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분류)] ||<-3>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 || ||<-3> {{{#000000 '''민주당계 정당'''}}} || ||<-3> '''주요 정당''' || ||<|3> '''과거''' || '''초기''' ||'''[[한국민주당]] ,,(1945~1949),,'''[br]'''[[민주국민당]] ,,(1949~1955),,'''[br]'''[[민주당(1955년)|민주당]] ,,(1955~1961),,'''|| || '''군정기''' ||[[신민당(1967년)|신민당]] ,,(1967~1980),,[br][[민주한국당]] ,,(1981~1988),,[br][[신한민주당]] ,,(1985~1987),,[br][[통일민주당]] ,,(1987~1990),,|| || '''제6공화국''' ||[[평화민주당]] ,,(1987~1991),,[br][[민주당(1991년)|민주당]] ,,(1991~1995),,[br]'''[[새정치국민회의]] ,,(1995~2000),,[br][[새천년민주당]] ,,(2000~2005),,[br][[열린우리당]] ,,(2003~2007),,'''[br][[대통합민주신당]] ,,(2007~2008),,[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2008),,[br][[민주당(2008년)|민주당]] ,,(2008~2011),,[br][[민주통합당]] ,,(2011~2013),,[br][[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2016~2018),, || ||<-2> '''현존[br][[대한민국/정당/목록#s-1.1|{{{#000000,#dddddd 원내정당}}}]]''' ||'''[[더불어민주당]]''' ,,(2015~),, || ||<-2> '''[[대한민국 정부|{{{#000000,#dddddd 집권 정부}}}]]''' ||[[장면 내각]] ,,(1960~1961),,[br][[국민의 정부|국민의 정부]] ,,(1998~2003),,[br][[참여정부|참여정부]] ,,(2003~2008),,[br][[문재인 정부]] ,,(2017~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민주당계 정당은 [[대한민국]]의 정당 계열 중의 하나로, [[1955년]] [[민주당(1955년)|민주당]]을 그 [[시조]]로 자처한다.[* 역사학적으로는 [[한국민주당]]과 그 후신인 [[민주국민당]], 이후 호헌동지회를 통한 반이승만 세력의 빅텐트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 다만 이건 역사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의 민주당계의 [[중시조|본격적인 시작]]은 1987년 [[양김]]이 결별하면서 창당한 [[평화민주당]]과 [[새정치국민회의]]이다.[* 보수정당인 [[국민의힘]]도 계보상 과거 민주당계 정당들과 이어져 있다. 실질적 뿌리는 1990년 [[3당합당]]으로 창당한 [[민주자유당]]으로 보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물론 더 정확히는 민주당계 정당이었던 [[통합민주당(1995년)]]이 [[신한국당]]과 합당해 1997년 보수 정당 [[한나라당]]이 되는 분기점이 있지만, 통합민주당의 규모가 1996년 [[15대 총선]]이 끝난 당시 이미 새정치국민회의에 밀려 당의 존속 자체가 위태했던 지경이었으므로 사실상 신한국당에 흡수된 셈이 되었다.] 한국의 정당 특성상 이념보다는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정당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사분오열과 이합집산이 자주 반복되어 왔는데, 특징을 잡아보면 [[야당]]이었던 기간이 훨씬 길고, 대체로 정당 이름에 '''민주'''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사실 알고 보면 한국의 보수정당들도 민주라는 용어를 꽤 사용했다.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이 있다.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등 독특한 이름들은 근래에 들어서 사용한 이름들이다.] 한국의 현대사에서 '''민주'''라는 명칭이 붙은 정당의 역사는 아래에 기술한다. 또한 민주라는 명칭은 들어가지만, 실질적으로 민주당계와 관련이 없는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 [[민주자유당]],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이 정당들은 보수정당들이다.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참고. 다만 민주자유당과 민주국민당의 경우 각각 민주당계 정당인 통일민주당과 통합민주당의 후신이기도 하므로 민주당계 정당과 완전히 관련없는 것은 아니다.], [[민주노동당]][* 참고로 민노당은 진보정당이다.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문서 참고.], [[자유민주연합]][* 사실 1997년부터 2001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DJP연합|민주당과 연립정권]]을 구성하면서 총리직과 상당수의 장관직을 배출했다. 하지만 사실 자민련은 군부 출신인 [[김종필]] 전 총리 계통으로 이념상 정통적 정치성향에서 민주당과 거리가 멀었고, 결국엔 갈라섰다.] 등은 제외한다. 더불어 역사적 의미가 옅은 군소정당들은 제외하고 원내정당이거나 특기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위주로 서술한다. == 현황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의 정당 역사 계보.png|width=100%]]}}}|| || 민주당계 정당의 계보[* [[열린민주당]], [[미래한국당]] 등 누락되어있는 부분도 있으니 주의] || === 당색 === 민주당을 상징하는 색은 세 개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정계 복귀를 선언하고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면서 고른 '''[[초록색|{{{#009a44 초록색}}}]]'''[* [[동교동계]]가 자주 사용하며, 호남을 중심으로 하는 당이 많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에서 주로 사용한 '''[[노란색|{{{#ffd918 노란색}}}]]'''[*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미지가 강하다. 그래서 [[친노]]에서 즐겨 사용한다. 과거에는 [[제13대 대통령 선거]] 직전에 [[김대중]]과 [[동교동계]]가 창당했던 [[평화민주당]]도 노란색을 썼다.], [[민주당(2013년)|2013년 민주당]]으로 개명한 후 '''[[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 정부]]'''가 사용하는 '''[[파란색|{{{#004ea2 파란색}}}]]'''[* 과거 [[민주정의당]]을 시작으로 [[한나라당]]까지 보수정당이 오랫동안 상징색으로 사용하던 색깔이라 파격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한나라당이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하면서 [[미국 공화당]]처럼 상징색을 [[빨간색]]으로 바꾸었기에 파란색이 비어 있는 상황이었다.]이 있다. 2015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당시 새누리당의 빨강과 더민주의 파랑이라는 스펙트럼의 중간인 {{{#006241 초록색}}}을 선택했다.[* 국민의당이 초록색을 선택했을 때, 호남을 타겟팅했다고 해석한 이들도 있었다. 왜냐면 새정치국민회의의 색깔인 초록색을 사용하여 김대중 정신과 호남정신을 당에 결부지으려는 의도로도 읽혔기 때문이다.] [[주황색|{{{#ff7f00 주황색}}}]]을 사용했을 때도 있었는데, [[대통합민주신당]]이 그 예다. 2018년, 국민의당의 분열로 생긴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중 민주당 계열인 민주평화당은 {{{#43b02a 초록색}}}을 골랐고, 후신인 [[민생당]]까지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현재는 [[더불어민주당]]의 색깔인 '''[[파란색|{{{#004ea2 파란}}}{{{#003e98 색}}}]]'''과 민생당이 사용 중인 '''[[초록색|{{{#00a85f 초록색}}}]]''', 두 색깔이 쓰이고 있다. 다만 민생당이 원외정당이 됨에 따라 원내 민주당계 정당의 색깔은 더불어민주당의 {{{#004ea2 '''파란색'''}}}만 남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더불어민주당에서 시조격으로 여기는 [[민주당(1955년)|1955년 민주당]]은 {{{#000080 '''짙은 남색'''}}}을 당색으로 사용하였다. === 정당 기호 === 국회 원내 의석수 순으로 선거 정당기호 순서를 정한 [[공직선거법]]이 제정된 이후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민주당계 정당이 전국 단위 공직선거에서 받은 기호는 2번 또는 3번이었다. 민주당계 정당이 배출한 3명의 대통령 중에 두 대통령([[김대중]], [[노무현]])이 기호 2번으로 당선된 바 있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탁현민]]의 연출하에 [[https://youtu.be/-DSgmLCuIBs|김대중의 번호, 노무현의 번호]]라는 유세 CF를 제작하기도 했다. 기호 1번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들]]이 주로 받았는데 이는 1997년까지 당시 여당이었던 보수정당이 자연스럽게 다수당이 될 수 있도록 만들었던[*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지역구 의석수 1위 정당이 전국구 의석의 절반 이상을 가져가는 희한한 규정이 있었다. [[군사독재|이 당시 정치 환경]]상 지역구 의석수 1위 정당은 여당이었던 [[민주정의당]]과 [[민주자유당]]이었다.] 선거법의 영향이 크다.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평화민주당]]이 기호 3번을 받았고 이후 [[민주당(1991년)|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은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열린 모든 전국 단위 선거 때 기호 2번을 달았다. 