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작)] ||<-4>
[[파일:인사 모래.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래시계뮤지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래시계2022.jpg|width=100%]]}}} || || '''제작''' ||<-3>[[파일:인사이트 엔터테인먼트 로고.png|width=80]] || || '''원작''' ||<-4>송지나 || || '''대본''' ||<-3>박해림, 오세혁 {{{-2 (2017)}}} [br]박해림 {{{-2 (2022)}}} || || '''연출''' ||<-3>조광화 {{{-2 (2017)}}} [br]김동연 {{{-2 (2022)}}} || || '''작곡''' ||<-3>오상준 {{{-2 (2017)}}} [br]박정아 {{{-2 (2022)}}} || || '''안무''' ||<-3>신선호 {{{-2 (2017, 2022)}}} || || '''공연 장소''' ||<-3>초연: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재연: [[대성 디큐브아트센터]] || || '''공연 기간''' ||<-3>초연: 2017.12.05 ~ 2018.02.11 재연: 2022.05.26 ~ 2022.08.14 || || '''관람 시간''' ||<-3>초연: 170분 (인터미션: 20분) 재연: 165분[* 프리뷰는 160분. 그 이후에 1막이 5분 늘어나서 총 165분.] (인터미션: 20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5년 [[SBS]]에서 방영 된 [[모래시계(드라마)|동명의 드라마]]를 원작으로 만든 [[창작 뮤지컬]]. [[2017년]] [[12월 5일]]부터 [[2018년]] [[2월 11일]]까지 [[충무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초연이 올라왔다. [[2022년]] [[5월 26일]]부터 [[2022년]] [[8월 14일]]까지 [[대성 디큐브아트센터]]에서 재연이 올라왔다. 초연과 재연으로 구분 짓기는 하지만, 줄거리•등장인물•넘버•연출 등 모든 면에서 전혀 다른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시놉시스 == > '''카지노와 슬롯머신 사업자인 윤회장으로부터 정치자금을 받던 정부 고위관계자들 간의 잘못된 거래와 암투 사이에서 희생된 태수, 혜린, 우석. 찬란하기만 할 것 같은 청춘들의 삶에 시대가 남긴 상처와 슬픔을 그린 이야기.''' > > > 1976년 봄. 유신헌법과 독재청산을 두고 바리케이트를 치고 대학에서 농성중인 혜린과 그와중에 꿋꿋이 제 갈 길을 가겠다 검사가 되고자 공부하는 우석. 그리고 아무것도 모른 채 교문 밖에서 이들을 진압하러 온 조직 깡패 태수. 시대는 이들을 날선 대립 속에 세워두었지만, 이 세 사람은 그 날의 운명적인 만남 이후 친구가 되고 사랑이 된다. > > > 그러나 우석은 혜린이 부패한 정치세력을 등에 업고 카지노를 운영하는 윤회장의 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녀에 대한 마음을 더 키우지도 못하고 군대에 입대한다. 그리고 그런 우석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거친 시대속에서 혼자 방황하는 그녀에게 사랑을 느낀 태수는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그녀를 지키겠다 다짐한다. > > >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세 사람은 각각 누군가는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검사가 되어서, 누군가는 성공적인 자본주의 사회에 편입함으로써, 또 누군가는 조직계의 리더가 됨으로써 자신들에게 주어진 운명의 모래시계를 뒤집고자 발버둥치는데... == 2017년 초연 == === 캐스팅 === * 