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군의 통합전투사령부)] ||<-2> '''{{{#fff {{{+1 미합중국 유럽사령부}}}}}}'''[br]'''{{{#ffffff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 || ||<-2> [[파일:미합중국 유럽사령부 휘장.svg|width=230]] || || '''{{{#fff 창설일}}}''' ||[[1945년]] ~ [[1947년]](미국 유럽전구)[br][[1952년]] [[8월 1일]] ~ '''(미합중국 유럽사령부)''' || || '''{{{#fff 약칭}}}''' ||'''USEUCOM, EUCOM''' || || '''{{{#fff 소속}}}'''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width=30]] [[미합중국 국방부]] || || '''{{{#fff 분류}}}''' ||[[통합전투사령부]] || || '''[[사령관|{{{#fff 사령관}}}]]''' ||육군 대장 [[크리스토퍼 카볼리]] || || '''[[부사령관|{{{#fff 부사령관}}}]]''' ||공군 중장 스티븐 바샴 || || '''{{{#fff 본부}}}''' ||패치 막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Patch Barracks, 너비=100%, 높이=100%)]}}} || ||<-2> [[https://www.eucom.mi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s_eucom,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EUCO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eucom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JjsCRh3ym2AVZY4_Yqd2P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합중국 유럽사령부는 [[미군|미합중국 국군]]의 [[미합중국 육군|육군]], [[미합중국 해군|해군]], [[미합중국 공군|공군]], [[미합중국 해병대|해병대]] 유럽사령부들을 총괄하는 권역별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 상세 == 1947년, 최초의 [[통합전투사령부]] 계획이 발표되었지만 유럽 지역에서는 단일 체계의 사령부가 설치되지 않고 있었다. 당시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이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이 북대서양 조약기구군과 미국 유럽 주둔군을 동시에 지휘하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1952년, 아이젠하워 장군이 마음을 돌리면서 유럽 지역에 통합전투사령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고, 아이젠하워 장군이 미국으로 돌아간 뒤, [[매튜 리지웨이]] 장군이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 부임하면서 정식으로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이 유럽사령부의 사령관을 겸임하는 체계가 만들어진다. 정식으로 유럽사령부가 창설되자, 유럽사령부의 예하에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육군|유럽육군]]과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공군|유럽공군]],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해군|동대서양지중해해군]]이 배속되었고, 사령부는 임시로 [[프랑크푸르트]]의 [[이게파르벤]] 본사 사옥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1954년, 유럽사령부는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와 근접한 지역인 [[파리(프랑스)|파리]] 외곽의 캄 데 로주로 사령부를 이전했다. 하지만 1960년대 들어 [[프랑스]]의 [[샤를 드 골]] 대통령은 공공연히 [[북대서양 조약 기구]]와 마찰을 일으켰고, 1966년에 드 골 대통령이 프랑스 내에서 미군과 북대서양 조약기구군을 모두 철군할 것을 요구하자 유럽사령부는 현재의 사령부 위치인 슈투트가르트-바이힝엔의 패치 막사로 이전하게 된다. 유럽사령부는 [[냉전]] 동안 최전선에서 여러 작전을 수행하게 되었다. 1958년에는 [[레바논]]에서 비상 작전을 치뤘고, 1961년에 [[소련]]이 [[베를린 장벽]]을 세우는 등 유럽의 안보가 위협받자 1967년, 유럽사령부는 유럽의 동맹국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연례적인 REFORGER('''Re'''turn of '''For'''ces to '''Ger'''many) 훈련을 시작했다. 하지만 1968년에는 [[프라하의 봄]]이 일어났고 소련이 이를 진압하면서 여전히 유럽에는 긴장감이 감돌았고, 미국은 [[베트남 전쟁]]과 국제수지 악화로 인해 전력을 감축시키고 있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 [[바더 마인호프]] 같은 테러 조직이 활동하고, [[뮌헨 올림픽 참사]]가 일어나는 등 여러모로 유럽의 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1970년대 후반에는 소련이 SS-20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을 [[동유럽]]에 배치하고,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일으키는 등 긴장을 높이자 북대서양 조약기구는 [[MGM-31 퍼싱|퍼싱 II]]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과 [[BGM-109 토마호크#s-6|지상 발사형 순항 미사일]]을 배치하고, 동시에 협상을 진행하는 [[투 트랙]] 전략을 통해 소련의 행동에 대응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 미국이 점차 회복세에 들어서자, 유럽 방면의 미군이 다시 35만 명으로 증강되었다. 유럽함대해병대가 창설되어 대서양해병대사령관의 지휘 아래에서 유럽사령부에 배속되었고, 골드워터-니콜스 법이 통과되면서 [[통합전투사령관]]의 권한이 강해졌으며,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특수작전사령부]]가 설립되면서 유럽특수작전사령부가 설립되어 유럽사령부의 예하에 배속되었다. 1987년에는 [[INF#s-2|중거리 핵전력 조약]]이 체결되면서 SS-20과 퍼싱 II가 철수했고, 1989년에는 베를린 장벽이 허물어졌다. 