그러다 2004년 이후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처음으로 기호 1번을 받게 되는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이 원내 1당이 되면서 기호 1번을 받았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은 기호 1번을 받은 후 모든 선거에서 모조리 참패하는 흑역사를 만들었고(...) 이 당의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과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도 [[제17대 대통령 선거]]와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의 유산인 기호 1번을 받아 선거에 임했지만 역대급 참패를 당하고 1번 자리를 다시 보수정당인 [[한나라당]]에 넘겨주고 만다. 이후 시행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18대 대통령 선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2008년)|민주당]], [[민주통합당]], [[새정치민주연합]]이 기호 2번을 달고 선거에 임했다. 그러나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원내 1당 자리를 탈환하면서 기호 '''1번'''을 달 수 있는 권한이 다시 민주당계 정당으로 돌아왔고 [[제19대 대통령 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더불어민주당이 기호 1번을 배정받았다. 민주당보다 의석수가 적은 [[민생당]]은 기호 3번을 받았다. 그리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절반을 가뿐히 뛰어넘는 압승을 거두면서 2024년 4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치러지는 모든 선거에서[* [[2021년 재보궐선거]], 2022년 3월 [[제20대 대통령 선거]], 2022년 6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3년 [[2023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 등] [[더불어민주당]]이 기호 1번을 달 수 있게 됐다. == 보수정당과의 연관성 == 민주당계 정당의 이념은 보수 정당만큼이나 애매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다만 언론에선 보수 정당이 보수 우파를 자처하기에 그에 반대되는 민주당계 정당을 좌파, 진보 진영으로 뭉뚱그려 말하는 경향이 있다. 굳이 정체성을 따지자면 민주당계란 이름에서 보이듯 민주화를 이끌던 계열의 정권 정도가 정체성이라고 볼 수 있다. 과거 [[한국민주당|한민당]] 시절엔 도리어 강경 보수 계열로 평가 받기도 했으나, 이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을 거치며 반정부, 민주화 투쟁을 벌이면서 민주/중도적인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다만 이승만과 박정희 시절에는 민주당 계열의 야당들도 반공을 띈 보수 성향이 강했다.] 그리고 1987년 민주화가 이뤄진 이후에는 YS를 필두로 하는 [[통일민주당]] 계열은 [[3당 합당]]으로 지금의 보수정당의 뿌리가 되었고[* 실제로 현재 국민의힘의 계파 중에 가장 많은 원내의원을 보유한 계파인 [[친윤]]을 제외하고는, [[친유]]의 수장 [[유승민]], [[친홍]]의 수장 [[홍준표]]는 동교동계 또는 상도동계가 절대 다수이다. [[이준석]]도 사실 박근혜 키즈로 이미지가 박혀서 그렇지, 비박계에다 [[친유]]로 분류되고 있다.], 남은 민주화 세력은 DJ를 필두로 [[평화민주당]], [[민주당(1991년)|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를 거치며 각계의 재야 인사와 개혁적 인사들이 다수 합류하였다. 그런데 사실 김영삼은 대통령 당선 뒤에도 딱히 노선은 반공 보수에서 변하지 않았다. [[문민정부]] 시기에 터졌던 [[연세대 사태]]를 겪은 [[김영삼]]은 [[연세대 사태]] 당시 암살 위기에 몰려서 그런지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지정하는 등 아예 씨를 말리러 다녔다. 이로 인해 좀 더 진보적인 색채를 띠게 되어 오늘날에는 다양한 스탠스가 뒤섞인 세력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학계에서는 민주당계의 뿌리를 사실상 [[평화민주당]]으로 보기도 한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 이후로는 친노계가 진보적 인사들을 대거 영입하면서 진보적 색채가 이전보다 더 강해졌다.[* 물론 이 시절에도 진보 성향의 언론이나 지지자들에겐 '좌회전 깜빡이 넣고 우회전한다'고 욕 먹긴 했다.] [[문재인]] 대통령 또한 당 대표 시절에 재야 인물들을 대거 영입함에 따라서 [[새정치민주연합|당]]은 진보적인 인물부터 당 내의 중도보수 인사들까지 아우르게 되었다. 현재도 [[이재명]] 대표의 [[더불어민주당]]이 이러한 기조를 계승하고 있다. 사실 대중적인 표현과 달리 학술적으로 표현할 때나 스스로 칭할 때나 '진보'나 '좌파'라는 지칭은 거의 나오지 않고 "민주개혁" 또는 "중도개혁"이라는 표현이 주로 쓰인다. 참고로 [[참여정부]]의 주축이었던 [[열린우리당]] 당시 내세운 이념 역시 [[사회자유주의]]였다. 반면 같은 시기의 [[새천년민주당]]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이었다. 보통 참여정부 시기의 민주당계 정당의 이념을 다룰 때는 주의해야 할 점이 당원 각각의 정치적 스펙트럼이 넓은 편이었기에 당의 노선을 분명하게 가르기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까지도 그런 기조를 유지하기에 민주당 계열은 온건 보수와 온건 진보 세력이 각각 계파를 이뤄 한솥밥을 먹는 구도라 해석할 수 있다.[* 다만 [[빅 텐트]] 정당으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견해가 있다. 더 왼쪽에 자리 잡은 [[민주노동당|진보]][[정의당|정]][[노동당(한국)|당]]들이 미약하나마 제3세력으로 그동안 자리매김하고 있었기 때문. 다만 양당제로 알려진 미국도 제3세력은 있으며 [[민주당(미국)|미국 민주당]]과 유사한 정도의 빅 텐트 정당이라고 볼 여지는 있다.] 일례로, [[박근혜 정부]] 당시의 민주당 계열도 참여정부 때와 유사하게 당시 민주당계의 양대 축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각각 온건 진보와 온건 보수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본다.[* 물론 사안에 따라 달랐다. 예를 들어, 박근혜 정부 후반에 추진했던 [[THAAD]] 배치는 초기엔 국민의당이 배치 반대를 당론으로 취한 반면, 오히려 더민주는 전략적 모호성이란 말로 중립적 태도를 보였었다.] 현재 민주당계의 주류정당인 '''[[더불어민주당]]'''만 봐도 [[19대 대선]]을 거치며 더 당 내부의 스펙트럼이 다양해졌지만 당의 주축은 '''이전의 민주당계 정당보다 더 진보화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좌파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이 덜해지며 정치지형 자체가 변한 것도 이유이다. == 역대 민주당계 정당 목록 == === [[8.15 광복]] 이후 ~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 ==== [[한국민주당]] ==== * 1945년 9월 16일 ~ 1949년 2월 10일 ([[민주국민당]]으로 흡수) 한국민주당은 [[원세훈]], [[김병로]] 등의 조선민족당과 [[장덕수]], [[김도연(1894)|김도연]] 등의 한국국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으로, 당시에는 지금 민주당과는 정반대의 우익 성향 정당이었다. 이 중 비주류였던 조선민족당 계열은 독립운동가 출신이 섞여 있었지만, 정작 주류였던 한국국민당 계열은 [[친일반민족행위자]] 출신이 많았다. 이후 1946년 비주류가 [[좌우합작운동]]에 대한 의견 차이로 탈당하면서 한민당은 완전히 친일 지주 세력만의 정당으로 전락했다. 당 수석총무와 2대 부통령을 지냈던 김성수가 한민당의 대표적 친일파이다. 이 친일 논란 때문에 현 민주당 지지자들은 한민당을 흑역사 취급하고 전신으로도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대놓고 부정하기도 뭐한 것이 민주당계 정당의 첫 대통령이자 주요 구심점 중 하나인 [[김대중]] 대통령이 정치에 입문하기 전 소속되어 있기도 했다. 한민당은 초기에는 [[이승만]]의 [[정읍 발언]] 및 단독정부 수립 구상에 동의하는 등 친이승만 성향을 띠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 좌초에 앞장서는 등 이승만 정부의 연립여당 격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한민당이 체제를 [[의원 내각제]]로 바꾸고 [[김성수(1891)|김성수]]를 국무총리에 앉히려 했던 반면 이승만은 [[대통령제]]를 강하게 주장하면서 둘의 관계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이후 내각 구성 과정에서 한민당은 내각의 절반을 한민당 인물로 채워 줄 것을 요구했지만, 이승만은 이를 씹고 좌익 성향의 [[조봉암]]을 임명하면서까지 한민당을 노골적으로 홀대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승만은 한민당의 기반이던 친일 지주세력을 찍어누르기 위해 [[농지개혁법]] 카드를 꺼내들며 한민당과 이승만 대통령의 사이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버린다. ==== [[대한국민당(1948년)|대한국민당]] ==== * 1948년 11월 13일 ~ 1949년 2월 ([[민주당(1955년)|민주당]]으로 흡수) 대한국민당은 [[이승만]] 대통령이 여당이면서도 정당보다는 정치 단체의 성격이 강했던 [[대한독립촉성국민회]]를 정식 정당으로 전환시키려는 의지를 보이자 [[신익희]], [[윤치영]] 등이 창당한 정당이다. 하지만 이승만은 독촉 자체의 정당 전환을 노렸던 거지 신당 창당을 원한 것이 아니었고, 결국 이승만과의 거리가 멀어진 대한국민당은 [[한국민주당]]과 힘을 합치며 야권으로 편입된다. 