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국경하천]][[분류:국제하천]][[분류:라오스의 강]][[분류:태국의 강]][[분류:중국의 강]][[분류:캄보디아의 강]][[분류:베트남의 강]][[분류:미얀마의 강]][[분류:태국-미얀마 관계]][[분류:태국-캄보디아 관계]][[분류:화폐의 도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메이플스토리2의 별명인 메콩, rd1=메이플스토리2)] [include(틀:수권 - 강)] ||<-2> {{{+2 '''메콩 강'''}}} [br] '''Mekong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콩강.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메콩 강 마을.jpg]] [[티베트 고원]]에서부터 시작하여 [[인도차이나 반도]]까지 길게 뻗은 강이다. 중국과 동남아를 합쳐 자그마치 여섯 나라에 걸쳐있는 거대한 강으로, [[라오스]], [[태국]],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미얀마]] 순으로 유역 면적을 나눠서 가지고 있다. 길이는 4,350km, 유역 면적은 80만여km²로 [[동남아시아]] 내륙에서 가장 큰 강이며, 세계에서 열두 번째로 길고, 열 번째로 유수량이 많다. 흔히 알려진 '메콩 강'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이 강을 가리키는 [[태국어]]와 [[라오어]] 명칭인 매남 콩(แม่น้ำโขง/ແມ່ນ້ຳຂອງ)으로 '매남’은 '강'을 뜻하고, '콩'은 '메콩 강'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이다. ‘매남’을 한 층 더 분석하자면 ‘남’은 물, ‘매’는 어머니를 뜻하는데 직역하자면 ‘물의 어머니’라는 뜻으로, 태국어에서 강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이다. 그러니까 '메남콩'이란 그냥 '콩 강’이라는 뜻. [youtube(b9wHvSyuL_I,width=640,height=380)] == 특징 == || [[파일:thfjddkhgklhfjktrddjfjtku.jpg|width=75%]] || [youtube(bEtOyklqJzw)] || || 메콩강의 수로. || 메콩강 삼각주의 변천사. || 메콩 강 하류의 [[삼각주]] 지역은 땅이 기름져 세계 최고의 곡창 지대로 알려졌다. 메콩 강 유역에는 다리, [[비엔티안]], 콘깬, [[프놈펜]], [[껀터]] 등의 도시가 있는데 이 때문에 오염 문제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너무 무리한 개발 때문에 메콩 강 중하류에 있는 [[인도차이나 반도]] 국가들이 겪는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한다. 매년 가을에는 밤에 호수 위로 나오는 폭죽 같은 불이 수면 위로 올라온다. [[태국]] 전설에 따르면 강 밑바닥에 사는 뱀신 [[나가(인도 신화)|나가]]가 내뿜는 불이라고 한다.[* [[태국]]의 [[불교]]는 [[힌두교]] 및 원시종교, 그리고 [[도교]]와 [[짬뽕(동음이의어)#s-2|짬뽕]]되어 관련 설화가 많다.] 이는 [[태국어]]로는 บั้งไฟพญานาค(방파이 파야낙), 또는 나가 화염구(Naga fireball), 메콩 라이트(Mekong light)라고 불리며,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학자들 사이에서는 강바닥의 [[도깨비불|인산이 올라오는 것]]으로 추정하거나 강 밑에 사는 [[물고기]]가 내는 불빛으로 추정한다. 한편 회의론자들은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조작이라고 주장하며, 나가 파이어볼 축제가 벌어질 때 슬쩍 배를 타고 나가 보니 강 반대편에서 [[https://youtu.be/Rm979kybGUY|예광탄을 쏘는 군인들(...)]]을 목격했다고 한다. 다만 해당 지역에는 오래된 관련 구전설화도 있는 만큼 유래 자체는 드물게 일어나는 실제 자연현상일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메콩 강 유역은 [[코친차이나]]쪽 하류 부분이 전부인데, 원래는 여태껏 캄보디아 [[크메르 왕국]]과 [[참파]]의 땅이었던 것을 17세기에 베트남([[응우옌 왕조]])이 빼앗은 것이다. 2020년 기준으로 현재 [[중국]]이 메콩강 상류에 위치한 자국 영토에 총 11개의 댐을 건설하여, 인도차이나의 여러 국가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14&aid=0004447132|#]]. 중국은 8개의 댐을 더 건설할 예정이다. 이 때문에 메콩강의 수위가 기존 평균 7m에서 현재 2m까지 줄어들어 중하류에서 관련 농어업으로 먹고사는 동남아 인접국가의 주민들이 큰 피해를 받는 등 국제분쟁으로 비화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s-4.4|중국의 자연유산]]으로 등록된 [[윈난성]]을 흐르는 세 강 중 하나이다.