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목포시의 고등학교]][[분류:1920년 개교]][[분류:과학중점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광주·전북·전남의 과학중점고등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목포시의 고등학교)] ||<-2> '''{{{#black,#e5e5e5 {{{+1 목상고등학교}}}[br]Moksang High School[br]木商高等學敎}}} ''' || ||<-2> [[파일:Moksang Logo.pn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 목상고등학교, 너비=100%)] || || {{{#black,#e5e5e5 '''교훈''' }}} || '''밝은마음, 알찬실력, 바른행동''' || || {{{#black,#e5e5e5 '''구호''' }}} || 나날이 새롭게 스스로 가꾸자! || || {{{#black,#e5e5e5 '''개교''' }}} || [[1920년]] [[6월 1일]] || || {{{#black,#e5e5e5 '''교명 변천''' }}} || 도립 목포상업전수학교 (1920~1922)[br]목포공립상업학교 (1922~1944)[br]목포공립학교(1944~1946)[br]목포공립상업중학교(1946~1953)[br]목포상업고등학교 (1953~2001)[br]전남제일고등학교[* 인문계 전환] (2001~2014)[br]목상고등학교 (2014~현재) || || {{{#black,#e5e5e5 '''본 학교에서 분리된 학교''' }}} || '''[[전남대학교]], [[목포제일중학교]]''' || || {{{#black,#e5e5e5 '''유형''' }}} || [[일반계 고등학교]] || || {{{#black,#e5e5e5 '''성별''' }}} || [[남녀공학]] || || {{{#black,#e5e5e5 '''설립 형태''' }}} || [[공립]] || || {{{#black,#e5e5e5 '''교장''' }}} || 제34대 서영길 || || {{{#black,#e5e5e5 '''교감''' }}} || 박유인 || || {{{#black,#e5e5e5 '''교직원''' }}} || 51명[br]2023.03.01 || || {{{#black,#e5e5e5 '''학생''' }}} || 493명[br]2023.03.01 || || {{{#black,#e5e5e5 '''배출 졸업생''' }}} || 27,985명[br](2023.02.07) || || {{{#black,#e5e5e5 '''교화''' }}} || [[동백꽃]] || || {{{#black,#e5e5e5 '''교목''' }}} || [[향나무]] || || {{{#black,#e5e5e5 '''주소''' }}} || [[전라남도]] [[목포시]] 소영길 13 ([[용당동(목포)|용당동]] 937-1) || || {{{#black,#e5e5e5 '''관할교육청''' }}} || [[전라남도교육청]] || [목차] [clearfix] == 개요 == || '''{{{+1 노벨상 배출학교 }}}[br]Nobel Prize'''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00,height=200]] || ||'''{{{+1 2000년 노벨평화상 }}}[br]Nobel Peace Prize''' || || '''김대중''' ('''Kim Dae-jung''') The Nobel Peace Prize 2000 Born: 3 December 1925, Mokpo, Korea (now South Korea) Died: 18 August 2009 Residence at the time of the award: South Korea [*출처 https://www.nobelprize.org/prizes/peace/2000/dae-jung/facts/] || || [[파일:목상고등학교 전경.jpg|width=600,height=400]] || || {{{#fffacd '''목상고등학교(木商高等學校) Moksang High School'''}}} || || {{{+1 {{{#white 목상고등학교 개교 이후 지금까지}}}}}} || || '''{{{+5 D[dday(1920-06-01)]}}}''' || 목상고등학교는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다. == 연혁 == [[파일:목상고등학교 연혁.png]] [[1920년]] 6월 1일에 목포상업전수학교로 개교하였다. 지금의 목포여고 자리[* 이곳은 현재까지 4개의 학교 [[목상고등학교]], [[목포고등학교]], 목포중앙여자중학교, 목포여자고등학교가 있었거나 있다.]인 대성동에 개교하였다. 1939년에는 1932년에 편입된 용당리, 산정리 부근으로 이전하였는데, 이곳이 현재의 교사이다. 1950년에는 목포상과대학이 분리되어 공존 하였다가. 대성학교, 광주농과대학과 통합되어 전남대학교가 탄생되었다. 어찌보면 전남대의 전신인 셈. 1951년에는 기존의 6년제 중 3년제를 분리하여 [[목포제일중학교]]로 분리하였고 1953년에는 목포상업고등학교로 개편되어 2001년 인문계 전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김대중 정부]] 때인 2001년에 인문계로 전환 되었고, 동시에 교명도 전남제일고등학교로 개명하게 되었으나, [[2013년]]에 상업고등학교 시절 약칭인 목상고등학교로 변경하였고 지금에 이른다. 본 학교에서 분리된 형제학교는 [[목포제일중학교]], [[전남대학교]]가 있다.[* 목포공업고등학교는 좀 애매한 감이 없지 않은게, 목포공고의 전신인 송정공립학교가 총독부에 의해서 강제로 목포상업학교에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목포공업고는 목포공립상업중학교에서 분리된 해를 기준이 아닌 송정공립학교를 기준으로 졸업생 기수를 세고 있다.] 자매학교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상하이 사범 대학 부속 고등학교와 자매결연중이다. === 초창기 === [[1920년]] 6월 1일에 목포상업전수학교로 개교하였다. 당시에는 확정된 부지가 없어서, 임시로 다른 곳에서 수업을 하였고, 목포에 중등교육기관이 전무하였기 때문에, 한인과 일본인이 같이 재학하는 학교로 개교하였다. 후에 12월 7일에 대성동 40번지(지금의 [[목포여자고등학교|목포여고]])로 부지가 확정되어 그곳에 건물을 올린 것이 첫 교사이다. > 당지상업전수학교부지(當地商業專修學校敷地)는이삼후보지(二三候補地)에취(就)하야전의중(詮議中)이던바금회대성동불란서교회하(今囘大成洞佛蘭西敎會下)로결정(決定)하고일천오백평(一千五百坪)을매수(買收)하야본년도(本年度)에건축(建築)할사(事)로되얏다더라(목포(木浦)) > [[조선일보]], 1920년 12월 7일 문화통치 기간에도 불구하고 1922년 1월 23일, 한인 학생 38명이 일본인 교장을 배척할 것을 요구하며 동맹휴학을 결성하는 등. 다른 학교와 다름없이,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곤 했다. >[한성특약통신] >일본제국주의자의 한국통치가 얼마나 잔혹한지는 이미 널리 알려진 대로이다. 교육 방면에서의 압제도 계속 강화되고 있다. 일본은 한인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각급 학교의 역사와 국어(한국어)과목을 폐지하여 한국 학생들의 엄청난 불만을 자아내고 있다. 일본의 교육정책에 불만인 한국 학생들은 일본인 교사 배척 등 여러 명분으로 수시로 동맹휴학을 단행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표출하고 있다. > >제1조 한 · 일학생의 공학제를 철폐하라. >이유:(一)한국어 문제. (二)한국역사 문제. (三)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의 차별철폐 문제. (四)한인 학생의 입학률 문제. (五)한인졸업생의 취업률 문제. >제2조 학교 당국의 부정과 관련한 문제. > (一)신입생선발과 관련하여 농간을 부리지 말라. (二)공금횡령사건의 진상을 밝혀라. >제3조 서신과 서적의 무조건 압수 혹은 검열과 심문을 중지하라. >제4조 교내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라. >제5조 결원된 교원을 신속하게 보충하라. >제6조 교무회의에 학생대표가 참석할 수 있도록 허용하라. >제7조 무자격교사를 해임하라. > 목포상업전수학교 생도 일동. > > ''' 광저우민국신문 보도 ''' >학교 주뇌(主腦)된 현 교장의 아등(我等) 조선인 생도에 대한 무진(無盡)의 압박주의 및 치욕적인 행위의 까닭에 오조선인(吾朝鮮人) 생도는 견인불발(堅忍不拔)의 정신으로 금일까지 만탄(萬歎)을 배(排)하고 목적을 달(達)하라는 오등(吾等)의 각오와 실행도 춘일(春日)의 영자(影子) 같이 소(消)하였다. 특히 수일 전에 본심을 발휘한 교장의 언어를 들은 오등(五等)은 인(因)하야 오등(五等)의 목적 및 발전에 심대한 영향이 유함을 사(思)함에 묵과키 난(難)하므로 단결하여 그 구조의 방법을 고찰함이니 즉 차(卽此)와 여(如)한 교장의 교훈을 불수(不受)하기로 결(決)함이라 차(此)에 교장의 아등(我等)에 대하여 특히 자극을 여(與)한 언어는 좌(左)와 여(如)함. >1. 대정 10년 3월 25일 수업증서 수여식일 주반(晝飯)을 지참치 아니한 생도에게 대하여“망국민(亡國民)은 할 수 없다” >2. 