그러나 1991년, [[걸프 전쟁]]이 일어나자 유럽사령부는 [[미합중국 중부사령부|중부사령부]]에 전력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그리고 2000년대에 들어서 유럽사령부는 신흥 민주주의 국가들에 여러 군사 협력 프로그램을 제안하면서 접근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임무를 진행하는 와중에 병력은 지속적으로 감축되었기에 12만 명의 병력으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야했다. [[9.11 테러]]가 벌어지자 유럽사령부는 유럽 각 지역에서 일어난 후속 테러에 대응했고, [[ISAF|국제안보지원군]]을 지원했으며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2007년에는 항구적 자유 작전 - 트란스 [[사하라]]를 수행했으며, 2008년에는 유럽사령부의 일부가 [[미합중국 아프리카사령부|아프리카사령부]]로 독립하면서 유럽사령부는 유럽과 [[캅카스]] 지역을 전담하게 되었고, 유럽해군과 유럽공군이 유럽-아프리카해군과 유럽-아프리카공군으로 재편되었다. 2015년 8월, 유럽해병대가 아프리카해병대와 통합되어 유럽-아프리카해병대로 재편되었다. 그리고 [[신냉전]]이 시작되면서 [[러시아]]의 위협이 커지자 2020년 8월, [[제5군단(미국)|제5군단]]을 재활성화하고, 11월에는 유럽육군과 아프리카육군을 통합해 유럽-아프리카육군으로 재창설하는 등 러시아의 위협에 다시 대응하기 시작했다. 2022년 2월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나자 미국 본토에 주둔하던 미군 일부가 유럽으로 재배치되었다. 2021년 9월, [[이스라엘]]이 유럽사령부의 책임 영역에서 중부사령부로 이관되었다. 현 사령관은 육군 대장 크리스토퍼 G. 카볼리 [[장군]]으로 유럽-아프리카육군사령관을 맡던 중 부임했다. ==# 역대 사령관 #== 냉전 당시에는 육군이 독점하는 최고 요직이었다. 당장 예하의 [[대장(계급)|대장]]만 4명[* 유럽사령부 부사령관, 유럽육군사령관(NATO 중부군집단사령관), 유럽해군사령관(NATO 남유럽 연합군사령관), 유럽공군사령관.]이었던데다가,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소속을 더하면 7명[*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부사령관(영국 or 서독),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참모장(미국), 북유럽 연합군사령관(영국), 중유럽 연합군사령관(서독), 중유럽 연합군 부사령관(중유럽 연합공군사령관)(영국), 북부군집단사령관(영국 라인 주둔군사령관)(영국), 남동유럽 연합지상군사령관(튀르키예).]이 더 있었다. 냉전이 종식되면서 중요도가 떨어지고 공군 출신, 심지어 해병대와 해군 출신 사령관이 등장했어도, 여전히 미군 내에서 강한 파워를 가진 요직으로 평가받고 있다. || '''순서''' || '''사진''' || '''이름''' || '''기간''' || '''계급''' || '''복무''' || '''비고''' || || 1 || [[파일:Ridgway.jpg|width=100]] || [[매튜 리지웨이]](Matthew B. Ridgway) || 1952년 5월 ~ 1953년 7월 || [[미합중국 육군|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17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극동사령관 출신. [[육군참모총장]]으로 이동.] || || 2 || [[파일:Gruenther.jpg|width=100]] || 알프레드 그룬터(Alfred M. Gruenther) || 1953년 7월 ~ 1956년 11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18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참모장 출신.] || || 3 || [[파일:Lauris Norstad.jpg|width=100]] || 로리스 노스타드(Lauris Norstad) || 1956년 11월 ~ 1963년 1월 || [[미합중국 공군|공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30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항공부사령관 출신.] || || 4 || [[파일:Lemnitzer.jpg|width=100]] || 리먼 렘니처(Lyman L. Lemnitzer) || 1963년 1월 ~ 1969년 7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20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합동참모의장]] 출신.] || || 5 || [[파일:Goodpaster.jpg|width=100]] || 앤드류 굿패스터(Andrew J. Goodpaster) || 1969년 7월 ~ 1974년 12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35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베트남 군사지원사령부 부사령관 출신. 퇴역 이후 재소집되어 미국육군사관학교장 역임 후 재퇴역.] || || 6 || [[파일:Haig.jpg|width=100]] || 알렉산더 헤이그(Alexander M. Haig, Jr.) || 1974년 12월 ~ 1979년 7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47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백악관 비서실장 출신. [[워터게이트 사건]] 당시 비서실장으로서 수행한 역할에 대한 논란으로 육군참모총장 인준 실패 이후 유럽사령관 부임. [[로널드 레이건]] 정부에서 국무장관 역임.] || || 7 || [[파일:Rogers.jpg|width=100]] || 버나드 로저스(Bernard W. Rogers) || 1979년 7월 ~ 1987년 6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43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육군참모총장 출신.] || || 8 || [[파일:Galvin.jpg|width=100]] || 존 갈빈(John R. Galvin) || 1987년 6월 ~ 1992년 6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54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 || || 9 || [[파일:external/e221c9038e40b621d77ef3f830264c3e1af695c67520dedaab24b6c3a9c2ce12.jpg|width=100]] || [[존 샬리카시빌리]](John M. D. Shalikashvili) || 1992년 6월 ~ 1993년 10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58년 브래들리 대학교 졸업. 