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미궁의 십자로]][[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3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명탐정 코난/교토 부]][[분류:쿠도 신이치#blur]] [include(틀: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851a0 3%, #4274b9, #669ad3, #82b4e7)" {{{#e0f1ff '''''{{{+2 ^^{{{#ff0 명탐정}}}^^}}}{{{+5 {{{#!html 코난}}}}}}'' {{{+2 {{{#fff :}}}}}} {{{+2 {{{#!html 미궁}}}}}}{{{#!html 의}}} {{{+2 {{{#!html 십자로}}}}}}''' (2003)[br]''Detective Conan: Crossroad in the Ancient Capital''[br]'''名探偵コナン: 迷宮の[ruby(十字路, ruby=クロスロード)]'''}}}}}}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2290042_843142795860638_2135500158213901943_o.jpg|width=100%]]}}} || ||<-5><^|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원판 메인 포스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궁의 십자로 원판.jpg|width=100%]]}}} ||}}}}}}}}} || ||<-5>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 ||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 || → ||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 || → || [[명탐정 코난: 은빛 날개의 마술사]] || ||<-5> || || '''{{{#e0f1ff 원작}}}''' ||<-4>[[아오야마 고쇼]] || || '''{{{#e0f1ff 감독}}}''' ||<-4>[[코다마 켄지]] || || '''{{{#e0f1ff 부감독}}}''' ||<-4>[[니시모리 아키라]] || || '''{{{#e0f1ff 각본}}}''' ||<-4>코우치 카즈나리(古内一成) || || '''{{{#e0f1ff 음악}}}''' ||<-4>오노 카츠오(大野克夫) || || '''{{{#e0f1ff 주제가}}}''' ||<-4>[[쿠라키 마이]] - [[Time after time 〜花舞う街で〜|Time after time 〜꽃이 흩날리는 거리에서(〜Time after time 〜花舞う街で〜)]] || || '''{{{#e0f1ff 주연}}}''' ||<-4>[[타카야마 미나미]], [[야마자키 와카나]], [[카미야 아키라]], [[야마구치 캇페이]], [[호리카와 료]], [[미야무라 유코]], [[챠후린]], [[오가타 켄이치]], [[이와이 유키코]], [[타카기 와타루]], [[오타니 이쿠에]], [[하야시바라 메구미]] || || '''{{{#e0f1ff 프로듀서}}}''' ||<-4>스와 미치히코(諏訪道彦)[br]요시오카 마사히토(吉岡昌仁) || || '''{{{#e0f1ff 캐릭터 디자인}}}''' ||<-4><|2>[[스도 마사토모]] || || '''{{{#e0f1ff 총작화감독}}}''' || || '''{{{#e0f1ff 작화감독}}}''' ||<-4>야마나카 쥰코(山中純子) || || '''{{{#e0f1ff 액션 작화감독}}}''' ||<-4>시미즈 요시하루(清水義治) || || '''{{{#e0f1ff 미술감독}}}''' ||<-4>시부타니 유키히로(渋谷幸弘) || || '''{{{#e0f1ff 색채설계}}}''' ||<-4>니시 카요코(西香代子) || || '''{{{#e0f1ff 