이후 껍데기만 남은 당을 친이승만계가 채워버리며 1949년 말부터는 전혀 다른 성향의 당이 된다. ==== [[민주국민당]] ==== * 1949년 2월 10일 ~ 1955년 9월 18일 ([[민주당(1955년)|민주당]]으로 흡수) 민주국민당은 [[이승만]] 정권에게 뒤통수를 거하게 얻어맞은 [[한국민주당]]이 [[대한국민당(1948년)|대한국민당]]과 합당하며 만들어진 정당이다. 당명은 한국민주당에서 "민주", 대한국민당에서 "국민"을 땄다고 한다. 민국당은 무소속 의원 일부와 제휴하여 내각제 개헌을 추진했지만 통과시키지 못했고, 이승만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면서까지 [[발췌 개헌]]을 통과시키며 대통령 권한 강화로 맞섰다. 이후에도 민주국민당은 야당으로서 이승만 정부의 모진 탄압을 견뎌내야 했다. ==== [[민주당(1955년)]] ==== * 1955년 9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강제해산) 민주당은 [[이승만]] 정권이 [[발췌 개헌]]에 이어 [[사사오입 개헌]]마저 멋대로 통과시키자 위기를 느낀 제1야당 [[민주국민당]]과 [[장면]] 등 [[흥사단]]계, 그리고 사사오입 개헌에 반대하는 [[자유당]] 탈당파가 세력을 모아 창당한 정당이다. 민주당은 [[제3대 대통령 선거]]에 [[신익희]]를, [[3.15 부정선거]](당시 4대 대선)에 [[조병옥]]을 내보냈지만 공교롭게도 둘 모두 유세 기간에 사망하며 정권을 잡지 못했다. 참고로 3대 대선에서 신익희가 내세운 구호가 그 유명한 '''못살겠다 갈아보자'''이다. 그러다가 부정선거에 따른 [[4.19 혁명]]으로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이 무너지면서 민주당은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압승하며 제1당이 되고 내각제로 개헌하여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의 집권 여당이 되었다. 이 때 민주당이 세운 75% 의석률 기록은 독재정권 시기에도 깨지지 않았고 현재도 깨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정작 정권을 잡은 민주당은 극심한 내부 계파 갈등에 시달리며 국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민주당에는 구파와 신파라는 두 계파가 있었는데 구파는 한민당-민국당 시절부터 쭉 당에 있었던 인사들이고 신파는 흥사단계, 자유당 탈당파 등 민주당 창당 때 새로 들어온 인사들이다. 2공 당시 [[장면]] 국무총리는 신파, [[윤보선]] 대통령은 구파 소속이었는데 내각제 특성상 실권이 총리에게 있으므로 장면은 내각을 전부 신파 일색으로 구성해 버렸고, 그러자 윤보선은 장면 내각의 행보에 지속적으로 태클을 걸며 상징적 국가원수 자리에 머물러 있으려 하지 않았다. 즉 한민당 시절부터 그렇게 내각제를 부르짖었으면서 내각제를 제대로 실천하지도 못한 셈. 이러한 계파 갈등에 따른 정치 혼란은 [[박정희]]가 [[5.16 군사정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또한 2공이 무능해서 박정희가 갈아엎었다는 식으로 정당성도 제공해 줬다. ==== [[신민당(1960년)]] ==== * 1960년 12월 14일 ~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강제해산) 신민당은 [[민주당(1955년)|민주당]] 내 치열한 계파 싸움이 진행되던 와중에 구파 강경파가 일당독재를 막겠다는 명분으로 민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신민당은 불과 몇달 전까지 같은 정당 소속이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장면 내각]]에 사사건건 딴지를 걸었고, 또한 구파였던 [[윤보선]] 대통령이 2공 헌법상 당적을 가질 수는 없었지만 거의 대놓고 신민당의 이익을 대변해 줬다고 한다. 결국 장면 내각의 발목을 잡으며 2공 실패에 일조했던 신민당은 [[5.16 군사정변]]으로 민주당과 같이 해산되었다. === [[5.16 군사정변]] 이후 ~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 ==== [[민정당]] ==== * 1963년 5월 14일 ~ 1965년 5월 3일 ([[민중당(1965년)|민중당]]으로 흡수) 민정당은 민정이양 이후 구 [[민주당(1955년)|민주당]] 구파 및 [[신민당(1960년)|신민당]]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제5대 대통령 선거]]에 [[윤보선]] 전 대통령이 야권 단일후보로 출마했지만 역대 최소 득표차이로 [[박정희]]에게 아쉽게 패배했다. 지금과 달리 당시에는 [[구한말]] 유력 가문 출신의 기성 정치인 윤보선이 보수, 빈농 출신의 신진 세력 박정희가 진보의 지지를 받았다고 한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40석을 획득하며 제1야당이 되었다. ==== [[민주당(1963년)]] ==== * 1963년 7월 18일 ~ 1965년 5월 3일 ([[민중당(1965년)|민중당]]으로 흡수) 민주당은 민정이양 이후 구 [[민주당(1955년)|민주당]] 신파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2공 민주당을 이어받았다는 뜻에서 '''재건민주당'''이라 불리기도 했다.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은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를 내지 않고 [[민정당]] [[윤보선]] 후보를 지지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정당에 밀리며 제2야당이 되었고,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과 삼민회라는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했다. 이 중 국민의당과는 1964년 합당했다. ====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 ==== * 1963년 9월 3일 ~ 1964년 11월 26일 ([[민정당]]으로 흡수) 자유민주당은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범국민정당 운동"의 일환으로 창당한 정당이지만, 정작 박정희는 자유민주당에 발을 빼며 [[민주공화당]] 쪽으로 가버렸고 그 자리에 [[신민당(1960년)|신민당]], [[통일당]] 출신 일부 인사들이 참여하면서 창당 의도와 달리 야권에 편입되었다. [[제6대 국회]]에서는 [[민주당(1963년)|재건민주당]],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과 삼민회라는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1964년 같은 구파 성향의 [[민정당]]에 흡수합당되었다. ==== [[민중당(1965년)|민중당]] ==== * 1965년 6월 14일 ~ 1967년 2월 7일 ([[신민당(1967년)|신민당]]으로 흡수) 민중당은 1965년 [[민정당]], [[민주당(1963년)|재건민주당]] 양당의 합당으로 만들어진 정당으로, 구 [[민주당(1955년)|민주당]]에서 [[신민당(1960년)|신민당]]이 떨어져 나간 이후 5년만에 다시 민주당계 정당이 하나로 뭉치게 되었다. 하지만 합당의 취지가 무색하게 여당이 강행 처리한 [[한일기본조약]] 저지 투쟁 노선을 두고 원외투쟁을 불사해야 한다는 강경파와 국회의원답게 원내에서 해결을 봐야 한다는 온건파로 나뉘었고 결국 강경파는 민중당을 탈당하여 [[신한당]]을 창당했다. ==== [[신민당(1967년)]] ==== * 1967년 2월 7일 ~ 1980년 10월 27일 ([[5.17 내란]]으로 강제해산) 신민당은 [[제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중당(1965년)|민중당]], [[신한당]] 양당이 야권 단일화를 위해 합당하여 탄생한 정당이다. 6대 대선에는 지난 대선에 이어 [[윤보선]]이 출마했지만 박정희 정부의 [[경제계획/대한민국|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성공으로 인해 4년 전보다 훨씬 큰 격차로 패배했다.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신민당의 대중적 이미지는 그냥 '''무늬만 다르지 형태는 똑같은 보수야당''' 내지 '''기성 정치인들이 모인 구태정당'''에 가까웠다. 그러나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40대였던 [[김영삼]], [[김대중]], [[이철승]]이 출마를 선언하며 분위기가 달라진다. 일명 [[40대 기수론]]에 [[꼰대]] 마인드의 지도부는 달가워하지 않았지만 반대로 지지자들은 환호했고, 최초로 현대식 공개경선을 실시한 결과 김대중이 승리하여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김대중은 [[3선 개헌]]까지 저지른 [[박정희]]가 이번에도 대통령이 되면 '''영구집권의 총통제를 실시할 것'''이라고 유권자들에게 경고했지만, 결국 패하고 말았다. 이후 김대중의 예언, 그리고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앞으로는 표달라 하지 않겠다던]] [[박정희]]의 말대로 정부는 [[10월 유신]]을 선포했고, 신민당은 제1야당으로서 유신독재에 맞서 다양한 방식의 민주화 투쟁을 주도했다. 이때부터 신민당을 비롯한 민주당계 정당이 그동안 가지고 있었던 부정적 평가가 희석되고 '''민주화 투사 정당'''이라는 이미지가 자리잡게 된 것이기 때문에 혹자는 구 [[민주당(1955년)|민주당]]보다 신민당을 민주당계 정당의 뿌리로 쳐주기도 한다. 이후 장기화된 유신 체제에 대한 국민적 불만과 피로가 누적되며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이 [[민주공화당]]의 정당 득표율을 앞서는 이변을 연출했고, 그해 [[10.26 사건]]으로 유신 정권은 종말을 맞이한다. 박정희 사후 신민당과 민주공화당은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민주헌법 개헌안에 합의했지만 신군부가 [[5.17 내란]]으로 정권을 잡으며 민주화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한편 40대 기수론을 타고 정치권 전면으로 급부상했던 [[양김]] 중 [[김대중]]은 미국과 일본을 오가며 해외 망명 투쟁을 벌이던 중 [[박정희]] 정권에게 [[김대중 납치 사건|납치/감금당하는]] 고초를 겪어야 했다. 