합동참모의장 보좌관 출신. 합동참모의장으로 이동.] || || 10 || [[파일:Joulwan.jpg|width=100]] || 조지 졸완(George A. Joulwan) || 1993년 10월 ~ 1997년 7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61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 || || 11 || [[파일:Wesley Clark.jpg|width=100]] || 웨슬리 클라크(Wesley K. Clark, Sr.) || 1997년 7월 ~ 2000년 5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62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 || || 12 || [[파일:Ralston.jpg|width=100]] || 조지프 랠스턴(Joseph W. Ralston) || 2000년 5월 ~ 2003년 1월 || 공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65년 [[마이애미 대학교]] 졸업. 합동참모차장 출신. 불륜 논란으로 인한 합동참모의장 인준 실패 이후 유럽사령관 부임. ] || || 13 || [[파일:James L. Jones.jpg|width=100]] || 제임스 존스(James L. Jones) || 2003년 1월 ~ 2006년 12월 || [[미합중국 해병대|해병]][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66년 [[조지타운 대학교]] 졸업. 해병대사령관 출신.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 역임.] || || 14 || [[파일:Craddock.jpg|width=100]] || 밴츠 크래덕(Bantz J. Craddock) || 2006년 12월 ~ 2009년 7월 || 육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71년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 || || 15 || [[파일:Stavridis.jpg|width=100]] || 제임스 스타브리디스(James G. Stavridis) || 2009년 7월 ~ 2013년 5월 || [[미합중국 해군|해군]][br][[대장(계급)|대장]] || [[퇴역]] || [* 197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남부사령관 출신.] || || 16 || [[파일:Breedlove.jpg|width=100]] || 필립 브리드러브(Philip M. Breedlove) || 2013년 5월 ~ 2016년 5월 || 공군[br]대장 || [[퇴역]] || [* 1977년 [[조지아 공과대학교]] 졸업. 유럽-아프리카공군사령관 출신.] || || 17 || [[파일:Scaparrotti EUCOM.jpg|width=100]] || [[커티스 스캐퍼로티]](Curtis M. Scaparrotti) || 2016년 5월 ~ 2019년 5월 || 육군[br]대장 || [[퇴역]] || [* 1978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한미연합군사령관 출신.] || || 18 || [[파일:Tod D. Wolters.jpg|width=100]] || [[토드 월터스]](Tod D. Wolters) || 2019년 5월 ~ 2022년 7월 || 공군[br]대장 || [[퇴역]] || [* 1982년 미국공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아프리카공군사령관 출신.] || || 19 || [[파일:Cavoli EUCOM.jpg|width=100]] || [[크리스토퍼 카볼리]](Christopher G. Cavoli) || 2022년 7월 ~ 현재 || 육군[br]대장 || [[현역]] || [* 1987년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 유럽-아프리카육군사령관 출신.] || == [[https://www.eucom.mil/organization/our-forces|편제]] == === 하위구성사령부 / Subordinate Component Commands === ====#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육군|유럽-아프리카육군]] / 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Africa #==== * 제7군훈련사령부 / 7th Army Training Command * 합동다국적훈련단-우크라이나 / Joint Multi-National Training Group - Ukraine * 조지아국방즉응프로그램-훈련 / Georgia Defense Readiness Program - Training * 제10육군항공미사일방어사령부 / 10th Army Air and Missile Defense Command * 제52방공포병여단 / 52nd Air Defense Artillery Brigade 제5대대, 제4방공포병연대 / 5th Battalion, 4th Air Defense Artillery Regiment[*M-SHORAD [[스트라이커 장갑차#s-5.15|M-SHORAD]] 운용 부대.] 제5대대, 제7방공포병연대 / 5th Battalion, 7th Air Defense Artillery Regiment[*MIM-104 [[패트리어트 미사일|MIM-104]] 운용 부대.] 제1대대, 제57방공포병연대 / 1st Battalion, 57th Air Defense Artillery Regiment[*M-SHORAD [[스트라이커 장갑차#s-5.15|M-SHORAD]] 운용 부대.] 제11미사일방어포대 / 11th Missile Defense Battery 제13미사일방어포대 / 13th Missile Defense Battery * 제19야전조정분견대 / 19th Battlefield Coordination Detachment * 제21전구지속사령부 / 2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 제7공병여단 / 7th Engineer Brigade 제15공병대대 / 15th Engineer Battalion * 제16지속여단 / 16th Sustainment Brigade 제16지속여단 특수병력대대 / 16th Sustainment Brigade16th Sustainment Brigade Special Troops Battalion 제18전투지속지원대대 / 18th Combat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 제39이동통제대대 / 39th Movement Control Battalion 제95전투지속지원대대 / 95th