촬영감독}}}''' ||<-4>노무라 타카시(野村隆) || || '''{{{#e0f1ff 편집}}}''' ||<-4>오카다 테루미츠(岡田輝満) || || '''{{{#e0f1ff 음향감독}}}''' ||<-4>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 || '''{{{#e0f1ff 음향효과}}}''' ||<-4>요코야마 마사카즈(横山正和) || || '''{{{#e0f1ff 애니메이션 제작}}}''' ||<-4>[[도쿄 무비]] || || '''{{{#e0f1ff 제작사}}}''' ||<-4>명탐정 코난 [[제작위원회]][br]{{{-3 ([[쇼가쿠칸]], [[요미우리 테레비]], [[닛폰 테레비]],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쇼가쿠칸 프로덕션]], [[도호]], [[TMS 엔터테인먼트]])}}} || || '''{{{#e0f1ff 배급사}}}'''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 || || '''{{{#e0f1ff 개봉일}}}''' ||<-4>[[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3년]] [[4월 19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03년]] [[8월 2일]] || || '''{{{#e0f1ff 국내 첫 방영}}}''' ||<-4>[[2017년]] [[10월 8일]][* OCN에서 방영. 자막판으로 방영되었다.] || || '''{{{#e0f1ff 국내 발매일}}}''' ||<-4>[[2017년]] [[10월 13일]][* VOD 한정 공개] || || '''{{{#e0f1ff 상영 시간}}}''' ||<-4>107분 || || '''{{{#e0f1ff 흥행 성적}}}''' ||<-4>'''32.0억 엔''' || || '''{{{#e0f1ff DVD 매상}}}''' ||<-4>34,539장 (누계)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미궁의 십자로(2003).png]] >'''At last, we are together...''' > '''우리 드디어 만나게 되었네…''' (원화) > '''[[쿠도 신이치]], 오래된 수도의 수수께끼에 도전!?''' (포스터) 오랜 역사를 가진 일본의 옛 수도 '''교토'''를 배경으로 코난이 오사카의 명탐정 '''[[핫토리 헤이지]]'''와 함께 문화재 도굴단과 연관된 연쇄살인을 파헤쳐 간다. 시리즈 '''일곱 번째''' 작품으로서 명탐정 코난 극장판 '''제7기'''. == 제작진 == * 번역: 이선희 == 예고편 == == 시놉시스 == >무대를 전작의 런던에서 일본 역사와 전통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교토로 옮긴 시리즈 7번째 작품. 오사카와 도쿄, 그리고 교토에서 유명한 문화재 도굴단인 '겐지보타루'의 일원들이 연이어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난다. 교토를 방문하고 있던 코난 일행은 그 곳에서 겐지보타루의 소행으로 추측되는 불상 도난 사건을 전해듣고 살인 사건과 연관지어 수사를 시작한다.수사를 위해 고조 다리를 찾은 코난은 그 곳에서 고교생 탐정 헤이지를 만나고, 그와 함께 사건을 조사하기로 하는데... == 줄거리 == [[도쿄]], [[오사카]], [[교토]]에서 [[국보]]를 전문적으로 훔치는 도적단 겐지보타루의 단원이 차례차례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 무렵에 코난 일행은 도둑맞은 불상의 조사를 하려고 [[교토]]를 방문했다. 겐지보타루의 사건을 쫓고 있던 [[핫토리 헤이지]]와 만난 코난은 노인 가면을 쓴 남자에게 습격당하는데…. 