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26]]]]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690호 ||<|2> ← || '''691 - 1 ~ 8호''' ||<|2> → || 692호 || || 김 골롬바와 아녜스 자매 석고상 ||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당진 소난지도 의병총 ||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91길 2([[망우동]])[* 정확히는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과 걸쳐져 있으며, 망우동 관할 구역은 이 산의 서쪽이다.]에 위치한 종합장사시설이다. 산으로서의 명칭은 '[[망우산]]'이며, 정상구간의 높이는 282m. '공동묘지'라는 이름이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 망우리공원으로 개칭된 후 다시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개칭되었다. 한마디로 '''추모공원'''이다. [[서울시설공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장례식장은 물론 공동묘지가 한 곳에 위치해있다. 다만 다른 추모공원들과 다르게 [[화장장]], [[봉안당]]은 없다.[* 과거 서울의 화장장은 [[서대문구]] [[홍제동(서울)|홍제동]] [[고은초등학교]]에 있었다.(지금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으로 이전. 흔히 말하는 '벽제 화장터'가 바로 이 곳이다.) 그리고 이때 당시는 대한민국 국민들 절대다수가 [[매장]]을 자유롭게 했기 때문에 정말 극빈층들이나 [[화장(장례)|화장]]을 했기에 서울 시내에 봉안당은 있을 수 없었다.] == 역사 == 전통적으로 서울의 [[공동묘지]] 역할을 톡톡히 해 왔다. 1933년 2월 2일에 미아리 공동묘지가 조만간 매장 종료될 것에 대비해 경기도 양주 망우리 임야 700,000평을 경성부의 공동묘지로 결정했고, 1933년 5월 27일에 망우리 [[묘지]]가 개원했다. 1973년 3월 25일에 망우리 공동묘지에 28,500여기의 분묘가 가득차 더 이상 묘지 쓰는 것이 금지되었고, 1973년 5월에는 매장이 종료되었다. 망우리 공동묘지의 전성기 때는 지금의 경기도 [[구리시]] 망우리고개(딸기원 주변)까지 무덤이 들어차 있었으나 지속적인 이장을 추진해 현재는 과거에 비해 범위가 많이 축소되었다. 이후 망우리 공동묘지는 이장과 정비를 통해 망우역사문화공원으로 조성되었다. 2013년에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별도로 여긴 과거 독립운동가들의 사망 후 장지로 쓰인 일이 많았으며, [[한용운]], [[방정환]], [[이중섭]] 등 유명인들이 묻혀 있다. 특히 방정환의 경우, 현재 [[어린이날]] 관련 행사로 찾는 일이 많아졌다(주로 어린이날 당일, 방정환을 추모하기 위해 찾는다). 이런 독립유공자들의 묘소를 관리하는 봉사활동도 있으니 관심 있으면 참여해보는 것도 좋다. 2020년 이후로는 기존 주차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기념관을 준공하는 중이며 2022년 4월 1일에 개관했다. == 망우리공원에 묻힌 인물들 == * [[오세창]] : 독립유공자 * 문일평 : 독립유공자 * [[방정환]] : 독립유공자 * 오기만 : 독립유공자 * [[서광조]] : 독립유공자 * [[서동일]] : 독립유공자 * 오재영 : 독립유공자 * 유상규 : 독립유공자[* [[문화재청]]에서는 오세창부터 유상규의 묘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691 - 1호부터 8호까지 지정했다.] * [[박인환(시인)|박인환]] : 시인 * [[안창호]]: 독립유공자. [[도산공원]]으로 이장되어 가묘만 남아 있다. 안창호가 자신을 망우리공원에 있는 유상규의 무덤 옆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기 때문에 가묘를 보존하고 있다. * [[이중섭]] : 화가. 유해는 절반만 매장되어 있으며, 나머지 절반은 [[일본]]의 처가묘에 합장되었다. * [[장덕수]] * [[조봉암]] : 前 국회부의장 * [[한용운]] : 독립유공자 * [[계용묵]] : 소설가 * [[아사카와 다쿠미]] : 일본인 도예학자 * [[유관순]]: 독립유공자[* [[유홍준]] 교수의 관련글에 따르면 기존 공동묘지의 무덤을 이장할 때 연고가 없는 무덤은 화장한 뒤 망우리에 합동묘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때 이태원 공동묘지에는 2만8000 기의 무연고 묘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안타깝게도 유관순의 묘도 포함되어 있었다. 