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건국훈장 대통령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문창범}}}'''[br]'''文昌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문창범.png|width=100%]]}}} || || '''이명''' ||원창범(元昌範) || || '''본관''' ||[[남평 문씨]][* 의안공파-이곡-관북파 31세 창(昌) 항렬.][* [[http://www.newsfc.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08|#]]] || ||<|2> '''출생''' ||[[1870년]] || ||[[함경도]] [[경원군|경원도호부]] 유신사 삼리 죽기마을[* 1896년 함경북도 경원군 유신면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가, 1914년 유신면이 인근의 덕명면과 합쳐져 유덕면이 되었다.][br](현 [[함경북도]] [[경흥군]] 송산리)[* [[http://db.history.go.kr/id/im_105_10038|#]]] || ||<|2> '''사망''' ||[[1934년]][* 1938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10월 10일]] || ||[[중화민국]] [[상하이]][* [[소련]]에서 별세했다는 설도 있다.] || || '''상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한국]]의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연해주]] 지역에서 [[최재형(독립운동가)|최재형]] 선생 이후로 독립운동의 거두로 활동했다. 1990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문창학]]은 그의 4촌 동생이다.[* 정작 [[남평 문씨]] 족보에는 문창범의 가계가 누락되어 있다. 문창학의 조부 문해범(文海範)의 슬하에는 문창학의 아버지 문태원과 숙부 문태옥(文泰玉)이 있었는데, 숙부 문태옥은 슬하에 딸만 한 명 있고 아들이 없어 문창학의 첫째 동생인 문창순(文昌順)을 입양한 것으로 되어 있다.] == 생애 == 1870년 함경도 경원도호부 유신사 삼리 죽기마을(현 함경북도 경흥군 송산리)에서 태어났다. 1877년(고종 14) 경 부친을 따라 [[러시아|노령]] [[연해주]] [[우수리스크|니콜리스크]] 인근 육성촌(六城村)[* 푸칠로프카(Putsilovka)라고도 함.]으로 이주하였다. 1908년([[융희]] 2) 민족교육을 위하여 노령 니콜리스크의 타레스 부락에 광동학교(光東學校)를 설립하고 1916년까지 운영하였다. 1911년 노령 니콜리스크에서 배일선전 격문을 작성하여 각지에 발송하고 국권회복을 기도하면서 국내에 무력진공을 계획하는 한편 노령과 중국 [[동삼성]] 지역에 있던 독립운동단체들을 규합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해삼위]](海蔘威) 신한촌에서 권업회가 조직되자 그는 권업회의 우수리스크지회 대표에 임명되었다. 1918년 6월 중국 [[지린성]] 쌍성[* 지금의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솽청구(雙城區)]에 전로(露)한족회중앙총회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선임되어 각지에 분회를 설치하여 자치기관으로 육성하였다. 1919년 2월 1일 동삼성에서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자 39인 중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이어 미주의 [[안창호]] 등과 연락하여 1919년 3월 17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기반으로 대한국민의회라는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대한국민의회장의 명의로 독립선언서를 작성하여 노령 해삼위에 있는 일제 영사관과 기타 11개국 영사관에 배부한 후 주민들에게 태극기를 가지고 거리를 행진하며 만세시위를 하도록 독려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4월 13일 선포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각 구성에서, 같은 연해주 지역으로 군무총장 [[이동휘]], 재무총장 [[최재형(독립운동가)|최재형]]과 함께 교통총장에 선임되었다. 그해 4월 23일 국내 13도 대표 이만직(李晩稙) 외 23명이 국민대회를 열어 임시정부를 조직할 때 집정관 총재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와 함께 교통부총장으로 내각 조직에 선임되었다. 1919년 9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단체들과 각 당파를 망라하여 대통령제로 개편할 때 다시 교통부 총장에 선임되었다. 그는 [[현순]]의 거듭된 상하이 방문 요청으로 상하이로 일단 내려왔다. 1920년 중국 상해에서 [[대한적십자사]]의 고문으로 추대되었고, 그해 4월 대한국민의회를 해삼위에서 무시로 이전한 뒤 흑룡강주에 한족공산당 본부를 설치하여 러시아 공산당 정부의 원조를 받아 군대를 편성하였으며, 〈자유보〉,〈신세계〉등 홍보물을 발행하면서 대표를 모스크바에 파견하여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1년 그는 장령자(長嶺子) 국가무역부에 입사, 취직하여 출장소 주임으로서 근무함과 동시에 [[고려공산당]] 연추(煙秋)[* 지금의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프리모리예 지방]] Khasansky구 Tsukanovo]지부의 조직에 참여하였다. 그가 국가무역부 출장소의 직원으로 취직한 내용은 1934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이 작성한 『국외용의조선인명부(國外容疑朝鮮人名簿)』에 등재되어 있다.[[http://db.history.go.kr/id/im_105_10038|#]] 1921년 2월 22일 고려공산당 연추지부의 책임을 담당하여 중국 동삼성 및 노령에 거주하는 교민의 [[독립운동]]을 지도하였으며, [[러시아]] 치타에 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노령 내 귀화 교민들에게 입교를 권유하여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그해 6월 노령 하바로브스크 소재 소련 공산군 제2군단과 교섭하여 간도지역 독립군의 노령 자유시로의 이주를 성사시켰다. [[자유시 참변]] 이후인 1922년 6월 노령 무시에 고려중앙정청을 조직하고 이동휘와 함께 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23년 1월 한때 그가 피살되었다는 피살설이 돌아 [[동아일보]] 등에 보도되기도 했다. 이때 그는 연해주 이만(Iman, 달네레첸스크)으로 옮겨가 [[김경천|김광서]]와 함께 독립단을 조직하여 무장활동을 하였다. 당시 신한민보에는 그의 죽음은 헛소리라는 기사를 보내기도 했다. 1923년 6월 상해 임시정부에서 소집한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하였다. 이후 1925년 1월 15일자 신한민보 기사에 미국의 독립운동가들이 해삼위의 독립운동가들을 방문하여 회의를 한 기사에 등장한다.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 사망? === 창조파에 속하여 [[독립운동]]을 계속하다가 1934년 10월 10일, 일제가 보낸 첩자에게 [[상하이]]에서 [[독살]]당하였다. 다만, 일설에는 1938년경 러시아의 한 감옥에서 [[이질(질병)|이질]]에 걸려 사망했다는 설도 있는데, 다음 기록에 근거한다. >문창범은 장사하기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륙성촌의 학교나 교회는 모두 다 그의 지도하에 지어졌다고 한다. 그는 큰 부자로 우수리스크에서 구역 집을 짓고 살았다 한다. (중략) 문창범은 1938년 감옥에서 이질을 하다가 60세를 지나서 세상을 떠났다 한다. >---- >최 예카테리나 미하일로브나[* 한국명 최금순, 1918년생. 육성촌에서 소학교를 졸업하고 1931년에 작가 [[조명희(시인)|조명희]]로부터 조선 문학을 배웠던 바 있음.] 저, 「륙성촌에 대한 회고」중 일부.[[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9011&docId=3580111&categoryId=59011|#]] 한때 1945년 해방 직후 9월 2일 [[한국민주당]]에서 그를 공동 영수로 추대하기도 했으며,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분류:나무위키 한국사 프로젝트]][[분류:경원군 출신 인물]][[분류:남평 문씨]][[분류:1870년 출생]][[분류:1934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독살된 인물]][[분류:암살된 인물/한국사]][[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분류:노령방면 독립운동가]][[분류:임시정부 계열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