그 후에도 계속 범인에게 공격당하는 헤이지, 결국 카즈하까지 유괴당하고... == 등장인물 == === 레귤러 등장인물 === 레귤러 등장인물 중 메인 주인공 혹은 비중 있는 인물은 '''[[볼드체]]''' 처리 각주는 역대 극장판 출연 횟수 * [[에도가와 코난]] 役: [[타카야마 미나미]] / [[김선혜]] [*7회] * [[쿠도 신이치]] 役: [[야마구치 캇페이]] /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7회] * [[모리 란]] 役: [[야마자키 와카나]] / [[이현진(성우)|이현진]] [*7회] * '''[[핫토리 헤이지]]''' 役: [[호리카와 료]] / [[최재호(성우)|최재호]] [*2회] * '''[[토야마 카즈하]]''' 役: [[미야무라 유코]] / [[한신정]] [*2회] * [[모리 코고로]] 役: [[카미야 아키라]] / [[이정구]] [*7회] * [[메구레 쥬조]] 役: [[챠후린]] / [[조동희]] [*7회] * [[시라토리 닌자부로]] (백동훈 형사) 役: [[이노우에 카즈히코]] / [[서윤선]] [*7회] * [[타카기 와타루(명탐정 코난)|타카기 와타루]] 役: [[타카기 와타루]]/[[김광국(성우)|김광국]] [*4회] * [[사토 미와코]] 役: [[유야 아츠코]] / [[한채언]] [*2회] * [[아가사 히로시|아가사 박사]] (브라운 박사) 役: [[오가타 켄이치]] / [[황원]] [*7회] * [[츠부라야 미츠히코]] 役: [[오오타니 이쿠에]] / [[정선혜(성우)|정선혜]] [*7회] * [[요시다 아유미]] 役: [[이와이 유키코]] / [[여민정]] [*7회] * [[코지마 겐타]] 役: [[타카기 와타루]] / [[한인숙]] [*7회] * [[하이바라 아이]] 役: [[하야시바라 메구미]] / [[우정신]] [*5회] * [[스즈키 소노코]] 役: [[마츠이 나오코]] / [[이용신]] [*7회] * [[오오타키 고로]] 役: 와카모토 노리오 / [[이우신]] [*1회] ===# 오리지널 등장인물 #=== 굵은 글씨는 범인, 취소선은 범인의 손에 죽은 피해자. 배경이 [[오사카]], [[교토]], [[도쿄]]였다보니 그 지역에서 태어난 성우들이 많이 캐스팅되었다. 그 중 교토 출생이 가장 많다. [[파일:20211224_1804522.jpg]] * --카메이노 로쿠로 (亀井 六郎/35)-- - [[미토 코조]] / [[김신우]] [[파일:20211224_1803522.jpg]] * --카타오카노 하치로 (片岡 八郎/34)-- - [[미즈우치 키요미츠]] / [[김지율]] [[파일:20211224_1809411.jpg]] * --와시노오노 시치로 (鷲尾 七郎/35)-- - 사토우치 시노부 / [[손수호(성우)|손수호]] 도적단 '겐지보타루'의 멤버들. 3명 다 도쿄 니시쿠니타치시에서 범인에게 살해당한다. 그중에서 하치로는 화살에 맞고, 로쿠로와 시치로는 검에 베여 죽는다. [[파일:20211224_1807455.jpg]] * --비젠노 헤이시로 (備前 平四郎/35)--[* 본편에서는 칼에 찔려 죽을 때의 끄억! 한마디밖에 없고 OVA에서 약간이나마 대사가 있다. 그리고 OVA에서 이름을 비젠 헤이시로 라고 표기했다 OVA에서의 성우는 [[에가와 히사오]].] / [[김신우]] '겐지보타루'의 멤버로 오사카 네야가와시에서 타코야키집을 하고 있다. 범인에게 가슴에 투척검이 꽂혀 사망한다. 핫토리가 중학교 때부터 가게의 단골이었던지라 핫토리와도 친하던 사이로 작중 전 시점을 다루는 OVA '코난과 헤이지와 사라진 소년'에서도 핫토리와 대화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때 책꽂이에 도적단 멤버들의 소유물인 기케이키(더빙판은 한자를 그대로 읽어 의경기)가 꽂혀있는 모습이 나온다.] 이 사람이 범인에게 살해당하는 바람에 핫토리가 범인을 잡아 원수를 갚아주겠다며 사건에 개입한다. [[파일:2021121225255.jpg]] * --스루가노 지로 (駿河 次郎/32)-- '겐지보타루'의 멤버로 교토 히가시야마 구에서 선술집을 하고있었다. 사쿠라를 제외하면 겐지보타루 멤버들 중 마지막으로 살해당했다. 처음부터 시체로만 나오는지라 유일하게 대사가 없다. 살해당한 방법은 장검에 베인거 같다. 