반면 국내 투쟁을 진행했던 [[김영삼]]은 총재로 선출되어 당을 이끌었으나, 당내 권력다툼에서 밀리고 있던 정적 [[이철승]]이 [[차지철]]을 비롯한 독재정권의 비호를 받고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을 일으키며 반강제로 이철승에게 당권을 넘기게 된다. 하지만 김영삼은 1979년 전당대회에서 강경 노선을 앞세우며 다시 이철승을 꺾고 기어코 총재직을 탈환했다. 박정희 정부는 [[YH 사건]] 탄압,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등을 통해 김영삼을 어떻게든 정치권에서 제거하려 했지만 분노한 국민들이 [[부마민주항쟁]]을 일으켰다. 이 당시 남긴 희대의 명언이 바로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 [[1995년]] === ==== [[민주한국당]] ==== * 1981년 1월 1일 ~ 1988년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원 낙선으로 자동해산) 민주한국당은 신군부의 정치규제를 피해간 [[신민당(1967년)|신민당]]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전두환]] 정권의 [[관제야당]] 중 하나였다. 관제야당이었기 때문에 창당 자금도 [[국가안전기획부]]가 대 줬고, 선거 공천도 안기부가 넘겨준 명단대로 했을 정도로 힘이 없었다. --민주한심당-- 1981년 [[제12대 대통령 선거]]에 [[유치송]] 총재가 출마했으나 당연히 전두환에게 큰 차이로 패배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그해 정치규제가 풀린 인사들이 만든 [[신한민주당]]에 밀려 제2야당이 되었으나, 선거 과정에서 [[중선거구제]]를 이용해 '''아빠는 신민당, 엄마는 민한당''' 구호를 내세우는 등 신민당이랑 짜고 [[민주정의당]]을 엿먹이는 데 가담하기도 했다. 이후 소속 의원들이 전부 신민당으로 넘어가며 민한당은 사실상 와해되었으며, 끝까지 당을 지키던 [[유치송]] 등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부 낙선하며 자동해산되었다. ==== [[신한민주당]] ==== * 1985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원 낙선으로 자동해산) 신한민주당은 1985년 초 [[전두환]] 정권의 정치규제가 풀린 [[신민당(1967년)|신민당]]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사실상 신민당이 부활한 정당으로 당명 역시 선관위가 신민당 재사용을 불허하는 바람에 약칭을 신민당으로 할 수 있는 신한민주당으로 정한 것이다.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은 돌풍을 일으키며 제1야당이 되었고, 이는 전두환 정부가 [[양김]]의 정치규제를 해금시키는 등 더욱 유화책을 쓰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신민당은 민한당을 사실상 흡수하며 의석수를 100석으로 불렸고, [[인천 5.3 운동]] 등 직선제 개헌을 위한 민주화 투쟁을 진행했다. 그러나 [[이민우(1915)|이민우]] 총재가 전두환 정권이 신민당의 요구사항을 들어준다면 내각제 개헌도 수용할 수 있다는 [[이민우 구상]]을 발표하자 강하게 반발한 양김이 탈당했고, 이후 신민당은 급속하게 몰락했다. 결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민우를 비롯한 모든 후보들이 낙선하며 자동해산되었다. ==== [[통일민주당]] ==== * 1987년 5월 1일 ~ 1990년 1월 22일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 통일민주당은 신한민주당 [[이민우(1915)|이민우]] 총재가 발표한 [[이민우 구상]]에 반발한 [[김영삼]]계와 [[김대중]]계가 신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민주당은 [[6.10 민주 항쟁]]을 주도했고 마침내 [[노태우]]가 [[6.29 선언]]을 발표하며 직선제 민주화를 쟁취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나란히 출마를 선언한 YS와 DJ가 끝내 단일화에 실패하자 DJ가 [[동교동계]]를 이끌고 [[평화민주당]]을 창당하며 민주당에는 YS의 [[상도동계]]만이 남게 되었다. 민주당은 단일화 무산의 대가로 대선에서 패한 데 이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평민당에 밀려 제2야당으로 전락하면서 위기에 처했으며, YS의 차기 대권주자 행보에도 급제동이 걸렸다. 이때 똑같이 난관에 봉착했던 노태우 대통령이 [[3당 합당]]을 제안하며 접근했고, 김영삼이 수락하며 통일민주당은 여당 [[민주정의당]],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과 합당해 [[민주자유당]]이 되어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의 계보로 편입된다. ==== [[평화민주당]] ==== * 1987년 11월 12일 ~ 1991년 4월 9일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 변경) 평화민주당은 [[제13대 대통령 선거]] 정국에서 [[김영삼]]과의 단일화에 실패한 [[김대중]]이 민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대선에서는 '''평민은 평민당, 대중은 김대중'''이라는 센스있는 구호를 내세웠으나 결국 3위로 낙선했다. 당시 DJ는 지방 하나씩을 텃밭으로 삼고 있는 4명 모두 출마하면 수도권에서 우세한 본인이 이긴다는 '''4자 필승론'''을 제시하였으나 결국 [[노태우]]가 어부지리로 승리하며 4자 필승론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평민당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YS의 민주당을 밀어내고 제1야당이 되는 등 황색 폭풍을 일으키며 약진했으나, 나머지 세 정당이 [[3당 합당|하루아침에 하나가 되며]] 순식간에 전세가 역전되었다. 사실 노태우 대통령은 평민당까지 끼워 4당 합당을 통해 일본 자민당마냥 중도보수 1당 우위제를 만들려 했지만 DJ는 국민이 만든 여소야대를 뒤집는 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거부한 것이다. ==== [[민주당(1990년)]] ==== * 1990년 6월 15일 ~ 1991년 9월 16일 ([[민주당(1991년)|민주당]]으로 흡수) 민주당은 [[3당 합당]]에 반대하던 [[통일민주당]] [[이기택]], [[노무현]] 등 일부 의원들이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으로, "민주당"을 약칭으로 쓰던 전신 통일민주당 및 [[신민주연합당]]과의 합당으로 만들어진 후신 [[민주당(1991년)|1991년 민주당]]과 구별하기 위해 '''꼬마민주당'''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꼬마민주당은 최대 의석수가 채 10석이 되지 못할 정도로 규모가 작았지만 [[1991년 지방선거]]에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통일민주당 득표율의 절반 이상을 득표하는 등 지지율은 꽤 높았다. DJ의 평민당이 [[동교동계]]의 정치적 뿌리라면 정치 신인이었던 노무현이 3당 합당 비판에 앞장서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던 꼬마민주당은 [[열린우리당]]-[[친노]]-[[친문]]으로 이어지는 계파의 정치적 뿌리라고 할 수 있으므로 당세나 존속기간은 짧았을지언정 이후 민주당계 정당에 미친 영향은 평민당 못지않았다고 할 수 있다. ==== [[신민주연합당]] ==== * 1991년 4월 9일 ~ 1991년 9월 16일 ([[민주당(1991년)|민주당]]으로 흡수) 신민주연합당 [[3당 합당]]으로 순식간에 홀로 남은 야당이 된 [[평화민주당]]이 재야 세력과 규합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신한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당명은 약칭으로 "신민당"을 활용할 수 있도록 신민주연합당으로 정하게 되었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계파 갈등 및 [[노태우]] 정부의 부정부패 스캔들로 인해 무난하게 승리할 것으로 보였으나 야권표가 신민당과 꼬마민주당으로 분산되고 투표율도 저조하게 나오면서 패배했다. ==== [[민주당(1991년)]] ==== * 1991년 9월 16일 ~ 1995년 12월 21일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으로 흡수) 민주당은 야권 분열로 인해 지방선거에서 패한 [[신민주연합당]]과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이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에 맞서기 위해 합당하여 탄생한 정당이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민자당의 과반 의석 획득을 저지하며 100석 가까이 얻어 사실상의 개헌저지선을 확보하는 등 선방했다. 그러나 같은 해 열린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1971년, 1987년에 이어 3번째 대권 도전에 나선 [[김대중]]이 [[초원복집 사건]]으로 인한 지역감정 극대화 및 영남권의 대결집으로 인해 라이벌 [[김영삼]]에 또다시 패배하고 말았고 결국 김대중은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제2야당이었던 [[통일국민당]]의 몰락으로 또다시 나홀로 야당 신세가 되었다. 1995년에는 [[이종찬(1936)|이종찬]]의 [[새한국당]]을 흡수했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승리했지마 정작 격전지였던 경기도에서 패하며 책임론을 두고 동교동계와 꼬마민주계 간의 계파 갈등이 발생했다. === [[1995년]] ~ [[2007년]] === ==== [[새정치국민회의]] ==== * 1995년 9월 5일 ~ 2000년 1월 20일 ([[새천년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새정치국민회의는 [[민주당(1991년)|민주당]] 내분이 이어지자 때마침 정계에 복귀한 [[김대중]]이 [[동교동계]]를 이끌고 민주당을 나와 창당한 정당으로, 현재 원내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법적 전신이다. 