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명탐정 코난)] [목차]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해외 공개/한국어판 회차 목록|회차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해외 공개/한국어판 회차 목록)] == 미국 == [[파일:attachment/case_closed.jpg]] 유튜브 등지나 일본내에서는 Detective Conan이라는 직역제목을 쓰지만 미국의 [[http://www.amazon.com/dp/1591163277|정발판]] 등에서는 Case Closed(사건 종결)라는 제목을 쓴다. Detective Conan이 아닌 이유는 [[로버트 E. 하워드]]의 소설 [[코난(바바리안)|코난 더 바바리안]] 시리즈와의 혼동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이미 공공연한 비밀. 이게 미국 내에서는 거의 신성불가침의 영역으로 추앙받는 작품이다 보니 어쩔수 없는가 보다. [[미국]]에서는 [[카툰 네트워크]]의 성인들을 위한 「[[어덜트 스윔]](Adult Swim)」[* [[릭 앤 모티]], [[로봇 치킨]] 등으로 유명한 채널이다. 그리고 [[크레용 신짱]]도 여기에서 방송이 되었다.] 을 통해 방영되다 시청률이 저조해서 조기 종영 크리를 맞았고, 이후 [[퍼니메이션|FUNimation]]을 통해 DVD로만 발매되고 있다. 단행본은 VIZ media를 통해 꾸준히 나오고 있다. 그리고 극장판은 6기까지 더빙 되었다. 그리고 이름만 로컬라이징 했고 지명은 로컬라이징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등급은 TV-14으로 방송되었으며 북미판 [[크레용 신짱]]처럼 욕설이 꽤 많이 있는 편. 더빙은 확인된 것으로만 100화 중반까지 더빙 된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에피소드들은 [[Bang Zoom! 엔터테인먼트]]에서 더빙방영하며, 극장판을 뱅줌에서 책임지고 있다. 뱅줌이 캘리포니아 계열 업체인 만큼 텍사스 성우들을 유지하지 않고 다른 성우를 기용하여 재더빙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KlAybvEfyUQ|더빙 샘플]] [[https://www.youtube.com/watch?v=kx6IYth2l9Y|구판/신판 더빙 비교]] 그리고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명탐정 코난의 스핀오프 작품들도 영어 더빙이 제공되고 있다. 그외에도 2023년 2월 부터 tubi에서 965화 부터 영어 더빙이 진행되고 있으며 코난, 란, 코고로, 괴도키드는 Bang Zoom!판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나머지는 마이애미에서 활동하는 성우들로 교체되었다.[[https://dubbing.fandom.com/wiki/Case_Closed|#]] === 번안명 비교 === ||원안명||영문판 번안명|| ||[[모리 란]]||레이철 무어(Rachel Moore)|| ||[[모리 코고로]]||리처드 무어(Richard Moore)|| ||[[키사키 에리]]||에바 케이든(Eva Kaden)|| ||[[쿠도 유사쿠]]||부커 쿠도(Booker Kudo)|| ||[[쿠도 유키코]]||비비언 쿠도(Vivian Kudo)|| ||[[아가사 히로시]]||허셜 아가사(Hershel Agasa)|| ||[[하이바라 아이]]||어니타 헤일리(Anita Hailey)|| ||[[코바야시 스미코]]||리즈 포크너(Liz Faulkner)|| ||[[핫토리 헤이지]]||할리 하트웰(Harley Hartwell)|| ||[[토야마 카즈하]]||키어스틴 토머스(Kirsten Thomas)|| ||[[핫토리 헤이조]]||마틴 하트웰(Martin Hartwell)|| ||[[토야마 긴시로]]||토머스 서장(Chief Thomas)|| ||[[오오타키 고로]]||오딘 수사관(Inspector Odin)|| ||[[코지마 겐타]]||조지 카민스키(George Kaminski)|| ||[[요시다 아유미]]||에이미 예이거(Amy Yeager)|| ||[[츠부라야 미츠히코]]||미치 테니슨(Mitch Tennison)|| ||[[스즈키 소노코]]||세리나 서배스천(Serena Sebastian)|| ||[[스즈키 지로키치]]||지로키치 서배스천(Jirokichi Sebastian)|| ||[[메구레 쥬조]]||조지프 머과이어(Joseph Meguire)|| ||[[사토 미와코]]||미와코 시몬(Miwako Simone)|| ||[[다카기 와타루]]||해리 와일더(Harry Wilder)|| ||[[야마무라 미사오]]||매그넘(Magnum)|| ||[[시라토리 닌자부로]]||니컬러스 샌토스(Nicholas Santos)|| ||[[마츠모토 키요나가]]||키요나가 매클로플린(Kiyonaga McLaughlin)|| ||[[요코미조 산고]]||워딩턴(Worthington)|| ||[[쿠도 신이치]]||지미 쿠도(Jimmy Kudo)|| 거의 대부분 원안명의 이니셜을 살려서 로컬라이징 한것이 보인다. 코난은 원래 이름의 유래 때문에 에드거 코넌으로 발음을 거의 유지해도 되어서 번안하지 않았다.[* '에도가와'가 [[에도가와 란포]]에서 따온 이름인데, 그게 또 [[에드거 앨런 포]]에서 따온 필명이다.] == [[독일]] == 독일에서도 방영중이다. 신이치 성우가 코난을 그대로 맡아 굵직한 7살 꼬마의 목소리를 느낄 수 있다.[* 이는다른 어린 캐릭터들도 마찬가지 심지어 [[베이커가의 망령]] 독일어 더빙판에서는 '''남자 아이들의 성우가 전부남자였다.'''] 그 점만 빼면 [[한국]]보다 상황이 나은지도. 