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맨체스터 시티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1D29 20%, #FFFFFF 20%, #FFFFFF 40%, #DD1D29 40%, #DD1D29 60%, #FFFFFF 60%, #FFFFFF 80%, #DD1D29 80%)" '''{{{#!html 마테오 코바치치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첼시 FC 올해의 선수(2010년대)|[[파일:첼시 FC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34694; font-size: 0.9em" [[틀:첼시 FC 올해의 선수(2010년대)|{{{#ffffff '''2019-20 첼시 올해의 선수'''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teo Kovačić(23-24).png|width=100%]]}}} || ||<-3> '''{{{#ffffff 맨체스터 시티 FC No. 8}}}''' || ||<-3> '''{{{#98c5e9 {{{+1 마테오 코바치치}}}[br]Mateo Kovačić}}}'''[* /matěo kôʋatʃitɕ/] || ||<|2><-2> {{{#ffffff '''출생'''}}} ||[[1994년]] [[5월 6일]] ([age(1994-05-06)]세) || ||{{{-1 [[오버외스터라이히]]주 [[린츠]]}}}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2> {{{#ffffff '''신체'''}}}[* [[https://www.uefa.com/uefachampionsleague/clubs/players/250023551--mateo-kovacic/|UEFA 챔피언스 리그 공식 웹사이트 프로필]]] ||[[키(신체)|키]] 178cm / [[체중]] 77kg || ||<-2> {{{#ffffff '''포지션'''}}}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 ||<-2> {{{#ffffff '''주발'''}}} ||오른발 || ||<|2> {{{#ffffff '''소속'''}}} || {{{#ffffff '''유스'''}}} ||ASKÖ 에벨스베르그 (1999~2000)[br][[LASK 린츠]] (2000~2007)[br][[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7~2010) || || {{{#ffffff '''선수'''}}}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0~2013)[br]'''[[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3~2015)'''[br][[레알 마드리드 CF]] (2015~2019)[br]{{{-1 → '''[[첼시 FC]] (2018~2019 / ^^임대^^)'''}}}[br]'''[[첼시 FC]] (2019~2023)'''[br][[맨체스터 시티 FC]] (2023~ ) || ||<-2> {{{#ffffff '''국가대표'''}}} ||97경기 5골[* 2023년 10월 16일 기준]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 2013~ )^^ || ||<-2> {{{#ffffff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teokovacic8, 크기=28)]|[[https://www.instagram.com/mateokovacic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https://www.facebook.com/MateoKovacic/?fref=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8]]]]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등번호'''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8번''', 10번, 20번[br][[GNK 디나모 자그레브]] - 8번[br][[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10번, 29번[br][[레알 마드리드 CF]] - 23번[* 17-18 시즌에 [[다닐루(1991)|다닐루]]가 맨시티로 떠나고 남은 23번으로 변경하였다.], 16번[br][[첼시 FC]] - '''8번''', 17번[br][[맨체스터 시티 FC]] - '''8번''' || ||<-2> '''가족''' ||아내 이자벨 코바치치^^(2017~ )^^[br]아들 이반 코바치치^^(2020년생)^^ || ||<-2> '''종교''' ||[[가톨릭]] || ||<-2> '''후원사''' ||[[푸마(브랜드)|푸마]]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크로아티아]] 국적의 [[맨체스터 시티 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테오 코바치치/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크로아티아 대표팀을 연령별로 모두 경험한 엘리트 선수다. 2012년 8월에는 성인 대표팀 첫 소집을 받았지만 부상으로 인해 뛰지 못했고, 2013년 3월 22일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지역예선(유럽)/A조|2014 브라질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세르비아와의 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하였다. 