월일 미상 목포정명여학교[* 현재의 목포정명여자중학교] 생도 만세 소요의 당일 선인학생(鮮人學生)을 소집하고 그 소요를 지(知)하였느냐고 문(問)함에 부지(不知)라는 생도의 답변에 대하여 “허언(虛言)을 함은 조선인의 민족성이라” > - 대정 11년 1월 20일, 목포상업전수학교 생도 이순영 - 이 말을 쉽게 해석하면 일본인 교장이 평소에 조선인 학생을 홀대하고 무시하는 등. 교육자로서, 알맞지 않은 행동을 하였고 "망국민은 할 수 없다."라는 말을 하는 등. 조선인 학생을 대놓고 무시하였다. 또한 목포정명여학교 만세 운동을 아냐는 교장에 물음에 알지 못한다는 학생의 말에 허언은 조선인의 특징이라며, 폭언을 하는 등의 행동을 더이상 참을 수 없다며, 동맹휴학을 결성한 것이다. 이것은 당시 휘문학교의 동맹휴학과 관련이 있다. 또한, 1920년대 학생조직이었던 목포학우회와 목포유학생회를 당시 조선인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학생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는 후에 탄탄한 동문회 조직의 기반이 된다. >하나! 목포학우회 결성! > - 1925년 12월 16일 자 중외일보 === 성장기와 혼란기 === [include(틀:목포학생만세운동 참여 학교)] 1922년 목포공립상업학교(목포상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본격적인 성장기에 돌입하게 되었다. 학제는 총 5년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시, 목포에는 여러 금융기관들이 위치하고 있었는데, 조선식산은행 목포지점[* 이 지점이 목포부금고를 맡을 정도로 위세가 강력했다. 현재 행복동1가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그곳이 구.제일은행 목포지점으로 제일은행이 인수한 지점이다. 역사순으로는 목포에서 가장 오래된 지점으로 이 지점의 후신인 [[SC제일은행]] 목포지점은 아직도 하당에서 열렬히 영업중이시다.], 18은행 목포지점,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이 있었으며 후에 창립하게 되는 호남은행[* 후에 동일은행에 강제 합병되어 [[조흥은행]]으로 출범한다. 이 은행의 목포지점은 최근까지도 신한은행으로 영업하다가 이전하였다. 상락동1가에 건물이 남아있어 등록문화재 지정 후 [[신한은행]]과 목포시에서 관리중이다.] [* 작곡가 손석우가 호남은행에 입행한 케이스이다.] 또한 목포상업학교 출신들이 많이 채용되었다. 그러다가 평시와 관계없는 학교 상황이 계속 되다가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 2천만 생명을 사랑하고 우리 조국을 사랑하는 광주남녀학생 수십 명은 빈사의 중상을 입고 200여 명은 불법검거로 철창에서 신음하고 있다. 그들은 정의를 위해 시위했던 것이다……” > 광주학생만세! (光州學生萬世)! > - 생도들이 뿌린 격문 - (출처: 1929년 12월 6일 자 동아일보) >싸워라, 싸우자. >전 피압박 민족 제군! 우리들은 사회적 민족적 착취와 압박을 받았다. >보라, 압제자의 비인간적 만행과 폭압 전제 정치를! 광주학생항쟁에서 경찰 당국이 취한 처치를! 흉기를 가지고 도전해 온 자들은 중학생(일본인)이 아니었던가. 빈사의 중상을 입고 철창에서 신음하는 고보생! 그들은 정의를 위하여 가두에서 시위하였다. >우리들은 광주형제의 석방을 요구하며, 참고 참아 오던 피와 눈물로써 시위를 전개하자. > - 생도들이 뿌린 격문 (2) (출처: 1929년 12월 6일 자 동아일보) >하나! 악법 폐지 >하나! 피압박 민족은 가두에서 시위하라. >하나! [[국민혁명|중국혁명]] 지지 >하나! [[제국주의]] 반대 >하나! [[대한독립만세|식민지 해방 만세]] (기외, 2항 있음) >2천만 전 피압박 민중 제군. >2천만의 생존을 사랑하고, 우리들의 [[광주학생항일운동|조국을 사랑하는 광주 청년 남녀 학생은 독인 같은 일제의 탄압에 부딪쳤다.]] 그들은 옥내에서, 병상에서 신음하고 있다. 이런 슬픔은 >>영원히 피압박자의 흉중에서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보라, 정의를 위하여 가두에서 시위한 [[광주제일고|광주 고보생]]들은 자유를 불법으로 약탈당한 한 개의 동물이 되고 말았다. >기억하자, 우리들은 광주형제들을 그들의 손으로부터 탈취하자. 동시에 피와 눈물의 시위를 하는 것만이 우리들의 역사적 임무이다. >하나! [[치안유지법]] 즉시 철폐 >하나! 집회, 결사, 언론의 자유를 전취하라. >하나! 피압박 민중해방만세(기외, 7항 있음). > - 생도들이 뿌린 격문 (3) (출처: 1929년 12월 6일 자 동아일보) 당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발생하게 된 계기가 목포와 전혀 상관 없던 것이 아니였다. 발생지였던 광주와 나주는 당시 목포의 영향력 하에 있던 도시로, 당시 목포의 한인 학생이 있었던 교육기관인 목포공립상업학교도 참가하지 않을 수 없었고, 이는 목포시내에서의 시위로 발생하였다. 학생 시위대는 학교측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학교내의 전화선과 전신을 모두 절단하고 외부와의 연락을 전부 차단한다. 이에 11월 19일 오후 1시경에 시위대를 구성하여, 양동(현재의 대성동 일부)과 무안통(무안동)을 걸쳐서 목포역전까지 진출하였고 이 중간에 목포정명여학교(현. 목포정명여자중학교)와 목포공립실과고등여학교(현.목포여자중학교)학생들이 합류하면서 시위대는 대규모로 변하였다. 이를 두고 보고만 있지 않던 목포경찰서는 100명의 경찰을 투입, 70명의 학생을 구속시켰다. 주도자로 이광우와 [[박종식]][*국회의원 [[박지원]]의 아버지이며, 후에 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수여하였다.]의 등이 경찰에 의해 지목되어, 광주지원에서 징역을 선고받았다. 물론, 그 전에도 독립을 향한 염원을 비추인 사건은 있었다. 1926년에 목포제유노동자들이 총파업하면서 몇몇 학생들이 파업시위에 동참한 것을 시작으로 1922년에 학생들이 휘문학교와 연계하여 결성했던 학생조직을 재건했던 것이다. 이 학생조직은 꽤나 탄탄해서, 1930년대 후반에 목포상업학교독서회(木浦商業學校讀書會)가 결성되어 기존의 선인(鮮人)학생회의 계보를 이었으며, 이에 목포부와 조선총독부에서 강제 해산을 하기 위해 강구하기 시작했고, 당시에 목포에서 발생했던 비밀결사 전위동맹사건으로 교장이었던 오카타 요시타카는 무력으로 해체를 감행하였다. 그리고 이 해산 사건은 [[나비 효과]]를 불러일으켜서, 그 다음해에 목포상업학교에서 치러진 [[시험]]에서 조선인 학생들은 모두 백지를 내자는 행동을 하기로 결심하였고, 이 행동은 며칠이 지나고 [[휘문고보]]에서 발생한 백지시위의 동기가 된다. >韓典勳 신문조서(제二회) > > 피의자 韓 典 勳 > 위 사람에 대한 보안법 위반사건에 대하여 소화 五년 二월 二一일 京城지방법원 검사국에서 > > 신문자 조선총독부 검사 森浦藤郞 > >서기 조선총독부 재판소 서기 鈴木直夫 >열석하여 검사는 전회에 이어서 피의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신문하다. > > >문 韓典勳인가. > >답 그렇다. > > ...(중략) > 문 교육의 정도는 어떤가. > > 답 휘문고등보통학교 五학년인데, 금년 一월 一二일 퇴학했다. > > 문 조선학생과학연구회, 기타의 단체에 가입해 있었는가. > > 답 관계가 없다. > > 문 금년 一월 一二일 밤에 張洪琰과 백지동맹의 상의를 했다는데 그런가. > > 답 그 날 밤에 勸農洞의 徽文학교 四학년생의 집에서 [[장홍염|張洪琰]], 李錫天, 金炳欽, 柳文熙 등 一〇명쯤이 모여서 張洪琰은 一二일에 시험이 시작되는데 三학년과 四학년은 백지동맹을 하기로 되어 있으므로 백지동맹을 하자고 하니 그것에 찬성하고 一三일부터 백지의 답안을 내기로 정했다. > > 문 [[장홍염|張洪琰]]은 왜 백지동맹을 계획했는가. > > 답 시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 > 문 기타 목포에서도 백지동맹을 하고 있으니 학교에 반항하기 위하여 백지동맹을 하자고 한 것이 아닌가. > > 답 光州의 학생 및 '''[[목상고등학교|木浦상업학교]]'''에서도 백지동맹을 했으니 京城에서도 하자고 했었다. > > ... (후략) ... > 진술자 韓 典 勳 > 위 조서를 진술자에게 읽어 주게 하였더니 틀림없다고 진술하고 자서 무인하다. > > 작성일 [[소화]] 五년 二월 二一일 > > 신문자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 [[조선총독부]] 검사 森浦藤郞 > > 서기 조선총독부 재판소 서기 鈴木直夫 또한, 이 시기인 [[1939년]]에는 현재 부지인 [[용당동(목포)|용당동]] 교사로 이전했는데, 이때 부터 지금까지 용당동에 자리잡고 있다. 