자체 제작 주제가가 CD로 발매되기도 하고, 극장판이 성실하게 더빙되어 방영되기도 한다. 참고로 독일에선 명탐정 코난을 '[[권선징악]]'이란 요소 때문에 아이들에게 장려된다고 한다.[* 참고로 한국에선 '''범죄 조장'''이라는 이유로 방영 중지된 적이 있다.] 최근에는 [[순흑의 악몽]]을 개봉했다. == [[대만]] == 제목은 名偵探柯南(ㄇㄧㄥˊ ㄓㄣ ㄊㄢˋ ㄎㄜ ㄋㄢˋ)이다. 1997년 華視[[華視|[[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TS_Logo.png|height=25]]]]에서 방영을 시작해, 2022년 8월에도 방영되고 있다. 방영 시간은 2022년 8월 기준 토요일, 일요일 18:30~19:00. 편성표에 [[파일:GSRR G 로고.svg|width=20]](보편급)가 붙어 있는데, 한국의 모든 연령 시청가와 대응된다. 대만의 TV 방송 심의가 한국보다 굉장히 널널하다는 거다. 각 캐릭터의 [[한자]]를 [[중국어]] 발음으로 더빙한다. 오프닝과 엔딩을 따로 더빙하지 않고, 정체 중국어 자막만 내보낸다. == [[홍콩]] == 홍콩에서는 모든 극장판이 극장에서 상영되었다고 한다. == [[중국]] == 중국에서도 나름 팬덤을 모은 편이었지만 중일관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을때 [[블리치]], [[원피스]]등의 일본 애니메이션 거대 퇴출이 일어났다. 코난 역시 피해갈 수 없었고 중국언론은 명탐정 코난의 폭력성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고 한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2&aid=0000113931|해당 기사]] == 기타 지역 == === 유럽 === 유럽권 중 스페인(2012년 기준 353화 방영)[[https://vimeo.com/696066041|더빙 샘플]][* [[갈리시아어]] 기준 오프닝과 엔딩이 적극 번안되었다. [[https://vimeo.com/577523417|예시]]], 러시아(2004년 기준 353화 방영), 프랑스(2016년 기준 828화 방영)[* 이쪽은 주제가 번안을 [[https://www.youtube.com/watch?v=6u_i5GmROis|1기 오프닝]]과 [[https://www.youtube.com/watch?v=7i1g0RUpQ2I|3기 오프닝]]만 제작해 꽤 오래 우려먹였으나 최근에는 일본판 오프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탈리아(2016년 기준 775화 방영)[* 자체 주제가 사용. [[https://www.youtube.com/watch?app=desktop&v=brRgAXdfOZc|예시]]], 헝가리(2009년 기준 52화 방영) 등에서도 방영하고 있다. ==== 번안명 ==== 유럽 번안명은 일본어의 영문 표기와 조금씩 다를 뿐 거의 비슷하다. === 아시아 === 타이(2015년 기준 755화 방영), 베트남(2010년 기준 100화 방영), 인도네시아(2004년 기준 29화 방영), 아랍권(2005년 기준 404화 방영)에서도 방영되고 있다.(위키백과 기준) ==== 아시아 번안명 ==== ===== 베트남[* 원작의 한자명을 베트남식 한자 발음으로 옮겼다.] ===== ||원안명||베트남어 번안명|| ||쿠도 신이치||Công Đằng Tân Nhất|| ||모리 란||Mao Lợi Lan|| ||모리 코고로||Mao Lợi Tiểu Ngũ Lang|| ||키사키 에리||Phi Anh Lí|| ||쿠도 유사쿠||Công Đằng Ưu Tác|| ||쿠도 유키코||Công Đằng Hữu Hi Tử|| ||아가사 히로시||A Lạp Bác sĩ|| ||하이바라 아이||Khôi Nguyên Ai|| ||[[미야노 시호]]||Cung Dã Chi Bảo|| ||핫토리 헤이지||Phục Bộ Bình Thứ|| ||토야마 카즈하||Viễn Sơn Hòa Diệp|| ||핫토리 헤이조||Phục Bộ Bình Tạng|| ||[[핫토리 시즈카(명탐정 코난)|핫토리 시즈카]]||Phục Bộ Tĩnh Hoa|| ||코지마 겐타||Tiểu Đảo Nguyên Thái|| ||요시다 아유미||Cát Điền Bộ Mĩ|| ||츠부라야 미츠히코||Viên Cốc Quang Ngạn|| ||스즈키 소노코||Linh Mộc Viên Tử|| ||스즈키 지로키치||Linh Mộc Thứ Lang Cát|| ||메구레 쥬조||Mục Mộ Thập Tam|| ||사토 미와코||Tá Đằng Mĩ Hòa Tử|| ||다카기 와타루||Cao Mộc Thiệp|| ||마츠다 진페이||Tùng Điền Trận Bình|| ||시라토리 닌자부로||Bạch Điểu Nhậm Tam Lang|| ||[[치바 카즈노부]]||Thiên Diệp Nhất Thân|| ||[[미야모토 유미]]||Cung Bản Do Mĩ|| ||요코미조 산고||Hoành Câu Sâm Ngộ|| ||[[요코미조 쥬고]]||Hoành Câu Trọng Ngộ|| ||[[아카이 슈이치]]||Xích Tỉnh Tú Nhất|| ||[[미즈나시 레나]](혼도 히데미)||Thủy Vô Liên Nại/Bản Đường Anh Hải|| ||[[혼도 에이스케]]||Bản Đường Anh Hữu|| ||[[오키노 요코]]||Xung Dã Yoko|| ||[[나카모리 긴조]]||Trung Sâm Ngân Tam|| ||[[야마토 칸스케]]||Đại Hòa Cảm Trợ|| ||[[우에하라 유이]]||Thượng Nguyên Do Y|| [[분류: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분류:애니메이션/해외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