Combat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 * 제18군사경찰여단 / 18th Military Police Brigade 제709군사경찰대대 / 709th Military Police Battalion * 제30의무여단 / 30th Medical Brigade 제519병원센터 / 519th Hospital Center 제421의무대대(다기능) / 421st Medical Battalion (Multi-Functional) * 제7임무지원사령부(육군 예비군) / 7th Mission Support Command (Army Reserve) 제361민사여단 / 361st Civil Affairs Brigade 제510지역지원단 / 510th Regional Support Group 의무지원분견대-유럽 / Medical Support Unit – Europe 제7중급교육분견대 / 7th Intermediate Level Education Detachment 제2500디지털연락분견대 / 2500th Digital Liaison Detachment 제209디지털연락분견대 / 209th Digital Liaison Detachment 제589공병분견대 / 589th Engineer Detachment 제773민간지원팀 / 773rd Civil Support Team 제89군종분견대 / 89th Chaplain Detachment 제88군종분견대 / 88th Chaplain Detachment 제319군사역사분견대 / 319th Military History Detachment 제221공사분견대 / 221st Public Affairs Detachment * 제405육군야전지원여단 / 405th Army Field Support Brigade 아프리카 육군야전지원대대 / Army Field Support Battalion Africa 베네룩스 육군야전지원대대 / Army Field Support Battalion Benelux 독일 육군야전지원대대 / Army Field Support Battalion Germany 만하임 육군야전지원대대 / Army Field Support Battalion Mannheim * 제409계약지원여단 / 409th Contracting Support Brigade 제928계약대대 / 928th Contracting Battalion 전구계약지원센터 / Theater Contracting Support Center 지역계약사무실-베네룩스 / Regional Contracting Office - Benelux 지역계약사무실-슈투트가르트 / Regional Contracting Office - Stuttgart 지역계약사무실-비스바덴 / Regional Contracting Office - Wiesbaden * 전구군수지원센터-유럽 / Theater Logistics Support Center - Europe * 제266재정관리지원센터 / 266th Financial Management Support Center 안스바흐 재정고객지원팀 / Finance Customer Support Team Ansbach 바움홀더재정고객지원팀 / Finance Customer Support Team Baumholder 그라펜뵈르 재정고객지원팀 / Finance Customer Support Team Grafenwoehr 호헨펠스 재정고객지원팀 / Finance Customer Support Team Hohenfels 카이저슬라우테른 재정고객지원팀 / Finance Customer Support Team Kaiserslautern 비스바덴 재정고객지원팀 / Finance Customer Support Team Wiesbaden 슈투트가르트 재정고객지원팀 / Finance Customer Support Team Stuttgart * 제1전구인사작전센터 / 1st Theater Personnel Operations Center * 제21전구지속사령부 특수병력대대 / 2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Special Troops Battalion * 제56포병사령부 / 56th Artillery Command * 제2다영역특수임무부대 / 2nd Multi-Domain Task Force * 남유럽특수임무부대-아프리카 / Southern European Task Force - Africa * 제173공수여단 / 173rd Airborne Brigade 제1대대, 제91기병연대 / 1st Battalion, 91th Cavalry Regiment 제1대대, 제503보병연대 / 1st Battalion, 503rd Infantry Regiment 제2대대, 제503보병연대 / 2nd Battalion, 503rd Infantry Regiment 제1대대, 제143보병연대 / 1st Battalion, 143rd Infantry Regiment 제4대대, 제319야전포병연대 / 4th Battalion, 319th Field Artillery Regiment[*M119A3 [[M119 견인곡사포#s-3.3|M119A3 견인곡사포]] 운용 부대.][*M777A2 [[M777 155mm 곡사포#s-5.3|M777A2 155mm 곡사포]] 운용 부대.] 제54여단공병대대 / 54th Brigade Engineer Battalion 제173여단지원대대 / 173rd Brigade Support Battalion * 제207군사정보여단(전구) /207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Theater) 제307군사정보대대 / 307th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제337군사정보대대(육군 예비군) / 337th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Army Reserve) 제525군사정보대대 / 522nd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 제414계약지원여단 / 414th Contracting Support Brigade 지역계약사무실-아프리카 / Regional Contracting Office - Africa 지역계약사무실-이탈리아 / Regional Contracting Office - Italy * 제509전략통신대대 / 509th Strategic Signal Battalion * 미국 육군 NATO 여단 / U.S. Army NATO Brigade * 북부연합군대대 / Allied Forces North Battalion * 남부연합군대대 / Allied Forces South Battalion =====# [[제5군단(미국)|제5군단]] / V Corps #===== * 제2기병연대 / 2nd Cavalry Regiment * 제1대대, 제2기병연대 / 1st Squadron, 2nd Cavalry Regiment * 제2대대, 제2기병연대 / 2nd Squadron, 2nd Cavalry Regiment * 제3대대, 제2기병연대 / 3rd Squadron, 2nd Cavalry Regiment * 제4대대, 제2기병연대 / 4th Squadron, 2nd Cavalry