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몽골)] [include(틀:몽골 관련 문서)] [include(틀:동아시아의 교통)] [목차] == 개요 == [[몽골]]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 비교해 인구밀도가 극도로 낮기 때문에(km²당 2명) 몽골의 교통도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 == 도시 간 교통 == === 도로 === 전국적으로 포장도로가 깔린 편이지만 여전히 몽골의 40,000여km의 도로 중 7% 남짓(2,700km)만이 포장되어 있다. 그래도 [[울란바토르]]에서 지방의 중심지까지 가는 간선도로는 포장되어있지만, [[교통표지판]] 따위도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 직접 운전할 경우 도로에 차가 한 대도 지나가지 않고 주변에 보이는 건 끝없는 초원뿐이라서 어느 방향으로 가야할지 감을 잡을 수 없을 정도. [[고속도로]] 따위는 없다. 한국인은 직접 운전하는 것도 웬만해서는 불가능한데, 2015년 9월부터 몽골에서는 한국의 [[국제운전면허증]]을 인정하지 않기 [[https://overseas.mofa.go.kr/mn-ko/brd/m_388/view.do?seq=1202431|때문]]이다. 한국 대사관에서 4달러를 내면 공증해준다는 정보가 왜인지 퍼져 있는데, 공증은 공증일 뿐 몽골 정부에서 한국 면허증 자체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공증을 해도 사용할 수 없다. [[버스]]나 [[미니밴]]이 정기적으로 울란바토르와 주요 주도(울란바토르 외에는 10만 명이 넘게 사는 도시가 하나도 없으니 기껏해야 한국의 읍내 수준) 사이에서 사람들을 실어나르기는 하나, 나라가 넓고 도로 인프라도 열악하다보니 울란바토르~서부의 바양을기 같은 경우 '''48시간'''[* 2013년도 이후로 새로이 도로를 놓았다.]을 가야한다. 좁은 버스에 끼여서 하루종일 가느니 [[비행기]]를 타는 편이 [[허리]]를 위해서도 좋다. 몽골 국외로 나가는 버스로 [[울란바토르]]에서 [[베이징]]을 오가는 고속버스가 존재한다. === 철도 교통 ===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7051807351320002010-003.jpg]] 몽골에서 주요 철도는 사실상 [[중국]] [[베이징역]]에서 출발해 몽골 울란바토르를 거쳐 [[시베리아 횡단철도]] 등을 통해 [[러시아 철도]]로 이어지는 [[몽골 종단철도]] 단 하나라고 봐도 좋다. 철도를 [[소련]]이 깔아주었기 때문에 1,520mm 러시아 광궤를 사용하며, 전철화 따위는 꿈에서나 꿔야 할 수준. 몽골 종단철도에서 뻗아나가는 약간의 지선이 몇 있으며, 동부 처이발상 시에도 [[러시아]] 국경에서 넘어오는 약간의 철도가 있으나 몽골종단철도와는 전혀 연결되지 않고 몽골 동부는 여행자들도 거의 찾지 않는 곳이라 존재감이 없다. 때문에 철도를 이용해서 몽골 내륙을 여행하겠다는 생각은 접는 것이 좋다. 그나마 이 [[몽골 종단철도]] 인근에 있는 다르한, 사인샨드, 수흐바타르, 자민우드나 몽골 제2의 도시 [[에르데네트]] 같은 도시들은 철도가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한두 편씩은 다녀서 제한적으로 철도여행이 가능하긴 하다. 몽골 철도는 운임도 저렴한 편이고, 무엇보다 포장상태가 빈약한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보다는 그래도 편하다. 도로가 빈약하다보니 저 몽골 종단철도만으로도 몽골 전체 여객운송의 47%, 화물운송의 93%를 차지한다. 내륙국이다보니 수출도 거의 [[화물철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몽골 종단철도는 중국과 러시아를 잇는 역할도 하므로 중국행 혹은 러시아행 국제열차가 많이 운행되며, 러시아-몽골-중국 3개국 노선도 많이 볼 수 있다. 물론 국제화물열차도 많이 운행되며 이 화물열차의 통과료가 몽골의 쏠쏠한 수입 중 하나. === 항공 교통 === ==== 국내선 ==== 이렇게 교통 인프라가 부족하다보니 상대적으로 항공교통이 발달해 있다. 울란바토르 이외의 각 주의 주도는 항공 교통으로 연결된다. 전국에 46개의 [[공항]]이 있으며 수도 울란바토르를 중심으로 연결된다. 물론 [[칭기즈칸 국제공항]]과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공항들 대부분은 한국의 지방공항과 시골 버스터미널도 최첨단으로 보일만큼 시설이 빈약하다. 빨리 가야할 일이면 2~3시간안엔 도착하니까 그것 또한 방법. 국적항공사인 [[미아트 몽골항공]] 외 여러 회사가 국내선을 운영한다. 특이하게 몽골 국내선은 외국인 요금과 몽골인 요금이 다른데, 한국인의 경우 절대 싸다고 할 수 없다. 한국돈으로 20만원 수준이다. 인구밀도가 낮고 도시도 드물다보니 몽골 국내선은 모두 [[포커 50]], [[사브 340]], [[봉바르디에]] [[Q400]] 등의 프로펠러기가 주력이다. 비행기도 엄청 작아서 30~40명밖에 못 타고[* 한국에서 [[백령공항]]이나 [[흑산공항]], [[울릉공항]]이 개항하면 이런 식의 항공노선이 운영된다. 여기는 수요 문제보다도 활주로 길이가 짧아서 그렇다. ] 무엇보다 비행기가 크게 흔들릴 때 엄청 무서우니 주의. 실제로 한인 몇명이 비행기에 흔들림을 경험하고 그 이후로 심각할 정도의 비행기 트라우마를 겪었다고 한다. ==== 국제선 ==== 국제선은 사실상 [[칭기즈 칸 국제공항]] 한 곳밖에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끼어 있는 애매한 입지 때문에 칭기즈 칸 국제공항을 잇는 국제선은 많지 않다.([[한국]], [[중국]], [[러시아]], [[터키]] ,[[태국]] 정도가 끝) [[미아트 몽골항공]] 역시 일부 국제선을 운영하고 있다. === 수상 교통 === 몽골은 [[내륙국]]이지만 각지에 존재하는 큰 호수에 선박 교통편이 존재한다. == 시내 교통 == 한국 기준으로 [[몽골]]에서 도시라 할 만한 지역은 [[울란바토르]] 하나뿐이므로 울란바토르 참조. 물론 지방 중소도시에도 버스가 다니기는 한데, 인터넷에서 노선 정보를 얻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몽골, version=959, paragraph=8.4)] [[분류:몽골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