이때 건설 비용은 총 18,000여원이었다. >목포상교공사착수(木浦商校工事着手) >【목포(木浦)】목포상업학교의 이전신축문제는 기지매수수속급 설게등으로 인하야 아직까지 밀려나오든바 이지음 모든준비가완성되엿슴으로 지난칠일 도청에서 공사입할(입찰(入札))을 식켯스나예정가격에 달하지못하얏슴으로목포부에서수의로 청부를 시켯다는데 완성기는 한사개월후이라고하며공사비는 일만팔천여원이라한다 > 조선일보, 1937년 5월 15일 === 전성기 === > [[한국외환은행|외환은]] 수석 木浦商高OOO > [[한국주택은행|주은]] 수석 木浦商高OOO >[[조흥은행|조흥]] 수석 木浦商高OOO >[[한국상업은행|상업은]] 수석 木浦商高OOO >[[한국산업은행|산은]] 수석 木浦商高OOO > 60~80년대 매일경제 1944년에 당시 송정공립학교와의 통합하여 목포공립학교로 재출범하였다. 그 후 1년 뒤에, 1945년에 목포공업중학교로 다시 구. 송정공립학교 계열이 분리되었다. [* 이 학교는 후에 목포공업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 일설에 의하면 그 과정 중 구. 상업학교 학생들과 송정학교 학생들 사이에서 교사 영입을 위한 갈등이 시작되었고, 이 갈등은 싸움까지 가게 되었다. 그때 구. 상업학교 대표가 다름아닌 [[권노갑]]이었다. 그리고 그 싸움을 말리려고 온 사람이 [[김대중]]이었고 한다.] 1946년에 미군정기 군정단 군정중대 1946년령 학무국 문서에 의하여 목포공립상업중학교로 개편되었다. 그러다가 1953년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교육 정책에 의하여 목포상업고등학교로 확대 출범 되었고, 그 전 사이인 1949년에 3년제를 분리하여 목포상업고등학교 병설중학교를 개교하였다.[* 이 학교는 후에 1971년 목포제일중학교로 변경된다.] 1952년부터 1990년대까지 목포상고는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그 당시에는 학교만 나오면, 교보생명과 대신증권 등의 금융기관에 당연히 취업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성기였고, 상고였던 덕분에 [[조흥은행]], [[한국상업은행]], [[SC제일은행|제일은행]], [[한일은행]], [[서울은행]], [[기업은행]] 등. 많은 은행에 취직되었다.[*아직까지는 목포상고 출신 금융인이 꽤 있는 편이다. 주로 우리은행과 기업은행, 제일은행 그리고 단위농협과 수협에 많다.] 아직도 학교 건물 내에 군데군데에 흔적이 남아있는데 대표적으로 거울 밑에 상업은행 등. 많은 흔적들이 남아있다. 또한 지역계에서의 위력도 상당했는데, 이 지역계가 호남지역만에 한한것이 아니라, [[제주도]]에서까지도 목포상고를 찾아 올 정도였다. 밑에 동문 목록에 제주은행, 제주도교육감 등이 적혀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게 그런 사람들이다. 또한 이 시절까지는 호남선 복선화 이전이라, 학교 바로 뒤에 [[동목포역]]이 존재해서 [[무안군]], [[함평군]], [[나주시]]와 [[광산구|광산]]은 물론 멀리 [[해남군]], [[완도군]], [[진도군|진도]], [[강진군|강진]] 등 서남부와 [[장성군|장성]], [[담양]]의 북부권까지 목포상고로 진학할 정도로 시대의 분위기가 따라줘 명망있는 학교로 성장하여 전성기를 누릴 수 있었다.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났을 때, [[목포역]]까지 가두 행진을 하는 등. 역사의 한 페이지에도 빠지지 않고 등장 하였다. ==== [[4.19 혁명]] ==== [include(틀:4.19 혁명에 참여한 목포시 고등학교)] || [[파일:4월 혁명 목상.jpg|width=500,height=200]] || || {{{#fffacd '''4.19 혁명 때의 목포상고 (4月 革命) Revolution of April'''}}} ||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났을 때, 점차 전국으로 시위가 퍼지기 시작했다. 마침내 목포에도 서울의 시위 소식과 이승만 정권의 악행들이 전해졌고, 특히 서울지역 시위에서 사망자 김부연이 목포출신임이 부각 되자, 시민 전체는 분노 하였으며 이에 당시 목포상고는 [[목포고등학교]], [[목포여자고등학교]]와 연대 시위를 '김부연'의 시신이 목포역에 도착하는 때에 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4월 23일과 24일에 혁명을 위한 시위를 벌였다. 당시에 용당동에서 [[목포역]]까지 행진을 하며 이승만 하야와 민주정부수립을 외쳤다. >보아라! 형제들아! 보아라! 이승만 정권아! >정부의 무차비한 총격과 폭력사태로 인하여 우리의 아들이 피를 흘리며 고통에서 몸부림 쳤다. >산천은 통곡했으며, 온 세상은 피로 물들었다. >나가자! 싸우자! 우리가 이처럼 행동하는 것은 자유를 위한 몸부림이자, 민주를 향한 정의로운 투쟁이다. >...(중략) >우리는 함께 싸우며 나갈 것이다. 역사는 우리를 낙엽처럼 기억하겠지만, 우리는 함께 끝까지 나설 것이다. >민주주의여 영원하라! 대한민국 만세! > 목포상업고등학교, 목포고등학교, 목포여자고등학교 학생 천 여명 일동 (1960년 4월) ==== [[한일협정 반대투쟁]] ==== > 목포 12일 상오 8시 10분쯤 [[목포고등학교]] 학생 1천1백여명은 [[한일기본조약|한일 회담]]을 백지화하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데모했다. > 데모는 교문을 나서 [[산정동(목포)|산정동]](山亭洞) 철도건널목과 삼학양조회사 앞 등에서 약 2백명의 정사복 경찰관의 저지선을 뚫고 역전까지 진출 및 해산했다. > 경찰은 2백10여명을 연행했다. > 목포 상고 생(木浦商高生)들은 성토 > 한편 이날 상오 10시 30분 목포상업고등학교 3년생 약 2백명도 1시간 동안 한일회담반대 성토대회를 열었다. > > [[조선일보]] 1965년 5월 13일 >15일까지 휴교 > '''목포 8개남자고교 휴교''' > '''[木浦]''' 목포시내 8개 남자 고등학교는 13일부로 15일까지 임시 휴교에 들어갔다. > 이 휴교조치는 12일의 목포고등학교 데모와 목포상업고등학교 학생들의 굴욕적인 외교 반대 성토 대회의 강행에 자극이 되어... > 교육 당국의 지시로 각 고등학교는 사태의 확대를 미연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하고 있다. > 그런데 일부 고교는 중간고사까지 중단하고 휴교에 들어간 것이다. > > [[경향신문]] 1965년 5월 13일 [[1965년]]에 [[박정희 정부]]의 한일 회담으로 인한 [[한일협정 반대투쟁]]에 [[목포고등학교]]와 동시에 데모 및 성토대회를 열어, "굴욕적인 한일회담에 반대한다."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 쇠퇴기와 전환기 === > "목상(木商)이라는 이름이 얼마나 전통있고 좋은 이름인데, 어찌하여 이 이름을 버리려 하는가?" > - 2001년, 김대중 대통령(22회 동문)[* 이 말이 후에 현실이 되었다. 어쨌든 2014년에 목상고등학교로 개명을 하게 되면서 [[뻘짓]]+[[흑역사]]가 되버린 것.] 상업계 고등학교가 쇠퇴할 즈음인 2001년에 교육청으로 부터 인문계 전환을 승인 받고, 전남제일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하지만 모종의 이유로 명색이 대통령을 배출한 학교지만 목포에서의 인식은 실업계와 동급 내지 그 이하가 되버렸고, 특히 일부 사립중학교에서 자교의 성적 중하위권 학생들은 절대로 같은 재단 고등학교를 못 쓰게 하고, 공립고등학교인 목포고나 전남제일고에다가 다 몰아줘 버린 다음에 일부러 미달 혹은 정원에 가까운 인원 정도만 지원하도록 만든 후 타 중학교 상위권 학생들에게도 이러한 점을 어필해서 상위권 학생들을 끌어모으는 식의 '장난질'이 벌어지고 있다는 소문에서의 최대의 피해자로 뽑힐 정도로 인식이 거의 땅바닥이었다. 하지만 이 쇠퇴기도 다행히 오래가지 않았고, 2013년에 [[과학중점학교]]로 지정 되면서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또한 2016학년도 입학생부터 [[고입선발고사]]가 폐지 됨에 따라서 완전성적순추첨제[* 1등이 10명이고 학교가 10개이면 각 1명씩 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 됨에 따라서 인문계 계열 학교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 목포상업전수학원과의 관계? === 근대 문헌에 보면, 목포상업전수학원이 있다. 그리고 그것이 현대에 와서 목포상업전수학원이 목상고등학교의 전신이라는 말이 있는데, '''__결론부터 말하면 전혀 상관 없다.__''' 이는 와전된 것으로, 목포상업전수학원은 목포상공학원의 후신으로 목포문옥조합에서 운영한 일종의 사립 상업계 학원이다. 근대 문헌을 보면, 당시 목포는 광주와 고등보통학교(고보) 유치 경쟁을 했으며, 이에 발판으로 목포상업전수학원을 개설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후에 고보는 광주로 유치되면서 흐지부지 되었고, 지금의 청년회관 자리에서 존속하다가, [[한국 전쟁]] 전후에 사라진것으로 추정된다. 이 학원에서 유명한 출신 인물을 찾자면, 십중팔구는 한국화가 남농 허건 선생이다. 