그러나 당시 정계 은퇴를 번복한 DJ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았고, 평민당-꼬마민주당 시절 이후 다시 야권이 분열되었기 때문에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회의는 제1당은커녕 개헌저지선도 확보하지 못하면서 참패했다. 반면 [[신한국당]]은 무소속과 자민련 탈당파를 끌어모아 과반 의석을 채웠고, 여당의 독주를 막기 위해 국민회의는 [[김종필]]의 [[자유민주연합]]과 손을 잡으며 [[DJP 연합]]을 결성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김대중은 [[1997년 외환 위기]]의 여파로 [[문민정부]]의 지지율이 폭락하고 여권이 [[이회창]]과 [[이인제]]로 분열되며 이회창의 끈질긴 추격을 뿌리치고 4수 끝에 대통령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동시에 '''헌정사상 첫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룩했다.''' 국민회의는 대선을 전후하여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탈당파와 이인제의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 그리고 재야/노동운동가 출신 인사들을 대거 영입하며 몸집을 불렸고, 그 결과 민주당계 정당의 대통합이 이뤄지게 되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회의는 DJP 연합으로 연립여당이 된 자민련과의 전국적인 후보 단일화를 통해 광역단체장 16석 중 10석(국민회의 6석+자민련 4석)을 석권하는 등 대승을 거둔다. 여기에 [[한나라당]] 출신 의원들을 영입하며 여소야대를 여대야소로 뒤집는 데 성공했다. ==== [[통합민주당(1995년)]] ==== * 1995년 12월 21일 ~ 1996년 6월 13일 ([[민주당(1996년)|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통합민주당은 [[김대중]]의 [[새정치국민회의]]에 따라가지 않고 [[민주당(1991년)|민주당]]에 남은 꼬마민주계 인사들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단체 계열의 [[개혁신당(1995년)|개혁신당]]과 합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그러나 나머지 세 정당이 [[삼김]] 중 하나가 이끄는 정당인 상황에서 제4당이 설 자리는 별로 없었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15석 획득에 그치며 교섭단체 구성에도 실패했다. 더욱이 국민회의와 통합민주당으로 야권이 분열되며 [[한나라당]]이 어부지리로 의석수를 챙기는 결과만 낳고 말았다. ==== [[민주당(1996년)]] ==== * 1996년 6월 13일 ~ 1997년 11월 21일 ([[한나라당]]으로 흡수) 의석수가 반토막난 통합민주당은 당명을 다시 민주당으로 바꾸었지만, 국회의원 3명이 [[한나라당]]으로 이동하며 의석수는 12석으로 더욱 쪼그라들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은 [[조순]] 서울시장을 후보로 추대했으나 지지율 부진으로 인해 대선을 포기하고 [[신한국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이 되었다. 하지만 여기에 반발한 [[노무현]] 등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 소속 대부분은 민주당을 탈당해 국민회의에 입당, 5년만에 [[김대중]]과 재회하게 되었다. ==== [[새천년민주당]] ==== * 2000년 1월 20일 ~ 2005년 5월 6일 ([[민주당(2005년)|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국민회의는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명을 새천년민주당으로 변경했지만, 지난 지방선거와 달리 이번에는 [[DJP 연합]]에 균열이 가며 단일화를 성사시키지 못했고 결국 4년 전과 마찬가지로 [[한나라당]]이 어부지리 승리를 가져가고 말았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경선은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았다. 지난 대선 [[김대중]] 승리의 일등공신(?) [[이인제]]와 [[동교동계]] 대표 [[한화갑]], MBC 앵커 출신의 소장파 [[정동영]], [[영남후보론]]을 들고 나온 [[노무현]] 등 쟁쟁한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당초 이인제의 승리가 유력했지만 분수령인 광주 경선을 앞두고 노무현만이 [[이회창]]을 이길 수 있다는 여론조사가 발표되었고, 이후 노풍(盧風)이 경선을 휩쓸며 노무현이 최종 후보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어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민주당이 대패하면서 당은 물론 노무현 후보의 입지도 흔들리게 되었다. 한편 2002 월드컵 열풍으로 [[정몽준]]이 대선 후보로 급부상했고, 급기야 당내 비노 세력은 [[후보 단일화 협의회]](후단협)를 결성해 노무현 흔들기 및 정몽준으로의 후보 교체를 시도한다. 하지만 단일화 경선 끝에 노무현이 승리하며 그대로 출마하게 되었고, 본선에서 한나라당 [[이회창]]을 꺾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참여정부]] 출범 직후에는 민주당 당내 갈등이 잦아드는 듯 했으나 당 쇄신 관련 논쟁과 [[대북송금 특검]] 논란으로 인해 동교동계와 친노의 사이는 최악으로 치달았고 친노가 [[열린우리당]]으로 탈당하며 민주당계 정당은 다시 쪼개지고 말았다. 이후 민주당은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를 적극 주도했으나 탄핵이 기각되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정면으로 역풍을 맞고 9석짜리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민주당은 DJ라면 자신들을 지지해주리라 믿었으나 탄핵에 크게 실망한 DJ는 오히려 열린우리당을 공개 지지하며 확인사살을 시켜주었다. ==== [[열린우리당]] ==== * 2003년 11월 11일 ~ 2007년 8월 20일 ([[대통합민주신당]]으로 흡수) 열린우리당은 [[동교동계]](호남 구주류)와의 갈등 끝에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한 친노 및 [[천신정]] 등 호남 신주류가 창당한 정당으로, 출범 당시에는 47석의 초미니 여당이자 역대 최초의 제3당 여당이었다. 그러나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무리한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노무현 대통령 탄핵]] 시도로 인해 화난 국민들이 우리당에 표를 몰아주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려 152석을 획득, 단숨에 여대야소로 전세를 뒤집었다. 그러나 정부가 추진하던 [[4대 개혁 입법]]과 행정수도 이전이 모두 무산되며 [[참여정부]]의 레임덕이 오고, 2005년 [[대연정]] 파동으로 당이 분열되면서 열린우리당은 하락세를 걷기 시작한다. 결국 우리당은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몇 차례 재보선에서 전부 패배했고, 당 지지율도 추락하자 대선을 앞둔 2007년에는 소속 의원들이 하나둘 당을 떠나기 시작하며 일명 탈당 엑소더스가 진행되었다. ==== [[민주당(2005년)]] ==== * 2005년 5월 6일 ~ 2007년 6월 27일 ([[중도통합민주당]]으로 흡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참패하며 광주전남 지역정당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한 새천년민주당은 민주당계 정당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참여정부]]의 실책과 당내 분열로 인해 그야말로 폭삭 망해버린 [[열린우리당]]보다 나은 성적을 기록하며 약해진 당세에 비해 선방했고, [[2006년 재보궐선거]]에서도 예상 밖의 당선자를 배출하며 재기를 노렸다. ==== [[중도개혁통합신당]] ==== * 2007년 5월 7일 ~ 2007년 6월 27일 ([[중도통합민주당]]으로 흡수) 중도개혁통합신당은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김한길]]계 소속 의원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 [[중도통합민주당]] ==== * 2007년 6월 27일 ~ 2007년 8월 13일 ([[민주당(2007년)|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중도통합민주당은 [[김한길]]의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새천년민주당]]이 이름을 바꾼 [[민주당(2005년)|민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그러나 창당한지 1달 반만에 김한길계가 탈당하며 도로 민주당이 되었다. 애초에 두 계파는 합당 이후에도 기존 정당의 홈페이지를 계속 따로따로 사용할 만큼 실질적 통합에 별 관심이 없었다고 하니 그냥 의석수 늘리기용 야합인 셈. 참고로 당적 변경의 아이콘과도 같은 [[이인제]]와 [[김한길]]이 잠시나마 함께했던 유[[통합민주당(2008년)|이]]한 정당이다. ==== [[민주당(2007년)]] ==== * 2007년 8월 13일 ~ 2008년 2월 17일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으로 흡수) 중도통합민주당은 [[김한길]]계가 빠져나가며 [[민주당(2005년)|2005년 민주당]]과 다를 바가 없어지자 당명을 다시 민주당으로 되돌렸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마땅히 낼 후보가 없던 찰나에 [[국민중심당]]을 탈당한 [[이인제]]가 들어오며 후보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정계 은퇴를 번복한 [[이회창]]이 국민중심당의 지지를 얻으며 출마 선언하자 이인제의 지지 기반이었던 충청도 표가 전부 이회창에게 가버렸고 결국 이인제는 득표율 0.67%를 기록하며 폭망했다. ==== [[대통합민주신당]] ==== * 2007년 8월 5일 ~ 2008년 2월 17일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으로 흡수) 대통합민주신당은 [[열린우리당]], [[중도통합민주당]]에서 탈당한 [[김한길]]계, 그리고 [[한나라당]] 당권 싸움에서 밀려난 [[손학규]]계가 통합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는 [[정동영]]이 출마했으나 모두의 예상대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거의 더블스코어로 패배했다. 