유관순의 부모님은 아우네장터 만세운동 때 사망하였고 유관순에게는 당연히 후손이 없었기 때문이다.] === 공원묘지 === 총 50,000구의 시신이 매장 가능한 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나, 1980년 분양이 완료되어 현재는 추가적인 매장이 불가능하다. 다만, 개장 또는 이장[* 기존에 매장되어 있던 시신을 다른 곳에 옮겨 매장하거나, 유골을 화장하여 처리하는 것.]하여 빈 자리가 생길 경우 분양할 수 있다.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인해 최초 매장 후 15년 간, 10년 씩 3회에 한하여 연장이 가능하다.[* 즉, 최장 45년 간 매장이 가능하다. 이후에는 이장하거나 화장하여야 한다. 기한 다 될때까지 유족이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관할 지자체에서 관보나 인터넷 사이트에 분묘 개장 공고를 올리고, 이후 기한에 따라 직권으로 화장해 버린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경춘로]] 경유노선인 [[구리 버스 6-2|6-2]], [[경기광주 버스 30|30]], [[구리 버스 51|51]], [[남양주 버스 65|65]], [[남양주 버스 88|88]], [[남양주 버스 165|165]], [[남양주 버스 166|166]], [[남양주 버스 166-1|166-1]], [[남양주 버스 170|170]], [[서울 버스 201|201]], [[남양주 버스 202|202]], [[남양주 버스 330번대|330-1]], [[가평 버스 1330-2|1330-2]], [[가평 버스 1330-3|1330-3]], [[가평 버스 1330-4, -44|1330-4, 1330-44]], [[가평 버스 8005|8005]]를 이용하여 딸기원 정류장에서 하차 후 금란교회 방면으로 가면 진입로가 있다. 특히 6-2번, 51번 이용 시 가변 정류장[* 이 노선이 정차하는 딸기원 정류장은 딸기원서문으로, 남일주유소 근처에 있으며, 현재는 딸기원과 동부제일병원 사이에 정류장이 추가된 터라 굳이 딸기원이나 동부제일병원에서 내리지 않아도 된다. 단, 이 정류장 정차 노선은 65, 201, 202, 165, 166-1번만 정차한다.]으로 다니므로, 좀 더 가깝게 하차 가능. 아니면 동부제일병원 정류장에서 내린 뒤 구리 방면으로 걸어가도 된다(청량리역에서 찾아가는 기준). 이 외에 용마랜드 뒷편으로도 진입로가 있고, [[서일대학교]] 뒷편[* 정확히는 [[경성여객]] 본사 뒷편. 다만, 용마랜드 뒷편길은 진입하는 데에 있어선 불편하다.]으로도 진입로가 있어 이쪽으로 연계하는 노선인 [[서울 버스 2227|2227번]], [[서울 버스 242|242번]](둘 다 삼용사입구 하차)과 [[서울 버스 271|271번]], [[서울 버스 1213|1213번]], [[서울 버스 2013|2013번]], [[서울 버스 2230|2230번]], [[서울 버스 중랑02|중랑02번]](용마문화복지센터/경성여객 종점 하차)[* 중랑02번은 마을버스라 여기가 '서일대' 정류장으로 표기. 그리고 시내버스랑 달리 서일대 정류장에서 내릴 필요없이 기.종점인 진로아파트에서 내리면 된다.] 등을 이용해서도 찾아갈 수 있다. === 지하철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원역(중앙선)|양원역]][* 2번 출구에서 망우리공원까지 1.3km(20분 거리)이다. 현재는 여기로 쉽게 갈 수 있게끔 육교도 조성했으며, 이 육교는 차량통행도 가능하다.] == 기타 == 근처에 [[용마랜드|용마공원]]이 있다. 당연히 용마공원은 공동묘지가 아니라 그냥 평범한 공원에 놀이동산까지 딸렸던 폐장된 공원이다. [[아차산]]에서 [[용마산]]으로 가는 방면에서 [[양원역(중앙선)|양원역]]방면으로 갈시 이곳을 거치게 된다. 즉, 여기랑 용마산, 아차산은 서로 연계가 되므로 서울에선 2010년대 이후 둘레길로 조성했다. 과거에는 용마산에서 망우산 일대까지 아차산으로 불렀을 정도로 세 산은 일체성이 강하다. 현재도 구리시 쪽에서는 망우산, 용마산을 아울러 아차산이라고 자주 부른다. 망우역사문화공원 동편 끝 구리시 교문1동 망우고개 쪽에는 달동네인 [[https://zomzom.tistory.com/3782|딸기원]]과 [[https://zomzom.tistory.com/3774|상덕마을]]이 있다. 망우역사문화공원 부지에 포함되지 않은 묘지가 산재해 있는 공동묘지 옆 달동네로, 빈민들이 망우리 공동묘지 옆에 판자집을 짓고 살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도 망우산(망우역사문화공원)이 공개되었다. [[분류:서울특별시의 무덤]][[분류:서울특별시의 공원]][[분류:중랑구]][[분류:서울 미래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