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독일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br]''{{{#fff United States of America}}}''[br]''{{{#fff Vereinigte Staaten von Amerika}}}'' || [[독일|{{{#000000 '''독일'''}}}]][br]''{{{#000 Deutschland}}}''[br]''{{{#000 Germany}}}'' || [목차] == 개요 == Germany–United States relations [[미국]]과 [[독일]]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미국과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과거]] [[제2차 세계 대전|두 차례의 전쟁]]을 치른 앙숙이었으나, [[냉전]]을 계기로 양국간 협력이 활발해졌으며, 미국이 독립한 이래 많은 독일인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기도 했다. [[탈냉전]] 후 현재까지도 양국은 동맹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현재도 우호적인 관계이다. == 역사적 관계 == === 현대 이전 === [[파일:독일 제국과 미국.jpg]] 1907년에 나온 [[독일 제국]]과 미국 사이 우호를 나타낸 그림.~~귀엽다~~ 17세기부터 [[독일인]]들이 [[영국]]이 개척한 [[13개 식민지]]로 이주를 많이 했다. 그리고 [[독일계 미국인]]들은 [[영국계 미국인]]에 이어 2번째로 많았다. 또한, 13개 식민지가 미국이란 나라로 독립한 뒤에 19세기에 독일인들이 미국으로도 많이 이주했다.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독일계 후손들은 몇세대를 거치면서 미국인으로 동화되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 제국]]과 미국은 전쟁을 하게 되었고 결국 독일 제국이 패배하였다. 그리고 [[바이마르 공화국]]은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지만 1929년 미국발 [[대공황]]은 독일 경제에 심각한 내상을 입혔고 이는 결국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2차 대전 초기에는 [[먼로주의]]를 고수하는 미국은 독일과 중립 관계를 유지했으나 실제적으로는 영국과 소련을 물자적으로 지원하고 있었고 [[진주만 공습]] 직후 [[나치 독일]]이 미국에 선전포고를 함에 따라 미국과 공식적으로 전쟁을 치르게 되었고 미국은 40년대에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시작으로 나치 독일이 점령했던 지역들을 차례차례 해방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미국은 소련, 프랑스와 함께 승전국이 되면서 독일은 동서독으로 나뉘어졌다. 미국은 [[냉전]]당시에 [[마셜 플랜|마샬 플랜]]을 통해 서독을 부흥시켰고 서독에도 미군이 주둔하게 됐다. 그리고 냉전 이후에 동서독이 통일되면서 독일은 구동독까지 [[나토]]에 포함됐고 양국간의 협력이 활발하다. 단, 일본과 서독의 가파른 경제 성장을 우려한 미국은 서독에도 [[플라자 합의]]를 강요해 독일 경제 성장의 둔화를 야기하기도 하였다. === 21세기 === 양국은 2000년대 이후에도 문화적인 교류를 포함한 여러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주독미군은 유럽에 주둔해 있는 [[미군]] 중에서 가장 많은 규모로 주둔해 있다. 또한, 양국은 [[러시아]]라는 공동의 적을 견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고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때는 러시아 외교관 추방정책에도 참여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때에 들어서면서 미국과 독일간의 갈등이 시작되고 있다. 미국에서 노르드스트림2에 참여한 EU기업들을 제재하자 EU와 독일은 미국을 비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11&aid=0003669930|#]] 독일 시민들은 세계평화를 가장 위협하는 지도자로 트럼프 대통령을 지목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23&aid=0003496056|#]] 독일의 시민단체가 독일내 미군기지에서 유발한 환경 오염 문제로 법적 조처를 할 계획이라고 일간 쥐트도이체차이퉁 등 현지언론이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302234|#]] ==== 2020년대 ==== 2020년 3월 15일, 벨트암존탁은 독일에 본사를 둔 생명공학업체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을 미국 당국이 독점권을 가지려 하고 독일 당국은 이를 막으려 한다고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473920|#]] 이에 대해 독일내 백신업계는 부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21&aid=0002421122|#]] 3월 26일, 미국이 러시아 침공에 대비해 독일에 배치한 것으로 알려진 전술 핵무기의 성능을 현대화할 계획이라고 도이체벨레가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504447|#]] 미국과 독일은 마스크와 관련해서 갈등을 빚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9796857|#]] 미국과 독일간에 주독 미군에 대한 방위비로 갈등이 생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주독 미군을 9월까지 감축하라고 지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5&aid=0003007009|#]] 이에 독일 정치권에선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660488|#]] 독일측은 미국으로부터 주독미군을 감축한다는 것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421&aid=0004684044|#]] 6월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인 리처드 그리넬 전 독일 주재 미국 대사가 미군이 독일에서 일부 철수할 계획이며, 2만5000명이 남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21&aid=0002431425|#]] 게다가 주한미군까지 감축(!)