겐지보타루 멤버 중 최연소. * 엔카이 (円海) - 이하라 케이스케 / [[최준영(성우)|최준영]] 65세. 산능사의 주지 스님. 류엔과는 달리 모든 게 다 부처님의 뜻이라고 여기는 여유있는 성격. 불상을 되찾고 나서 불상에 씌워진 핫토리의 모자를 보고 집어서 머리에 쓰고는, "그 두 사람, 꼭 요시츠네와 벤케이 같았어."라고 하며 웃는다. 이때 "핫토리 소년과 모리 명탐정 말이죠?"라고 묻는 류엔에게 아직 수행이 부족하다고 한다.[* 말할 것도 없지만 코난과 헤이지를 말한 것이다.] 마지막에 뜻밖의 사실이 밝혀진다(…).[* 후반부에 치카스즈가 자신의 친아버지를 만났으며 그에게 이제 돈을 보내주지 말라고 이야기했다는데, [[모리 코고로]]와 [[시라토리 닌자부로]]가 아버지가 누구냐고 묻는다. 치카는 "비밀입니다."라 하고는 합장하는 제스처를 취하는데, 이 모습에 모리, 아야노코지, 시라토리 세 사람은 경악하더니 주지스님을 떠올리며 '''"그 망할 영감…"'''이라며 이를 간다.] * 류엔 (竜円) - [[나카무라 다이키]] / [[김지율]] 34세. 산능사의 승려. 사찰 민간 공개일을 앞두고 모리 코고로에게 도둑맞은 불상을 찾아달라고 부탁한다. * --사쿠라 쇼조 (桜 正造)-- - 카메이 사부로 / [[김정은(성우)|김정은]] 51세. 겉보기에는 평범한 고미술 상인이지만 사실은 도적단 '겐지보타루'의 멤버.[* 겐지보타루는 미술품 절도를 전문으로 하니 미술상이라는 것부터가 겐지보타루의 멤버인 것을 추측할 수 있는 단서라 봐도 무방.] 도적단 내에서는 이세노 사부로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장물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범인 벤케이는 그가 훔친 불상을 비싸게 팔아치워 줄 것이라고 생각해서 살려두고 있었으나, 이후 인터넷 경매에 내놓기로 마음먹은 벤케이에게 쓸모없다고 판단되어 살해당한다. * 미즈오 슌타로 (水尾 春太郎) - [[유사 코지]] / [[손수호(성우)|손수호]] 33세. 노(能)[* 일본 고전 예능 중 하나.]의 배우로, 미즈오류의 후계자. * '''[[사이조 타이가]] (西条 大河)''' - [[스즈오키 히로타카]] / [[정명준]] 35세. 고서점 사장. * 야마쿠라 타에 (山倉 多恵) - [[스즈키 히로코]][* [[미야노 엘레나]]를 담당한 적이 있다.] / [[양정화]] 52세. 고급 일식집(로컬판은 전통요릿집) 주인으로 치카스즈의 어머니가 사망한 후 그녀를 돌봐주었다고 한다. * 치카스즈 (千賀鈴) - [[아다치 마리]] / [[김가령]] 19세. 마이코로, 타에의 가게에서 일하고 있다. 그녀의 어머니는 게이코로, [[미혼모]]였으며 그녀가 어렸을 때 병사했다. 누군가가 익명으로 그녀에게 매달 돈을 보내주고 있는데, 정황상 그녀의 친아버지로 추정된다. * [[아야노코지 후미마로]] (綾小路 文麿) - [[오키아유 료타로]][* 이후 원작의 레귤러 캐릭터인 [[오키야 스바루]]를 맡게 된다.] / [[최승훈(성우)|최승훈]] [*1회] [[교토]] 부경 경감으로, 일명 '납셨네' 경감. [[시라토리 닌자부로]]와 동기며, 귀족의 후예라고 한다.[* 아마 구 [[화족]]이 아닐까 싶다.] 항상 시마리스라는 다람쥐를 데리고 다닌다. 다람쥐는 그의 분신과도 같다고 한다. 이후 [[칠흑의 추적자]], [[절해의 탐정]], [[이차원의 저격수]], [[진홍의 연가]] 등에도 등장했고 TVA 694화에 출연하면서 TV판에도 진출, 1001화에서 드디어 원작에도 등장한다. * 이치카요 (19) - [[사쿠마 레이(성우)|사쿠마 레이]][* [[토야마 카즈하|이 인물]]의 어린시절도 담당했다.] / [[정유정(성우)|정유정]] 요정 '사쿠라야'의 게이샤. * 사쿠라야 여주인 - [[이치류사이 테이유우]] / [[이수진(성우)|이수진]] 요정 '사쿠라야'의 여주인. * 그 외 - [[마츠모토 사치]], [[치바 잇신]] == 주제곡 == * [[쿠라키 마이]] - Time after time ~꽃이 흩날리는 거리에서~ ([[Time after time 