다시 한번 말하자면 목상고등학교의 전신은 ''' 목포상업전수학교 '''이지, ''' 목포상업전수학원'''과는 전혀 상관 없다. === 역대 교장 === ||<-7> '''{{{+5 [[목상고등학교 교장|{{{#ffc224 목상고등학교장}}}]]}}}'''[br]'''{{{+3 [[The Principal of Moksang High School|{{{#ffc224 The Principal of Moksang High School}}}]]}}}''' || ||<-7> [[파일:Moksang Logo.png|width=30%]] || || '''대''' || '''이름''' || '''취임''' || '''퇴임''' || '''학력''' || '''이력''' || '''비고''' || ||<-7> '''도립 목포상업전수학교장''' || || '''1대''' || '''우라소에 타메무네'''[br],,''浦添爲宗'',, || 1920년 6월 1일 || 1923년 ?월 ?일 ||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 일어일문학 || 문부성 근무 || [[문부성]]에 의한 직정 임명 [br] [*일본에서는 구어체상용문이라는 책으로 저명한 일문학자이다.] [*류큐인으로 추정되는데, 우라소에라는 성씨가 현재 오키나와 현의 도시로 이 성씨가 오키나와 밖에 없기 때문.] || ||<-7> '''목포공립상업학교장''' || || '''2대''' || '''미야모토 카메조오'''[br],,''宮本龜藏'',, || 1923년 ?월 ?일 || 1924년 ?월 ?일 || [[쓰쿠바대학|도쿄 고등사범학교]] || [[인천고등학교|인천공립상업학교]] 교장 || [[문부성]]에 의한 직정 임명 || || '''3대''' || '''미야모토 큐우조우'''[br],,''宮本舊藏'',, || 1924년 ?월 ?일 || 1930년 ?월 ?일 || [[가나자와대학|가나자와 고등사범학교]] || 후쿠오카제1고등학교 교사 || '''역대 최장기 교장'''[br] [[문부성]]에 의한 직정 임명 [br] || || '''4대''' || '''콘도 에조'''[br],,''近藤英三'',, || 1930년 5월 ?일 || 1931년 ?월 ?일 || [[컬럼비아 대학교]] 이학(理學) || 경성공립고등학교 교수 || [[문부성]]에 의한 직정 임명 [*원적은 [[도쿠시마 현]]으로, 일본 정부의 명으로 독일, 영국, 미국을 유학하고 온 당대에서 흔치 않은 유학파이다.] || || '''5대''' || '''타가 젠스케'''[br],,''多賀善介'',, || 1931년 ?월 ?일 || 1934년 ?월 ?일 || [[오사카대학]] || [[강경상업고등학교|강경공립상업학교]] 교장 || [[문부성]]에 의한 직정 임명 || || '''6대''' || '''오카다 요시타카'''[br],,''岡田嘉高'',, || 1935년 6월 1일 || 1940년 ?월 ?일 || [[히로시마대학|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 ||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 [[문부성]]에 의한 직정 임명 [br] [*본적은 나가사키 현으로, 일본인이다. 조선공로자에도 오를 만큼 조선 식민 사회에서 아주 높은 위치의 교육자였다고 하며, 그에 따라 내선일체를 강조하는 등. 악질적인 인물이다. 참고로 그의 첫째 여동생이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의 사장의 배우자였으며, 셋째 여동생은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조선소 소장의 배우자, 넷째 여동생은 [[일본군]] 해군의 대령의 배우자였다고 한다. 살던 주소는 당시 목포부 행정 12번지로 현재의 행복동 근처이다.] || || '''7대''' || '''카토 마소카상로'''[br],,''加藤圓三郞'',, || 1940년 ?월 ?일 || 1944년 ?월 ?일 || [[쓰쿠바대학|도쿄 고등사범학교]] || [[부경고등학교|부산제1상업학교]] 교사 [br] 청진공립상업학교 교사 || [[조선총독부]]에 의한 임명 || ||<-7> '''목포공립학교장''' || || '''7대''' || '''카토 마소카상로'''[br],,''加藤圓三郞'',, || 1944년 ?월 ?일 || 1945년 11월 27일 || [[쓰쿠바대학|도쿄 고등사범학교]] || [[부경고등학교|부산제1상업학교]] 교사 [br] 청진공립상업학교 교사 || [[조선총독부]]에 의한 임명 || ||<-7> '''목포공립상업중학교장''' || || '''1대''' || '''안익선'''[br],,''Ik-seon, Ahn'',, || 1945년 11월 28일 || 1946년 7월 30일 || || 청주공립보통학교 교사[br] [[서울대학교|경성사범학교]] 교사 || [[미군정청]]에 의한 임명 [br] '''최단기 교장''' [*후에 [[평택고등학교]]의 초대 교장을 역임한다.] || || '''2대''' || '''차남하'''[br],,''Nam-ha, Cha'',, || 1946년 7월 30일 || 1947년? || [[교토제국대학]] 경제학과 || [[전라남도]] 교육위원 || || || '''3대''' || '''이창업'''[br],,''Chang-eop, Lee'',, || 1947년 ?월 ?일 || 1948년? || [[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 [br] [[경성제국대학]] 예과 || [[광주서중학교]] 교사[br] 광영보통학교 교사 || [*후에, [[광주교육대학교]] 초대 총장 역임] || || '''4대''' || '''신성우'''[br],,''Seong-woo, Shin'',, || 1947년 ?월 ?일 || 1948년? || || || || || '''5대''' || '''강인원'''[br],,''In-won, Kang'',, || 1949년 ?월 ?일 || 1950년? || || 통천공립보통학교 교사[br] 국민총동원정신연맹 전주군 부군도 || '''친일반민족행위자''' || || '''6대''' || '''[[정중섭]]'''[br],,''Jung-seop, Jeong'',, || 1950년 ?월 ?일 || 1951년? || [[토요대학]] 동양윤리철학과 || [[북청군|북청]]공립공업학교 교장 [br] 강원고성경찰서 형사부장 || '''친일반민족행위자''' || || '''7대''' || '''김철진'''[br],,''Cheol-jin, Kim'',, || 1951년 ?월 ?일 || 1953년? || 구마모토농림학교 [br] [[도시샤대학]] 정경과 경제학전공 || [[조선공산당]] 목포지부장 [Br] 전남공산청년회 간부 [br] 신간회 목포지회 상무간사 [br] 목포부의회 의원 || '''독립운동가 또는 친일반민족행위자 [*상당한 이견이 있는 사람으로, 초기에는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을 펼쳤지만 후에 비교적 친일의 길을 걷게 되면서 생긴 일이다. 아직 김철진이라는 사람의 역사적 연구가 부족해 정설이 확립되어 있지 않는 것이 실정이었다.]''' [br] 문학가 [[김우진]]의 동생이다. || ||<-7> '''목포상업고등학교장''' || || '''8대''' || '''김채주'''[br],,''Chae-ju, Kim'',, || 1953년 ?월 ?일 || 1955년 11월 9일 || [[서울대학교|경성고등상업학교]] || [[목포제일중학교|목포제1중등학교]] 교장[br] 벌교중학교 교장 || || || '''9대''' || '''김영주'''[br],,''Young-ju, Kim'',, || 1955년 11월 10일 || 1958년 3월 10일 || [[서울대학교|경성고등상업학교]] || [[평양시|평양]]명륜여자고등보통학교 교사[br] [[청송군|청송]]공립보통학교 교사 || || || '''10대''' || '''신준식'''[br],,''Jun-sik, Shin'',, || 1958년 3월 11일 || 1961년 9월 3일 || || [[충청북도]] 보건국 사회과 주사 || || || '''11대''' || '''박승규'''[br],,''Seung-kyu, Park'',, || 1961년 9월 4일 || 1962년 11월 12일 || || [[서귀포|서귀]]보통학교 교사[br] 강진농업고등학교 교장 || || || '''12대''' || '''[[양회총]]'''[br],,''Hoe-chong, Yang'',, || 1963년 4월 2일 || 1968년 10월 20일 || [[메이지대학]] 법학과 || [[광주동성고등학교|광주상업중학교]] 교장[br] 완도중학교 교장 || '''광복후 최장기 교장''' [br] '''독립운동가'''|| || '''13대''' || '''천정복'''[br],,''Jeong-bok, Cheon'',, || 1968년 10월 21일 || 1970년 3월 9일 || [[메이지대학]] 법학과 || 나주고등학교 교감[br] [[완도수산고등학교]] 교장 || || || '''14대''' || '''최병량'''[br],,''Byeong-ryang, Choi'',, || 1970년 3월 10일 || 1975년 8월 31일 ||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과 || 나산보통학교 교사[br] [[해남고등학교]] 교장 || || || '''15대''' || '''박원복'''[br],,''Won-bok, Park'',, || 1975년 9월 1일 || 1976년 8월 31일 || ||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 교사 || || || '''16대''' || '''[[양회총]]'''[br],,''Hoe-chong, Yang'',, || 1976년 9월 1일 || 1977년 8월 31일 || [[메이지대학]] 법학과 || [[광주동성고등학교|광주상업중학교]] 