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성학]] [include(틀:자음 분류)] [목차] == 개요 == [[無]][[聲]][[音]] / Unvoicing, Voicelessness[* 형용사형은 voiceless(unvoiced)]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청탁|청음]]'''(淸音)이라고도 한다. [[성대]]의 진동이 없는 소리이며, 성대가 살짝 열려 있는 상태[* 보통 호흡을 할 때는 성대가 열려있다. 이 상태에서 조음을 하려면 뜨거운 것 식히듯 후~하고 부는 듯이 조음하면 된다.]에서 조음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귓속말]]을 할 때의 소리와 실제 말할 때의 소리를 비교해서 들으면 살짝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서양 언어에서 성대의 떨림 여부로 [[의미]]를 구별한다. 다만, [[한국어]]나 [[중국어]][* 단, 일부 방언의 성모 중 sh([[권설음#s-1.1.4|/ʂ/]])와 r([[권설음#s-1.1.4|/ʐ/]])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경성(轻声)일때는 유성음화된다.] 등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으로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가 아니다 보니[* 대신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으로 의미를 구별한다. 특히 한국어는 유기음이 한번 더 갈라져서 약기음(예사소리), 강기음(거센소리)으로 나뉘어 총 3가지의 차이로 의미를 구분한다.] 그 차이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힌디어]]처럼 '''둘 다 구별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기본적으로 무성-유성 대립만 할 경우 무성음은 강기음(거센소리)에, 유성음은 약기음(예사소리)에 각각 대입하는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일본어]]는 예외적으로 무성음도 어두에 오면 평음으로 적는데, 이는 표기법 제정 이전의 표기 관습이 반영된 것.[* 일본어의 청음은 기식이 약해서, 옛날부터 많이 쓰여온 일본어 단어들 중에 어두 か/た행이 ㄱ, ㄷ으로 전래된 경우가 많다. '가오', '구루마', '다꽝' 등이 그 예시이다. つ는 예외적으로 된소리로 전래되었다.(쯔, 쓰)] 동남아 언어와 같이 무성무기-무성유기-유성이 따로 있을 경우 각각 무기음(된소리)-강기음-약기음에 대응시키기도 한다. [[한국어]]의 경우 평음(ㄱ,ㄷ,ㅂ,ㅈ)은 어두에 오면 무성음으로 발음된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이것을 반영한 것.[* 참고로 한국어에서는 유성음, 무성음으로 자음을 구분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네 자음은 본래 무성음인 것으로 간주하므로, 따라서 어두에 오면 무성음으로 바뀌는 게 아니라 앞에 유성음과 모음이 있어 유성음화되는 것이라고 해야 올바른 설명이다.][* 훈민정음의 쌍자음 ㄲ, ㄸ, ㅆ, ㅉ, ㅃ은 본래 전탁, 즉 유성음(g, d, z, dz, b)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문자라는 설이 있다. 실제로 원래 현대 한국어의 맞춤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된소리를 [[ㅅ계 합용병서|ㅅ 합용병서]]로 표기했고 쌍자음은 유성음이 존재하는 다른 외국어의 유성음을 표기하는데 사용했다.] == 무성음을 표기하는 IPA 기호 == === [[비음]] === {{{#!html /m̥/(양순음), /ɱ̊/(순치음), /n̼̊/ /m̺̊/(설순음), /n̪̊/(치음), /n̊/(치경음), /ȵ̊/(치경구개음), /ɳ̊/(권설음), /ɲ̊/(경구개음), /ŋ̊/(연구개음), /ɴ̊/(구개수음)}}} === [[파열음]] === {{{#!html /p/(양순음), /k͡p/(양순연구개음), /p̪/(순치음), /t̪/(치음), /t/(치경음), /ȶ/(치경구개음), /ʈ/(권설음), /c/(경구개음), /k/(연구개음), /q/(구개수음), /ʡ/(후두개음), /ʔ/(성문음) }}} === [[파찰음]] === {{{#!html /p̪͡f/(순치음), /t͡s/(치경음), /t͡ɬ/(설측치경음), /t͡ʃ/(후치경음), /t͡ɕ/(치경구개음), /ʈ͡ʂ/(권설음), /c͡ç/(경구개음), /k͡x/(연구개음) }}} === [[마찰음]] === {{{#!html /ɸ/(양순음), /f/(순치음), /θ/(치음), /s/(치경음), /ɬ/(설측치경음), /ʃ/(후치경음), /ɧ/(후치경연구개음), /ɕ/(치경구개음), /ʂ/(권설음), /ꞎ/(설측권설음), /ç/(경구개음), /ʎ̝̊/(설측경구개음), /x/(연구개음), //(설측연구개음), /χ/(구개수음), /ħ/(인두음), /ʜ/(후두개음), /h/(성문음) }}} === [[접근음]] === {{{#!html /ɥ̊/(양순경구개음), /w̥/(양순연구개음), /ɹ̥/(치경음), /l̥/(설측치경음), /j̊/(경구개음), /ʎ̊/(설측경구개음) }}} === [[전동음]] === {{{#!html /ʙ̥/(양순음), /r̥/(치경음), /ʀ̥/(구개수음) }}} === [[흡착음]] === {{{#!html /ʘ/(양순음), /ǀ/(치음), /ǃ/(치경음), /ǁ/(설측치경음), /ǂ/(경구개음) }}} === [[내파음]] === 앞이 유성내파음+ ̊(무성음), 뒤가 무성내파음(폐지기호) {{{#!html /ɓ̥/ /ƥ/(양순음), /ɗ̥/ /ƭ/(치경음), /ᶑ̊/ /ƭ̢/(권설음), /ʄ̥/ /ƈ/(경구개음), /ɠ̊/ /ƙ/(연구개음), /ʛ̊/ /ʠ/(구개수음) }}} === [[충격음]] === {{{#!html /ʬ/(양순음), /ʭ/(치음) }}} == 관련 항목 == * [[언어 관련 정보]] * [[유성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