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아시아의 통화)] [include(틀:근현대 중국 화폐 변천사)] [include(틀: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3> {{{+1 {{{#black,#dddddd '''마카오 파타카'''}}}}}} || ||<-3> {{{+1 {{{#black,#dddddd '''澳門幣/澳門元'''[*중국어][br]'''Pataca Macaense'''[*포르투갈어]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澳門元.png|width=100%]]}}} || || '''[[ISO 4217|ISO 4217 코드]]''' ||<-2> MOP || || '''중앙은행''' ||<-2> 마카오 금융당국 || || '''사용국''' ||<-2>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마카오]] || || '''기호''' || MOP$ || || '''동전''' || 10, 20, 50아보스, MOP$1, MOP$2, MOP$5, MOP$10 || || '''지폐''' || MOP$10, MOP$20, MOP$50, MOP$100, MOP$500, MOP$1,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카오]]의 [[화폐]] 단위. 통화 기호는 공식적으로 MOP$이며, 圓, 元, $ 역시 사용된다. [[ISO 4217]] 코드는 MOP. 보조단위는 1/100단위 아보(Avo) 또는 신(仙)이 있지만 현재 불필요하여 폐기되었고, 1/10 단위인 호(毫)만 사용하지만, 포르투갈어로는 10단위 Avo에 해당하는 단위가 따로 없으므로 Avo 단위는 폐기되지 않았다. 복수형은 [[중국어]]에는 없고, [[포르투갈어]]로 Patacas(파타카스) 및 아보스(Avos). 인플레이션은 4.9%(2007년)이지만 [[중국]] 및 [[홍콩]]에 다소 의존적이고, 통화 자체의 발행량도 많은 편이 아니라서 수치가 자주 왔다갔다하여 별 의미가 없다. == 상세 == 파타카는 원래 [[포르투갈어]]로 '진주 조개'를 뜻하는데, [[브라질]]에서 생산된 은화를 파타카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돈을 뜻하게 된다. [[한국어]]의 돈나무에 해당되는 포르투갈어 표현도 파타카 나무라고 한다. 이 표현의 유래는 [[스페인어]]의 페세타 및 페소와 같다. [[마카오]] 이외에 [[몰타]]나 [[동티모르]]에서도 파타카라는 이름으로 화폐를 사용한 적이 있었으나 지배자가 바뀌거나 독립하면서 다 다른 통화로 바뀌고 마카오만 파타카 단위를 쓴 게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1894년에 [[포르투갈령 마카오]] 정부가 출범하면서 처음 단위가 언급되었지만 당시엔 현물이 없어 그다지 언급되지 않았고, 1905년 [[포르투갈]] 대서양은행에서 마카오 파타카의 화폐를 발행하기 시작한 것을 시초로 본다. [[유로]]로 치면 1998년 출범, 2002년 현실화된 것과 같은 맥락. 반환을 앞둔 1995년부터는 [[중국은행]] 마카오사업부에서도 화폐를 발행하고 있어 사실상 2개 은행에서 동시에 발행한다. 점유율은 아직까진 대서양 은행이 약간 더 우세한 듯하나 거의 동률이다. == 환전과 환율 == 1983년부터 [[홍콩 달러]]와 [[공식]]적으로는 '''1 홍콩 달러:1.032 파타카'''[* 역으로 환산하면 1파타카는 0.97홍콩 달러가 나온다.]의 비율로 고정환율이 실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통용할 때에는 그냥 1:1의 비율로 쳐준다.[* 여담이나 이 고정환은 지속적으로 가치가 올라갔다. [[1975년]]에는 MOP 1.075:HKD 1 이었다.] 이런 이유로 마카오만 가고 [[홍콩]]을 가지 않아도 홍콩 달러로 환전하여 쓰면 [[브루나이 달러|여러모로 편리하다.]] 더불어 파타카의 환율이 3%p 더 좋기 때문에 미리 파타카로 교환해두면 왠지 수수료 벌었다는 기분이 들기도 한다. 마카오 일정이 짧아서 시간이 아깝다면 그냥 홍콩 달러를 쓰는 게 나은데, 10달러 동전과 1,000달러 지폐[* 물론 고액거래는 받아준다.]를 제외하고는 제약없이 사용 가능하다. 다만, 센트 단위의 동전을 거부하는 [[점포]]가 간혹 있으며, '''10달러 동전'''은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주의해야 한다.[* 10달러 동전은 마카오 내 은행에서 취급해주지 않아서 받는 사람이 거부하거나 난색을 표하는 경우가 많아서 홍콩을 다시 들르지 않는다면 홍콩에서 다 쓰고 와야 한다. 단 보라색 홍콩 10달러 지폐는 제약이 없다.] 반대로 파타카는 홍콩에서 사용할 수 없거나 환율이 HKD 1.00 : MOP 1.10 까지 떨어질만큼 불리하다. 그리고 카지노에서는 파타카를 사용할 수 없고, 홍콩 달러만 받는다. 모 [[전기차]]의 마카오 홈페이지에서도 아예 홍콩 달러 가격으로 판매 중. 마카오에서는 실제로 홍콩 달러로 결제하면 거스름돈을 손님 취향에 맞게 주기도 하며(달러 or 파타카 라는 식), 심지어 파타카를 줬어도 홍콩 달러로 거슬러 주는 [[사례]]도 심심찮다. 