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지명 == === 개요 === [[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2823302&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764_000_4%2F20150718082057565_WD2JTCNVD.jpg%2FGC042P21072.jpg%3Ftype%3Dm4500_4500_fst_nce%26wm%3DY&mode=entry.jpg]]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부산)|중동]]에 위치한 자그마한 [[포구]]. 미포(尾浦)는 [[해운대]] 동북쪽에 자리 잡은 와우산(臥牛山)[* 소가 누워 있는 것같이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의 [[꼬리]] 부분에 해당되는 갯가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미늘, 미암(尾巖)이라고도 불렸다. 미포에는 소규모 [[어항]]과 미포[[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해운대해수욕장]] 좌측 끝단에 자리하고 있어 현재는 [[호텔]]과 [[여관]], 그리고 크고 작은 [[횟집]]들이 들어서 있으며, 예부터 [[앙장구]], [[성게]], [[고동]]이 많이 잡히기로 유명하였고 [[망상어]], [[감성돔]], [[양태]], [[성대]], [[전갱이]], [[보리멸]] 등의 낚시터로 이름난 곳이기도 하다. 미포 [[횟집]]은 미포항에서 출어한 [[어선]]이 잡은 자연산 어종으로 국내에서 가장 먼저 생겨난 곳이다. === 상세 === 근처에 [[해운대해수욕장]]과 [[횟집]]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어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장소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피서]]객들까지 몰려서 매우 붐빈다. [[해운대해수욕장]] 동쪽 끝 부분에 자리잡고 있으며 이 곳에서 [[날씨]]가 좋으면 여기서 3km정도 떨어진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오륙도]]와 [[남구(부산)|남구]] [[용호동(부산)|용호동]] [[오륙도 SK뷰]] [[아파트]]를 볼 수 있다. ~~그런데 잘 안보인다는게 함정..~~ 이 미포는 [[철덕]]들에게는 유명한 곳인데, 바다가 보이는 [[건널목]]인 [[미포]][[건널목]]이 있었기 때문이다. 과거 이 곳으로 [[RDC 디젤동차|RDC]] [[무궁화호]] [[열차]]가 지나다녔다. [[바다]]를 조망하며 기차여행을 하는 낭만이 있었기에 ~~2,600원이나 내면서~~ '''[[신해운대역|구) 해운대역]]<>[[송정역(부산)|송정역]]''' 구간만 이용하는 이용객들이 있었다. 똑같이 [[바다]]가 보이는 [[청사포]][[건널목]]보다 더 인지도가 있는데, [[날씨]]가 좋으면 이 [[건널목]]의 [[배경]]으로 저 멀리 [[오륙도]]가 보이기 때문이다. 거기다 [[해운대(영화)|영화 해운대]]에서 등장하면서 꽤 유명한 장소가 되었다. 그러나 [[2013년]] [[12월 1일]] [[동해선]]이 [[해운대 신시가지]] 방면으로 선로가 통째로 이설되면서 사라진 풍경이 되었다. 이 곳에서부터 [[청사포]]랑 [[송정해수욕장]] 방면으로 이어지는 [[해운대 동해남부선 폐선부지]]가 시작된다. 단선 선로를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놓아 철길을 따라 걸어가며 산책을 하는것이 각광받아 부산 뿐만 아니라 외지에서도 관광객들이 많이 찾게 되었다. ~~이제는 평일/주말 할 거 없이 [[커플]]들이 단체로 방문하는 [[데이트]] [[코스]]가 되었다 [[카더라]]~~ [[2020년]] [[해운대 블루라인파크]]로 개발됐다. 근처에 [[달맞이고개]] 방면으로 올라가는 달맞이재가 있다. === 교통편 === || 경유하는 시내버스 || * [[부산 버스 39]] * [[부산 버스 100]] * [[부산 버스 139]] * [[부산 버스 141]] * [[부산 버스 180]][* 아침 3회 지원운행] * [[부산 버스 200]] * [[부산 버스 1003]] * [[부산 김해공항리무진 2]] 중2동 정류장이나 미포문텐로드입구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걸어 내려오면 도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중동역(부산)|중동역]]에서도 걸어올 수 있는데 멀기때문에 [[버스]]를 이용해서 오는 것이 낫다. == [[울산광역시]] [[동구(울산광역시)|동구]]의 법정동명 == [include(틀:동구(울산)의 법정동)] === 개요 === ||<-2> '''[[동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동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미포동}}}'''[br]尾浦洞 | Mipo-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동구 미포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117010500 || || '''관할 행정동''' || [[전하동(울산)#s-2.1|전하1동]] || || '''면적''' || 2.53㎢ || [[울산광역시]] [[동구(울산)|동구]]의 법정동 이름이다. [clearfix] === 역사 === 조선시대인 1672년(현종 13)에서 1765년(영조 41)까지는 독포(禿浦)마을로 불렸으며, 1786년(정조 10)에 미포리가 되었다. 1894년(고종 31) 미포동이라 하였다가 1911년에는 다시 미포리가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동부동(東部洞) 일부를 합하여 미포리라 하였다. 자연 마을로는 안 미포(內里), 바깥 미포(外里), 송전(松田), 한채(大鞭) 등이 있었으나 1972년 [[HD현대중공업|현대울산조선소]]의 확장 공사로 모두 철거되어 주민들은 동부동 지역으로 옮겨가 현재 이곳에 거주하는 주민은 '''없다'''. 1997년 울산시의 광역시 승격에 따라 [[울산광역시]] [[동구(울산광역시)|동구]] 미포동이 되었다. === 지리 === 미포동은 북쪽은 주전동, 북서쪽은 [[동부동(울산)|동부동]], 서쪽은 [[서부동(울산)|서부동]], 남쪽은 [[전하동(울산)|전하동]]과 접한다. 동쪽은 바다와 접하는데 해안가에 바위섬이 많아 해안 경관이 수려하며 넌불, 동대, 몰랫개, 칭계돌, 헐미섬, 갈미섬, 감불, 노적바위, 엉굴안 등의 해안가 절경이 펼쳐져 있다. 하지만 홍상도 등은 현대울산조선소의 확장 공사 과정에서 사라졌다.[[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875|관련기사1]],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555|관련기사2]] === 상세 === 이 동은 행정동인 [[전하동(울산)#s-2.1|전하1동]]에서 관리하고 있다. 현재는 동의 대부분이 HD현대중공업 부지에 속해있어 거주민들이 없는 관계로 행정 업무는 중지되었다. 이외 울산 동구야구경기장, 방어진 수질개선사업소 등이 있다. 이 미포(尾浦)라는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들이 다수 있는데, 1975년 이 곳에서 설립되어 1984년 [[방어동]]으로 자리를 옮긴 [[현대미포조선]]과 HD현대중공업 등이 속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전하동 소재 미포초등학교와 울산미포교회, 동구 남목에서 출발해 이 곳을 거쳐 북구 무룡IC까지 잇는 [[미포산업로]]와 [[미포로]] 등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지명]][[분류:해운대구]][[분류:동구(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