Regiment * 야전포병대대, 제2기병연대 / Field Artillery Squadron, 2nd Cavalry Regiment[*M777A2 [[M777 155mm 곡사포#s-5.3|M777A2 155mm 곡사포]] 운용 부대.] * 연대공병대대, 제2기병연대 / Regimental Engineering Squadron, 2nd Cavalry Regiment * 연대지원대대, 제2기병연대 / Regimental Support Squadron, 2nd Cavalry Regiment * 제12전투항공여단 / 12th Combat Aviation Brigade * 제1대대(공격), 제3항공연대 / 1st Battalion (Attack), 3rd Aviation Regiment[*AH-64E [[AH-64#s-5.5|AH-64E]] 운용 부대.] * 제1대대(일반 지원), 제214항공연대 / 1st Battalion (General Support), 214th Aviation Regiment[*UH-60M [[UH-60 블랙 호크#s-6.1|UH-60M]] 운용 부대.][*CH-47F [[CH-47#s-4|CH-47F]] 운용 부대.][*HH-60M [[UH-60 블랙 호크#s-6.1|HH-60M]] 운용 부대.][*C-12U [[https://en.wikipedia.org/wiki/Beechcraft_C-12_Huron|C-12U]] 운용 부대.][*UC-35A [[https://en.wikipedia.org/wiki/Cessna_Citation_V#Military_operators|UC-35A]] 운용 부대.] * 제41야전포병여단 / 41st Field Artillery Brigade * 제1대대, 제6야전포병연대 / 1st Battalion, 6th Field Artillery Regiment[*M270A1 [[M270 MLRS|M270A1]] 운용 부대.] * 제1대대, 제77야전포병연대 / 1st Battalion, 77th Field Artillery Regiment[*M270A1 [[M270 MLRS|M270A1]] 운용 부대.] * 제589여단지원대대 / 589th Brigade Support Battalion * 대서양 결의 순환배치부대 / Atlantic Resolve Rotational Units[* [[https://en.wikipedia.org/wiki/Operation_Atlantic_Resolve|대서양 결의 작전]]에 의해 동유럽에 순환배치되는 부대이다.] * 순환배치 경사단 / Rotational Light Division 1x 순환배치 보병여단전투단 / 1x Rotational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1x 순환배치 지속여단 / 1x Rotational Sustainment Brigade * 순환배치 기갑사단 / Rotational Armor Division 2x 순환배치 기갑여단전투단 / 2x Rotational Armor Brigade Combat Teams 1x 순환배치 사단 포병 / 1x Rotational Division Artillery 1x 순환배치 전투항공여단 / 1x Rotational Combat Aviation Brigade 1x 순환배치 지속여단 / 1x Rotational Sustainment Brigade ====#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해군|유럽-아프리카해군]] / United States Naval Forces Europe-Africa #==== * 유럽, 아프리카, 중부 해군지구 / Navy Region Europe, Africa, Central * 나폴리 해군지원기지 / Naval Support Activity Naples * 수다 베이 해군지원기지 / Naval Support Activity Souda Bay * 바레인 해군지원기지 / Naval Support Activity Bahrain * 시고넬라 해군항공기지 / Naval Air Station Sigonella * 로타 해군기지 / Naval Station Rota * 캠프 레모니에 / Camp Lemonnier * 레드지코보 해군지원시설 / Naval Support Facility Redzikowo * 데베셀루 해군지원시설 / Naval Support Facility Deveselu =====# [[제6함대]] / United States Sixth Fleet #===== * 제63기동부대(유럽-아프리카 군사해상수송사령부) / Task Force 63 (Military Sealift Command Europe and Africa) * USS 마운트 휘트니 / USS Mount Whitney[*BlueRidge [[블루 릿지급 지휘함#s-4|블루 릿지급 지휘함]].] * 제65기동부대(제60구축함전대) / Task Force 65 (Destroyer Squadron 60) * USS 알레이 버크 / USS Arleigh Burke[*ArleighBurkeFI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s-8|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 * USS 루스벨트 / USS Roosevelt[*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s-8|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 * USS 벌클리 / USS Bulkeley[*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s-8|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 * USS 폴 이그네이셔스 / USS Paul Ignatius[*ArleighBurkeFIIA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s-8|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 IIA]].] * 제69기동부대(제8잠수함전단) / Task Force 69 (Submarine Group 8) * 영국 노스우드 대표부, 제8잠수함전단장 / Commander, Submarine Group 8, Representative Northwood UK ====# [[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공군|유럽-아프리카공군]] / 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 Air Forces Africa #==== * 제435항공원정비행단 / 435th Air Expeditionary Wing * 제409항공원정전대 / 409th Air Expeditionary Group 제32원정정찰비행대대 / 324th Expeditionary Reconnaissance Squadron[*MQ-1 [[MQ-1]] 운용 부대.][*MQ-9 [[MQ-9]] 운용 부대.] 