아예 두 화폐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고 보면 될 듯. [[자판기]]도 마찬가지로 홍콩 달러와 파타카 화폐 둘 다 인식한다. 지폐 뿐만 아니라 동전도 두 통화의 것을 모두 인식한다.[* 대체로 홍콩의 50센트, 1, 2, 5달러와 마카오의 50아보스, 1, 5파타카 동전을 동시에 받는다. 2파타카 동전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심지어 위안화 까지 총 3종류의 통화를 받는 자판기도 존재한다. 각 통화에 대한 마카오 파타카 환산가격은 이렇게 나온다. 어차피 홍콩 달러에 대한 고정환율이므로... 홍콩이나 외환시장에 결정되는 홍콩 달러로 환산된 가격에 홍콩 달러 고정환율로 계산하면 된다. 예: 홍콩에서 [[한국]] [[천원]]당 매매 기준가격이 6.44홍콩 달러이고 고정환율이 1.032일 때 6.44*1.032=천원당 6.65[* 단, [[소수점]] 3단위 [[반올림]] 적용] 파타카를 취급하는 한국의 시중은행은 [[신한은행]]이 유일하지만 일반 지점에 없고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2터미널 불가), 서울 시내(본점 포함) 지점에 300 [[미국 달러]]어치(2500파타카) 를 발주 후 영업일 기준 일주일 후에 수령 할 수 있다.[* 운이 좋아 본점에 다른 손님이 팔고 간 시재가 있다면 현장에서 바로 겟하는 것도 가능. 시간이 촉박할 경우 [[신한은행]] 본점에 재고 및 즉시환전 가능 여부를 전화로 문의해 보자.] 당연하지만 기타 통화로 분류되므로 우대는 없으며 홍콩 달러[* 거래량이 있어서 50%까지 우대가 가능하다.]를 가져가서 마카오에서 쓰는것이 이롭다. 스프레드는 살 때와 팔 때 동일하게 4%이다. 1위 안에 대략 1.17~1.20 파타카 선이고, 원화 강세 영향으로 2020년 11월 기준 140~145원을 왔다갔다 하는중. 그래도 이중환전이 싫다 그리고 안전하게 하고 싶다 싶으면 이걸 해도 나쁘지 않다, 의외인건 중국 위안 보다는 수수료가 낮다는 것이 장점. 마카오 현지 사설환전소이나 일부 시중은행에서도 원화이나 다른 외국 현금 환전 취급하지만 주요 기축통화([[미국 달러]],[[일본 엔]],[[유로]],[[영국 파운드]],[[스위스 프랑]])를 제외하면 수수료가 비싼편[* 예시로 어느 마카오 여행 다녀온 분들의 사설환전소 원화 수수료 이미지를 분석해보면 수수료는 대략 2% ~ 20%] * [[http://www.soicheong.com/index.php?a=lists&catid=221|단창은호 유한공사 환율창]]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시중은행이나 환전소에서만 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많이 환전되는 외국 지폐라는 의미 * 아시아: '''중국 위안, 홍콩 달러, 일본 엔, 한국 원, 신대만 달러''', 베트남 동, '''싱가포르 달러, [[말레이시아 링깃]], 필리핀 페소, 태국 바트''', 인도네시아 루피아, 인도 루피, 브루나이 달러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브라질 헤알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스위스 프랑''', 러시아 루블, 덴마크 크로네, 스웨덴 크로나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신한은행에서 [[2020년]] [[7월 17일]] 기준 현금 사실때 스프레드율은 당시 4%, 156.86[* 단, 5원이상 절상, 소수점 올림 적용] || 10 파타카: 1,590원|| || 20 파타카: 3,140원|| || 50 파타카: 7,840원|| || 100 파타카: 15,690원|| || 500 파타카: 78,430원|| || 1,000 파타카: 156,860원|| == 대서양은행(Banco Nacional Ultramarino[* 직역하면 국립해외은행이다.])권 == [[파일:BancoNacionalUltramarino_logo.svg.png|width=200]] 포르투갈에서 세운 공기업으로 아프리카, 아시아의 식민지에서 화폐를 발권하는 은행[* 다만 당시 가장 규모가 큰 [[앙골라]]는 별도로 앙골라 은행(Banco De Angola)이 발권했다.]. 1975년 마카오를 제외한 포르투갈 식민지들이 모두 독립하면서 마카우 파타카만 발행하게 된다. 이 은행의 중국어 명칭이 뜬금없게도 '[[대서양]]은행'인 이유는 [[청나라]] 시절 [[포르투갈]]을 '''대서양국([[大]][[西]][[洋]][[國]])'''이라고 부른데서 기인한다. 