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을 흘러서 오염이 심각하지만 어류 생태계가 매우 풍부하다. [[파일:2f680058334sd.gif]] 무게가 최대 300kg이 넘는 메콩자이언트메기(Mekong giant catfish)[* 초식만 하는 메기로 덩치는 아마존 대어들 뺨치게 크지만 강바닥을 뒤지며 수초를 먹도록 진화해 눈이 너무 밑에 달려있어 좀 아둔해 보이는(...) 인상이다.]나 직경이 2m가 넘는, 민물에 사는 물고기 중 최대종인 자이언트민물가오리(giant freshwater stingray) 같은 괴물 대어들이 활보하는 생태계이기도 하다.[* 흔히 러시아의 [[큰철갑상어|벨루가 철갑상어]]가 민물고기 최대종으로 알려져있으나 해당종은 대부분 바다에서 살고 번식기 같은 일부 시기만 민물로 올라오는 종이라 완전한 민물고기 중에서는 민물가오리가 가장 크다.] 민물고기 800여 종이 넘게 서식하여, [[아마조니아]]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생물다양성이 광대하다. [[중국]], [[태국]], [[라오스]], [[베트남]] 일대에서 어업 관련 종사하는 각국 주민의 수를 모조리 합치면 무려 4천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 그야말로 동남아시아를 먹여 살리는 강인 셈. == 메콩강 하류 수량 감소 == [youtube(dV0igIboAnQ)] [youtube(Jw11anT9Rmo)] 메콩 강에 댐들이 들어서면서 하류의 수량 감소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부 지류에서는 가뭄으로 강바닥이 드러났다. 강물이 줄면서 밀물 때 짠 바닷물이 내륙까지 들어와 농사를 망치는 곳도 많아지고 있다. 메콩 강 하류에 해수가 밀려오고 물고기의 이동이 끊기자 메콩 강 유역 주민들의 주된 수입원인 수산자원도 크게 줄었다. 강의 상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에서 댐을 닥치는대로 지어대면서 하류에 위치한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이 물부족이 심화된다며 중국에 항의하고 미국도 이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중이어서 국제분쟁화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4&aid=0004471128|#]] 그리고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77123?sid=104|미국이 1,816억원을 지원하면서 메콩강 유역 국가들과의 협력을 확대·격상하기로 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70446|2023년 5월 상황]] == 탈북자들의 최종코스 == 이렇듯 동남아에선 매우 중요한 강이지만, 태국을 최종 목적지로 해 [[북한]]을 탈북하는 [[탈북자]]들에게 이 메콩 강은 최종 난관이다. 북에서 탈북하기 위한 코스는 북한 국경에서 한국인or중국인 브로커를 만나 중국-미얀마-라오스-태국 순으로 넘어가는데, 중국에서 태국으로 넘어가기 위해 이 메콩 강을 넘는 코스가 반 필수다. 유속이 빠르고 수심이 깊기 때문에 막 넘어갈 수 없으며, 보통을 나룻배를 타고 건너간다. 이 나룻배가 많아야 두세명이 탈 수 있는 공간인데, 이곳에 탈북하려고 온 사람 열댓명을[* 한두 명씩 [[탈북]]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 국경을 넘어오면 중국에 모여서 팀을 구성해 함께 탈북한다고 한다. 이유는 [[자본주의|한 명씩만 데리고 가면 돈벌이가 안 되기 때문이라고.]]] [[과적|꾸역꾸역 집어넣고 건너게 한다]]. 배가 가라앉는것은 고사하고 잘못 움직이면 빠지거나 배가 뒤집힐 수도 있어 위험하다.[[https://youtu.be/XNGLosYo06U|관련 영상]] === 메콩 강의 악어? === 메콩 강은 나룻배를 타고 지나가야 하는데, 일부 브로커들은 메콩 강에 [[악어]]가 살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주장하며, 특히 피 냄새를 맡기 때문에 상처가 난 사람이나 생리를 하는 여자가 있으면 자수를 하라고 하며 추가 요금을 받는다고 한다. '''문제는 메콩 강은 악어가 살만한 환경이 아니라는 것.''' 메콩 강은 악어가 잠복하고 있다가 사냥감을 챌 수 있을 만큼 유속이 느리지 않아 적합한 사냥감이 없고, 바닥이 단단하지 않고 쉽게 풀어져 몸을 지탱하고 있을 공간이 없어 [[바다악어]]쯤 되는 고중량 악어가 아닌 이상 썩 적합한 환경이 아니다. 즉, '''추가요금을 뜯어내기 위한 사기'''라는 것이다. 악어가 없다 해도 어쨌든 물살이 빨라 그냥 건너가는건 힘드니 어떻게든 나룻배를 타고 가야 하는데다, 팀원중에 그런 사람이 있는걸 알아냈는데 추가요금을 내지 않으면 [[철면피|나룻배를 태워주지 않고 앉아서 버틴다고 한다.]] 가뜩이나 자금에 쪼들리는 탈북민들은 그야말로 죽을맛이다. == 관련 기사 == [[http://naver.me/GbTvqQe7|[콕콕 세상돋보기] 메콩 강의 꽃 '까이랑 수상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