제409원정군사경찰대대 / 409th Expeditionary Security Forces Squadron 제724원정공군기지대대 / 724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제768원정공군기지대대 / 768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 제449항공원정전대 / 449th Air Expeditionary Group 제12원정특수작전대대 / 12th Expeditionary Special Operations Squadron 제75원정공수비행대대 / 75th Expeditionary Airlift Squadron[*C-130J [[C-130|C-130J]] 운용 부대.] 제82원정구조대대 / 82nd Expeditionary Rescue Squadron 제475원정공군기지대대 / 475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제726원정공군기지대대 / 726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제776원정공군기지대대 / 776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 키슬링 부사관아카데미 / Kisling NCO Academy * 유럽-아프리카공군 전투센터 / USAFE-AFAFRICA Warfare Center * 전투훈련학교 / Combat Training School * 유럽지역공군아카데미 / Inter-European Air Force Academy * 제5전투훈련대대 / 5th Combat Training Squadron * 제4전투훈련대대 / 4th Combat Training Squadron * 유럽-아프리카공군 전투센터 통신대대 / USAFE-AFAFRICA Warfare Center Communications Squadron * 아프리카 공군협회 / Association of African Air Forces * 제603항공작전센터 / 603rd Air Operations Center * 제603항공통신대대 / 603rd Air Communications Squadron =====# 제3공군 / Third Air Force #===== * 제31전투비행단 / 31st Fighter Wing * 제31작전전대 / 31st Operations Group 제31작전지원대대 / 31st Operations Support Squadron 제56구조비행대대 / 56th Rescue Squadron[*HH-60G [[HH-60|HH-60G]] 운용 부대.] 제555전투비행대대 / 555th Fighter Squadron[*F-16C/D [[F-16#s-4.2|F-16C/D]] 운용 부대.] 제606항공통제대대 / 606th Air Control Squadron 제57구조대대 / 57th Rescue Squadron 제510전투비행대대 / 510th Fighter Squadron[*F-16C/D [[F-16#s-4.2|F-16C/D]] 운용 부대.] * 제31정비전대 / 31st Maintenance Group 제555전투기세대대대 / 555th Fighter Generation Squadron 제510전투기세대대대 / 510th Fighter Generation Squadron 제6구조세대대대 / 6th Rescue Generation Squadron 제31탄약대대 / 31st Munitions Squadron 제31정비대대 / 31st Maintenance Squadron 제731탄약대대 / 731st Munitions Squadron * 제31임무지원전대 / 31st Mission Support Group 제31토목공병대대 / 31st Civil Engineer Squadron 제31통신대대 / 31st Communications Squadron 제31계약대대 / 31st Contracting Squadron 제31부대지원대대 / 31st Force Support Squadron 제31군수즉응대대 / 31st Logistic Readiness Squadron 제31군사경찰대대 / 31st Security Forces Squadron * 제31의무전대 / 31st Medical Group 제31의무지원대대 / 31st Medical Support Squadron 제31작전의무즉응대대 / 31st Operational Medical Readiness Squadron 제31보건작전대대 / 31st Healthcare Operations Squadron 제31치의대대 / 31st Dental Squadron * 제39공군기지비행단 / 39th Air Base Wing * 제39감사대대 / 39th Comptroller Squadron * 제39임무지원전대 / 39th Mission Support Group 제39토목공병대대 / 39th Civil Engineer Squadron 제39통신대대 / 39th Communications Squadron 제39계약대대 / 39th Contracting Squadron 제39부대지원대대 / 39th Force Support Squadron 제39군수즉응대대 / 39th Logistics Readiness Squadron 제425공군기지대대 / 425th Air Base Squadron 제717공군기지대대 / 717th Air Base Squadron * 제39의무전대 / 39th Medical Group 제39의무작전대대 / 39th Medical Operations Squadron 제39의무지원대대 / 39th Medical Support Squadron * 제39무기시스템경비전대 / 39th Weapons System Security Group 제39원정정찰대대 / 39th Expeditionary Reconnaissance Squadron 제39정비대대 / 39th Maintenance Squadron 제39작전지원대대 / 39th Operations Support Squadron 제39군사경찰대대 / 39th Security Forces Squadron * 제48전투비행단 / 48th Fighter Wing * 제48작전전대 / 48th Operations Group 제492전투비행대대 / 492nd Fighter Squadron[*F-15E [[F-15#s-6.3|F-15C]] 운용 부대.] 제494전투비행대대 / 494th Fighter Squadron[*F-15E [[F-15#s-6.3|F-15C]] 운용 부대.] 제495전투비행대대 / 495th Fighter Squadron[*F-35A [[F-35#s-4.1|F-35A]] 운용 부대.] 