태수: [[김우형]], [[신성록]], [[한지상]] * 혜린: [[조정은]], [[김지현(배우)|김지현]], [[장은아]] * 우석: [[박건형]], [[강필석]], [[최재웅]] * 종도: 박성환, [[강홍석]] * 재희: [[김산호(배우)|김산호]], [[손동운]], [[이호원]] * 윤회장: [[송영창]], [[손종학]] * 도식: [[이정열(배우)|이정열]], [[성기윤]] * 앙상블: 공민섭, 강동주, 김준오, 이강, 유신, 이종혁, 도례미, 문장원, 강지혜, 배명숙, 정영일, 김태희, 문지수, 윤길, [[추광호]], 송주영, 유성재, 장재웅, [[정다예]], [[김도하(뮤지컬 배우)|김도하]][* 당시 활동명은 김지훈.] , 전주일 * 스윙: 이승현, 손상은 === 넘버 === M00 | 서곡 {{{+3 '''1막'''}}} M01 | 휘파람 / underscore - 태수, 우석 + 앙상블 M02 | 17, 18, 19, 그리고 스무 살 - 우석, 태수 + 앙상블 M03 | 아웃사이더 - 태수, 종도 + 건달들 M04 | 잠깐만 멈춰봐라 - 우석, 혜린, 태수 + 대학생들 M05 | 친구 이상 사랑 이하 - 우석 M06 | 뜨거운 양철지붕 - 노동자들 + 혜린 M07 | 내가 사랑한 - 혜린 M08 | 너에게 건다 - 태수 M09 | 그만큼의 거리 - 재희 M10 | 시대유감 - 우석 + 앙상블 M11 | 검사의 기도 - 우석 M12 | 힘의 균형 - 도식, 종도 + 군인들 M13 | 이유는 몰라도 - 태수, 혜린 M14 | 백학 / underscore M15 | 세상 너머로 - 태수, 우석, 혜린, + 청년 컴퍼니 {{{+3 '''2막'''}}} M16 | 멈출 수 없는 속도 - 윤회장, 도식, 종도 + 앙상블 M17 | 너무 늦지 않도록 - 우석, 태수 + 혜린 M18 | 버려진 카드 – 종도 + 건달들 M19 | 모래시계 - 혜린 M20 | 시대유감2 – 혜린 + 오계장, 시민들, 대학동창들 M21 | 나의 배후 – 도식 M22 | 어떻게 사랑이라 말할까 – 태수 + 앙상블 M23 | 그만큼의 거리 Rep. / underscore M24 | 사랑해도 되겠습니까 – 재희 M25 | 아웃사이더 Rep. / underscore M26 | 무엇을 위하여 – 우석, 혜린, 태수 + 컴퍼니 M27 | 아아 스무살(17, 18, 19, 그리고 스무 살 Rep.) - 태수, 우석, 혜린 + 컴퍼니 == 2022년 재연 == === 캐스팅 === [include(틀:뮤지컬 모래시계/재연)] * 태수: [[민우혁]], [[온주완]], [[조형균]] * 우석: [[최재웅]], [[송원근]], [[남우현]] * 혜린: [[박혜나]], [[유리아(뮤지컬 배우)|유리아]], [[나하나]] * 종도: [[이율(배우)|이율]], [[임정모]] * 윤회장: 황만익, [[정의욱]] * 영진: [[송문선]], [[김수연(뮤지컬 배우)|김수연]] * 동환: [[장격수]] * 오계장: 윤정열 * 성철: 김대식 * 앙상블: 윤유경, 강동우, 이현영, 안준현, 주예원, 백승리, [[이지현(뮤지컬 배우)|이지현]], 손준범, 임태현, 이승현, 서종원, 정우정, 김하람, 박혜민, 전우형, [[박주혁(배우)|박주혁]], 이지원, 진선희, 김수영 * 스윙: 박형석, 김창, 정유경 === 넘버 === {{{+3 '''1막'''}}} M01 | 시대의 어둠을 넘어 - 태수, 우석, 혜린 + 시민들, 군인들 M02 | 우리들 세계 - 태수, 우석, 혜린 + 고등학생들 M03 | 언젠가, 어딘가 part1 - 우석 M04 | 우리의 계절 - 태수, 혜린, 우석 + 대학생들 M05 | 젊은 시인에게 + 언젠가, 어딘가 part2 - 태수 M06 | 새로운 시대 - 혜린, 윤회장, 동환 + 귀빈들, 대학생들, 깡패들 M07 | 나는 지금 어디에 - 우석 M08 | 부끄러운 게 너무 많아 - 태수, 혜린 M09 | 삶의 방식 - 종도 + 종도 무리들 M10 | 우석의 편지 - 태수, 우석 M11 | 시대의 어둠을 넘어 Rep. - 태수, 성철 + 시민들, 군인들 M12 | 오늘 밤이 지나면 - 태수, 우석, 혜린, 성철 + 시민들, 군인들 {{{+3 '''2막'''}}} M13 | 부치지 못한 말들 - 태수, 우석, 혜린 M14 | 새로운 시대 Rep. - 태수, 혜린, 종도, 윤회장, 동환 + 딜러, 쇼맨, 쇼걸, 손님들 M15 | 우리 같은 걸림돌 - 영진, 오계장 + 직원들 M16 | 한 시대가 저물어 간다 / underscore M17 | 우리의 계절 Rep. - 태수, 우석, 혜린 M18 | 야만의 시대 part1 - 우석, 혜린, 종도, 영진 + 시민들, 종도 무리들 M19 | 우석의 편지 Rep. - 태수, 우석 M20 | 모래시계 - 혜린 M21 | 야만의 시대 part2 - 우석, 혜린, 종도, 영진 + 기자들, 시민들, 종도 무리들 M22 | 너에게 달려가 - 태수 M23 | 부끄러운 게 너무 많아 + 오늘 밤이 지나면 Rep. - 태수, 혜린 M24 | 그 다음이 중요한 거야 - 태수, 우석, 혜린, 영진 + 학생들 == MD == || {{{#white 공연}}} || {{{#white 제품명}}} || {{{#white 가격}}} || {{{#white 실물/링크}}} || || 초연 || 프로그램북 || -원 || [[https://twitter.com/Insight_Since96/status/944496156528087040?s=20&t=ITfXoOi0HyX1b4P6huFcyg|#]] || ||<|7> 재연 || 1차 프로그램북 || 10,000원 ||<|6> [[https://twitter.com/Insight_Since96/status/1529398663302508544?s=20&t=ITfXoOi0HyX1b4P6huFcyg|#]] || || 마그넷 세트 || 15,000원 || || 배지 (모래시계) || 8,000원 || || 배지 (태수, 우석, 혜린) || 15,000원 || || 파우치 || 15,000원 || || 폰스트랩 || 5,000원 || || 2차 프로그램북 || 15,000원 || [[https://twitter.com/Insight_Since96/status/1537363351595937793?s=20&t=ITfXoOi0HyX1b4P6huFcyg|#]] || == 여담 == * 상연 시간은 '''2시간 40분'''(160분)인데, 공교롭게도 원작이 '''24부작'''이다. * 그 유명한 '''우우우우우''' [[백학#s-2]]은 재생되지 않는다.[* 단 초연에서는 태수와 종도가 부르긴 했다. '''휘파람으로'''. 이 부분에서 호불호가 많이 갈렸다.] * 초연과 재연이 완전히 다른 극이 됐다. 넘버, 스토리, 인물서사를 전부 갈아엎은 결과. 초연은 원작을 충실히 담아낸 축약판이라는 평가였으나 재연을 본 초연 관객들은 1막은 [[광주(뮤지컬)|광주]], 2막은 어느 쪽도 아닌 혼종이라는 감상을 내놓기도.[* 다소 부족한 극을 배우들의 열연으로 끌고간다고도 한다.] == 원작과 비교 == [include(틀:스포일러)] 윤회장은 원작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지만, 뮤지컬에서 트럭에 치였다고 한다. 우석은 이를 태수가 사주한 걸로 의심하지만, 카지노 장면 후 종도가 혼자 남아 담배를 피우는 모습이 포커싱 된 후 효과음이 나오는 것으로 볼 때, 종도가 일을 저지르고 태수에게 뒤집어 씌운 것으로 추정된다. ~~누명~~ 원작의 이종도는 격투 끝에 물에 빠져 죽었지만, 뮤지컬에서는 태수를 칼로 찔렀다가 [[역관광|그 칼에 찔려 죽는다]]. 강동환은 뮤지컬판에서 육군 소장으로 등장했다가 전역 후 권력을 잡는다. 성철은 용역깡패 일을 그만두려다 린치 당하는데, 태수의 자비로써 목숨을 건지고 일을 그만둔다. (그리고 고향인 광주로 내려와서 5.18에 휘말린다) 혜린의 후배 영진은 재연에선 하숙집 딸로 등장, 기자로서 혜린의 이야기를 받아적음과 동시에 극의 막을 올린다. 막을 내리는 순간에도 같은 장면이 나타나는데, 책상 위에 있던 모래시계를 돌려 다시 흐르게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박해림 작/각색)] [include(틀:오세혁 작/각색)] [include(틀:박정아 작곡)] [[분류:창작 뮤지컬]][[분류:2017년 극작품]][[분류:드라마 원작 뮤지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