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 (2012)[br]ももへの[ruby(手,ruby=て)][ruby(紙,ruby=がみ)]}}}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59ca6c4303e540409f68ef5384d93242c8470b26fcb0f68dbbaed5a335c76e20.jpg|width=100%]]}}}|| || '''장르''' ||[[판타지]], [[미스터리]], [[드라마]]|| || '''개봉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2년 4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7월 5일 || || '''원안, 감독, 각본, 콘티''' || [[오키우라 히로유키]] || || '''연출''' || 쿠스미 나오코 || || '''캐릭터 디자인''' || [[안도 마사시]], [[오키우라 히로유키]] || || '''작화감독''' || [[안도 마사시]] || || '''부작화감독''' || [[이노우에 토시유키]] || || '''작화감독 보좌''' || 이노우에 에이, 혼마 아키라, [[혼다 타케시]] || || '''차량, 선박 설정''' || 카와구치 토시오 || || '''미술 감독''' || 오오노 히로시 || || '''음향감독''' || 와카바야시 카즈히로 || || '''원화''' || [[이노우에 토시유키]], 이노우에 에이, 혼마 아키라, [[혼다 타케시]], [[니시오 테츠야]], [[쿠보타 치카시]], [[아오야마 히로유키]], [[오오히라 신야]], [[타키구치 테이이치]], [[아라이 코이치]], [[하마스 히데키]], [[니시다 타츠조]], [[안도 마사시]], [[키세 카즈치카]], [[코모리 타카히로]], [[치바 타카히로]], [[키무라 타카히로]], [[요시나리 요우]], [[타케우치 아츠시]], [[오시야마 키요타카]], [[이마이 아리후미]], [[미츠나카 스스무]], [[모리타 히로유키]], [[스에토미 신지]], [[야마다 카츠야]] 등 || || '''제작사''' || [[Production I.G]] || || 홈페이지 || [[http://momo-letter.jp/|일본]] [[http://www.momo2012.kr/|한국]] || [목차] == 개요 == '''ももへの手紙''' 부산국제영화제 출품시에는 일본어 제목을 의역한 "모모에게 보내는 편지"로 공개되었지만, 정식 개봉시에는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이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었다. [[일본]]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Production I.G]]. 감독은 [[오키우라 히로유키]]. [[인랑(애니메이션)|인랑]] 이후 오랜만의 연출작이다. 캐릭터 디자인 및 작화 감독은 [[안도 마사시]]. 평소 오키우라와 친분이 있던 유명 애니메이터가 다수 참여해 인랑 급으로 매우 뛰어난 작화를 자랑한다. 상당한 연출력과 작화, 왕도적인 스토리로 꽤 히트한 작품이다. 부담없이 볼 수 있는 명작이나 꽤 기괴한 연출이 있어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2012년 4월 21일에 개봉. 한국에서는 2011년 [[BIFF]]에 출품되었고, 정식 개봉일은 2012년 7월 5일. BD 및 DVD는 2012년 10월 26일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DVD가 2012년 12월 19일 발매, 블루레이 한정판이 2013년 5월 30일 발매. 이후 2014년 1월 22일 [[투니버스]]에서 더빙판을 가져다 방영.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NYIb9Ui2T0)]}}}|| || '''{{{#fff 일본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3TZKCMIV1k)]}}}|| || '''{{{#fff 더빙판}}}''' || == 성우진 == || '''미야우라 모모''' || [[이선(성우)|이선]]/[[미야마 카렌]][* 우리나라 드라마 [[아이리스(드라마)|아이리스]] 1화에서 나온 온천집 딸로 나온 소녀다. 이 영화를 더빙했을 시 나이는 만 15세. 