제48작전지원대대 / 48th Operations Support Squadron * 제48정비전대 / 48th Maintenance Group 제48항공기정비대대 / 48th Aircraft Maintenance Squadron 제748항공기정비대대 / 748th Aircraft Maintenance Squadron 제48구성정비대대 / 48th Component Maintenance Squadron 제48장비정비대대 / 48th Equipment Maintenance Squadron 제48정비작전대대 / 48th Maintenance Operations Squadron 제48탄약대대 / 48th Munitions Squadron * 제48의무전대 / 48th Medical Group * 제48임무지원전대 / 48th Mission Support Group 제48토목공병대대 / 48th Civil Engineer Squadron 제48부대지원대대 / 48th Force Support Squadron 제48군사경찰대대 / 48th Security Forces Squadron 제48통신대대 / 48th Communications Squadron 제48계약대대 / 48th Contracting Squadron 제48군수즉응대대 / 48th Logistics Readiness Squadron * 제52전투비행단 / 52nd Fighter Wing * 제52작전전대 / 52nd Operations Group 제52작전지원대대 / 52nd Operations Support Squadron 제480전투비행대대 / 480th Fighter Squadron[*F-16C/D [[F-16#s-4.2|F-16C/D]] 운용 부대.] 제1분견대, 제52작전전대 / Detachment 1, 52nd Operations Group 제2분견대, 제52작전전대 / Detachment 2, 52nd Operations Group[*MQ-9 [[MQ-9]] 운용 부대.] * 제52정비전대 / 52nd Maintenance Group 제52항공기정비대대 / 52nd Aircraft Maintenance Squadron 제52정비대대 / 52nd Maintenance Squadron * 제52임무지원전대 / 52nd Mission Support Group 제52작전의무즉응대대 / 52nd Operational Medical Readiness Squadron 제52보건작전대대 / 52nd Healthcare Operations Squadron 제52의무지원대대 / 52nd Medical Support Squadron 제852의무대대 / 852nd Medical Squadron * 제52의무전대 / 52nd Medical Group 제52토목공병대대 / 52nd Civil Engineer Squadron 제52통신대대 / 52nd Communications Squadron 제52계약대대 / 52nd Contracting Squadron 제52부대지원대대 / 52nd Force Support Squadron 제52군수즉응대대 / 52nd Logistics Readiness Squadron 제52군사경찰대대 / 52nd Security Forces Squadron 제470공군기지대대 / 470th Air Base Squadron * 제52탄약정비전대 / 52nd Munitions Maintenance Group 제701탄약지원대대 / 701st Munitions Support Squadron 제702탄약지원대대 / 702nd Munitions Support Squadron 제703탄약지원대대 / 703rd Munitions Support Squadron 제704탄약지원대대 / 704th Munitions Support Squadron * 제86공수비행단 / 86th Airlift Wing * 제86작전전대 / 86th Operations Group 제37공수비행대대 / 37th Airlift Squadron[*C-130J [[C-130|C-130J]] 운용 부대.] 제76공수비행대대 / 76th Airlift Squadron[*C-21A [[봉바르디에 리어젯 시리즈|C-21A]] 운용 부대.][*C-37A [[https://en.wikipedia.org/wiki/Gulfstream_V#Variants|C-37A]] 운용 부대.] 제86항공의무후송대대 / 86th Aeromedical Evacuation Squadron 제86작전지원대대 / 86th Operations Support Squadron 제424공군기지대대 / 424th Air Base Squadron * 제86정비전대 / 86th Maintenance Group 제86항공기정비대대 / 86th Aircraft Maintenance Squadron 제86정비대대 / 86th Maintenance Squadron * 제86군수즉응전대 / 86th Logistics Readiness Group 제86군수즉응대대 / 86th Logistics Readiness Squadron 제86물자정비대대 / 86th Material Maintenance Squadron 제86탄약대대 / 86th Munitions Squadron 제86차량즉응대대 / 86th Vehicle Readiness Squadron * 제86임무지원전대 / 86th Mission Support Group 제86통신대대 / 86th Communications Squadron 제86부대지원대대 / 86th Force Support Squadron 제86군사경찰대대 / 86th Security Forces Squadron 제569미군경찰대대 / 569th U.S. Forces Police Squadron 제700계약대대 / 700th Contracting Squadron 제786부대지원대대 / 786th Force Support Squadron * 제86의무전대 / 86th Medical Group 제86작전의무즉응대대 / 86th Operational Medical Readiness Squadron 제86치의대대 / 86th Dental Squadron 제86보건작전대대 / 86th Healthcare Operations Squadron 제86의무지원대대 / 86th Medical Support Squadron 제86의무대대 / 86th Medical Squadron * 제86토목공병전대 / 86th Civil Engineer Group 제86토목공병대대 / 86th Civil Engineer Squadron 제786토목공병대대 / 786th Civil Engineer Squadron * 제65공군기지전대 / 65th Air Base Group 제65공군기지대대 / 65th Air Base Squadron 제65토목공병대대 / 65th Civil Engineer Squadron 제65통신대대 / 65th Communications Squadron 제65감사대대 / 65th Comptroller Squadron 제65부대지원대대 / 65th Force Support Squadron 제65군수즉응대대 / 65th Logistics Readiness Squadron 제65작전지원대대 / 65th Operations Support Squadron 제65군사경찰대대 / 65th Security Forces Squadron 제496공군기지대대 / 496th Air Base Squadron * 제100공중급유비행단 / 100th Air Refueling Wing * 제100작전전대 / 100th Operations Group 제351공중급유비행대대 / 351st Air Refueling Squadron[*KC-135R [[KC-135|KC-135R]] 운용 부대.] 