교장[br] 완도중학교 교장 || || || '''17대''' || '''채현석'''[br],,''Hyeon-seok, Chae'',, || 1977년 9월 1일 || 1983년 2월 28일 || || 여수중학교 교장 || || || '''18대''' || '''최관원'''[br],,''Gwan-won, Choi'',, || 1983년 3월 1일 || 1985년 11월 5일 || || [[목포제일중학교|목포제1중등학교]] 교사 || || || '''19대''' || '''하대성'''[br],,''Dae-seong, Ha'',, || 1985년 11월 6일 || 1989년 8월 31일 || || [[목포유달중학교|목포제2중학교]] 준교사 || || || '''20대''' || '''정양석'''[br],,''Yang-seok, Jeong'',, || 1989년 9월 1일 || 1993년 2월 28일 || || 진도군교육청 소속 || || || '''21대''' || '''홍순영'''[br],,''Sun-young, Hong'',, || 1993년 3월 1일 || 1994년 8월 31일 || || 목포제일여자고등학교 교장 || || || '''22대''' || '''이영채'''[br],,''Young-chae, Lee'',, || 1994년 9월 1일 || 1997년 2월 28일 || || 신안군교육청 소속 || || || '''23대''' || '''김영근'''[br],,''Young-geun, Kim'',, || 1997년 3월 1일 || 1999년 2월 28일 || || 영광군남상업고등학교 교장 || || || '''24대''' || '''박정수'''[br],,''Jeong-su, Park'',, || 1999년 3월 1일 || 2000년 2월 29일 || || [[전남외국어고등학교]] 교감 || || ||<-7> '''전남제일고등학교장''' || || '''25대''' || '''유무정'''[br],,''Mu-jeong, Yu'',, || 2000년 3월 1일 || 2002년 8월 31일 || 목포상업고등학교 || [[목포고등학교]] 교장 || '''인문계 전환 후 첫 교장''' [*본교출신] || || '''26대''' || '''김장일'''[br],,''Jang-il, Kim'',, || 2002년 9월 1일 || 2004년 8월 31일 || || 화순실업고등학교 교장 || || || '''27대''' || '''강용기'''[br],,''Young-ki, Kang'',, || 2004년 9월 1일 || 2006년 8월 31일 || || 여남중고등학교 교장[br] [[순천제일고등학교]] 교장 || || || '''28대''' || '''강성인'''[br],,''Seong-in, Kang'',, || 2006년 9월 1일 || 2010년 8월 31일 || || [[영암고등학교]] 교장 || || || '''29대''' || '''김성기'''[br],,''Seong-ki, Kim'',, || 2010년 9월 1일 || 2012년 8월 31일 || || 성전고등학교 교장 || || || '''30대''' || '''곽종월'''[br],,''Jong-wol, Gwak'',, || 2012년 9월 1일 || 2014년 2월 28일 || || [[전라남도교육청]] [[장학관]] || || ||<-7> '''목상고등학교장''' || || '''31대''' || '''김승호'''[br],,''Seung-ho, Kim'',, || 2014년 3월 1일 || 2017년 8월 31일 || || 함평교육지원청 교육장 || || || '''32대''' || '''김재천'''[br],,''Jae-cheon, Kim'',, || 2017년 9월 1일 || 2019년 8월 31일 || || [[해남고등학교]] 교감 || || || '''33대''' || '''장훈택'''[br],,''Hun-taek, Jang'',, || 2019년 9월 1일 || 2021년 8월 31일|| 목포상업고등학교 || 정남진산업고등학교 교감[br] 무안현경중학교 교장 || [*본교출신] || || '''34대''' || '''서영길'''[br],,''Young-gil, Seo'',, || 2021년 9월 1일 || '''현재 재임''' || || || || == 상징 == === 교목 === || [[파일:향나무2.jpg|width=280]] || || {{{#fffacd '''향나무 (香木) Chinese Juniper'''}}} || 교목은 [[향나무]]이다. === 교화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Camellia.japonica.cv.Ashiya.7166.jpg|width=280]] || || {{{#fffacd '''동백꽃 (冬栢) Camellia'''}}} || 교화는 동백나무의 꽃인 [[동백꽃]]이다. 교내에서는 도서관 앞의 화단에서 볼 수 있으며, 겨울에 눈이 쌓이는 날에는 눈이 덮인 화단과 나무들과 동백의 풍경은 상당히 아름답다. === 교가 === >여기는 학문의 동산 우리들의 보금자리 >지식과 덕을 쌓는 곳 힘과 의기를 기르는 곳 >유달산 기상을 배워 인격의 키를 높이고 >다도해 승리의 바다 [[이순신|충무공]] 정신 뼈에 새겼네 >나라와 겨레의 자랑 보람찬 목상--일고--의 건아 >번영과 부강을 위해 현실의 개척자 되라 >누리와 인류의 빛 슬기로운 목상--일고--의 건아 >어둠과 거짓 박차고 새시대의 선구자 되자 여타 학교에 비해서 교가가 상당히 긴 편이다. 위의 취소선은 목상고등학교의 구 명칭인 전남제일고등학교일 때, 사용한 것으로 제일고를 줄여서 일고라고 칭하였다. 작곡가는 [[친일인명사전]] 인명부에 이름이 오른 작곡가 [[김동진(작곡가)|김동진]][* [[만주국]] 건국을 찬양하는 음악을 작곡하는 등의 할동을 했다.]이다. 때문에 최근 [[목상고]]는 학부모와 학생들을 상대로 교가 변경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교가 변경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라고 한다. == 학교 시설 == || [[파일:Moksanghs_Spring.jpg|width=400,height=400]] || || {{{#fffacd,#332d00 '''봄(春) Spring'''}}} || || [[파일:Moksanghs_Summer.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여름(夏) Summer'''}}} || || [[파일:Moksanghs_Autumn.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가을(秋) Autumn'''}}} || || [[파일:Moksanghs_winter.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겨울(冬) Winter'''}}} || > '''목포상업학교운동장은 중앙의 그라운드만 빼고는 마치 초원처럼 한없이 넓은 잔디밭으로 유명하다. 꿈에도 잊을 수 없는 그날''' > 1991년 6월 13일 > 동아일보, <국교시절 아름다운 추억, 김지하> 학교 면적은 총 54,628m^2이다. 학교 건물은 본관, 후관, 학생부 건물, 음악 및 미술실, 도서관, 강당(인동관), 기숙사로 총 7곳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관 === || [[파일:Moksang Bongwan.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본관 Main Building'''}}} || || [[파일:moksang gugyosa.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구. 본관'''}}} || 학교의 본관으로, [[1964년]]에 완공된 건물이다, 본래는 1939년에 대성동 교사(현. 목포여자고등학교)에서 용당동 교사로 옮길 때 세운 건물을 뼈대만 남기고 다시 건축한 건물이다. 역사는 가장 오래되었으며, 학교의 중추 시설인 교무실과 교장실 및 행정실 등이 위치하며, 1학년과 2학년 교실 역시 본관에 위치한다. 사진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방향을 틀면, 행정실이 위치하며 쭉가면 김대중실이 위치한다. 반대로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면, 교무실과 교장실이 위치하며 쭉가면 컴퓨터실이 위치한다. 교실 배정 순서는 사진을 기준으로 왼쪽에서부터 1반이 시작된다. === 후관 === || [[파일:moksanghugwan.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후관 '''}}} || || [[파일:moksanggwahakgwan.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대신송촌과학관'''}}} || || [[파일:moksanggeonmul.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학생부 건물'''}}} || 학교의 후관은 총 3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후관은 급식실과 3학년 교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어교실과 과학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과학관은 이름에서 바로 알 수 있듯이, [[대신증권]]에서 지어준 건물이다.