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뮤직뱅크)] [include(틀:K-POP)] [include(틀:K-차트)] [목차] == 개요 == [[http://program.kbs.co.kr/2tv/enter/musicbank/board.html?smenu=a1e0fb|[[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케이 차트(K - Chart)는 [[뮤직뱅크]]의 순위로 매주 지난주의 디지털 음원 + 음반 판매 + 방송횟수 + 글로벌 K-POP 팬 투표 + SNS 점수를 합산하여 1위에서 50위까지의 순위를 결정한다. 뮤직뱅크가 시작한 1998년부터 존재한 차트다. 그러다가 2001년 없어졌다가 2007년 다시 부활시켰다. 2021년 3월 기준으로 음악 프로그램 중에선 유일하게 무제한 1위가 가능하다. 2023년 기준으로 1위 후보가 '2곡 체제'로 개편된 이후 1위 후보를 모두 차지한 가수는 [[EXO]], [[아이유]], [[방탄소년단]](4회), [[aespa]], [[NewJeans]], [[IVE]] 여섯 팀 뿐이다. == 점수 집계 방식 == 2023년 1월 6일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집계 방식이다. 세부 집계 기준은 공개되었다.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나 동점일 경우에 한해 소수점 이하를 공개한다.) || 디지털 음원 점수 || 국내 5대 온라인 음원사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벅스(음원 서비스)|벅스]], [[지니뮤직|지니]], [[네이버 VIBE|VIBE]], [[FLO]]의 데이터 반영 || 60% (만점: 120,000점)[* 이전 반영 점수는 65%(130,000점)이었으며, 당시 점수의 5%가 소셜 미디어 점수로 분리되었다.] || || 음반 판매 점수 || [[써클차트]] 반영 || 5% (만점: 10,000점) || || 방송 횟수 점수 || TV, 디지털, 라디오 포함 || 20% (총점: 40,000점) || || K-POP 팬 투표 점수 || [[뮤빗(mubeat)]] 앱 사전투표 반영 || 10% (만점: 2,000점) || || 소셜 미디어 점수 || [[써클차트]] 소셜차트 2.0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와 [[TikTok]] 좋아요 지수 점수 반영 || 5% (만점: 10,000점) || ||<-2> '''합계''' || '''100% (200,000점)''' || * '''디지털 음원 점수''': 유선 음악 서비스와 모바일 음악 서비스 점수를 합산해 점수를 집계한다. 유선 음악 서비스는 국내 5대 온라인 음원사([[멜론(음원 서비스)|멜론]], [[벅스(음원 서비스)|벅스]], [[지니뮤직|지니]], [[네이버 VIBE|VIBE]], [[FLO]])의 데이터 1위 ~ 100위까지를 조사, 5개사별로 곡별 점유율을 내며, 모바일 음악 서비스는 [[로엔엔터테인먼트|로엔]]으로부터 제공받은 벨소리 + 휴대전화 통화 연결음 다운로드 건수를 1위 ~ 100위까지 조사, 합산하여 '''곡별 점유율'''을 낸 후 점수화한다. 원래는 유선 음악 서비스와 모바일 음악 서비스 점수에 [[올레 뮤직]]의 점수도 반영되었으나, [[2017년]] [[11월 6일]] 뮤직뱅크 측의 [[http://www.kbs.co.kr/2tv/enter/musicbank/notice/index.html?bbs_pr=/mode:2/seq:1189795/goto_page:1|공식 공지]]를 통해 [[지니뮤직(기업)|음원사]] 사정으로 인해 제외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 [[8월 3일]]부터는 모바일 점수도 폐지되고 온라인 점수로 반영되고있다. [[2020년]] [[11월 20일]]부터 디지털 음원 점수 집계 대상에서 [[소리바다]]가 제외되고 [[FLO]]가 포함되기 [[http://program.kbs.co.kr/2tv/enter/musicbank/pc/board.html?smenu=264b73&bbs_loc=T2000-0027-04-626614,read,,46,988060|시작했다]]. * '''음반 판매 점수''': 2022년 2월 25일부터 "써클차트"의 앨범차트 순위를 반영해 집계한다.