훗날 포르투갈어 명칭과 괴리가 생기다보니 1970년대에 포국해외은행([[葡]]國[[海]][[外]][[銀]][[行]])으로 잠깐 변경을 시도한 적도 있지만 얼마 가지 않아 대서양국해외회풍리은행(大西洋國海[[外]][[匯]][[理]]銀行)으로 환원되었고, 지금은 약칭인 대서양은행(大西洋銀行)만 쓰인다. 2001년 포르투갈 본국의 대서양은행은 국영 예금금고(Caixa Geral de Depósitos)에 합병되면서 소멸되어 현존하는 은행으로서의 '대서양은행(Banco Nacional Ultramarino)'는 마카오에만 있다. === 구권 === ||<-2> 1988~2003년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1.jpg|width=100%]] || MOP$10 || [[쑨원|쑨 얏센]] 박물관 ||<|6> 마카오-[[타이파]]교와 시가지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2.jpg|width=100%]] || MOP$20 || 구 대서양은행 건물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3.jpg|width=100%]] || MOP$50 || 설맞이 사자춤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4.jpg|width=100%]] || MOP$100 || [[정크선]]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5.jpg|width=100%]] || MOP$500 || [[마조|마각묘]]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6.jpg|width=100%]] || MOP$1,000 || [[용]] || ||<-2> 2005~2009년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101.jpg|width=100%]] || MOP$10 || [[마조]] ||<|6> 대서양은행 본사 사옥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102.jpg|width=100%]] || MOP$20 || [[마카오 국제공항]]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103.jpg|width=100%]] || MOP$50 || 사이방 대교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104.jpg|width=100%]] || MOP$100 || 세나두 광장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105.jpg|width=100%]] || MOP$500 || 마카오 타워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106.jpg|width=100%]] || MOP$1,000 || 마카오 문화센터 || === 신권 === [[파일:New Pataca Notes.png]] 2024~2026년 발행예정. ||<-2>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401.jpg|width=100%]] || MOP$10 ||<|6> 대서양은행 본사 사옥 || [[1635년]]의 마카오 지도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402.jpg|width=100%]] || MOP$20 || [[1780년]]의 마카오 지도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403.jpg|width=100%]] || MOP$50 || [[1889년]]의 마카오 지도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404.jpg|width=100%]] || MOP$100 || [[1949년]]의 마카오 지도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405.jpg|width=100%]] || MOP$500 || [[1986년]]의 마카오 지도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406.jpg|width=100%]] || MOP$1,000 || [[2022년]]의 마카오 지도 || == [[중국은행]](Banco Da China)권 == [[파일:timg-2.png|width=200]] === 구권 === ||<-2> 1995~2003년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201.jpg|width=100%]] || MOP$10 || 기아 요새와 몬테 포대 ||<|6> [[중국은행]] 마카오 사옥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202.jpg|width=100%]] || MOP$20 || [[마조|마각묘]]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203.jpg|width=100%]] || MOP$50 || 마카오대학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204.jpg|width=100%]] || MOP$100 || 마카오 페리 터미널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205.jpg|width=100%]] || MOP$500 || 우의대교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206.jpg|width=100%]] || MOP$1,000 || 서쪽 하늘서 바라본 마카오 || ||<-2> 2008~2009년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301.jpg|width=100%]] || MOP$10 || [[마조|마각묘]] ||<|6> [[중국은행]] 마카오 