[* 대신증권 설립자 양재봉씨가 이 학교 동문이기 때문이다.] 후관과는 다른 건물이지만 붙어있기 때문에 학생들과 교직원들은 대신송촌과학관이라 부르지 않고 그냥, 후관으로 통틀어서 부른다. 학생부 건물은 사진에서 뒤에 있는 건물로, 학생부가 있기 때문에 학생부 건물이라고 부르며 공식 명칭은 딱히 [[그런거 없다|없다]]. 학생부 건물은 보건실과 기술실, 진로실 등이 위치하고 있다. 후관이 지어진 계기가 특이한데, 1998년에 급식을 시행해야 하는데 급식실이 없다는 말을 들은 그 유명한 목포 세발낙지인 장기철 씨가 지어준 건물이다. 그래서 후관 앞에 장기철이 쓴 비석이 있는 것이다. === 인동관 (체육관) === || [[파일:moksanghall.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인동관'''}}} || 인동관은 강당으로 명칭의 유래는 김대중의 별명인 인동초에서 따온 것 같다. 인동관은 매번 선거철만 되면 목포시 제1투표소 역할을 해왔으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개표장으로 활용 되는 등. 목포시에서 많은 역할을 하는 체육관이기도 하다. === 기타 부속건물 === || [[파일:moksangart.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음악/미술실 건물 '''}}} || || [[파일:moksanglibrary.jpg|width=400,height=400]] || || {{{#fffacd '''무아도서관'''}}} || 음악/미술실 건물은 음악실과 미술실이 위치하고 있는 건물이다. 무아도서관은 도서관으로 동문의 호를 따서 지은 도서관이며 1980년대에 완공되었다. == 학교 특징 == ===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 목상고등학교, width=400, height=400)] 위치는 [[목포]]에서는 상당히 좋은 곳으로, 1980~90년대까지 목포시의 금융가였던 [[용당동(목포)]]에 위치하고 있다[* 목포 지도상 중간에 위치한다.] [[목포종합버스터미널|터미널]]과 [[목포역]], 그리고 [[목포항]]까지 직통으로 이뤄지는 도로가에 있어 교통도 굉장히 편리하다. === 교통편 === 시내버스는 학교 바로 앞 정류장인 목상고등학교 정류장에서 배차간격이 5분~7분인 [[목포 버스 1|1번]]과 삼학도, 북항까지--돌아--가는 [[목포 버스 6|6번]]이 절찬리에 운행중이고, 무안 일로까지 가는 [[목포 버스 108|108번]]과 무안읍으로 가는 [[목포 버스 200|200번]]과 [[목포 버스 800|800번]]이 운행중이고 영암 삼호까지 가는 [[목포 버스 300|300번]]과 [[목포 버스 900|900번]]이 운행하고 있다. 2018년 6월까지만 해도 무려 해남군까지 가는 [[목포 버스 119|119번]]이 운행되었으나,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인하여, 버스기사 부족으로 폐선되었다. ==== 시내버스 ==== ||<-2>
{{{+1 {{{#373A3C,#dddddd '''목상고등학교(26010)'''}}}}}} {{{#!wiki style="text-align:left" 학교 앞 서점인 학원사 바로 건너편에 있는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ffffff 1번(산정초등학교, 목포역, 여객선터미널, 해양대)}}}]]}}}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A, 1-2|{{{#ffffff 1A번(산정초등학교, 목포역,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A, 1-2|{{{#ffffff 1-2번(산정초등학교, 목포역, 삼학도)}}}]]}}}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ffffff 6번(목포고등학교, 산정초등학교후문, 목포역, 북항)}}}]]}}}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0|{{{#ffffff 60번(목포고등학교, 북항, 목포여고, 목포역, 유달산우체국, 삼학도)}}}]]}}} [br] || || [[시내버스|{{{#ffffff 외곽연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6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8|{{{#ffffff 108번(연동초등학교, 구 자유시장, 삼학도)}}}]]}}} || ||<-2> '''일반좌석버스''' || || [[일반좌석버스|{{{#ffffff 시내좌석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00|{{{#ffffff 200번(산정초등학교, 목포역,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300|{{{#ffffff 300번(산정초등학교, 목포역,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800|{{{#ffffff 800번(산정초등학교, 목포역,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900|{{{#ffffff 900번(목포고등학교, 북항, 목포신항, 삼호서부, 대불역 )}}}]]}}}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00|{{{#ffffff 1000번(산정초등학교, 목포역, 삼학도)}}}]]}}} || ||<-2>
{{{+1 {{{#373A3C,#dddddd '''목포우체국(27006)'''}}}}}} {{{#!wiki style="text-align:left" 목상고등학교 정류장의 반대편격인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ffffff 1번(홈플러스, 문화방송, 버스터미널, 석현동)}}}]]}}}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A, 1-2|{{{#ffffff 1A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카톨릭대학교, 중앙고, 근화희망타운)}}}]]}}}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A, 1-2|{{{#ffffff 1-2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카톨릭대학교, 전남예술고, 유교삼거리, 군산동)}}}]]}}} [br]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ffffff 6번(시립도서관, 삼학파출소, 제일중, 버스터미널, 항도여중, 석현동)}}}]]}}}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0|{{{#ffffff 60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석현삼거리, 전남도청)}}}]]}}} || || [[시내버스|{{{#ffffff 외곽연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6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8|{{{#ffffff 108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석현동, 임성리역, 일로역, 일로성당)}}}]]}}} || ||<-2> '''일반좌석버스''' || || [[일반좌석버스|{{{#ffffff 시내좌석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00|{{{#ffffff 200번(버스터미널, 카톨릭대학교, 지산군부대, 목포대학교, 무안터미널)}}}]]}}}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300|{{{#ffffff 300번(버스터미널, 이마트, 우성아파트, 제일여고, 농업박물관, 삼호터미널, 상촌(하촌), 현대삼호아파트)}}}]]}}}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800|{{{#ffffff 800번(버스터미널, 임성리역, 남악고, 용포1구, 일로읍사무소, 파군교, 몽탄역, 무안터미널)}}}]]}}}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900|{{{#ffffff 900A번(홈플러스, 문화방송, 버스터미널, 석현동)}}}]]}}}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F7F7F;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00|{{{#ffffff 1000번(버스터미널, 카톨릭대학교, 지산군부대, 목포대학교, 상마정, 톱머리, 무안국제공항)}}}]]}}} || ||<-2>
