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대한민국의 하천)] ||<-2> {{{+2 '''만경강'''}}} [br] '''萬頃江''' | '''Mangyeong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만경강 낚시.jpg|width=100%]]}}}|| || {{{#fff '''발원지'''}}} ||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사봉리 원등산 밤샘 || || {{{#fff '''하구'''}}} || 신시배수갑문 || || {{{#fff '''수계'''}}} || 만경강 수계 || || {{{#fff '''유로연장'''}}} || 77.40 km || || {{{#fff '''유역면적'''}}} || 1,527 km² || [목차] [[분류:전라북도의 강]] == 개요 == [[파일:만경강 느시.jpg]] [[전라북도]] 북부를 남서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유로연장 77.40km, 유역면적 1,527㎢이다. 남한의 국가하천 중 본류 기준, 유로연장 면에서는 129.50km의 [[영산강]]에 이어 6번째, 유역면적은 [[안성천]]과 [[삽교천]]에 이어 8번째이다. == 특징 == [[금강]], [[동진강]] 등과 함께 [[호남평야]]의 중앙을 서쪽으로 흐른다. 전라북도 [[완주군]] 원정산(遠灯山)에서 발원하여 [[전주천]](全州川) 등의 지류를 합하고 [[전주시]]와 완주군의 경계를 지나며 그 연안에 좁은 충적지를 형성한다. 그 다음으로는 [[익산시]]와 [[김제시]] 사이를 흘러 황해로 흘러든다. 예로부터 관개와 주운(舟運)에 이용되어 왔으며, 하구에서 대장촌(大場村)[* 현재의 [[익산시]] 춘포면이다.]까지 항행하였고 그 사이에 신환포(新煥浦:김제), 목천포(木川浦:익산), 사천리(沙川里:익산) 등의 선착장이 있어 추수기에 많이 이용되었다. 유역에는 [[완주군]],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등이 위치하며 이 강의 위로 [[호남선]] 철도와 [[전라선]] 철도, [[호남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익산장수고속도로]]가 가로질러 지나간다. 전북지역의 숙원 사업이자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 중인 [[새만금]]의 '만'이 만경강의 만에서 따온 것이다. === 지류 === * 수만천 * 용연천 * 대아천 * 운문천 *시랑천 * 고산천 *용학천 *구룡천 *우산천 *천호천 *주지천 *[[소양천]] *아중천 *[[전주천]] *[[삼천]] *중복천 *덕적천 *독배천 *광곡천 *계월천 *건산천 *산성천 *수원천 *석탑천 *조촌천 *익산천 *왕궁천 *마산천 *목천포천 *용암천 *탑천 *오산천 *기양천 *고척천 == 기타 == 전쟁으로 이기적으로 변해버린 어른들의 모습과 대비되는 순수한 아이들을 그린 소설인 [[기억 속의 들꽃]]의 배경이기도 하다. [[새만금 방조제]]로 인해 [[황해]]로 흐르지 않고 새만금호로 흘러가게 되었다. 하지만 인공수로를 만들어 방조제 갑문까지 강을 연장할 계획이며, 건설이 진행 중이다. [[분류:전라북도의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