그나마 여론조사와 달리 무소속 [[이회창]] 후보한테 지지 않은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면 다행. 대선 직후 해산하며 역사상 가장 짧게 존속한 여당이 되었다. === [[2008년]] ~ [[2017년]] === ==== [[통합민주당(2008년)]] ==== * 2008년 2월 17일 ~ 2008년 7월 6일 ([[민주당(2008년)|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통합민주당은 대선에서 나란히 패한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2007년)|민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이 합당으로 2003년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 분당 후 약 4년만에 민주당계 정당이 다시 하나로 통합하게 되었다. [[이명박 정부]]의 허니문 선거였던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연히 패하며 지선-대선-총선 선거 3연패를 당하는 흑역사를 겪었지만, 이후 [[광우병 논란]]과 [[2008년 촛불집회]] 정국의 영향으로 지지율 반등을 이끌어냈다. ==== [[민주당(2008년)]] ==== * 2008년 7월 6일 ~ 2011년 12월 23일 ([[민주통합당]]으로 흡수) 통합민주당은 2008년 7월 창당 5개월만에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다. 민주당은 [[2008년 촛불집회]]에 이어 [[4대강 정비 사업]] 반대 투쟁, [[미디어법]] 저지 투쟁, [[한미자유무역협정]] 반대 투쟁을 연이어 벌이며 민주화운동 시기를 제외하면 가장 투쟁력이 강한 제1야당으로 손꼽힌다. 다만 압도적인 의석수 차이 때문에 실제로 [[한나라당]]의 독주를 막아서지는 못한 건 흠.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무상급식 슬로건과 야권연대 성공으로 인해 한나라당에 판정승을 거뒀지만, 정작 수도권인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를 내주며 미완의 승리로 남았다. 그리고 방어전 격이었던 [[2010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야당 지역구를 모두 한나라당에 뺏기면서 민주당 지도부는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그리고 [[오세훈]]의 자살골로 치러진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후보를 내지 못하면서 이대로는 정권교체가 힘들겠다는 위기감에 휩싸이게 된다. ==== [[민주통합당]] ==== * 2011년 12월 16일 ~ 2013년 5월 4일 ([[민주당(2013년)|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은 [[민주당(2008년)|민주당]]과 [[문재인]] 등 원외 친노 및 시민단체 계열의 [[시민통합당]]이 합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슬슬 [[이명박 정부]]의 레임덕이 도래하고 있었기 때문에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의 승리가 예측되었으나, 공천 과정에서 열린우리당 출신만 줄줄이 공천하고 호남권 의원들은 물갈이하는 바람에 호남권 의원들의 탈당이 이어지고, 선거혁명이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모바일 국민경선에서도 여러 허점이 발견되며 여당 [[새누리당]]이 과반을 먹는 동안 밥상을 걷어찬 민주통합당은 패배했다.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긴 했으나 통진당의 극단적 성향으로 인해 중도층 표심에는 악영향을 미쳤다는 평이 많다. 특히 공천 홀대로 탈당한 호남권 의원들이 [[정통민주당]]을 창당해 민주통합당 표를 갉아먹는 등 공천 실패로 인해 야권연대가 100% 이루어지지도 못했다. 총선 이후에도 계파 다툼이 이어졌지만 당대표에 출마한 친노의 [[이해찬]]과 원내대표에 출마한 비노(호남계)의 [[박지원]]이 서로를 당내 경선에서 지원해 주기로 합의했고 둘 모두 당선되면서 갈등은 봉합되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경선에서는 [[참여정부]] 민정수석 및 비서실장을 지낸 [[문재인]]이 압승하며 후보로 선출되었다. 초반에는 "안철수 신드롬"을 일으키며 제3후보로 떠오른 [[안철수]]와의 단일화 합의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못하며 1987년의 재림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지만 안 후보가 사퇴하며 단일화가 극적으로 성사되었다. 그러나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문재인이 본선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게 패하며 민주통합당은 다시 비대위 체제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뜬금없이 국민감정과 동떨어진 안철수 책임론을 제기하며 아직 쇄신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패하고 말았다. ==== [[민주당(2013년)]] ==== * 2013년 5월 4일 ~ 2014년 3월 26일 ([[새정치민주연합]]으로 흡수) 민주통합당은 2013년 전당대회에서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고, 같은 날 당대표로 비노, 비주류인 [[김한길]]을 선출했다. 새로운 당 강령에서는 [[2008년 촛불집회]]와 [[한미 FTA]] 등이 빠지며 확실히 우클릭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당의 상징색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시절부터 써오던 초록색이나 [[평화민주당]], [[열린우리당]]의 노란색이 아닌 파란색으로 바꾸었다. 그러나 김한길의 중앙당 권한 분산 계획에 [[문재인]]이 제동을 거는 등 친노와 비노의 갈등은 여전히 존재했다. ==== [[새정치민주연합]] ==== * 2014년 3월 26일 ~ 2015년 12월 28일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은 [[민주당(2013년)|민주당]]과 [[안철수]]의 [[새정치연합]]이 합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며, 당명은 민주당의 "민주"와 안철수의 정치 슬로건인 "새정치"에서 따왔다. 새민련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과 무승부를 거두면서 지난 총선보다는 나은 성적을 냈지만, 무려 국회의원 15석이 걸린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정의당]]과의 야권 단일화에 가까스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낙하산 공천 논란을 비롯한 공천 실패 때문에 4:11로 완패했다. 결국 [[김한길]]-안철수 두 공동대표는 재보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동반 사퇴했고 2015년 전당대회를 통해 18대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이 새 대표가 되었다. 문재인 대표 체제에서 새민련은 그동안의 당내 혼란을 수습하고 다시 단합하는 듯 했지만,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높은 정권심판론에도 불구하고 패배하며 위기를 맞았다. 재보선 패배 후 비주류는 문재인 책임론을 제기하며 문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또한 비노 [[주승용]] 최고위원이 친노 [[정청래]] 최고위원과의 말다툼 끝에 회의장을 박차고 나가고, 문 대표의 최재성 당 사무총장 내정을 두고 [[이종걸]] 원내대표 등이 당무 거부에 나서는 등 당내 분위기도 점점 험악해졌다. 새민련 지도부는 당내 통합 및 쇄신을 위해 혁신위원회를 설치하고 혁신안을 발표했지만, 이번에는 [[안철수]] 전 대표가 민주당의 혁신은 부족하고 실패했다며 정풍 운동을 주장하고 나섰다. 문 대표와 안 의원은 혁신안 및 당대표 재신임 관련 문제에 대해 회동을 나눴지만 결국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그 사이 9월에는 [[박주선]] 의원과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탈당해 신당 창당을 추진했으며, 12월에는 문재인 대표 사퇴를 요구하던 안철수 전 대표 역시 탈당했다. 이후에도 [[새정치민주연합 분당|비노, 비주류 의원들의 탈당 행렬이 이어졌다.]] ==== [[민주당(2014년)]] ==== * 2014년 9월 25일 ~ 2016년 10월 31일 ([[더불어민주당]]으로 흡수) 민주당은 [[김민석(정치인)|김민석]] 전 의원을 중심으로 한 인사들이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고 창당한 정당이다. 비공식적으로 민주당으로 불렸던 새정치민주연합과 그 후신인 더불어민주당과 구별하기 위해 '''원외 민주당'''으로 주로 불렸으며,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할 때 분쟁이 생기기도 하였다. 20대 총선을 앞둔 2016년 1월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주도하던 [[신민당(2015년)|신민당]] 창준위와 통합하였으나 두 달만에 국민의당으로 이탈하였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신기남]] 의원이 입당하면서 원내정당이 되었으나 총선에서 모든 후보자가 낙선하면서 다시 원외정당이 되었다. 그 후 동년 9월 18일 더불어민주당과의 통합을 의결하였다.