 || minecraft:armorer || 가죽 세공인 || minecraft:leatherworker || || 화살 제조인 || minecraft:fletcher || 무기 대장장이 || minecraft:weaponsmith || 멍청이 || minecraft:nitwit || ===== type ===== ||<-6> {{{+3 {{{#000 '''type'''}}}}}} || ||<-6> {{{ { type: 값 } }}} || ||<-3> '''기능''' ||<-3> 주민의 유형.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String)] || 자세한 정보는 [[주민(마인크래프트)|주민]]을 참고. ||<-6> 유형 목록 || || 유형 || 값 || || 사막 마을 주민 || minecraft:desert || || 정글 마을 주민 || minecraft:jungle || || 평원 마을 주민 || minecraft:plains || || 사바나 마을 주민 || minecraft:savanna || || 눈 덮인 툰드라 마을 주민 || minecraft:snow || || 늪 마을 주민 || minecraft:swamp || || 타이가 마을 주민 || minecraft:taiga || ==== Xp ==== ||<-6> {{{+3 {{{#000 '''Xp'''}}}}}} || ||<-6> {{{ { Xp: 값 } }}} || ||<-3> '''기능''' ||<-3> 주민의 현재 경험치 || ||<-3> '''사용 대상''' ||<-3> 주민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주민의 경험치에 따라 레벨이 바뀐다. ||<-2> 레벨 표 || || 레벨 || 경험치 값 || || 초심자 || 0 ~ 9 || || 수습생 || 10 ~ 69 || || 기능공 || 70 ~ 149 || || 전문가 || 150 ~ 249 || || 달인 || 250 ~ || === 레이드 몹 공통 NBT[anchor(SpawnableRaids)] === || [[파일:nbtFileIcon.svg]][br]{{{+3 '''레이드 몹 공통 NBT'''}}} || || * '''CanJoinRaid''' < [include(틀:NBTBoolean)] > * '''PatrolLeader''' < [include(틀:NBTBoolean)] > * '''Patrolling''' < [include(틀:NBTBoolean)] > * '''PatrolTarget''' < [include(틀:NBTCompound)] > * '''X''' < [include(틀:NBTInt)] > * '''Y''' < [include(틀:NBTInt)] > * '''Z''' < [include(틀:NBTInt)] > * '''RaidId''' < [include(틀:NBTInt)] > * '''Wave''' < [include(틀:NBTInt)] > || ==== CanJoinRaid ==== ||<-6> {{{+3 {{{#000 '''CanJoinRaid'''}}}}}} || ||<-6> {{{ { CanJoinRaid: true } }}} || ||<-3> '''기능''' ||<-3> 레이드에 참가할 수 있는지 여부. false일 시 레이드 진행 바에 카운트되지 않는다. || ||<-3> '''사용 대상''' ||<-3> 레이드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PatrolLeader ==== ||<-6> {{{+3 {{{#000 '''PatrolLeader'''}}}}}} || ||<-6> {{{ { PatrolLeader: true } }}} || ||<-3> '''기능''' ||<-3> 순찰대의 대장이다. || ||<-3> '''사용 대상''' ||<-3> 레이드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Patrolling ==== ||<-6> {{{+3 {{{#000 '''Patrolling'''}}}}}} || ||<-6> {{{ { Patrolling: true } }}} || ||<-3> '''기능''' ||<-3> 순찰중이면 true이다. || ||<-3> '''사용 대상''' ||<-3> 레이드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Boolean)] || ==== PatrolTarget ==== ||<-6> {{{+3 {{{#000 '''PatrolTarget'''}}}}}} || ||<-6> {{{ { PatrolTarget: {X: 0, Y: 0, Z: 0} } }}} || ||<-3> '''기능''' ||<-3> 순찰대가 순찰 나가는 특정 위치를 나타낸다. || ||<-3> '''사용 대상''' ||<-3> 레이드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Compound)] || ==== RaidId ==== ||<-6> {{{+3 {{{#000 '''RaidId'''}}}}}} || ||<-6> {{{ { RaidId: 0 } }}} || ||<-3> '''기능''' ||<-3> 몹이 현재 속해있는 레이드 ID이다. 어떤 위치에서 일하는 레이드의 몹인지를 구별할 때 이용된다. || ||<-3> '''사용 대상''' ||<-3> 레이드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 Wave ==== ||<-6> {{{+3 {{{#000 '''Wave'''}}}}}} || ||<-6> {{{ { Wave: 0 } }}} || ||<-3> '''기능''' ||<-3> 몹이 속한 레이드의 웨이브. || ||<-3> '''사용 대상''' ||<-3> 레이드 몹 || ||<-3> '''기본값''' ||<-3> - || ||<-3> '''관련 NBT 태그''' ||<-3> - || ||<-3> '''유형''' || [include(틀:NBTInt)]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인크래프트/NBT, version=918, paragraph=3.2.27)] [[분류:마인크래프트/NB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