[* 이전까지는 [[한터차트]]를 사용해 왔다.] * '''방송 횟수 점수''': [[KBS NEWS]]를 제외한 나머지 TV 방송 횟수와 라디오 방송 횟수, 디지털 방송 횟수를 합산해 점수화한다. 2022년 2월 25일 추가된 디지털 방송 횟수는 KBS 유튜브 디지털 콘텐츠 출연 횟수라고 공개하였다.[* 이 때문에 컴백하는 그룹들이 [[KBS Kpop]]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는 [[리무진서비스]], [[매터돌]], [[아이돌 인간극장]], [[슈퍼맨이 돌아왔다|슈돌 - 아이클라우드]] 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에 출연하는 것이 사실상 필수 코스가 되었다.] 라디오 방송의 횟수는 KBS 라디오 전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게 아니라 [[KBS 2FM]]의 7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집계하고 이 외의 프로그램은 집계 대상이 아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694281|#]] * '''K-POP 팬 투표 점수''': [[뮤빗(mubeat)]] 어플을 이용한 사전 투표 점수로, K-POP 팬 투표는 매주 월요일 오전 11시부터 수요일 오전 11시까지 진행된다. 해당 투표 결과가 매주 금요일 방송에 바로 반영되기 때문에 발매 주에도 팬 투표 점수를 흭득할 수 있다. 2023년 5월 19일 방송부터 K-POP 팬 투표 점수가 글로벌 팬 투표 점수로 변경된다. * '''소셜 미디어 점수''': [[써클차트]]의 소셜차트 2.0 중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와 [[틱톡]]의 지수를 점수로 산정한다. 2007년 9월에서 12월까지는 '''디지털 음원차트, 노래방 차트, 시청자 선호차트, 음반차트'''의 4가지 주제별 차트를 집계하였으며, 2008년 1월부터 2009년 4월까지는 매주 디지털 음원 차트, 음반 차트와, 월간 통합 차트(음반 차트 점수(20%) + 디지털 음원 차트 점수(50%) + 시청자 선호도 차트 점수(30%))의 3가지 케이 차트를 집계하였다. 하지만, 2009년 5월부터 월간 통합 차트를 폐지, 매주 통합 차트로 집계하고 있다. 상반기, 하반기 통합 차트도 있으며 그 때 방송은 상반기, 하반기 히트 친 가수들이 주로 출연한다. 다만 2011년부터 상반기 결산 차트는 발표하지 않고 있다. 아무래도 하반기 결산이 없다는 점에서 상반기와 하반기 곡의 유불리 문제 때문에 없앤 듯 하다. 반면 연말 결산에서는 차트를 발표하긴 하지만 시상은 없어지고 대신 VCR로 20~1위까지의 순위를 발표한다. 한국 음악 방송 중 유일하게 각 분야 1위에게 만점을 주고 나머지는 성적에 따라 점수를 분배하는 차등 점유율제가 아닌 총점에서 점유율에 따라 점수를 분배하는 단순 점유율제를 사용한다. 단, K-POP 팬 투표 점수에 한해 1위에게 2,000점을 주는 차등 점유율제가 적용된다. 타 음악 방송에서는 1위 후보 2~3팀에 한해서 점수를 방송에서 공개하지만 케이 차트는 방송 중간 VCR을 통해 1위 후보 외 20위까지도 점수를 방송에서 공개해준다. == 이야깃거리 == 2009년 4월 3주 K-차트부터는 CM 송을 제외하고 있다. 그 전주에 1위 후보에 올랐던 '[[롤리팝#s-3.2.1|Lollipop]]'([[BIGBANG|빅뱅]] & [[2NE1]])으로 인한 것인데, 이유는 곡 제목 자체가 [[LG전자|특정 회사]]의 [[롤리팝#s-3.1|휴대폰 브랜드명]]이기에 간접 광고가 되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도 CM 송이 차트에 오르지 않다가 [[f(x)]]가 부른 같은 제품의 같은 제목의 곡이 차트에 올라왔다. 아무래도 이 경우에는 광고가 국내 대상이 아니기 때문인 듯하다. 2011년 1월 4주 K-차트부터는 [[OST]]를 따로 집계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를 공식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SBS]] 드라마 [[시크릿 가든(드라마)|시크릿 가든]] OST인 '그 남자'([[현빈]])에게 1위를 줄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사실 가수도 아닌 배우가 KBS 드라마 OST도 아닌 SBS 드라마 OST로 뮤직뱅크에서 상 타가는 건 좀 이상하긴 해요. 