같은 성우가 맡았다.] || || '''이와''' || [[김준현]]/[[니시다 토시유키]] || || '''카와''' || [[양상국]]/[[야마데라 코이치]] || || '''마메''' || [[안윤상]]/[[쵸]] || || '''미야우라 이쿠코 (모모 엄마)''' || [[김현심]]/[[유카]] || || '''요타''' || [[남도형]] || || '''숙모''' || [[김옥경]] || || '''숙부''' || [[온영삼]] || || '''우편 배달부''' || [[윤세웅]] || == 줄거리 == 엄마를 따라 [[세토내해]]의 작은 섬 시오지마[* 모델은 [[히로시마]]현 [[구레]]시 오사키시모 섬(大崎下島). 이 섬은 [[타마유라(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사쿠라다 마온]]의 고향이기도 하다. --그런데 배가 타케하라도 아니고 미하라에서 온다. 이건 뭐...--]로 이사 온 11살 도시소녀 모모. 이사온 첫날, 모모는 다락방에서 오래된 그림책 한 권을 발견한다. 그날 이후, 다락방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는가 하면, 냉장고 속 간식이 사라지고, 급기야 그림책 속 요괴들이 모모의 눈 앞에 나타나는데... 모모 눈에만 보이는 사고뭉치 요괴 3인방~! 모모 덕에 봉인된 그림책에서 나왔다며 자신들을 소개하는 이와, 카와, 마메! 외모와는 다르게 은근 소심하고 먹보에 어리바리하기까지. 자칭 수호신이라며 큰 소리치지만 사고투성인 요괴 3인방과 웃지 못할 한집살이를 시작한 모모에게 어느 날 예상치 못한 위기가 찾아오는데... == 기타 == 한국 개봉 당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모노노케 히메]]의 제작진이 만든 작품'이라고 흡사 [[스튜디오 지브리]] 작품인 것처럼 홍보했으나, 작화 감독 [[안도 마사시]] 외에는 딱히 지브리와 관계없는 작품으로 오히려 [[곤 사토시]] 감독 작품에 참여하던 스태프들이 많이 참여한 작품이다. 전형적인 배급사의 약팔이다. 국내에서는 2012년 7월 5일에 정식 개봉되었는데, 주연 요괴 캐릭터 3명이 연예인 더빙 그것도 [[개그콘서트]] 개그맨([[김준현]], [[양상국]], [[안윤상]]) 더빙이라고 비판이 많이 쏟아졌다. 연출은 [[김정규]]. 더빙 퀄리티는 요괴 3인방 역의 김준현, 양상국, 안윤상등 개그맨들의 경우 어울렸다, 미스였다는 평이 나올 정도로 호불호가 엇갈렸다. 왜 전문 성우를 안쓰고 개그맨을 캐스팅했냐는 부정적인 의견들이 대다수였고, 여주인공 모모 역의 경우 어린이들에게 가장 큰 인기를 끌던 국산 만화 캐릭터 [[뽀로로]]의 성우이기도 했던 이선을 캐스팅 기용하고 나머지 배역들은 죄다 전문 성우들로 캐스팅했는데 비록 모모등 주연 캐릭터에 캐스팅된 전문 성우들의 목소리 더빙도 어울리긴 했지만 요괴 3인방의 개그맨 캐스팅이 워낙 비난을 받는 바람에 큰 호평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안윤상]]의 경우에는 어울렸다는 평이 많은데, 본래부터 안윤상은 개그맨이라기보단 성대모사를 잘하고 목소리 연기를 한 경력이 있기에 괜찮았던 듯하다. 흥행 성적은 좋은 쪽으로 [[충격과 공포다 그지 깽깽이들아|충격과 공포]] 수준. 개봉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주말에 벌써 10만명을 넘겨버렸다. 2012년 일본 극장판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 1위였던 [[태풍을 부르는 황금 스파이 대작전]]보다도 빠른 기세. [[11번째 스트라이커]] 개봉 전까지 얼마나 많은 관객을 모을 수 있느냐가 가장 큰 관심거리다. 비록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가 19일~23일까지 전국 21만 관객을 동원하여 역시 코난에게 밀리고 있지만, 만화책 및 TV방영으로 인지도가 큰 코난과 달리 전혀 듣보잡인 이 애니를 생각하면 상당히 선전했다. [[2012년]] [[9월 9일]]을 마지막으로 상영 완전 종료. 총 관객은 30만 174명. 전국 상영관은 253개였지만 교체 상영도 되고 인지도가 없던 걸 보면 꽤 대박이었다. 일본에선 이미 OST가 발매되었다. 아이튠즈나 플레이아시아 등지에서 구매가 가능한데, 문제는 주제곡인 《ウルワシマホロバ ~美しき場所~》가 OST에 포함이 안 되어 있다! 디지털 싱글로만 구매 가능한 상태다. 감독 말로는 만들 때 [[꼬마숙녀 치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2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Production I.G]][[분류:가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