{{{+1 {{{#373A3C,#dddddd '''한일시장(26020)'''}}}}}} {{{#!wiki style="text-align:left" 정문 앞 도로(도로명상 소영길)로 쭉가면 나오는 정류장으로 학교 바로 옆에 있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ffffff 2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항도여중, 석현동)}}}]]}}}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9|{{{#ffffff 9번(시립도서관, 공업고, 제일중, 중앙여중, 전남도청, 세영리첼)}}}]]}}}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ffffff 10번(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이마트, 하당우체국, 부영2차, 제일여고, 하당보건지소, 석현동)}}}]]}}}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7|{{{#ffffff 7번(홈플러스, 용해동금호아파트, 중앙여중, 목포교육지원청, 중바위, 문화예술회관, 남해환경사업소,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5|{{{#ffffff 15번(홈플러스, 문화방송, 버스터미널, 석현동)}}}]]}}} || ||<-2>
{{{+1 {{{#373A3C,#dddddd '''한일시장(26007)'''}}}}}} {{{#!wiki style="text-align:left" 정문 앞 도로(도로명상 소영길)로 쭉가면 나오는 정류장으로 학교 바로 옆에 있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ffffff 2번(목포시청, 산정동주민센터, 대성동주민센터, 목포여고, 목포역, 유달산우체국, 상공회의소, 여객선터미널, 구제일은행)}}}]]}}}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9|{{{#ffffff 9번(포미타운입구, 신동마을, 삽진산단, 연산주공, 목포여고, 호남동119안전센터, 구 자유시장, 삼학도)}}}]]}}}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ffffff 10번(목포시청, 목포고등학교, 연동초등학교, 동명농협, 목포역, 목포여고, 농협북항지점, 연산주공)}}}]]}}}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7|{{{#ffffff 7번(목포시청, 보건소사거리, 양동우체국, 남교동트윈스타, 유달산등구, 유달산우체국, 여객선터미널 , 삼학도우체국,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5|{{{#ffffff 15번(포미타운입구, 연산주공, 북항, 목포역, 삼학하이츠, 문화예술회관, 초원아파트, 우미블루빌, 하나로클럽, 석현동)}}}]]}}} || ==== -- 철도 -- ==== || 역명 || 노선 || 주요 경유지 || 열차 종류 || 비고 || || [[동목포역]] || [[호남선]] || [[송정리역]], [[장성역]], [[익산역]], [[서대전역]], [[용산역]] 방향 || [[무궁화호]], [[통일호]] || || || [[동목포역]] || [[경전선]] || [[남광주역(경전선)|남광주역]], [[순천역]], [[진주역]], [[마산역]],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 방향 || [[통일호]] || 1일 1회 운영 || 철도는 2003년 12월 까지는 학교 바로 뒤에 동목포역이 존재해서 무안, 함평에서 통학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그렇지만 2003년에, [[호남선]]이 복선화되어, 동시에 지화하 되면서 지금은 철도를 이용할 수 없다. 무려 [[서울]]은 물론 [[부산]]까지 운행했으며, 부산진까지 운행한 1553호 통일호 열차는 전설로 기억되며 동일한 계통의 열차가 목포역에서 지금도 무궁화호로 바뀌어 운행하고 있다. (!!!) [[동목포역]]은 80년대 초 중반 까지는 [[목포고]], 목포교대(현. [[목포대]]), 마리아회고가 본교와 함께 몰려 있어 [[목포역]]의 승객 수를 압도했던 적도 있다. 60~80년대 통학의 상징인 셈. === 야구부 === 지금은 해체되어 흔적 조차도 남아 있지 않지만, 일제 강점기 시절과 현대에 들어서 잠깐 동안에 존재하였다. >목포상업생래인(木浦商業生來仁) > >목포공립상업학교직원생도삼십사명(木浦公立商業學校職員生徒三十四名)은이십일일오전팔시삼십분(二十一日午前八時三十分)에내인시내중요처(來仁市內重要處)를견학(見學)하고오후삼시(午後三時)부터인천남상업(仁川南商業)과'''야구시합(野球試合)'''을한후육시반(後六時半)에출발(出發)하야봉천(奉天)으로향(向)하얏다더라(인천(仁川)) > 조선일보, 1924년 9월 24일 >대조주최중등야구(大朝主催中等野球) 조선예선대회(朝鮮豫選大會) >입팔일정오(廿八日正午)부터목포상업(木浦商業) 대 (對) 군산중학(群山中學)◆동오후사시(同午後四時)부터부산(釜山) 중학대부산일고(中學對釜山一高)(대구고보구(大邱高普球) 장(場)에서) > 조선일보, 1929년 7월 22일 == 학교 생활 == === 학생증 === || 지위 || 행명 || 관리지점 || 국제브랜드 || 비고 || || 정식 ||[[국민은행|{{{#ffffff,#191919 국민은행 }}}]]|| 하당종합금융센터 || [[마에스트로]] || 구. [[한국주택은행]]지점 || || 국제학생증 ||[[신한은행|{{{#ffef00 신한은행 }}}]]|| 광교영업부 || [[마스타카드]] || 구. [[조흥은행]]지점 || || 국제학생증 ||[[중소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 || [[마스타카드]] || || || 국제학생증 ||[[하나은행|{{{#white 하나은행 }}}]]|| 영업1부 || [[마스타카드]] || 구 [[외환은행]] 지점 || [[학생증]]은 [[국민은행]]으로 나오며,[* 계좌개설시, 하당종합금융센터에서 만들어지며(구. 한국주택은행 지점), 문제가 심각한 [[한도제한계좌]]로 나오지 않는다.] [[국민카드]] 답게 [[마에스트로]]나 국내전용으로 나온다. 또한 개인적으로 국제학생증을 따로 신청도 가능한데, [[신한은행]]과 [[외환은행]], [[중소기업은행]]에서 각각 신청할 수 있으며, 학교 검색시 전남제일고도 같이 나오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한다. === 교육 과정 === || 학년 || 해당 교육과정 || 계열 ||<-2> 국어과 ||<-4> 수학과 ||<-4> 사회과 ||<-2> 영어과 || 예체능 ||<-4> 과학과 || || 1학년 || [[2011 교과 교육과정]] || 공통 ||[[국어 I|{{{#1b1b1b 국어 I }}}]]||[[국어 II |{{{#1b1b1b 국어 II }}}]] ||<-2> [[수학Ⅰ(2009)|{{{#ffffff 수학Ⅰ}}}]] ||<-2> [[수학Ⅱ(2009)|{{{#ffffff 수학Ⅱ}}}]] ||<-2> [[사회(고등학교 과목)|{{{#ffffff 사회}}}]] ||<-2> [[한국사(2011)|{{{#ffffff 한국사}}}]] ||{{{#ffffff,#191919 실용영어 I }}} ||{{{#ffffff 실용영어 II }}} || [[체육, 음악, 미술|{{{#ffffff 체육, 음악, 미술}}}]] ||<-2> [[과학|{{{#ffffff 과학}}}]] ||<-2> [[과학교양|{{{#ffffff,#191919 과학교양}}}]] || || 2학년 || [[2011 교과 교육과정]] || 인문사회과정 || [[문학(교과)|{{{#1b1b1b 문학}}}]] || [[독서와 문법|{{{#ffffff,#191919 독서와 문법}}}]] ||<-4> [[미적분Ⅰ|{{{#ffffff 미적분Ⅰ}}}]] ||<-2> [[법과 정치|{{{#ffffff,#191919 법과 정치}}}]] ||<-2> [[생활과 윤리|{{{#ffffff,#191919 생활과 윤리}}}]] || {{{#ffffff 영어 I }}} || {{{#ffffff 영어 II }}} || [[체육, 음악, 미술|{{{#ffffff 체육, 음악, 미술}}}]] ||<-2> [[생명과학Ⅰ|{{{#ffffff 생명과학Ⅰ}}}]] ||<-2> [[화학Ⅰ|{{{#ffffff 화학Ⅰ}}}]] || || 2학년 || [[2011 교과 교육과정]] || 과학기술과정 ||<-2> [[문학(교과)|{{{#1b1b1b 문학}}}]] || [[미적분Ⅰ|{{{#ffffff 미적분Ⅰ}}}]] || [[미적분Ⅱ|{{{#ffffff 미적분Ⅱ}}}]] || [[확률과 통계(2009)|{{{#ffffff 확률과 통계}}}]] || [[기하와 벡터(2009)|{{{#ffffff 기하와 벡터}}}]] ||<-4> [[생활과 윤리|{{{#ffffff,#191919 생활과 윤리}}}]] || {{{#ffffff 영어 I }}} || {{{#ffffff 영어 II }}} || [[체육, 음악, 미술|{{{#ffffff 체육, 음악, 미술}}}]] || [[생명과학Ⅰ|{{{#ffffff 생명과학Ⅰ}}}]] || [[화학Ⅰ|{{{#ffffff 화학Ⅰ}}}]] || [[지구과학Ⅰ|{{{#ffffff 지구과학Ⅰ}}}]] || [[물리Ⅰ|{{{#ffffff,#191919 물리Ⅰ}}}]]|| || 2학년 || [[2011 교과 교육과정]] || 과학중점과정 ||<-2> [[문학(교과)|{{{#1b1b1b 문학}}}]] || [[미적분Ⅰ|{{{#ffffff 미적분Ⅰ}}}]] || [[미적분Ⅱ|{{{#ffffff 미적분Ⅱ}}}]] || [[확률과 통계(2009)|{{{#ffffff 확률과 통계}}}]] || [[기하와 벡터(2009)|{{{#ffffff 