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width=30]] {{{#000000 '''[[메르세데스-벤츠|{{{#000000 메르세데스-벤츠}}}]]의 준대형 SUV 라인업'''}}} ||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000000 M클래스}}}]]''' ||→ ||<#000000> {{{#ffffff '''GLE'''}}} || → || '''현재''' || || [[메르세데스-벤츠|[[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width=7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4-mercedes-benz-gle-class.jpg|width=100%]]}}} || || [[파일:glelogo.jpg|width=3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xhlodegsp23bidvdrui.jpg|width=100%]]}}} || || [[파일:glecoupelogo.jpg|width=85]] || [목차] '''Mercedes-Benz G'''eländewagen '''L'''eicht ''' E ''' == 개요 ==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메르세데스-벤츠]]의 [[준대형차|준대형]] [[SUV]]이다.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M클래스]] 시절부터 [[메르세데스-벤츠|벤츠]]가 [[미국]] [[앨라배마]] 주 [[터스컬루사]]에 세운 현지공장에서 생산된다. 원래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M클래스]]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3세대 전기형까지 사용했으나, 2016년 [[메르세데스-벤츠|벤츠]]의 네이밍 개편 정책에 따라 3세대 모델의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며 후기형부터는 이름을 메르세데스-벤츠 GLE로 변경했다. == 역사 == === 1~2세대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3세대 (W166/C292, 2011~2019) === ==== 전기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문단=2.3)] ==== 후기형 ==== ||[[파일:external/www.topgear.com/beh_8994.jpg|width=100%]]||[[파일:2016-05-28 13;35;10.jpg|width=100%]]|| || GLE || GLE 쿠페 || [[메르세데스-벤츠|벤츠]]의 네이밍 정책 변경에 따라 3세대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M클래스]]가 2015년에 [[페이스리프트]]되면서 GLE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와 동시에 전면부는 [[메르세데스-벤츠 GLC|X253 GLC]]에 먼저 적용된 [[메르세데스-벤츠|벤츠]]의 새로운 디자인을 채용했으며, 후면부는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9세대|W212 E클래스]] 후기형 모델과 유사한 테일램프가 적용되었다. 또한 [[BMW X6]]를 의식해서인지 쿠페 모델도 같이 선보였으며, 측면을 가로지르는 라인은 W205 C클래스/W221 S클래스와 흡사하다. 대한민국에는 2016년 초에 출시되었고, 디젤 엔진 2종과 AMG 라인업을 수입 판매한다. 2.2L 디젤 엔진이 들어가는 GLE 250d가 8,470만원, 3.0L 디젤 엔진이 들어간 GLE 350d가 9,580만원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고성능 모델 557마력의 AMG GLE 63은 1억 5,400만원이고 제로백은 4.3초이며[* [[BMW M5]]와 제로백이 같다.], 최고성능 585마력의 AMG GLE 63 S는 1억 7,200만원이며 제로백은 4.2초다.[* [[BMW]]의 [[BMW M6|M6]], [[BMW X6 M|X6 M]]과 제로백이 같다.] 2016년 11월에 대한민국에 쿠페가 출시되었다. 미국에서는 가솔린 모델인[* 미국에서는 모든 디젤 벤츠들을 도태시켜 2016년 기준으로 더 이상 디젤 벤츠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공사작업이나 앰뷸런스 등으로 쓰이는 [[LCV]]인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스프린터]]는 제외. 다만 중고 시장에서는 아직도 수많은 디젤 벤츠들을 구입할 수 있다.] GLE350[* 최하 트림으로 3.5L V6 (9세대 E클래스 엔진) 을 장착했다.]을 시작으로 AMG GLE 43, AMG GLE 63, AMG GLE 63 S 그리고 AMG GLE 63 쿠페, AMG GLE 63 S 쿠페를 구입할 수 있다. 가격은 GLE350이 현재 환산 기준으로 6,100만원에 시작해 AMG GLE 43이 7,900만원, 그리고 AMG GLE 63 S 쿠페가 1억 3천만원이다. 새로 만든차가 아니라 3세대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M클래스]]의 페이스리프트이기 때문에 코드명 W166으로 동일하며, 실내가 ML과 달라진 게 거의 없다. 4세대 C클래스(W205)나 GLC는 물론 승합차겸 짐차인 V클래스에도 적용되는 호평받은 새 인테리어가 아니라 올드한 구형 인테리어다. 미국에서 수입한 덕분에 FTA 혜택을 받아 GLS처럼 쿠페 한정으로 후면 방향지시등이 빨간색으로 점등된다. 4세대 쿠페는 유럽형이 들어온다. [[쥬라기 월드]]에서 GLE 쿠페가 선공개되기도 했었다.