어린 나이임에도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도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엔트리에 선발되어 월드컵 무대에 참가하게 되었다.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의 1차전에서는 선발 출전, 나머지 경기에서는 교체로 출전했으나 경험 부족 등으로 큰 활약은 하지 못했고 크로아티아 역시 1승 2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5년 6월 7일 [[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지브롤터]]와의 경기에서 A매치 첫 골을 넣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다만, 주전에서 밀린 상황인데, [[루카 모드리치]]와 [[이반 라키티치]]가 앞에서 굳건히 버티고 있는 데다 뒤쪽에 와도 [[마르첼로 브로조비치]]가 더 잘하니 코바치치의 자리가 없는 상황. 결국 코바치치는 16강 진출이 확정되어서 비주전 선수들을 내보냈던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이슬란드]]와의 조별리그 3차전에서만 선발 출전하였고, 8강전까지 나머지 4경기에선 교체로 출전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와의 8강전에서는 승부차기 2번째 키커로 나서 실축하기도 했다. 이후 4강전과 결승전에는 아예 경기에 뛰지도 못한 채 월드컵을 마무리했다. 이렇듯 주전에 들지 못했기 때문인지 자괴감 들어서 이적 결심을 했다는 얘기도 있다. 사실 이 이유가 코바치치 본인에게는 무척이나 클 수도 있는 게, 앞선 월클 듀오로 꼽히는 두 선수를 제외하더라도 브로조비치는 코바치치가 인테르에 있을 때, 점쳐지는 재능의 크기가 코바치치보다 밑으로 평가되었으며 저번 시즌 초중반만 하더라도 레알에서 서브로 뛰던 코바치치가 계속 우위인 상황이었으나 중후반기 들어 브로조비치가 제자리인 수비형 미드필더 롤에서 대각성을 이루었다. 그리고 언제든 노쇠화가 될 수 있는 모드리치지만 코바치치 입장에서는 그 '''언제든이 3년이나 지난 상태'''이며, 멀티성이라는 이명하에 제대로 된 자신의 포지션도 확정짓지 못해 브로조비치와 상황이 뒤바뀐 것이다. 이번 시즌 바로 모드리치가 후보로 밀려나 주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성장이 정체되는 동안 치고 올라오던 다른 스패니시 자원들과 또다시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거기에 개인 커리어는 챔스 우승 3연패, 월드컵 준우승이라는 대업을 이루었으나 전부 주역이 아니었던 점에서 회의감을 매우 크게 느꼈을 수도 있다. 2018년 9월 12일 [[UEFA 네이션스 리그]]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과의 평가전에서 암담한 경기력으로 양 팀 통틀어 평점 최하점을 받았다. 팀은 0:6으로 역사적인 대패. 2020년 11월 18일, 네이션스 리그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과의 경기에서 멀티골을 집어넣었지만 팀은 2:3으로 아쉽게 패배했다. 개인으로써는 5년 만의 국가대표팀 득점을 기록했다. 붙박이 주전이던 [[이반 라키티치|라키티치]]가 2020년을 끝으로 은퇴하면서 크로아티아의 주전 미드필더의 한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라키티치라는 월드클래스 미드필더의 자리를 대신하는 만큼 코바치치에 대한 기대감이 크고 자신은 큰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코바치치도 현재 [[루카 모드리치|모드리치]], [[토니 크로스|크로스]], [[티아고 알칸타라|알칸타라]], [[요주아 키미히|키미히]] 등 월클 미드필더들과 비견될 정도의 엄청난 활약을 첼시에서 보여주고 있기에 [[UEFA 유로 2020|유로 2020]]에서의 모드리치-브로조비치-코바치치의 미드필더 조합이 굉장히 기대가 된다. === [[UEFA 유로 2020]] === 조별리그 1차전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전에 왼쪽 메짤라로 선발 출장했다. 