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2 미셸 우엘베크}}}[br]Michel Houellebecq'''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chel_Houellebecq_no_Fronteiras_do_Pensamento_Porto_Alegre_2016_(30895029365)_(cropped).jpg|width=100%]]}}} || || '''본명''' ||미셸 토마[br]Michel Thomas|| ||<|2> '''출생''' ||[[1956년]] [[2월 26일]] / [[1958년]] [[2월 26일]] ([age(1958-02-26)] 혹은 [age(1956-02-26)]세)[* "altering his birth date from 1956 to 1958, making him 47 instead of 49." [[https://web.archive.org/web/20171107120531/http://www.nytimes.com/2005/09/10/books/the-french-still-obsess-over-their-gloomy-novelist-of-despair.html?_r=0|2005년 뉴욕 타임즈 기사인 "The French Still Obsess Over Their Gloomy Novelist of Despair', Riding, Alan.]] ] || ||프랑스령 [[레위니옹]] 생피에르||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직업''' ||소설가||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소설가]]다. 본명은 미셸 토마(Michel Thomas). 우엘베크는 그를 키워준 친할머니의 처녀시절 성씨이다.[* 우엘베크는 그의 친할머니를 두고 나에게 사랑을 보여준 유일한 인물이라 말한 바 있다.] 1958년 2월 26일 동아프리카의 프랑스령 섬인 라 [[레위니옹]] 출생. [[그랑제콜]]에서 농업 경제학과 정보학을 공부했다. 컴퓨터 관련 업종과 프랑스 국회 행정 담당 비서로 일하는 등 다양한 일을 하다가 1985년 시인으로 데뷔했다. 1994년에 첫 장편소설 <투쟁 영역의 확장>을 발표했다. 서구 [[자유주의]] 물결의 영향으로 경제적 영역뿐만 아니라 성적 영역에서도 투쟁에 내몰린 현대인의 삶을 그린 소설. [[68혁명]]의 영향으로 성적 금기는 철폐되었는데 이렇게 자유로운 풍속이 도리어 새로운 인정 투쟁의 장을 만들었다는 문제 의식이다. 이러한 현대인의 성적(性的) 투쟁에 대한 문제의식은 이후 꾸준히 우엘베크 소설의 소재가 됐다. 1998년 발표한 소설 <소립자>는 전작의 문제의식을 더욱 확장한 작품이고, 프랑스 사회에서 상당한 논란을 낳았다. 이 소설로 2002년 더블린 문학상을 수상한다. 2010년 소설 <지도와 영토>로 [[공쿠르상]]을 받았다. 2015년에는, 2022년 프랑스에 [[이슬람]] 정권이 들어선다는 내용의 소설 <복종>을 발표했는데 공교롭게도 이 소설이 발표된 날인 2015년 1월 7일 프랑스에서 [[샤를리 에브도]] 테러가 발생했다. 프랑스에서 한창 소설 홍보 활동을 하던 우엘베크는 사건 발생 후 홍보를 접었다. 참고로 샤를리 에브도 테러에서 우엘베크의 친구인 경제학자 베르나르 마리스도 희생되었다고 한다. == 작품 목록 == === 소설 === * 투쟁 영역의 확장 (Extension du domaine de la lutte, 1994)[* 영어판 제목은 다.] * 소립자 (Les particules élémentaires, 1998)[*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Lanzarote (2000) * 플랫폼 (Plateforme, 2001) * 어느 섬의 가능성 (La Possibilité d'une île, 2005)[* [[라엘교]]에서 많은 모티프를 얻은 소설이다.] * 지도와 영토 (La carte et le territoire, 2010)[* 2010년 공쿠르상 수상작] * 복종 (Soumission, 2015) * 세로토닌 (Sérotonine, 2019) * Anéantir (Anéantir, 2022) === 산문 === * 러브크래프트 : 세상에 맞서, 삶에 맞서 (H. P. Lovecraft : Contre le monde, contre la vie, 1991) * 공공의 적들 (Ennemis publics, 2009)[* 베르나르 앙리-레비와 공저. 그와 편지를 주고 받은 기록.] * 쇼펜하우어를 마주하며 (En présence de Schopenhauer, 2017) === 시 === * Le Sens du combat(1996) [[분류:프랑스의 소설가]][[분류:프랑스 남성 작가]][[분류:1958년 출생]][[분류:레지옹 도뇌르 훈장/슈발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