〜花舞う街で〜]]) == O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a4uOKrhZaQ)]}}}|| == 국내 방영 및 더빙판 제작 == 주요 배경인 [[교토]]가 아예 작품의 주 소재로 다뤄지는데다 또 다른 주 소재가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 [[무사시보 벤케이]]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2010년대 후반까지 TVA를 현지화하여 방영하는 [[한국]]에서 본작을 상영할 가능성은 극히 낮았다. 배경과 소재의 특성상 [[로컬라이징]]이 불가능하기 때문. 게다가 코난이 법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인물'인 작품 특성상, [[대원방송]]의 일부 애니메이션이나 [[투니버스]]의 [[아즈망가 대왕 THE ANIMATION]] 등에서 써먹는 "한국인이 일본에 놀러갔다"는 식의 설정도 성립불가[* 그래서 지명 로컬라이징을 포기하고 일본 배경만 그대로 남겨둔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나 [[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이나, [[하우스텐보스]]로 간 미공개 X파일의 한 에피소드는 한국판 한정으로 설정 구멍이 발생하게 된다. 코난의 신분으로는 여권도 발급할 수 없기 때문에 해외 입출국이 불가능하다. 71권에서 런던에 가게 되었을 때는 하이바라 아이가 출국심사와 입국심사할 때만 쓰라고 임시 해독제를 받아 신이치 명의로만 입출국이 가능했다. 그나마 [[감청의 권]]에선 키드가 가방에 담아 밀반입 하는 식으로 싱가포르를 오갔다.]인지라 사실상 개봉에 대한 기대치는 낮았다. 하지만 본작과 비슷한 사유로 개봉 가능성이 낮아보였던 21기 극장판 [[진홍의 연가]]가 2017년 국내에서 자막판으로 개봉되었고, 같은 이유로 VOD로만 공개된 더빙판 역시 국내 방영된 영상 관련작 최초로 [[로컬라이징]] 없이 제작되었다. 기존에 제시된 '현지화 없이 상영시 발생하는 [[왜색]] 문제와 낯선 일본 역사와 문화로 인한 부정적 흥행 전망'을 [[CJ E&M]] 스스로가 깨부순 셈. 게다가 2017년 8월을 전후로 본작에 대한 저작권 관리 절차를 진행하는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포착되어 본작도 곧 자막판으로 개봉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었다. 하지만 2017년 10월, 추석 연휴기간 [[OCN]]에서 방영되면서 별도 극장 상영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71007165808151500c551d053_1&md=20171007170550_I|기사]] 자막판으로 방영되었으며, 12세 이상 시청가로 등급이 매겨졌다. 번역은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에 이어 이선희가 맡았고, 호칭 또한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처럼 원판 명칭을 사용하되 다른 투니버스 작품처럼 [[요비스테]]는 생략했다. 여타 다른 OCN 외화와 달리 기존 코난 시리즈마냥 나눔고딕체 자막으로 제작되었고, 엔드 크레딧 또한 기존 극장 상영된 극장판과 동일하게 제작되었다. 특이하게 일본어 주제가가 들어간 엔드 크레딧을 송출하지 않는 [[투니버스]]와는 달리 풀 버전이 편집되지 않고 전부 송출되었다. 다른 영화와는 달리 'TV최초'니 하는 표기도 없고 별도의 재방 편성이 없는 것으로 보아 단순 VOD 판매를 위한 일시적 방영으로 보였고[* [[넷플릭스]] 사례에서 알 수 있듯, 극장 상영이나 TV 방영을 통한 심의 신청이 싸고 빠르기 때문.], 실제로 방송 이후인 10월 13일부터 VOD서비스를 통해 자막판과 더빙판 모두 판매 되었다.