전반전에는 드리블 돌파를 여러 차례 성공시키면서 크로아티아의 공격을 홀로 이끄는 수준의 활약이었으나 후반전에는 48분경 [[메이슨 마운트]]에게 다소 위험한 태클을 해 옐로카드를 받은 것을 시작으로 다소 아쉬운 경기력을 보여줬다. 경기는 0:1 패배. 조별리그 2차전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전에는 투볼란치의 왼쪽 중앙 미드필더로 선발 출장해서 3번의 드리블 성공을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패스 선택이나 수비적인 기여도는 떨어지는 편이었다. 경기는 1:1로 무승부로 끝났다. 이후 크로아티아는 16강에 진출하긴 했으나, 16강에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에게 3:5로 지며 탈락했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유로 2020때와 마찬가지로 이 대회에서도 모드리치 - 브로조비치 - 코바치치의 중원으로 나설 것이 유력하다. 앞선 두 번의 월드컵에서는 모두 비주전으로 참가했었기에, 주전으로 참가하게 되는 이번 월드컵은 코바치치 개인의 입장에서 남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조별리그 1차전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전에서는 부진했다. 물론 팀이 전체적으로 부진한 것도 한 몫 했으며, 후반 34분 [[로브로 마예르]]와 교체됐다. 조별리그 2차전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전에서는 기회 창출 4번, 롱패스 성공률 100%, 태클 성공률 100%를 기록하며 아주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후반 41분 마예르와 교체됐다. 팀도 4대1로 대승을 거뒀다. 조별리그 3차전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를 상대로 선발 출장하여 후반 연장 교체되기까지 매우 좋은 수비가담을 보여주며 [[루카 모드리치]]와 함께 크로아티아의 필수적인 선수로 명확히 보여줬다. 팀은 [[로멜루 루카쿠]]의 호러쇼로 0:0 무승부하며 16강 진출. 16강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전에서 공격적으로 나선 팀을 뒤에서 받춰주는 역할을 수여받고, 이를 잘 수행했다. 팀은 1:1무승부 후 연장전까지 갔고, 99분에 교체 아웃되었다. 결국 승부차기에서 1:3으로 8강 진출. 8강 세계 최고의 팀이라고 평가받는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상대로 매우 수비적으로 나온 팀에서 역시 수비적으로 괜찮은 활약을 보였다. 106분에 교체아웃. 팀은 네이마르에게 105+1분 선제골을 얻어맞으며 힘들어보였으나, 결국 117분 [[브루노 페트코비치]]가 동점골을 만들어내며 월드컵 4강의 주역이 되었다. 4강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상대로도 선발 출장하였으나, [[리오넬 메시]]와 [[훌리안 알바레스]]의 엄청난 활약에 3:0으로 크게 패배하며 [[3위 결정전|3·4위전]]을 준비하게 되었다. 3위 결정전 모로코와의 경기에서도 선발로 출장하여 다소 지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무난한 활약을 펼쳤다. 팀은 2:1로 승리하며 유종의 미를 거두게 되었다. === [[UEFA 유로 2024]] === [[UEFA 유로 2024/예선|유로 2024 예선]] D조 2라운드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전에서 멀티골을 기록했다. == 플레이 스타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MW8lhxDkRE)]}}} || '''뛰어난 드리블과 볼 키핑을 통한 안정적인 전진'''을 할 수 있는 미드필더. 2012-13 시즌 축구 통계 사이트 [[후스코어드 닷컴]]에서는 통계적으로 볼 때 유럽 최고의 드리블러로 코바치치를 꼽은 바 있다.[* 물론 이건 다른 변수들을 모두 제외하고 드리블 성공 횟수와 성공률만을 검토한 것으로, 미드필드에서 드리블하는 것과 공격진에서 드리블하는 것은 난이도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여러 선수들이 압박해도 파울을 각오하고 거칠게 부딪치지만 않으면 안정적으로 탈압박하고 공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주력도 빨라 기회가 보이면 혼자서 순식간에 피치를 가로질러 전진할 수 있는 능력이 된다. 민첩성과 신체의 밸런스가 좋아서 상대의 강한 견제에도 아랑곳 않고 단숨에 가속력을 붙여 공을 몰면서 빠르게 스프린트가 가능하다. 드리블만 놓고 보면 비슷한 나이대의 월드클래스 미드필더인 [[폴 포그바]]나 [[마르코 베라티]] 못지않게 눈에 띈다. '''패스와 연계''' 능력 또한 수준급. 