사옥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302.jpg|width=100%]] || MOP$20 || 성 바오로 성당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303.jpg|width=100%]] || MOP$50 || [[페드루 5세]] 극장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304.jpg|width=100%]] || MOP$100 || 기아 요새와 몬테 포대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305.jpg|width=100%]] || MOP$500 || 카사 두 만다링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0306.jpg|width=100%]] || MOP$1,000 || 마카오 정부청사 || === 신권 === [[파일:Screenshot_20231029_134547_YouTube.jpg]] 2024~2026년 발행예정. ||<-2>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501.jpg|width=100%]] || MOP$10 ||<|6> [[중국은행]] 마카오 사옥, 사자춤 || 마카오 타워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502.jpg|width=100%]] || MOP$20 || 마카오 과학관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503.jpg|width=100%]] || MOP$50 || 키앙우 역사기념관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504.jpg|width=100%]] || MOP$100 || 동선당 역사기록전시관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505.jpg|width=100%]] || MOP$500 || [[마조|마각묘]] || || [[파일:attachment/파타카/mop506.jpg|width=100%]] || MOP$1,000 || [[정크선]] || == 동전 == ||<-3> 앞면 || ||<-3> [[파일:澳門.jpg|width=100%]] || || 도안 ||<-2> '澳門'과 'MACAU' 표기 형상화 || ||<-3> 뒷면 || || '''사진''' || '''액면''' || '''도안''' || || [[파일:DEZ PATACAS.jpg|width=100]] || MOP$10 || 성 [[도미니코회]] || || [[파일:CINCO PATACAS.jpg|width=100]] || MOP$5 || 성 바오로 성당[br]정크선 || || [[파일:DOIS PATACAS.jpg|width=100]] || MOP$2 || 세뇨라 다 페냐 교회[br]아마묘 || || [[파일:UMA PATACA.jpg|width=100]] || MOP$1 || 기아 요새 || || [[파일:CINQUENTA AVOS.jpg|width=85]] || 50아보스 || 용춤 || || [[파일:VINTE AVOS.jpg|width=80]] || 20아보스 || 용선 || || [[파일:DEZ AVOS.jpg|width=70]] || 10아보스 || 사자춤 || 마카오의 동전은 상기 두 은행에서 발행하지 않고 마카오 금융관리국(Monetary Authority of Macao)이 전담하고 있어 운영체계가 다르다. 현재 1, 2, 5호 및 1, 2, 5, 10파타카화까지 7종이 있으나 2단위와 10파타카는 시중에서 잘 유통되지 않아 실질적으론 1, 5호와 1, 5파타카화 4종만이 통용중이다. 당연하게도 10아보스 미만(1,2,5)의 동전은 발행된 적이 없다. 또 20아보스와 5파타카화는 십이각형, 2파타카화는 팔각형 모양이다. 현지에서 2단위 파타카 동전은 없는 것으로 취급할 정도로 쓰지 않으며, 현지에서 2단위 동전을 거슬러 줄 때 [[홍콩 달러]] 동전으로만 거슬러 준다. 10파타카도 홍콩달러처럼 동전으로 대체할 목적으로 도입했으나, 실패하여 도로 지폐를 발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홍콩에선 10달러 동전과 지폐를 혼용중이나, 마카오는 10파타카 동전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크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10파타카 동전의 지름이 무려 28mm로 [[오백원화|오백원 주화]]보다도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제작/유통된 분량은 법정화폐 지불수단으로 이용가능하다. [[파일:Se45b2dda22b847f9bbf082b41374a88ff.jpg_640x640Q90.jpg_.webp]] 특기할 점이 있다면 과거 포르투갈령 시절 보조단위 동전에는 커다랗게 한자가 한 글자 뙇! 박혀있었던 점. 10아보스에는 복([[福]]), 20아보스에는 록([[祿]]), 50아보스에는 수([[壽]])가 박혀있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각주] [[분류:마카오]][[분류: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