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 2016년 2월 2일 ~ 2018년 2월 13일 ([[바른미래당]]으로 흡수) 국민의당은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사태로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비노계 중 [[안철수]]와 [[김한길]] 전 새민련 공동대표, [[천정배]]의 [[국민회의(2016년)|국민회의]], 그리고 [[박주선]]의 [[통합신당(2016년)|통합신당]]이 통합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은 민주당의 일명 "호남 홀대론" 덕에 호남 의석의 80% 이상을 석권했으며, 거대 양당에 모두 실망한 유권자들의 표심을 끌어모으며 비례대표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교섭단체를 넘어 40석 가까이 획득하며 120석씩을 얻은 양당 사이 캐스팅보트가 된 건 덤.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에서 국민의당은 최대한 빨리 탄핵하자고 주장한 [[더불어민주당]], [[정의당]]과 달리 [[새누리당]] 비박계를 충분히 포섭하고 진행해도 늦지 않다고 이견을 냈다. 처음에는 여론의 반발에 부딪혔지만 결국 비박계 포섭 및 탄핵 인용에 성공하며 국민의당의 주장이 맞았음이 드러났다. 탄핵 이후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는 예상대로 안철수가 출마했고, 한때 민주당 [[문재인]]과의 양강 구도를 형성하며 문재인의 지지율을 턱밑까지 추격하기도 했지만 안철수 본인의 환장할(...) 토론 실력과 과도한 네거티브 전략으로 인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에게도 밀린 3위를 기록하고 말았다. 이후 [[국민의당 제보 조작 사건]]이 터지며 정당 지지율이 5% 밑으로 추락했고, 지지 기반이'''었'''던 호남에서도 3~4%를 기록하며 민주당에 큰 격차로 밀리게 되었다. 이렇듯 당이 위기에 놓이자 안철수는 소속 의원들의 탈당 러시로 인해 비슷한 상황에 처한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주장했지만, [[동교동계]]와 호남 의원들은 보수정당과 함께할 수 없다며 격렬하게 반발했다. 결국 안철수가 전당원 투표를 통해 합당을 밀어붙이면서 어떻게든 저지하려다 실패한 호남계는 탈당했고, 남은 친안계는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바른정당과 합당]]하여 [[바른미래당]]이 되었다. === [[2018년]] ~ [[2021년]] === ==== [[민주평화당]] ==== * 2018년 2월 6일 ~ 2020년 2월 24일 ([[민생당]]으로 흡수) 민주평화당은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을 반대하며 국민의당을 탈당한 호남 중진 의원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문재인 정부를 적극 비판하며 우클릭 행보에 나선 [[바른미래당]]과 반대로 민주평화당은 [[정의당]]과 함께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이라는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등 좌클릭 행보를 보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평화당은 호남에서만 당선자를 내며 호남 자민련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지만, 긍정적으로 보면 호남에서라도 세력을 어느 정도 확인한 평화당이 전 지역에서 참패한 바른미래당의 상황보다는 낫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당권을 두고 전북의 [[정동영]]계와 광주/전남의 [[박지원]]계가 다투기 시작했으며, 전당대회 결과 정동영이 대표가 되며 당권을 잡았다. 그러나 2019년 정 대표가 최고위원으로 [[박주현(1963)|박주현]]을 임명하자 비당권파는 지도부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고, 당권파가 해당행위라며 반박하자 결국 탈당했다. ==== [[대안신당]] ==== * 2020년 1월 12일 ~ 2020년 2월 24일 ([[민생당]]으로 흡수) 대안신당은 [[민주평화당]] 비당권파인 [[박지원]]계, [[천정배]]계가 당권파인 [[정동영]]계와의 갈등 끝에 평화당을 탈당해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대안정치)를 결성하여 무소속으로 활동하다가 2020년 초 창당한 정당이다. 하지만 대안정치 시절 전국 지지율이 0%대(...), 기반 지역이어야 하는 광주/전남에서도 1%대 지지율을 기록하며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특히 이미 80을 바라보는 [[박지원]]의 뒤를 이을 인물이 없다는 것, 즉 세대교체가 아예 일어나고 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 [[더불어시민당]] ==== * 2020년 3월 8일 ~ 2020년 5월 18일 ([[더불어민주당]]으로 흡수) 더불어시민당은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비레위성정당이다. 그러나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만든 민주당이 제도의 취지를 스스로 훼손하는 것에 대해 [[정의당]] 이하 진보정당의 비판이 잇따랐으며, 결국 소수정당 및 시민단체 후보들을 10명 정도 끼우겠다는 당초의 구상과 달리 시민당에 합류한 군소정당은 [[기본소득당]]과 [[시대전환]] 딱 2개밖에 없었다. 특히나 정의당에 비해 비례연합정당에 호의적 태도를 보이던 민중당,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 [[미래당]]에 대해서는 [[호모포비아|성소수자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오히려 배제해 버렸고, [[가자!평화인권당]] 등 다른 소수정당 후보들도 공천 과정에서 탈락시키고 그 자리를 민주당 인사들로 채우며 더욱 논란이 되었다. 그럼에도 총선에서는 17석을 얻으며 민주당 및 범여권의 총선 압승에 일조했다. ==== [[열린민주당]] ==== * 2020년 3월 8일 ~ 2022년 1월 18일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열린민주당은 [[손혜원]]과 [[정봉주]] 등이 현 [[더불어민주당]]은 진짜 민주당의 모습이 아니라며 더욱 강하고, 선명하고, 유능한 민주당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창당한 정당이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고 대신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을 모아 비례대표로 내보내며 사실상 [[더불어시민당]]에 이은 민주당의 제2위성정당이 되었다는 평이다. 하지만 민주당 지도부가 열린민주당과 강경하게 선을 긋고 시민당에 투표할 것을 호소하면서 여권 지지층이 시민당으로 결집해 열린민주당은 3석을 획득하는 데 그쳤다. 이후 [[제21대 국회]]에서는 민주당의 위성정당답게 [[검찰개혁]]을 주장하고 [[2021년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김진애]] 후보가 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단일화하는 등 민주당과 같이 행동하고 있다. 2021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이 열린민주당에 합당 제안을 했고 2022년 민주당에 흡수합당되며 사라졌다. ==== [[새로운물결]] ==== * 2021년 12월 19일 ~ 2022년 4월 15일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김동연]]이 창당한 1인 중심 정당으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선언을 하고 대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에 흡수합당 되었다. === 현재 === ==== 원내 ==== ===== [[더불어민주당]] ===== ||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width=100%]]]] || [[새정치민주연합]]이 2015년 12월 28일 당명을 변경한 뒤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정당이다. 약칭은 처음에는 [[더민주]]로 하다가, 2016년 9월 [[민주당(2014년)|원외 민주당]]을 흡수한 뒤로는 주로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을 쓰고 있다.[* 공식 당명을 2023년 5월 현재 7년 5개월 동안 유지함으로써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역대 민주당계 정당 가운데 가장 오래 유지하고 있다. [[새천년민주당]]은 5년 4개월. 민주당계 정당 전체 역사를 봐도 역대 1위인 [[신민당(1967년)|신민당]]의 13년 7개월에 이어 2위이다. 그 동안 2위를 유지하던 --관제야당인-- [[민주한국당]]이 7년 3개월 동안 당명을 유지했는데, [[더불어민주당]]은 2023년 3월 28일 7년 3개월을 돌파함으로써 [[민주한국당]]을 뛰어넘어 민주당계 정당 역대 2위가 되었다. --그래도 [[한나라당]]의 14년 3개월, [[민주노동당]]의 11년 10개월, [[자유민주연합]]의 11년, [[정의당]]의 9년 4개월에는 한참 못 미친다. 또다른 관제야당인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도 7년 3개월이다.-- 한 정당이 공식명칭을 가장 오래 유지한 것은 [[민주공화당]]의 17년 8개월. ][* 신설/흡수 합당 없이 당명만 바꾼 걸 이어지는 역사로 계산하면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의 역사는 2022년 5월 현재 9년 2개월로 [[신민당(1967년)|신민당]]에 이어 민주당계 정당 역대 2위가 된다. [[새천년민주당]]은 [[민주당(2005년)|민주당]]으로 개명한 뒤의 역사까지 포함해서 7년 5개월로 [[민주한국당]]의 7년 3개월을 앞지른다.--이 역사를 끊어낸 정당분쇄기 [[김한길]]--. 모든 정당을 통틀어서 계산하면 [[더불어민주당]]의 9년 2개월은 [[한나라당]]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의 22년 3개월, [[민주공화당]]의 17년 8개월, [[신민당(1967년)|신민당]]의 13년 7개월, [[민주노동당]]의 11년 10개월, [[진보정의당]] ->[[정의당]]의 10년 7개월에 이어 역대 6위의 기록이 된다. --갈 길이 멀다.