기하와 벡터}}}]]||<-4> [[생활과 윤리|{{{#ffffff,#191919 생활과 윤리}}}]] || {{{#ffffff 영어 I }}} || {{{#ffffff 영어 II }}} || [[체육, 음악, 미술|{{{#ffffff 체육, 음악, 미술}}}]] || [[생명과학Ⅰ|{{{#ffffff 생명과학Ⅰ}}}]] || [[화학Ⅰ|{{{#ffffff 화학Ⅰ}}}]] || [[지구과학Ⅰ|{{{#ffffff 지구과학Ⅰ}}}]] || [[물리Ⅰ|{{{#ffffff,#191919 물리Ⅰ}}}]]|| || 3학년 || [[2011 교과 교육과정]] || 인문사회과정 || [[화법과 작문|{{{#ffffff,#191919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ffffff,#191919 독서와 문법}}}]] ||<-4> [[확률과 통계(2009)|{{{#ffffff 확률과 통계}}}]] || [[윤리와 사상|{{{#ffffff 윤리와 사상}}}]] || [[사회·문화|{{{#ffffff 사회·문화}}}]] || [[한국 지리|{{{#ffffff 한국 지리}}}]] || [[동아시아사|{{{#ffffff 동아시아사}}}]] || {{{#ffffff 심화 영어회화 }}} || {{{#ffffff 영어 독해와 작문 }}} || [[체육|{{{#ffffff 체육}}}]] ||<-4> || || 3학년 || [[2011 교과 교육과정]] || 과학기술과정 || [[화법과 작문|{{{#ffffff,#191919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ffffff,#191919 독서와 문법}}}]] ||<-2> [[확률과 통계(2009)|{{{#ffffff 확률과 통계}}}]] ||<-2> [[기하와 벡터(2009)|{{{#ffffff 기하와 벡터}}}]]||<-4> || {{{#ffffff 심화 영어회화 }}} || {{{#ffffff 영어 독해와 작문 }}} || [[체육|{{{#ffffff 체육}}}]] || [[생명과학Ⅰ|{{{#ffffff 생명과학Ⅰ}}}]] || [[화학Ⅱ|{{{#ffffff 화학Ⅱ}}}]] || [[지구과학Ⅱ|{{{#ffffff 지구과학Ⅱ}}}]] || [[물리Ⅱ|{{{#ffffff 물리Ⅱ}}}]] || || 3학년 || [[2011 교과 교육과정]] || 과학중점과정 || [[화법과 작문|{{{#ffffff,#191919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ffffff,#191919 독서와 문법}}}]] ||<-2> [[확률과 통계(2009)|{{{#ffffff 확률과 통계}}}]] ||<-2> [[기하와 벡터(2009)|{{{#ffffff 기하와 벡터}}}]]||<-4> || {{{#ffffff 심화 영어회화 }}} || {{{#ffffff 영어 독해와 작문 }}} || [[체육|{{{#ffffff 체육}}}]] || [[생명과학Ⅱ|{{{#ffffff 생명과학Ⅱ}}}]] || [[화학Ⅱ |{{{#ffffff 화학Ⅱ}}}]] || [[지구과학Ⅱ|{{{#ffffff 지구과학Ⅱ}}}]] || [[물리Ⅱ|{{{#ffffff 물리Ⅱ}}}]] || * 2017학년도 입학생 교육과정 == 출신 인물 == === 독립운동가 === * [[강정태]] * [[박상렬]] * [[박종식]] * [[오상록]] * [[박사배]] * [[박상준(독립운동가)|박상준]] * 이재실 * 최창호 === 정치계 === * '''[[김대중]]'''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22회) * [[김문옥(정치인)|김문옥]] - 전 국회의원 * [[김관선]] * [[강선명]] - 전 국회의원 (1회) * [[강찬원]] * 신행용 - 전 국회의원 (1회) * [[홍성하]] * [[이경재(1932)]] - 전 국회의원 * [[이완식(1939)|이완식]] * [[권노갑]] - 전 국회의원 (27회) * [[이훈평]] - 전 국회의원 (38회) * [[임종기(1926)|임종기]] - 전 국회의원 (22회) * [[손영채]] - 전 하남시장 * [[박경원(1923)]] - 전 장관, 전 육군 [[제2작전사령관|2군사령관]] (20회) * [[이성일(1928)|이성일]] (27회) * [[장상기]] * [[조동회]] * [[최동철(정치인)|최동철]] === 법조계 === * [[정태균]] - 전 대법관 (23회) * 김용제 - 전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 === 금융계 === * 고범준 - 전 [[한국은행]] 부총재 (14회) * 윤순정 - 전 [[한일은행]]장 * 임광행 - [[보해양조]] 창업주 * 한석환 - 전 [[제주은행]]장 * 김인묵 - 전 [[제주은행]]장 * [[신용호]] - [[교보생명]] 창업주 * 배민홍 - 전 [[전북은행]]장 (15회) * 박상구 - 전 부산상호저축은행 명예회장 (21회) * 정채봉 - 현 [[우리은행]] 부행장 * 양재봉 - 초대 [[대신금융그룹]] 회장 (22회) * 강동숙 - 전 [[KB증권|KB선물]] 사장 * 백보길 - 전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사장 === 기업인 === * 박세정 - 전 [[대선제분]] 회장 * 김한선 - 전 [[아시아자동차]] (현.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회장 * 서구 - 현 [[금호아시아나그룹]] 상근고문 * 김종규 - 현 삼성출판박물관장 * 이광훈 - 전 [[롯데칠성음료]] 대표이사 * 박기범 - 전 [[크라운제과]] 대표이사 === 공직계 === * 오길영 - 전 주 시드니 대한민국 영사관 영사 (18회) * 고봉식 - 전 제주도교육감 * 이승택 - 전 [[제주도]]지사, 전 [[고용노동부]] 장관 (18회) * 김치영 - 전 [[전매청]] 청장, 전 [[한국조폐공사]] 사장 (4회) * [[추규호]] - 전 주[[영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전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현 [[주 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주 교황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48회) === 학계 === * 천옥환 - [[성균관대학교]] 철학 교수 (18회) * 나종일 - 현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명예교수 (22회) === 문화예술계 === * [[최진혁]] - 배우[* 전남제일고 시절 재학] * [[법정(승려)]] - 무소유의 저자 * 손석우 - 작곡가[* 한명숙의 노란 샤쓰입은 사나이를 작곡한 대한민국 음악계의 대부이다. 1920년생으로, 2019년 11월 12일에 모교 100주년을 못보고 별세했다.] * 조운 - 시인 * [[이주석(프로게이머)|이주석]] - 프로게이머 === 체육계 === * [[백인선]] * [[김현국]] * [[박종천(1979)|박종천]] * [[서영권]][* 목포상고 시절 재학] * [[우승연]][* 전남제일고 시절 재학] * [[홍성헌(농구)|홍성헌]][* 전남제일고 시절 재학] == 여담 ==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에서 최초로 [[컴퓨터]]가 설치된 학교이다. 기종은 NOVA 1200이며, 최고 성능은 128킬로워드였다고. * 타는 목마름으로 유명한 시인 [[김지하]]가 어렸을 적에 자주 놀러왔다고 한다. 김지하가 다닌 학교는 목포산정초등학교인데, 실제로 목상고와 지금도 가깝다. > 목포상업학교운동장은 중앙의 그라운드만 빼고는 마치 초원처럼 한없이 넓은 잔디밭으로 유명하다. 꿈에도 잊을 수 없는 그날 > 1991년 6월 13일, 동아일보 <국교시절 아름다운 추억, 김지하> * [[전라남도교육청]]에서 학교를 나열할때, 가장 먼저 뜨는 학교이기도 하다. 행정안전부 코드 순서상 전남에서는 목포가 가장 앞서고 다음이 학교가 있는 용당동이기 때문. * 제헌 국회의원 선거때 부터 전라남도 목포시 용당동(용당1동) 제1투표소를 지금까지 역임하고 있다. 현재 부지 이전도 광복 이전에 했고 용당동이 목포시 행정안전부 동 코드 상 맨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목포시 제1투표소나 다름없다. 또한 목포시에서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갑작스레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목포실내체육관 대신에 개표장으로 활용 되었다. * 목포시 소재 학교들의 운동장이 전반적으로 넓은 편이지만 [[목포고등학교]], [[목포홍일고등학교]], [[목포제일중학교]]를 능가할 정도로 운동장이 정말 넓은 편이다. 과거 체육대회 때 일화로, 본부석에서 "X학년 X반 경기하러 나오세요" 안내방송을 수 차례 했음에도 운동장 반대편에 있는 학생들까지 들리지가 않아 [[몰수패]]를 당했다고 한다. * 2021년 2월 제98회 졸업식을 거행했다. 학교 동문은 28,000명이 약간 안 된다. * 국내에서 유일하게 [[김대중|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해낸 학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