[[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805010002317|#]] === 4세대 (W167/V167/C293, 2019~현재) === [[파일:paris-gle.jpg|width=100%]] 2018년 10월 파리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전 모델과 달리 자체 플랫폼을 사용했으며, 외관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10세대|W213 E클래스]]나 [[메르세데스-벤츠 CLS|3세대 CLS]] 등과 같은 [[메르세데스-벤츠|벤츠]]의 패밀리룩을 따라 디자인 되었는데, 특히 옆모습과 뒷모습에 대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 인테리어는 첨단 기술과 고급화에 공을 들이고 차세대 인터페이스를 적용해 W222 S클래스나 W213 E클래스처럼 유려하고 고급스럽게 디자인했다. 유기압 서스펜션과 하부 카메라를 통해 댐퍼 조절을 하는 능동형 지형반응 시스템 E 액티브 바디 컨트롤, 험로 주파성을 높인 신형 4MATIC, MBUX UI,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 등의 사양들이 대거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은 255마력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 367마력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 245마력 직렬 4기통 디젤 엔진과 280마력 직렬 6기통 디젤 엔진 라인업으로, 가솔린/디젤의 6기통에는 전기모터가 결합된 마일드 하이브리드 방식이며, 4기통/6기통 모두 9G TRONIC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다.[* 4기통에는 350de를 제외하고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적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e액티브 바디 컨트롤도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19년 3월 서울모터쇼에서 GLE 450 4MATIC이 공개되었고 GLE 300 d를 필두로 6월 내 출시를 목표로 인증과정을 거치고 있다. 다만 환경부의 인증 절차가 까다로워져 예정일보다 늦은 9월 3일 출시되었다. 대한민국 출시 초기에는 에어매틱 서스펜션만 적용되고 파노라믹 썬루프가 제외됐으며, 자율주행과 스마트 미러링이 포함된 스마트폰 연동 시스템은 옵션으로 선택해야 하는데 이 문제로 인해 사전계약자들을 포함한 구매 예정자 사이에서 불만이 터졌다. 300 d와 450 가솔린이 출시되었으며 각각 9,030만 원, 1억 1,050만 원. 이후 437마력 I6 3.0L 가솔린 터보 엔진에 EQ 부스트가 장착된 AMG GLE 53이 공개되었고, 2020년 2월에는 AMG GLE 63과 AMG GLE 63 S가 공개되었다. [[파일:benz gle coupe.jpg|width=100%]] 2019년 8월에는 GLE 쿠페(C293)가 공개되었다. 2020년 5월부터 국내에 20년형 GLE 300 d와 GLE 450이 판매되며 초기 판매분에서 지적되던 파노라믹 썬루프가 기본 적용되며 드라이빙 어시스턴트 패키지를 450에서 기본 장착하고 후석 시트 추가와 E 액티브 바디컨트롤(옵션가 1,330만원)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게 개선했다. 가격은 기존보다 상승해 300 d는 9,270만원, 450은 1억 1,660만원에 판매한다. 이후 400 d(쿠페 한정), 53 AMG, 350 e도 들여왔다. || [[파일:2024-mercedes-benz-gle-class.jpg|width=100%]] || [[파일:2024-mercedes-benz-gle-class (1).jpg|width=100%]] || ||<-2> GLE || || [[파일:ixhlodegsp23bidvdrui.jpg|width=100%]] || [[파일:e3bkbaizsg2wcyvg1wow.jpg|width=100%]] || ||<-2> GLE 쿠페 || [[파일:Mercedes-AMG V167/C293 Facelift.jpg]] 2023년 1월 31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외관상 헤드램프, 테일램프, 범퍼 디자인을 소소하게 변경하고 인테리어는 최신형 스티어링 휠이 적용되었다. [[MBUX]] 2세대가 적용됐으며, 오프로드 기능을 보강하고 트레일링 어시스트 기능에 후진 조향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추가됐다. 모든 가솔린/디젤 엔진 라인업에 통합 스타터 제너레이터가 포함된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EQ Boost]])가 탑재된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3년 8월 28일부터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판매를 시작했다. 