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칠성음료의 제품/음료)] || [[파일:미린다.jpg|width=100%]] || [[파일:미린다 신포장.jpg|width=100%]] || || 2019년 이전 디자인 || 2020년~단종 이전 디자인 || [목차] [clearfix] == 개요 == 펩시의 탄산음료 브랜드로 1959년 [[스페인]]에서 첫 출시되었고 1970년 펩시로 인수되었다. == 역사 == 1959년 [[스페인]]의 파스쿠알(Pascual)이라는 회사에서 출시했다.[[https://niyis.co.uk/blog/the-refreshing-taste-of-mirinda-a-guide-to-the-fizzy-drink/|#]] 이름인 '미린다'(Mirinda)는 [[에스페란토]]로 '굉장한, 감탄할 만한'(wonderful)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후 [[1970년]] 펩시코가 인수하면서 펩시코의 제품이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72년 [[롯데칠성음료]]의 전신인 한미식품이 펩시에서 라이선스를 체결해 정식으로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다. 1975년부터는 [[진로(브랜드)|진로]]가 [[http://blog.naver.com/maenam111/90193621011|잠깐 동안 생산을 했으며]], 한미식품이 롯데에 인수된 후 1985년 3월부터 롯데칠성음료가 생산 및 판매를 진행했다. 업소용 시럽도 존재 하는데, 코카콜라를 취급하는 식당에서 환타가 있다면, 펩시콜라 취급하는 식당은 미린다가 있다. 식당가에서는 환타 오렌지, 파인맛을 라이벌격으로 미린다 오렌지, 파인맛 인거다. 2022년 5월부터 한국 내에서 페트병, 캔 제품의 생산이 중단되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11_0001867393&cID=13001&pID=13000|#]] 롯데칠성 측이 과거 단종된 자사의 과일맛 탄산음료 브랜드인 [[탐스]]를 제로 음료로 재출시하며 이에 주력하기 위한 것이 그 이유다. 다만, 유리병 제품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등 프랜차이즈 식당에 납품되는 원액 시럽은 한동안 유지하였다. [[https://www.fnnews.com/news/202205120811424234|기사]] 하지만, 2023년 중반기에 탐스제로의 업소용 시럽 도입의 영향으로, 유리병 제품과 업소용 시럽 생산 역시 중단되어 대한민국의 미린다는 51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 다만 2023년 10월 기준 롯데시네마 일부 점포 및 전국의 일부 전통시장에서는 여전히 재고 물량이 남아있는지 판매중인데, 이마저 소진되면 탐스제로로 완전히 교체될 듯.] 대한민국 내에서 단종된 이후에 미린다를 마시고 싶으면 해외 직구 또는 배송을 요청해야 한다. == 소개 == '''과일향'''[* 실제 과즙은 0.001%도 안들어있다는 이야기다.] 탄산음료로 [[환타]]나 [[오란씨]], [[써니텐]]과 비슷한 부류의 음료. 원본은 펩시코의 제품으로,[[펩시| 펩시콜라]]와 마찬가지로 롯데칠성이 펩시코에서 라이센스해서 생산하고 있는 것. 원제조사가 [[콩라인]]인 [[펩시|펩시코]]다보니 흔히 과일향 탄산음료의 제왕인 [[환타]] 짝퉁 같은 거 아닌가 생각하기 쉽다. '''사실 아주 아니라고도 할 수 없지만''' 미린다도 꽤 유서가 깊은 음료로 첫 생산 연도는 1959년이다. [[오렌지]], [[파인애플]], [[포도]] 세 가지 맛이 있는데 포도는 시중에서 좀 보기 힘들고 주로 파인애플과 오렌지만 보이는 편. 맛은 착향탄산음료 맛이다. [[환타]]와 마찬가지로 좋아하는 사람들은 좋아하지만 싫어하는 사람들은 싸구려 맛이라고 입도 안대지만 대부분의 매점에선 환타에 비해서 가성비가 좋은 편이다. 2023년 중반기까지는 뷔페나 무한리필 식당 같은 데서 많이 보이는 음료였다. 또한 왠지 [[편의점]]에서 [[햄버거]]나 [[김밥]]류에 사은품으로 자주 붙여 팔기도 했었다. 롯데칠성의 음료를 공급받는 [[롯데리아]]에서는 미린다를 판매하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노브랜드 버거]]나 [[프랭크버거]], [[코스트코]] 푸드코트에서도 판매했었다. == 미란다? == 발음이 비슷해서인지 '''[[미란다]]'''로 '''이름을 착각하거나 부르는 사람이 매우 많다.''' [[미란다 원칙]], [[미란다 커]], [[라미란]], [[유미란]], [[장미란]]과 같은 단어가 익숙하기 때문에 혼동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있고 [[오란씨]]의 ㅏ 음절에 영향을 받았다는 [[http://blog.aladin.co.kr/common/popup/printPopup/print_Paper.aspx?PaperId=4682353|주장]]도 있으나 어느 것이나 확실한 이야기는 아니다. 사실 외국어 단어가 혼동되는 건 흔한 일이다. 이 외에도 한국에서 판매되는 [[ http://cfile2.uf.tistory.com/image/124539404F3F29F0130926|미린다 병의 한국어 표기 디자인]] 부분을 보면, 상단에 '린' 글자 상단에 나뭇잎이 붙어 '란'처럼 보이게 한 게 이유일 수도 있으나, 해당 디자인 이전부터도 미란다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았다. 비슷한 예로 [[에이리언 시리즈]]의 외계인을 한국 한정으로 ‘에어리언’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 기타 == 9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TV 광고에선 [[벅스 버니]]가 모델로 나오기도 했었다. 당시 나왔던 대사가 '미린다 마시는 친구를 무슨 수로 당해'. 2013년엔 [[박민지]]와 [[조정치]]가 등장하는 CF가 만들어졌다. [[분류:탄산음료]][[분류:펩시코]][[분류:1959년 출시]][[분류:1985년 출시]][[분류:202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