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와 마찬가지로 로컬라이징 없이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 덕분에 아직 국내에서 공개되지 않은 [[명탐정 코난: 감벽의 관]]과 [[명탐정 코난: 전율의 악보]]도 어떻게든 방영 혹은 상영될 가능성이 생겼고, 감벽의 관은 2018년 2월에, 전율의 악보는 2019년 2월에 극장 상영이 이루어졌다. 아쉬운 점은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에 비해 국내 성우진이 무척 빈약하다는 것.[*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는 최종 보스의 성우를 무려 원로성우이신 [[유강진]]을 모셔왔었다. 그런데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는 아쉽게도 CJ E&M 성우극회의 [[정명준]]이 최종 보스를 맡았다. 사실 원판 성우가 바람의 검심의 사이토 하지메를 맡아 [[김환진]]으로 캐스팅되기를 바란팬들도 많았다.] CJ E&M 성우극회 외 성우가 거의 없다. 극장 개봉용이 아니라 아무래도 예산이 부족했나 보다. 역대 명탐정 코난 극장판 중 국내 수입까지 가장 오래걸린 작품으로,14년 6개월이라는 세월이 걸렸다. [[파일:img3291.png]] 예고편 CG를 그대로 쓴 진홍의 연가와는 달리 CG까지 완벽히 수정했다. == 평가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inkableNervousTypicalDirt, 합의사항1= ‘헤카 팬들에게 반가운 작품이다’를 비롯한 개인 감상평 위주의 서술들을 제거한다. 명탐정 코난 극장판 1~6기와 비교하여 7기의 (일본 내의) 인기가 떨어진다는 뉘앙스의 서술을 금한다.)]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없음, popcorn=없음)]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33935, user=7.1)]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detective-conan-crossroad-in-the-ancient-capital, user=3.4)]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없음, spectateurs=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38720,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6YNgO,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25436, light=86.54, star=3.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title=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 audience=8.7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39029, expert=없음, user=8.6)]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 코드>, egg=없음)]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41570, user=4.7)] 준수한 완성도를 지녔지만 코난 최전성기 감독인 코다마 켄지 감독의 작품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일단 대부분의 극장판이 [[할리우드]]식 액션과 추리를 혼합한 데 반해, 이번 극장판은 그러한 액션을 배제하고 교토의 풍취와 일본 전통의 검도를 추리와 혼합했으며 주 장르가 헤이지와 카즈하의 로맨스물에 가깝다. 