그렇죠?~~ ~~근데 예전엔 '질투', '걸어서 하늘까지', 가수 데뷔 전 안재욱이 부른 'Forever'도 다 줬는데?~~ 물론 그 외에도 OST 강세로 인해 순위권이 이래저래 복잡해지자 정리하는 측면에서 신설한 것 같기도 하다. ~~이걸 구분하지 않았다면 "[[Let It Go(겨울왕국)|Let It Go]]"를 부른 [[이디나 멘젤]]이나 [[데미 로바토]], [[박혜나]]나 [[효린]]에게 상을 주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벌어졌을지도 모른다.~~ --신의 한 수-- 매주 월요일 [[KBS]] 뮤직뱅크 홈페이지에서 그 전주에 방송된 뮤직뱅크 K-차트 순위를 게시하고 있다. 여기서 타 음악 사이트와 가요 프로그램 순위와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는데, [[아이유]] 좋은날은 나온 지 9개월 동안 50위 안에 살아 남아 뮤직뱅크 사상 가장 오래 차트에 있었고, [[임재범]]의 너를 위해는 2000년 노래인데 2011년 [[나는 가수다]] 열풍에 2위까지 오르기도 했다. 그리고 트로트 곡도 아주 가끔 50위권 안에 들기도 한다. [[아이유]]의 좋은 날은 2012년 2월 1주차에 36위로 재진입했다. 1위에 '''방송 점수'''가 미치는 영향이 크고, KBS TV 출연만 반영해서 공정성에도 논란이 있는지라 '''방점뱅크'''라고 까일 때가 많았고, 해당 논란은 현재 진행중이다. 2011년 11월 개편 이후 이 현상이 매우 심했다. 이후에 차트가 개편되면서 방점의 영향력이 많이 줄어들어 이러한 논란이 사라졌으나, 2022년 새로운 K-차트 집계 기준이 적용되고 나서 TV+디지털 방송 회당 점수가 대폭 증가하면서 이러한 비판에 다시 불이 붙게 되었다.[* 특히 예전과는 다르게 음원 시장 파이가 상당히 줄어들어서 가온차트 디지털 부문 주간 1위를 한 노래도 2천 중반을 겨우 넘을까 말까였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되었다.] 음반 사재기 논란 역시 잊을만하면 일어나는 편. 2013년 3월 20일 KBS 등 국내 언론사 및 금융사에 대한 해킹 공격, 즉 [[3.20 전산망 마비사태]] 때문에 홈페이지의 예전 차트 정보가 모조리 날아갔다. 뿐만 아니라 시청자 게시판 글마저 다 지워졌다. 당연하지만 오디션, 경연 등의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나온 방송 음원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 예외적으로 [[언니들의 슬램덩크]] 프로젝트 그룹 [[언니쓰]]의 곡은 집계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시즌1 'Shut Up'은 2016년 7월 2주차에 6위로, 시즌2 '맞지?'는 2017년 5월 3주차에 5위로 진입했다. == 통합 기록 == === 연속 1위 관련 === 뮤직뱅크에서는 1위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결과가 간혹 나오는 편이다. * 케이 차트 최장 기간 연속 1위 달성곡: [[싸이]] - <[[강남스타일]]> '''(10주)'''[* 참고로, 모든 방송사를 통틀어 음원 차트 최장 기간 연속 1위 달성곡은 [[SBS 인기가요]]의 [[신승훈]] - <[[보이지 않는 사랑(노래)|보이지 않는 사랑]]>이다. '''(14주)'''] * 케이 차트 통산 최다 1위 달성곡 (전체 항목): [[싸이]] - <[[강남스타일]]> '''(16주)'''[* 2012년 연말 결산에서도 1위를 차지해서, 트로피는 총 17회 받았다.] / [[방탄소년단]] - <[[Dynamite]]> '''(16주)''' * 케이 차트 OST 부문 최장 기간 연속 1위 달성곡: [[신사와 아가씨]] / [[임영웅]] - <[[사랑은 늘 도망가(임영웅)|사랑은 늘 도망가]]> '''(37주)'''[* 2022년 9월 2주~2023년 5월 3주. 이 곡은 앞서 2021년 10월 4주부터 이듬해 4월 1주까지 24주 연속으로 1위에 머물며, 당시 두 번째로 가장 오래 연속 1위를 차지했었다. 한편, 이전 최장 기간 연속 1위 기록은 [[키스 먼저 할까요?]] / [[폴킴]] - <[[모든 날, 모든 순간]]>의 '''26주'''이다.] === 점수 관련 === ==== 2009년 5월 이후 ==== 케이 차트의 도입 시기는 2007년이었으며, 이 케이 차트가 주간 통합 차트가 되어 총점이 20만 점으로 확정이 된 시기는 2009년 5월이다. 