레알 마드리드 시절에는 전술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사리 체제의 첼시에서도 연계 능력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으나, 램파드 체제부터 그 능력이 빛을 발하였다. 여차하면 본인이 스스로 볼을 운반하다가도 기회가 생기면 스루 패스를 찔러주며, 킥력이 좋아서 [[스티븐 제라드]]를 연상시키는 롱 패스를 종종 보여주기도 한다. 준수한 기동력을 바탕으로 '''중원에서 압박과 수비 가담'''을 열심히 해준다. 슬라이딩 태클 능력 또한 꽤나 준수한 편이다. 덕분에 옆에 [[조르지뉴]]와 같은 패서가 있을 때 엄청난 시너지를 불러일으킨다. 20-21 시즌에는 조르지뉴가 압박을 당하는 타이밍에 넘겨준 볼을 받아 그 타이밍에 열리는 공간을 순간적으로 전진 드리블로 파고들어서 기회를 창출하는 형태로 조르지뉴와 찰떡 같은 궁합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면서 수비 전환할 때 많은 활동량을 통해 조르지뉴의 커버를 도와주기도 한다. 탈압박을 주로 패스나 단순 볼 키핑으로 하는 조르지뉴, [[은골로 캉테]]와는 달리 드리블로 여유롭게 탈압박을 할 수 있는 장점 덕분에, 압박하는 상대 선수를 벗겨내고 1선 선수들에게 전진 패스를 넣어줌으로써 빠른 공격 템포를 만들어준다. 조르지뉴가 빌드업의 시발점, 전개 상황 조율을 맡는다면 코바치치는 조르지뉴에게 공을 받아 1선으로 연결해주는 직선적인 패스와 다이렉트 패스를 하는 일종의 미드필더 크랙 역할이다. 단점은 미드필더임을 감안하더라도 '''공격 포인트 생산력이 떨어진다'''. 단적인 예시로 18-19 시즌 첼시에서 모든 대회 통틀어 기록한 공격 포인트가 2개의 도움 뿐이다. 레알 마드리드에서는 출전 시간이 많이 없는 백업 맴버라 크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첼시에는 준주전으로 활약함에도 불구하고 골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코바치치는 19-20 시즌이 되어서야 골을 기록하며 레알 마드리드 시절부터 이어온 오랜 골 침묵을 깨긴 했으나 여전히 스탯은 못 쌓는 편. 더불어 패스나 킥력은 상당히 좋은데, 그것과 별개로 '''슈팅 능력'''이 좋지 않다. 중거리 슛을 해야 할 때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슛을 하더라도 위협적인 슈팅을 날리지 못한다. 좌우로 벌려주는 롱 패스를 무리 없이 소화할 만큼 발목 힘이 약한 것은 아니지만, 슛을 할 때는 힘이 제대로 실리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슛과 패스할 때 킥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쉽게 생각해봐도 슛은 골키퍼가 막지 못하게 차야 하고 패스는 우리 팀이 받기 편하게 차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공격형 미드필더에서 커리어를 시작해 중앙 미드필더로 내려온 이유를 잘 보여주는 케이스이다. 준수한 수비력을 가지고 있고, 후방 빌드업과 전진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미드필더 중 가장 공격적인 역할보다는 밑에서 상대의 전방 압박을 풀어주면서 아군의 공격 자원들을 지원해주는 역할에 가장 잘 맞는 선수라고 볼 수 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0~2013) * [[프르바 HNL]]: 2010-11, 2011-12, 2012-13 * 흐르바츠키 쿠프: 2010-11, 2011-12 * [[레알 마드리드 CF]] (2015~2018) * [[라리가]]: 2016-17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17 * [[UEFA 챔피언스 리그]]: 2015-16, 2016-17, 2017-18 * [[UEFA 슈퍼컵]]: 2016, 2017 * [[FIFA 클럽 월드컵]]: 2016, 2017 * [[첼시 FC]] (2018~2023) * [[UEFA 챔피언스 리그]]: 2020-21 * [[UEFA 유로파 리그]]: 2018-19 * [[UEFA 슈퍼컵]]: 2021 * [[FIFA 클럽 월드컵]]: 2021 * [[맨체스터 시티 FC]] (2023~ ) * [[UEFA 슈퍼컵]]: 2023 === 개인 수상 === * 크로아티아 올해의 신인 선수: 2011 * 첼시 올해의 선수: 2019-20 *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골: 2022년 1월 === 서훈 === * Red kneza Branimira[* 크로아티아 6등급 훈장.]: 2018 == 여담 == * 1980년대~1990년대에 태어난 [[유고슬라비아]] 출신 사람들이 그렇듯 코바치치 역시 [[보스니아 내전]]기 오스트리아로 피난한 [[난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국가대표 동료인 [[데얀 로브렌]]처럼 가톨릭 교도이기 때문에 보스니아가 아닌 크로아티아로 돌아갔고 오스트리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아닌 크로아티아 대표팀을 선택했다. * 인테르 시절에는 주장 완장 채워 버리자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훌륭한 멘탈을 갖고 있어 인테리스타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다. 