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繆]][[尙]] == 중국 후한 말기 인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무상)] == [[無]][[狀]] == 버릇이 없거나 무례하거나 경우를 말한다. 같은 성어는 무상무도(無狀無道) === 출전 === 영조실록 47권, 영조 14년 5월 22일 계유 1번째 기사[[https://sillok.history.go.kr/id/kua_11405022_001|출전]] === 내용 === ||(생략)(兵曹判書朴文秀曰: "其人則'''無狀''', 而國家處分太過(생략)(병조판서박문수왈: 기인측무상, 이국가처분태과) (생략)병조 판서 [[박문수]](朴文秀)는 아뢰기를, "그가 무상(無狀)하기는 하지만, 국가의 처분이 너무 지나쳤습니다.(생략)|| == [[無]][[常]] == 일체 만물이 끊임없이 생멸변화하여 한 순간도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불교의 근본 교리를 말한다. 같은 말은 [[제행무상]]이다. == [[無]][[上]] == 더할 나위 없는 최고의 것. == [[無]][[相]] == 신라 진평왕 시절 승려이다. 생몰은 680 ~ 756. == [[無]][[常]] == 덧없는 것, 일정하지 않은 것, 상주([[常]][[住]])함이 없는 것을 말한다. == [[無]][[償]] == 어떠한 행위에 대하여 그 대가나 보상이 없는 것. == [[亡]][* 여기에서는 "없을 무"으로 읽어야 한다.][[狀]] == 공(公)이 없다.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