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421&aid=0004692119|#]] 6월 15일, 페터 알트마이어 경제에너지부 장관은 미국이 눈독들이고 있던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를 개발 중인 큐어백의 주식 23%를 3억 유로에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680091|#]] 나스닥에도 상장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17511?sid=104|#]] 독일 국방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독미군의 감축을 공식화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4700403|#]] 트럼프 대통령은 독일에서 감축한 9,000여명의 미군중 일부를 폴란드로 배치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9933221|#]] 미국과 독일간 외교관계가 최근 수년간 뚜렷하게 쇠퇴한 가운데, 독일 외무장관이 양국 관계가 다시는 전과 같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714219|#]] 7월 2일, 미 하원 군사위원회에서 주독미군의 감축을 어렵게 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1&aid=0011721125|#]] 하지만, 1만2천명 감축해 다른 지역으로 배치하는 계획을 마련했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79135?sid=104|#]] 독일서 주독미군의 감축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782425|#]] [[존 볼턴]]도 주독미군의 감축을 반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786721|#]] 트럼프 대통령은 독일은 미국의 동맹이지만, 채무불이행을 거론하며 병력을 줄였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059124|#]] 독일 정부는 미국이 수집한 도이체방크의 불법거래 정황에 대한 보도와 관련,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는 반응을 나타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896187|#]] 2021년 2월 25일, 바이든 행정부가 독일측과 트럼프 행정부때 약화된 대서양 동맹을 강화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11&aid=0003862863|#]] 다만, 독일은 러시아측과는 [[노르트스트림|노르드스트림2]] 가스관 건설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양국간에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69&aid=0000575835|#]] 미국측에서 트럼프 행정부때와 달리 주독미군을 500명 증원키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326685|#]] 바이든 행정부가 노르스스트림2에 대해 독일측에 부과할려던 제재를 철회한다고 밝히자 하이코 마스 장관이 환영의 뜻을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5360539|#]] 메르켈 총리는 7월 15일에 바이든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277&aid=0004918927|#]] 7월 21일, 미국과 독일은 노르트스트림2의 완공을 합의했지만,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에 대해선 러시아 제재를 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16&aid=0001865040|#]] 2022년 4월 5일, 세계 최대 다크넷 히드라가 미국과 독일 사법당국의 공조로 폐쇄됐다고 WSJ과 AP 통신이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96027|#]] G7국가들이 대러제재를 유지하고 러시아를 고립시키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90319?sid=104|#]] 2023년 1월 5일, 독일 측이 미국산 LNG를 공급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67918?sid=104|#]] 그리고 미국과 독일 양국은 우크라이나에 경량급 탱크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721393?sid=104|#]] 1월 13일, 미국의 오스틴 국방장관은 19일에 미독 양국간 회담을 개최해 우크라이나 지원을 논의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76075?sid=104|#]] 3월 3일, 숄츠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이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의 부상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720726?sid=104|#]] 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숄츠 총리는 우크라이나 지원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856633?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663695?sid=104|#2]] == 문화 교류 == 미국내에서도 [[독일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에 거주하는 [[아미시]]일파들은 [[펜실베이니아 독일어]]를 사용한다. 양국간의 문화 교류가 활발하며 독일인 관광객들이 미국으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2020년대에 독일에서 [[엘비스 프레슬리]]의 동상이 세워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23&aid=0003606049|#]] 엘비스는 서독에서 군복무를 하였다.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양국 항공사들이 항공노선을 통해 자주 왕래하고 있다. 그리고 양국은 무비자협정을 체결했기 때문에 상대국들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다. == 대사관 == 베를린시에 주 독일 미국 대사관, 워싱턴시에 주 미국 독일 대사관이 위치해 있다.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독일/외교]]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 * [[해외 주둔 미군]] / [[람슈타인 공군기지]] * [[미국/역사]] * [[독일/역사]] * [[연합군 점령하 독일]] * [[미국/경제]] * [[독일/경제]] * [[미국/문화]] * [[독일/문화]] * [[미국인]] / [[독일인]] / [[독일계 미국인]] * [[독일어]] / [[영어]]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분류:미독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