선호도 최저점은 발매 주차에는 0점이 되고, 음반의 경우 디지털 싱글의 경우 0점이 되므로 해당 부문에서 0점을 먹고도 1위를 먹은 기록은 많다. 방송 점수 역시 마찬가지이므로 1위 곡 부문 별 최저점은 음원 점수 외에는 기록하지 않는다. 또한 소셜 미디어 점수 역시 뮤직비디오가 없고 틱톡 좋아요가 없다면 0점이 되고 0점으로 1위를 한 기록도 많다. 각 개편분 별 기록은 각 개편분 별로 부문별 0점을 먹고도 1위를 기록한 곡이 2곡 이상이 아닌 이상 기록한다. 최고점 기록은 2013년 이후 총점 자체가 하향되었기 때문에 갱신은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나 총점 상한선이 10000점인 음반 점수는 아예 불가능. * 총점 최고점: 30454점,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2012년 10월 12일 기록. * 디지털 음원 점수 최고점: 10850점, [[티아라(아이돌)|티아라]]의 가 2011년 8월 12일 기록. * 시청자 선호도 점수 최고점(2009년 5월~2022년 12월): 3559점,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2012년 10월 12일 기록. * K-POP 팬 투표 점수 최저점(2023년 1월~): 2000점, [[IVE]]의 이 2023년 4월 21일 기록. * 방송 점수 최고점: 21880점,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2012년 10월 12일 기록. * 음반 점수 최고점: 14318점, [[소녀시대]]의 가 2010년 2월 9일 기록. * 소셜 미디어 점수 최고점: 1248점, [[지수(BLACKPINK)|지수]]의 <[[꽃]]>, <[[All Eyes On Me]]>이 2023년 4월 21일 기록. * 1위 곡 총점 최저점: 2566점, [[IVE]]의 이 2022년 2월 18일 기록. * 1위 곡 디지털 음원 점수 최저점: 0점, [[첫사랑(아이돌)|첫사랑]]의 <러브티콘 (♡TiCON)>이 2022년 12월 2일 기록. * 1~2위 간 최저 총점 차: 5점, 1위 곡 [[소유(가수)|소유]] & [[정기고]]의 <썸 (Some)>과 2위 곡 [[소녀시대]]의 이 2014년 3월 21일 기록. 1위 곡 [[2NE1]]의 와 2위 곡 [[소녀시대]]의 <소원을 말해봐>가 2009년 7월 24일 기록했던 7점차를 깨뜨렸다. ==== 1위 점수 TOP 10 ==== || '''{{{#f7e98e 순위}}}''' || '''{{{#f7e98e 주}}}''' || '''{{{#f7e98e 가수}}}''' || '''{{{#f7e98e 제목}}}''' || '''{{{#f7e98e 점수}}}''' || || '''1''' || 2012년 10월 12일 || 싸이 || 강남스타일 || 30454 || || '''2''' || 2012년 10월 5일 || 싸이 || 강남스타일 || 28006 || || '''3''' || 2012년 10월 19일 || 싸이 || 강남스타일 || 24433 || || '''4''' || 2010년 2월 5일 || 소녀시대 || Oh! || 23077 || || '''5''' || 2012년 8월 31일 || 싸이 || 강남스타일 || 22737 || || '''6''' || 2010년 2월 12일 || 소녀시대 || Oh! || 22689 || || '''7''' || 2012년 8월 24일 || 싸이 || 강남스타일 || 21399 || || '''8''' || 2009년 9월 4일 || 지드래곤 || Heartbreaker || 21322 || || '''9''' || 2010년 4월 2일 || 소녀시대 || Run Devil Run || 21223 || || '''10''' || 2012년 9월 14일 || 싸이 || 강남스타일 || 21085 || ~~10위 중 6곡이 [[강남스타일]]이다.~~ 점수들이 상당히 높은데 2013년 8월 23일부터 순위 반영 대상곡을 늘리면서 점수폭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위 기록이 깨질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보면 된다. [[분류:K-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