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피지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피지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br]''{{{#fff Matanitu Cokovata o Amerika}}}'' || [[피지|{{{#012169 '''피지'''}}}]][br]''{{{#012169 Viti}}}''[br]''{{{#012169 Fiji}}}''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과 [[피지]]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피지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미국과 수교했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2000년에 피지에서 쿠데타가 일어나자 미국 정부는 피지의헌정 질서가 회복되지 않을 경우 미국과 피지의 관계는 중대한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03905?sid=104|#]] 그리고 피지 군부가 2년간 직접 통치한다고 밝히자 미국측이 제재를 검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12037?sid=104|#]] 2003년에 미국은 피지에게 이라크 파병을 요청하다가 거절당한 사실이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0007443?sid=104|#]] 2006년 12월 5일에 미국의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피지의 쿠데타 기도 소식에 따라 260만달러 규모의 피지 원조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253207?sid=104|#]] 2009년에 피지 정부는 멕시코와 미국, 캐나다 등 돼지 인플루엔자(SI)가 발병지역에 갔다가 귀국하는 피지인과 관광객들에 대한 검역을 강화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639084?sid=102|#]] ==== 2010년대 ==== 2010년대부터 피지는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요충지로 부상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0566191?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226894?sid=101|#2]] 2016년 11월 19일에 피지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지구 온난화의 전쟁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61119010012779|#]] ==== 2020년대 ==== 2021년에 주 피지 미국대사관이 3월 24일부터 4월 1일까지 피지 내 민간 금융기관과 통신사, 정부 부처 사이버 보안 전문가 등 37명과 함께 북한의 공격적인 해킹 기법의 최신 경향에 대한 온라인 강습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https://www.voakorea.com/a/korea_korea-politics_cyber-dprk-fiji/6057710.html|#]] 2022년 2월에 블링컨 장관이 피지를 방문해 남태평양의 섬나라에 대한 지원을 늘린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39524?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91989?sid=104|#2]][[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0213010005908|#3]] 5월 27일에는 [[IPEF]]에 가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14567?sid=104|#]] 피지 정부는 압류한 러시아 재벌의 요트를 미국으로 넘겼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33634?sid=104|#]] == 문화 교류 == 양국은 [[영어권]] 국가에 속해 있다. 그리고 [[영어]]가 공용어이며 교류가 일부 존재한다. 미국인 관광객들이 피지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존재한다. 피지에는 미국, 호주 출신의 골퍼들이 이주해 개인레슨을 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2654306?sid=103|#]] 피지에는 1977년 미국의 배우 레이먼드 부르가 피지에 별장을 꾸미기 위해 서양난을 심었던 잠자는 거인의 정원이 존재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3514916?sid=103|#]] 그리고 관광지로 유명하기 때문에 미국의 웨딩전문 미디어가 피지를 최고의 웨딩촬영지로 선정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8/0000067700?sid=103|#]] === 스포츠 === 2016 리우 올림픽에서 피지 럭비팀이 미국 럭비팀과의 예선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81&aid=0002746548|#]]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피지/외교]] * [[IPEF]]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분류:미국의 대국관계]][[분류:피지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