폭파신이나 스펙터클한 클라이맥스가 하나도 없으며,[* 잘린 코난 극장판 예고편들을 모은 영상에서 밝혀졌는데 원래는 절이 폭파되고 폭발로 인해 불타는 절 지붕위를 코난이 달려가는 장면이 있었는데 결국은 삭제되고 폭발신을 배제한 쪽으로 갔다. 이외에 잘린 7기 예고편 장면에서 헤이지 대신 코난과 같이 숲속에 위치한 절에 간 란이 진범에게 공격을 받는 장면이 있었다. 결국은 본편에서 코난과 헤이지랑 숲속에 위치한 절에 갔다 헤이지가 진범에게 공격받을 뻔한 것으로 수정되었다.] 이전작들과는 확연히 다른 스타일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각본과 전개가 다소 느슨하다는 비판도 많으나 이전작들과는 다른 독특한 테마와 연출로 팬들에게 호평을 받는 데 성공했다. 흔히 한국에서 리즈시절로 불리는 막강한 라인업에 비하면 아쉬운 부분이 있어도[* 한국에서는 [[코다마 켄지]] 감독이 연출한 1기 [[시한장치의 마천루]]부터 6기 [[베이커가의 망령]]까지가 최고 리즈시절로 평가한다.] 이 작품이 [[추리]]만큼은 상위였다고 평가하는 팬들도 있다.[* 특히 일본 내에서는 개봉한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에 진행한 공식 앙케이트 투표에서 1위 [[베이커가의 망령]]의 뒤를 이은 2위를 차지했다.[[https://sp.mco.cybird.ne.jp/conanportal/movie_index.php|#]] 물론 코난 극장판 투표는 매체별로 그때마다 순위가 바뀌는 일이 비일비재하기에 큰 공신력은 없지만 그만큼 다른 국가들과 본국에서의 인지도 차이는 존재하는 편이라고 볼 수가 있겠다.] [[명탐정 코난 극장판]]의 전성기 시절의 마지막 작품이지만 호불호가 제법 갈리는데 한국인들을 포함한 외국인들에게는 일본 역사, 지명에 관련된 추리가 많아 이해가 힘들다는 이유도 있지만 추리를 제외해도 긴장감을 배제하고 헤카 로맨스에 집중된 스토리, 전작들에 비해서 다소 평탄하고 루즈하게 진행되는 전개, 액션 스펙타클을 빼고 첫사랑 아크에 집중을 한 점 등등 호불호가 갈리는 요소가 많은 극장판이다. 로튼토마토 지수가 낮은 건 이 때문인 듯. 코난 커뮤니티 등지에서도 이 작품은 호불호가 은근히 갈리는 편. 이 에피소드가 일본 문화적인 요소가 너무 많아 국내에서 방영이 불가능하다고 예상하였지만 비현지화 더빙으로 개봉이 되었다는 자체가 더 놀라웠다는 반응도 많았다. [[https://movies.yahoo.co.jp/movie/%E5%90%8D%E6%8E%A2%E5%81%B5%E3%82%B3%E3%83%8A%E3%83%B3%E3%80%80%E8%BF%B7%E5%AE%AE%E3%81%AE%E5%8D%81%E5%AD%97%E8%B7%AF%EF%BC%88%E3%82%AF%E3%83%AD%E3%82%B9%E3%83%AD%E3%83%BC%E3%83%89%EF%BC%89/240658/|야후 재팬의 평가]] == 기타 == * 전작 6기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이 외국인 영국 런던을 배경으로 했으니 이번에는 국내(일본)를 배경으로 하는 게 어떻겠냐는 원작자의 제안으로 만들어진 작품. * 개봉과 함께 일본 주말 박스오피스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 변화가 굉장히 많았던 극장판이다. 이번 극장판부터 디지털 애니메이션[* TV 방영판은 2002년 7월부터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다만 이때까지도 원화, 동화는 아직 셀화에 그렸다. 후반작업이 디지털로 바뀐 것.]으로 제작됐다. 이 때문에 1~6기가 보여준 세기말 감성의 어둡고 묵직한 분위기와 색감을 이 작품부터는 볼 수가 없어졌으며 후술하겠지만 메인 테마곡을 부르는 가수도 교체되었고 액션의 스타일이나 연출의 기법도 이 작품을 시작으로 상당히 달라졌다. * [[교토]]가 주 무대라서 [[간사이]] 지방의 성우가 많이 등장했다. * 3기 세기말의 마술사에 이어 [[핫토리 헤이지]]가 등장하며, 시리즈 중 최초로 '''주연급'''으로 활약한다.