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민권]][[분류:사회 운동]][[분류:자유주의]][[분류:사회 정의]] [include(틀:자유주의)] [목차] {{{+1 '''Civil rights movements'''}}} == 개요 == 현대적 의미의 '민권 운동'은 [[1960년대]] 미국에서 등장한 표현으로 [[차별]]을 반대하고 법 앞의 평등을 옹호하는 일련의 인권운동들, 말 그대로 [[민권]]을 지지하는 운동들을 가리킨다. == 상세 == 주로 차별받는 소수자 집단이 제도적,사회적 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즉 같은 시민으로써 다수자와 동등한 권리를 지지하는 운동들을 가리킨다. [[미국 흑인 민권 운동]]이 대표적이며, 그 외의 [[장애인]] 민권 운동, [[성소수자]] 민권 운동, [[자유 발언 운동]]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민권운동이 집중적으로 벌어졌던 [[1964년]]부터 [[1980년]]까지의 시기를 민권 시대(Civil Right Movement)라고 칭한다. 이 시기에 벌어졌던 일들에 대해서는 [[:분류:민권 시대]]를 참조하라. == 관련 운동,주제 == [[정체성 정치]], [[소수자 권리]]와 상당 부분 겹친다. * [[성소수자]] 민권운동 * 소수인종 민권운동 * 아시아계 민권 운동 * [[Stop Asian Hate]] * 흑인 민권 운동 * [[미국 흑인 민권 운동]] * [[블랙 파워]] * [[Black Lives Matter]] * '''신분 차별 반대운동''' - [[고전적 자유주의]]때부터 시작돤 최초의 민권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 [[불가촉천민]] 민권운동 - [[달리트 정치]] 참조 * [[형평운동]] - 백정 차별 반대 운동 * [[여성]] 민권운동 * [[친선택|낙태권 운동]] * [[자폐 권리 운동]] * [[장애인]] 민권운동 * [[탈시설]] * '''투표권 확대 운동''' * [[서프러제트]] * [[차티스트 운동]] == 대표적 민권운동가 == === 성소수자 민권운동가 === * [[변희수]] * [[육우당]] * [[하리수]] === 성평등 민권운동가[* [[페미니즘]](특히 서프러제트 운동, 낙태권 운동 등)과도 연관이 있다.] === * [[에멀린 팽크허스트]] * [[이태영]] - 호주제와 동성동본 반대, 이혼녀의 재산분할 청구권 인정 등 한국 여성의 제도적 차별 폐지와 민권 향상에 기여하였다. === 소수인종 민권운동가 === * [[넬슨 만델라]] * [[로자 파크스]] * [[마틴 루터 킹]] * [[말콤 엑스]] * [[존 루이스]] === 장애인 민권운동가 === * [[박경석]] * [[아리 니이먼]] * [[오토타케 히로타다]] * [[장혜영]] === 기타 === *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 [[달리트 정치]] * [[서재필]] - 신분제 철폐 민권운동 * [[이타가키 다이스케]] - [[자유민권운동]] == 여담 == 민권운동은 [[자유주의]]적 운동이지만, 반드시 비폭력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블랙 파워]] 운동가들의 테러 행위, [[조지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 [[Black Lives Matter]]와 연관 있다. BLM도 당연히 민권운동으로 분류된다.] 당시 일부 시위대의 폭력, 90년대 영국 장애인 인권운동가들의 [[https://youtu.be/Ur62hQ6-8Yc|교통수단 점거/훼손 시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동열차 운행방해 사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좌파성향 민권운동 단체이다.] 같이 [[폭력]]적인 방식으로 관철될 수도 있다. == 같이 보기 == * [[독립협회]] * [[급진주의]] (급진적 자유주의) * [[시민 불복종 운동]] * [[소수자 권리]] * [[문화적 자유주의]] * [[자유민권운동]](일본) - 다만 미국 1960년대 이후 오늘날 세계적인 의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수자 운동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민권운동'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