이적 시장에서 매번 언급되는 선수 중 하나인데, 이적설이 나왔다 하면 SNS에 이적 반대 태그를 달고 극렬히 반대하는 인테리스타들을 볼 수 있다. 특히 2015-16 시즌을 앞둔 여름 [[리버풀 FC]]과의 이적설이 끊임없이 제기되자 팬들이 #Savekovacic라는 SNS 태그를 붙이는 운동을 벌이며 강경 대응을 한 사태를 꼽을 수 있다. * 인테르 시절, 감독들에게는 종종 조련과 밀당의 대상이 되곤 했는데, 훌륭한 재능이 있는 반면 플레이 스타일이 완전히 자리잡은 상태는 아니라서 미드필드 전 지역에 놓고 다양하게 활용을 해 보곤 한다.[* 국가대표팀에서도 그런다.] 그 과정에서 주전 자리를 빼앗기는 경우도 있지만, 다들 끝내 코바치치를 주전으로 쓰게 되었다는 점은 재미 있는 부분. * 2016-17 시즌 첫 [[엘 클라시코]]에서 [[조르디 알바]]에게 "[[스페인어]]나 더 배우고 와, 멍청아"라는 조롱을 들었는데 사실 코바치치는 [[크로아티아어]], [[영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그리고 스페인어를 포함한 5개 국어를 할 수 있다고 한다. * 2018년 11월 [[데얀 로브렌]] 외 1명과 [[초상권]] [[탈세]]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다. 역시나 [[디나모 자그레브]]를 쥐고 흔드는 마미치 가문이 연루돼 있다고 하며 300만 유로의 이득을 봤다. 그러나 코바치치 본인은 이득을 보려 할 때 감사가 들어와 이득을 보지 못했다고. [[https://www.nacional.hr/football-leaks-the-millions-of-dejan-lovren-and-mateo-kovacic-collected-in-mamics-swiss-company-investigated-for-gross-crimes/|#]] * [[하킴 지예흐]]와 함께 가장 빠르게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탈락할 거라고 [[첼시 FC]] 동료들이 놀렸다고 한다. 결과는 다들 아시다시피 둘이서 제일 오래 살아남아 3·4위전을 치렀다. * 2023-24 시즌 프리미어 리그 12R 친정팀 첼시와의 경기에서 후반전 콜 파머가 PK를 성공시키자 좋아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 [[WAGs]] == [[파일:코바시치 아내 1.jpg]] [[파일:파일:코바시치 아내 2.jpg]] [[파일:코바시치 아내 3.jpg]] [[파일:코바시치 아내 4.jpg]] [[파일:코바시치 아내 5.jpg]] [[파일:코바시치 아내 6.jpg]] 아내는 1992년생 모델 겸 사업가 이자벨 안드리야니치이다. 러브 스토리가 굉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린 시절 코바치치는 어느날 한 여인이 [[성가대]]에서 노래 부르는 모습을 보고 첫눈에 반해 사랑에 빠졌고 그녀와 사귀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코바치치는 크로아티아 국가대표가 됐고 코바치치의 그녀는 자국 최고의 명문 대학교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환경 유아용품 회사의 [[CEO]]가 된다. 둘은 2017년에 결혼하였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맨체스터 시티 FC)] [include(틀: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2022 카타르 월드컵))] [각주] [[분류:1994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출신 인물]][[분류:오스트리아계 크로아티아인]][[분류:크로아티아의 축구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GNK 디나모 자그레브/은퇴, 이적]][[분류: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CF/은퇴, 이적]][[분류:첼시 FC/은퇴, 이적]][[분류:맨체스터 시티 FC/현역]][[분류:크로아티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오스트리아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우승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중앙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