(주인공인 코난보다 등장이 더 많다.) 그리고 핫토리의 특기인 검도를 바탕으로 격렬한 검도 액션이 그려졌다. * 핫토리의 작내 비중을 반영하듯 시작 부분 작품 소개에서 핫토리가 중간에 소개를 이어받아서 한다. [[소년 탐정단(명탐정 코난)|소년 탐정단]]의 비중은 이번 작에서 크게 줄었다. * [[모리 코고로]]에게 사건을 의뢰한 산능사나 후반 무대였던 옥룡사는 실존하지 않는 곳이지만, --[[옥룡사|어?]]-- 작중에서는 [[교토]]의 관광지가 많이 등장했다. 교토 타워, [[기요미즈데라]], 니넨자카 등. 극장판의 포스터에서는 기후네 신사가 배경으로 그려져 있었지만 극중에서 등장하지 않았다. * 작중에 [[핫토리 헤이지]]의 실력이 돋보인 극장판이기도 하다. 오토바이 추격전에서 능숙하게 오토바이를 운전해서 오토바이를 탄 진범을 추격하거나. 후반부 결투씬에서 독이 묻은 칼을 들고 있는 진범을 칼등으로 배를 공격해 제압을 한다. * 이전까지 가수 이오리가 부르던 테마곡 '그대가 있다면'을 이번 극장판에서는 가수 레이코가 불렀다.[* '그대가 있다면'을 쿄코가 불렀다고 혼동하는 사람이 많지만 원곡가수는 이오리가 맞다.] 일본의 전통 악기인 코츠즈미를 사용했으며, 기존 곡보다 풍부한 반주로 어레인지한 곡이다. * 모든 극장판 중 유일하게 [[쿠도 신이치]]가 직접 등장한다.[* 2022년 기준으로 '''이 극장판이 개봉했을때 태어난 아이들은 모두 성인이 되었다.''' 그 세월 동안 극장판에 등장한 적이 한 번도 없다는 얘기.] 다만 시간은 짧은 편.[* 이유는 기존의 해독제가 아닌 바이칼을 섭취했기 때문.] [[핫토리 헤이지]]로 변장해서 왔고, 정체가 들통난 뒤에는 얼마 안 있어 퇴장한다. * 이전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이 그랬듯, 제목은 '미궁의 십자로'라고 쓰지만 자국 예고편이나 홍보 영상에선 '미궁의 Crossroad'라고 읽는다. 사실 여기서 알 수 있듯 정확하게 번역하면 '미궁의 교차로'가 된다. * 극장판 7기 이후 14년이 지난 2017년에 개봉된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에서 미궁의 십자로와 마찬가지로 비중과 내용이 [[핫토리 헤이지]]와 [[토야마 카즈하]]에 맞춰진다. * 역대 극장판 중 유일하게 폭탄이나 폭발 장면이 나오지 않는다.[* 1기, 2기, 5기, 9기, 12기, 14기, 15기, 16기, 19기, 20기, 21기, 23기는 범인이 폭탄으로 기물을 부수는 극장판이고, 3기에서는 괴도 키드가 변전소를 폭파하면서 폭탄을 사용했고, 4기와 18기는 범인이 전기를 차단하기 위해 폭탄을 사용했으며, 10기에서는 괴도 키드에 의해 범인이 만든 폭탄이 공중에서 폭발했다. 6기는 가상공간이긴 하지만 폭탄이 쓰였으며, 8기는 비행기 엔진 폭발, 11기는 메탄가스 폭발, 13기는 검은 조직의 헬기가 폭발했고, 17기는 폭발은 하지 않았지만 폭탄은 나왔으며, 22기는 [[쿠사카베 마코토|범인]]이 IoT 압력솥을 조작하여 기물 폭파를 하고 도쿄 시내에 IoT 테러를 일으켜 곳곳에서 전자제품 폭발을 일으킨다. 그리고 24기는 [[이노우에 오사무|범인]]이 리니어의 액체헬륨을 유출시켜 폭주시키기 위해 폭발을 일으킨다. 25기에서는 아예 폭탄을 살인 용도로 사용하는 모습이 나왔다. 26기는 검은 조직이 자신들의 잠수함을 폭파시켰다.] * [[모리 코고로]]가 피해자의 이름에 숫자가 들어가 있다며 다음은 자신이 아니냐고 하자 코난이 혼잣말로 [[명탐정 코난: 14번째 표적|그런 사건]]은 예전에도 있었다고 했다. * [[아야노코지 후미마로]]의 첫등장 극장판이다.[* 국내판에서는 13기 극장판 칠흑의 추적자에서 첫등장.] 이후에도 극장판에 자주 등장하다 동기인 [[시라토리 닌자부로]]처럼 본편 데뷔를 하였다. 다만 국내 더빙판 로컬명[* 로컬명 노호지]이 나오기까지는 18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 관련 문서 ==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