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ddd 미국-발트 3국 관계 관련 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0]]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0]]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 [include(틀:리투아니아의 대외관계)] ---- [include(틀:라트비아의 대외관계)] ---- [include(틀:에스토니아의 대외관계)] ----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100%]]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100%]]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 '''미국'''}}}]] || [[리투아니아|{{{#fff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fff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fff '''에스토니아'''}}}]] || [목차] == 개요 == [[미국]]과 [[발트 3국]]의 관계에 관한 문서이다. 미국은 [[전간기]]인 1922년에 발트 3국과 수교하였으며, 1990년에 소련으로부터 재독립 한 발트 3국과 다시 수교하였다. 1998년 미국에서 발트 3국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을 지원한 것을 계기로 발트 3국은 2004년부로NATO에 가입하였고, 미국은 북대서양 조약기구의 맹주국으로서 발트 3국과 협력하며 러시아를 견제하고 있다. 발트 3국 지역 중 [[리투아니아]]를 제외한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는 미국과 긴밀한 사이는 아니였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발칸 반도|발칸]]과 발트를 헷갈린 사례에서 보듯[* 한국에서도 유사 사례가 있었는데 발틱 국가를 발칸 국가로 잘못 표기한 바람에 라트비아 대사가 대놓고 얼굴이 빨개진 상태로 외교부에 항의한 사건이 있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190403081100503|#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30434#home|#2]]] 미국인 일반인 해당 지역에 대한 문화 교류나 정보가 다소 빈약한 편이다. 다만 [[발트해]] 리가 만과 인접한 발트 3국은 [[표트르 대제]]의 [[대북방전쟁]] 이래 러시아의 주요 전략적 요충지였고, 소련 해체 이후 발트 3국이 NATO에 가입하면서 러시아의 해외 진출을 차단하는 형세가 되었다. 2022년초에 미국 국무부가 발트 3국을 통해 미국제 무기를 우크라이나로 보내는것을 승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033460?sid=104|#]] == 미국-리투아니아 관계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br]''{{{#fff Jungtinės Amerikos Valstijos}}}'' || [[리투아니아|{{{#fff '''리투아니아'''}}}]][br]''{{{#fff Lietuva}}}''[br]''{{{#fff Lithuania}}}'' || 미국이 독립하던 당시 18세기 말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폴란드 분할로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던 시기이기도 했고, 양국 사이의 공식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기 다소 힘든 시점이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사이에는 [[리투아니아인]] 가톨릭 신도 및 유대인 인구 상당수가 미국으로 이민하였는데, 오늘날 이들의 후손에 해당하는 수십만여 명의 [[리투아니아계 미국인]]들은 미국과 리투아니아 사이의 외교에서 다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과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과의 수교는 1922년 7월 28일에 이루어졌고 1990년에 다시 수교하였다. 미국은 소련의 리투아니아 합병을 인정하지 않고, 리투아니아 제2공화국이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이전의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을 계승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리투아니아 주재 미국 대사관은 수도인 [[빌뉴스]]에 있으며, 소련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하면서 폐쇄되었다가 리투아니아와의 재수교 이후 다시 열렸다.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인구 규모는 리투아니아 본토 인구(279만여 명)와 비교해보았을 때 결코 적지 않은 수준인데, 2019년 통계 기준, 미국에는 632,169명의 리투아니아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2023년 2월 22일, 기타나스 나우세다 리투아니아 대통령은 미국 측에 하이마스 배치를 제안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646807?sid=104|#]] == 미국-라트비아 관계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br]''{{{#fff Amerikas Savienotās Valstis}}}'' || [[라트비아|{{{#fff '''라트비아'''}}}]][br]''{{{#fff Latvija}}}''[br]''{{{#fff Latvia}}}'' || 미국과 라트비아의 수교는 [[라트비아 제1공화국]] 시절 1922년 7월 28일에 이루어졌고 소련 해체 이전 1990년에 다시 수교가 이루어졌다. 라트비아인들은 19세기 후반부터 라트비아계 이민자라는 정체성을 내세우며 미국으로 이주하였고,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이나 소련의 라트비아 점령을 피해 라트비아인들이 이주하면서 [[라트비아계 미국인]]이 되었다. 2019년 통계 기준, 미국에는 85,723명의 라트비아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 미국-에스토니아 관계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br]''{{{#fff Ameerika Ühendriigid}}}'' || [[에스토니아|{{{#fff '''에스토니아'''}}}]][br]''{{{#fff Eesti}}}''[br]''{{{#fff Estonia}}}'' || 미국과 에스토니아의 수교는 리투아니아나 라트비아와 마찬가지로 1922년 7월 28일에 이루어졌고 1990년에 다시 수교가 이루어졌다. 에스토니아인의 미국 이주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어 [[에스토니아계 미국인]]들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에스토니아계 미국인 공동체가 자리잡았다. 2019년 통계 기준, 미국에는 25,779여명의 에스토니아계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 문화 교류 == 오늘날 미국 유대인 인구 상당수는 리투아니아와 벨라루스, 라트비아 출신(이른바 리트박 유대인)으로 미국 유대인 문화는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문화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다. 다른 한편으로 고대 유럽의 청동기 시대, [[발트어족]] 연구 관련하여 상당한 업적을 남기고 [[원시 인도유럽인]] 관련하여 쿠르간 가설을 제시한 [[https://en.wikipedia.org/wiki/Marija_Gimbutas|마리야 김부타스]]가 유명하다. 나치 독일이 리투아니아를 점령하면서 그녀는 미국으로 망명하였고, 이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유럽 고대사 관련한 연구 및 강의를 진행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오늘날 [[리투아니아어]]와 [[라트비아어]]를 포함한 [[발트어족]] 언어 및 고대 역사 문화 관련한 연구성과들은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김부타스의 기여에 힘입은 바가 크다. 소련 해체 이후 발트 3국 출신 패션 모델들이 미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졌었다.[* 물론 미국에서만 활동하는 것은 아니고 패션 모델들은 대개 파리와 밀라노, 바르셀로나와 함부르크 등등을 돌면서 일한다.] 에스토니아 출신 [[카르멘 카스]]나 리투아니아 출신 [[에디타 빌케비츄테]], [[기에드레 두카우스카이테]], 라트비아 출신 [[예바 라구나]]와 [[긴타 라피냐]] 등등. 다만 요즘은 패션모델 업계에서 [[정치적 올바름]]이 강요되는 사회 분위기와 맞물린 [[금수저 모델]] 붐 때문에, 특별한 빽 없는 모델들은 성공하기 힘든 분위기가 굳어지면서 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 모델들은 미국에서 자리잡기 어려워졌다.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리투아니아/외교]] / [[라트비아/외교]] / [[에스토니아/외교]] * [[미국/경제]] * [[리투아니아/경제]] / [[라트비아/경제]] / [[에스토니아/경제]] * [[미국인]] / [[리투아니아인]] / [[라트비아인]] / [[에스토니아인]] /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 [[라트비아계 미국인]] / [[에스토니아계 미국인]] * [[영어]] / [[리투아니아어]] / [[라트비아어]] / [[에스토니아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북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분류:북아메리카 국가]][[분류:북유럽 국가]][[분류:미국의 외교]][[분류:리투아니아의 외교]][[분류:라트비아의 외교]][[분류:에스토니아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