제100작전지원대대 / 100th Operations Support Squadron * 제100정비전대 / 100th Maintenance Group 제100항공기정비대대 / 100th Aircraft Maintenance Squadron 제100정비대대 / 100th Maintenance Squadron 제100정비작전편대 / 100th Maintenance Operations Flight * 제100임무지원전대 / 100th Mission Support Group 제100토목공병대대 / 100th Civil Engineer Squadron 제100통신대대 / 100th Communications Squadron 제100군수즉응대대 / 100th Logistics Readiness Squadron 제100군사경찰대대 / 100th Security Forces Squadron 제100부대지원대대 / 100th Force Support Squadron * 제435항공원정비행단 / 435th Air Expeditionary Wing * 제409항공원정전대 / 409th Air Expeditionary Group 제32원정정찰비행대대 / 324th Expeditionary Reconnaissance Squadron[*MQ-1 [[MQ-1]] 운용 부대.][*MQ-9 [[MQ-9]] 운용 부대.] 제409원정군사경찰대대 / 409th Expeditionary Security Forces Squadron 제724원정공군기지대대 / 724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제768원정공군기지대대 / 768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 제449항공원정전대 / 449th Air Expeditionary Group 제12원정특수작전대대 / 12th Expeditionary Special Operations Squadron 제75원정공수비행대대 / 75th Expeditionary Airlift Squadron[*C-130J [[C-130|C-130J]] 운용 부대.] 제82원정구조대대 / 82nd Expeditionary Rescue Squadron 제475원정공군기지대대 / 475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제726원정공군기지대대 / 726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제776원정공군기지대대 / 776th Expeditionary Air Base Squadron * 제435항공지상작전비행단 / 435th Air Ground Operations Wing * 제4항공지원작전전대 / 4th Air Support Operations Group 제2항공지원작전대대 / 2nd Air Support Operations Squadron 제7전투기상전대 / 7th Combat Weather Squadron * 제435항공우주통신전대 / 435th Air and Space Communications Group 제1항공우주통신작전대대 / 1st Air and Space Communications Operations Squadron 제1전투통신대대 / 1st Combat Communications Squadron 제1통신정비대대 / 1st Communications Maintenance Squadron * 제435비상대응전대 / 435th Contingency Response Group 제435건설훈련대대 / 435th Construction and Training Squadron 제435비상대응대대 / 435th Contingency Response Squadron 제435비상대응지원대대 / 435th Contingency Response Support Squadron 제435군사경찰대대 / 435th Security Forces Squadron * 제501전투지원비행단 / 501st Combat Support Wing * 제422공군기지전대 / 422nd Air Base Group 제420공군기지대대 / 420th Air Base Squadron 제420탄약대대 / 420th Munitions Squadron 제422공군기지대대 / 422nd Air Base Squadron 제422토목공병대대 / 422nd Civil Engineer Squadron 제422통신대대 / 422nd Communications Squadron 제422의무대대 / 422nd Medical Squadron 제422군사경찰대대 / 422nd Security Forces Squadron * 제423공군기지전대 / 423rd Air Base Group 제421공군기지대대 / 421st Air Base Squadron 제423토목공병대대 / 423rd Civil Engineer Squadron 제423통신대대 / 423rd Communications Squadron 제423부대지원대대 / 423rd Force Support Squadron 제423의무대대 / 423rd Medical Squadron 제423군사경찰대대 / 423rd Security Forces Squadron 제426공군기지대대 / 426th Air Base Squadron * 중항공수송비행단 / Heavy Airlift Wing[*C-17A [[C-17#s-4.1|C-17A]] 운용 부대.] ====# 유럽-아프리카해병대 / United States Marine Forces Europe and Africa #==== * 해병순환배치군-유럽 / Marine Rotational Force - Europe === 하위통합사령부 / Subordinate Unified Commands === ====# 유럽특수작전사령부 / Special Operations Command Europe #==== * 제1대대, 제10특전단(공수) / 1st Battalion, 10th Special Forces Group (Airborne) * 제2해군특수전부대 / Naval Special Warfare Unit 2 * 제352특수작전비행단 / 352nd Special Operations Wing * 제752특수작전전대 / 752nd Special Operations Group 제7특수작전비행대대 / 7th Special Operations Squadron[*CV-22B [[V-22#s-5.2|CV-22B]] 운용 부대.] 제67특수작전비행대대 / 67th Special Operations Squadron[*MC-130J [[C-130#s-4.9|MC-130J]] 운용 부대.] 제321특수전술대대 / 321st Special Tactics Squadron 제352특수작전지원대대 / 352nd Special Operations Support Squadron * 제352특수작전정비전대 / 352nd Special Operations Maintenance Group 제352특수작전정비대대 / 352nd Special Operations Maintenance Squadron 제352특수작전항공기정비대대 / 352nd Special Operations Aircraft Maintenance Squadron 합동특수작전공군구성대-유럽 / Joint Special Operations Air Component - Europe * 유럽특수작전사령부 통신분견대 / SOCEUR Signal Detachment * 유럽 특수작전분견대(웨스트버지니아 육군 주방위군) / Special Operations Detachment Europe (West Virginia National Guard) [[분류:통합전투사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