가격은 1억 1,300만~1억 6,060만원부터 시작한다. ==== 라인업 ==== ||<-3> {{{#000000 '''{{{+1 GLE}}}'''/(4세대)}}} || || {{{#ffffff '''생산지'''}}} ||<-2>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앨라배마]] 주 [[터스컬루사]] 밴스 || || {{{#ffffff '''생산 기간'''}}} ||<-2> 2019 ~ 현재 || || {{{#ffffff '''구분'''}}} || '''SUV''' || '''쿠페''' || || {{{#ffffff '''차량형태'''}}} ||<-2> 5도어 준대형 SUV || || {{{#ffffff '''승차인원'''}}} || 5명/7명 || 5명 || || {{{#ffffff '''전장'''(mm)}}} || 4,930 || 4,945 || || {{{#ffffff '''전폭'''(mm)}}} || 2,010 ~ 2,020 || 2,015 || || {{{#ffffff '''전고'''(mm)}}} || 1,780 || 1,715 || || {{{#ffffff '''축거'''(mm)}}} || 2,995 || 2,935 || || {{{#ffffff '''공차중량'''}}} || kg || kg || || {{{#ffffff '''플랫폼'''}}} ||<-2> [[메르세데스-벤츠 MHA 플랫폼|MHA2 플랫폼]] || || {{{#ffffff '''구동방식'''}}} ||<-2> [[FR(자동차)|앞엔진-뒷바퀴굴림(FR)]][br][[4WD|앞엔진-4바퀴굴림(F4)]] || || {{{#ffffff '''전륜 현가장치'''}}} ||<-3>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기반 멀티링크 || || {{{#ffffff '''후륜 현가장치'''}}} ||<-4> [[멀티링크 서스펜션]] || 세부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국내 판매 모델은 '''볼드체'''로 표기했다. ||<-6> '''가솔린 모델''' || || 트림명 || 엔진종류/형식 || 과급기 || 배기량 || 마력 || 가속력 (0-100 km/h) || || GLE 350 4MATIC || M264 I4 || 싱글터보 || 1,991 cc || 258 PS || 7.1 초 || || '''GLE 450 4MATIC''' || M256 I6 + [[EQ 부스트]] || 싱글터보 || 2,999 cc || 367 PS || 5.7 초 || || GLE 580 4MATIC || M177 V8 + [[EQ 부스트]] || 트윈터보 || 3,982 cc || 489 PS || 4.9 초 || || '''AMG GLE 53 4MATIC+''' || M256 I6 + [[EQ 부스트]] || 싱글터보 || 2,999 cc || 437 PS || 5.3 초 || || AMG GLE 63 4MATIC+ || M177 V8 + [[EQ 부스트]] || 트윈터보 ||<|2> 3,982 cc || 571 PS || 4.0 초 || || '''AMG GLE 63 S 4MATIC+'''[*쿠페] || M177 V8 + [[EQ 부스트]] || 트윈터보 || 612 PS || 3.8 초 || ||<-6> '''디젤 모델''' || || 트림명 || 엔진종류/형식 || 과급기 || 배기량 || 마력 || 가속력 (0-100 km/h) || || '''GLE 300 d 4MATIC''' || OM 654 M I4 + [[EQ 부스트]] || 트윈터보 || 1,993 cc || 272 PS || 6.8 초 || || GLE 350 d 4MATIC || OM 656 I6 || 싱글터보 ||<|2> 2,925 cc || 272 PS || 6.9 초 || || '''GLE 400 d 4MATIC''' || OM 656 I6 || 트윈터보 || 330 PS || 5.8 초 || ||<-6> '''하이브리드 모델''' || || 트림명 || 엔진종류/형식 || 과급기 || 배기량 || 마력 || 가속력 (0-100 km/h) || || '''GLE 350 e 4MATIC''' || M274 I4 + EQ 파워 || 싱글터보 || 1,991 cc || 333 PS || 6.9 초 || || '''AMG GLE 53 4MATIC+ Plug in Hybrid''' || M256 I6 + EQ 파워 || 싱글터보 || 2,999 cc || 536 PS || 4.6 초 || || GLE 350 de 4MATIC || OM 654 I4 + EQ 파워 || 싱글터보 || 1,950 cc || 320 PS || 6.8 초 || == 여담 == * [[https://en.wikipedia.org/wiki/Mercedes-Benz_M-Class|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M클래스와 GLE 모두 M클래스 문서에서 서술하고 있다. == 미디어 == === 영화 === * [[쥬라기 월드]]에서 3세대 후기형 GLE 쿠페가 나온다 === 드라마 === * [[이태원 클라쓰]]에서 최승권([[류경수]]) 차량으로 4세대 GLE 450 나오지만 마지막화에서 충돌로 파손된다. == 경쟁 차량 == * [[BMW]] - [[BMW X5|X5]], [[BMW X6|X6]] * [[아우디]] - [[아우디 Q7|Q7]], [[아우디 Q8|Q8]] * [[포르쉐]] - [[포르쉐 카이엔|카이엔]] * [[렉서스]] - [[렉서스 RX|RX]], [[렉서스 TX|TX]] * [[아큐라]] - [[아큐라 MDX|MDX]] * [[인피니티(자동차)|인피니티]] - [[인피니티 QX60|QX60]] *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 - [[제네시스 GV80|GV80]], [[제네시스 GV80 쿠페|GV80 쿠페]] * [[링컨(자동차)|링컨]] - [[링컨 에비에이터|에비에이터]] * [[캐딜락]] - [[캐딜락 XT6|XT6]] * [[마세라티]] - [[마세라티 르반떼|르반떼]] * [[랜드로버]] - [[랜드로버 디스커버리|디스커버리]],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스포츠|레인지로버 스포츠]] * [[볼보]] - [[볼보 XC90|XC90]] == 둘러보기 == [include(틀:메르세데스-벤츠의 차량)] [[분류:메르세데스-벤츠/생산차량]][[분류:준대형 SUV]][[분류:SAC]][[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201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