----거기다가 [[정의당]]은 현재진행형이다.-- ][* [[3당 합당]]이나 [[한나라당]] 창당과 같은 굵직한 합당 말고 군소정당을 흡수하기 위한 서류상 신설 합당을 한 정당의 이어지는 역사로 보면, [[더불어민주당]]의 역사를 [[새정치국민회의]]까지 거슬러서 27년 8개월로 볼 수 있다. --이해하긴 어렵지만-- 역대 1위의 기록이다. [[새천년민주당]]에서 [[열린우리당]]이 분당한 것이나, [[김한길]]이 2007년에 정당분쇄 소동을 일으킨 것은 그 정당들이 돌고돌아 결국 하나로 합쳐졌으므로 억지로나마 하나의 역사로 칠 수 있다. [[평화민주당]] -> [[신민주연합당]]+[[민주당(1990년)|민주당]] -> [[민주당(1991년)|민주당]] -> [[통합민주당(1995년)|민주당]]의 역사는 이 정당이 [[신한국당]]과 합치며 [[한나라당]]을 만드는 바람에 민주당계 정당으로는 계승되지 않는다.--그렇다고 보수정당으로 계승되는 것도 아니다.-- 한편, 이렇게 계산했을 때 [[국민의힘]]의 역사는 [[한나라당]] 창당 이래 25년 6개월이 된다. 보수정당의 경우에는 민주당계 정당과의 굵직한 합당 때문에 [[민주정의당]]의 9년,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의 7년 10개월을 [[한나라당]]과 구분되는 역사로 보아야 한다. ]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들이 떠난 뒤에 당명을 개정했기 때문에 새정치민주연합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초기에는 여당인 새누리당의 강세와 비주류등의 탈당으로 흉흉한 당 내외적인 상황으로 인해 당에 위기감이 조성되었다. 그리하여 당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인재영입|인재 영입]] 등 나름대로 쇄신작업을 진행하였지만, 야권의 분열, 전통적인 텃밭 [[호남권]]에서의 당 지지율 저조, 당시 [[박근혜|대통령]]의 지지강세로 인해 [[20대 총선]]에서 패배가 예상됐었다. 그러나 대반전을 이뤄내며 전국 정당으로 도약하게 된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압승과 [[영남권]] 약진이 선거 승리에 주효했다. 총 123석을 확보하여 [[제20대 국회]] 원내 제1당으로 등극[* 이후 새누리당 탈당파들의 복당으로 2당이 되었다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보수 정당의 분당으로 다시 원내 1당이 됐다.]하여 [[정세균]]을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으로 선출시키기도 했다. 다만,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게 민주당계의 텃밭이라고 불리는 호남권 대부분의 의석을 내줘야 했다. 비록 전통적인 텃밭을 빼앗기기는 했지만, 이것이 되려 호남 지역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에 도움이 된 것도 사실이다. 호남 의석 대부분을 다른 당에 내주고도 수도권에서의 압승과 영남권에서의 약진 등으로 원내 제1당으로 등극했기에 더 이상 호남에 연연하지 않아도 충분히 당이 건재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일어나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라는 과정을 겪으면서 범진보 지지층에서의 주류 정당화에 성공했고, 탄핵중도층과 중도 보수층 일부도 지지층으로 끌어오는데에 성공하였다. 그 덕분에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후보가 압승하면서 9년만에 다시 집권 여당의 자리를 되찾고 정권 교체를 이뤄냈다. 선거 기간 정당 지지율이 고공 행진을 했고, 탄핵을 기회로 전국에서의 지지 기반 구축에 힘쓰면서, 정권 교체 이후에도 민주당계 역사상 가장 높은 지지율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었다. 정권 중후반기에 치러지는 2020년 [[21대 총선]]은 정권의 중간평가 성격이 있는 선거이기에 특유의 정권심판론 발동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쉽지 않을거란 예측이 있었으나, 이 예측을 깨고 헌정 사상 초유의 '단독 180석'이란 압도적 대승을 거두게 된다. 이로써 더불어민주당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등 전국단위 선거 '''4연승'''이라는 헌정사상 최초의 기록을 세우게 됐다. 이에 내부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이 수권 정당화 및 전국 정당화에 성공했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하지만,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서울, 부산에서의 대참패를 겪으며 위기를 맞았고 1년 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패배하면서 정권을 [[국민의힘]]에게 넘겨주었다. 다만 원내 과반 의석을 차지한 제1당의 지위는 유지하기에, 입법부에 한해서는 여전히 정국을 주도할 동력을 유지하고 있다. * 대표: * [[문재인]] (대표, 2015년 12월 28일 ~ 2016년 1월 27일) *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2016년 1월 27일 ~ 2016년 8월 27일) * [[추미애]] (대표, 2016년 8월 27일 ~ 2018년 8월 25일) * [[이해찬]] (대표, 2018년 8월 25일 ~ 2020년 8월 29일) * [[이낙연]] (대표, 2020년 8월 29일 ~ 2021년 3월 9일) * [[김태년]] (대표 직무대행, 2021년 3월 10일 ~ 2021년 4월 8일) * [[도종환]] (비상대책위원장, 2021년 4월 8일 ~ 2021년 4월 16일) *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 2021년 4월 16일 ~ 2021년 5월 2일) * [[송영길]] (대표, 2021년 5월 2일 ~ 2022년 3월 10일) * [[박지현(정치인)|박지현]],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 2022년 3월 13일 ~ 2022년 6월 2일) * [[박홍근]] (비상대책위원장, 2022년 6월 2일 ~ 2022년 6월 7일) *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 2022년 6월 7일 ~ 2022년 8월 28일) * [[이재명]] (대표, 2022년 8월 28일 ~ 현재) ==== 원외 ==== ===== [[민생당]] ===== || [[민생당|[[파일:민생당 흰색 로고.svg|width=80%]]]] ||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2020년 2월 24일 창당한 신당이다. 제3지대 정당을 표방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민주당 계열의 주로 호남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구 정치인들이 중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정치인들은 모두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등으로 떠나고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득표율 2.71%를 획득한 것을 바탕으로 받는 선거보조금에 의존하여 간신히 연명하고 있다. 사실상 남은 정치인들은 없다시피 하고 선거보조금을 나눠먹는 사람들만 남아있으며, 내부 권력 다툼도 심하여 사실상 기능이 마비된 정당이다. * 대표: * [[김정화(정치인)|김정화]], --[[박주현(1963)|박주현]]--[* 3월 24일 사퇴], --[[유성엽]]--[* 4월 20일 사퇴] (공동대표,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9일) * [[이수봉]] (비상대책위원장, 2020년 5월 29일 ~ 2021년 6월 16일) * [[이관승]], [[김정기(1967)|김정기]], [[황한웅]] (비상대책위원장 공동직무대행, 2021년 6월 16일 ~ 2021년 11월 18일) * [[서진희(정치인)|서진희]] (2021년 11월 19일 ~ 2022년 6월 3일)[* 법원 판결에 의한 직무 정지] * [[이관승]], [[김정기(1967)|김정기]] (비상대책위원장 공동직무대행, 2022년 6월 3일~ ) ===== [[더밝은미래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3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5f9e63, #196536 60%, #1f5a44 99%)" [[더밝은미래당|[[파일:더밝은미래화이트.png|width=90%]]]]}}}|| [[더불어민주당]] 더밝은미래위원회와 [[새로운물결]] 출신 인물들, 일부 시민사회 활동가들이 모여서 창당되었다. [[녹색자유주의]], [[참여민주주의]], [[세계주의]] 등 기존 민주당계 정당과 다소 다른 노선을 주장하고 있으며 창당준비위원회 단계에서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후보, 김영록 전남도지사 후보 등을 지지하며 선거를 돕는 등 더불어민주당과 친화적인 활동을 이었다. * 대표: * [[서정미(교수)|서정미]] (대표, 2022년 9월 30일 ~ ) ===== [[열린민주당(2022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3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FFFFFF, #FFFFFF 60%, #FFFFFF 99%)" [[열린민주당(2022년)|[[파일:열린민주당 반전형 로고.svg|width=90%]]]]}}}|| 구 [[열린민주당]]과 [[더불어민주당]]과의 합병 논의 당시, '''합당에 반대하던 당원들이 열린민주당을 재창당한다며 만든 정당.''' * 당 대표 * 김상균 (2022~현재) ===== [[깨어있는시민연대당]] ===== * 2020년 3월 24일 ~ || [[파일:깨어있는 시민연대당 로고.svg|width=200px]] || 민주당에서 탈당한 [[유재호(정치인)|유재호]] 성남시의원과 SNS 중심으로 활동하는 [[문꿀오소리]]들이 창당한 정당. 제도권 정치인은 유재호 한 명만 있다. 이들은 문파를 자칭하며 [[이재명]] 경기지사는 물론 [[이해찬]] 전 대표까지 비방한 바 있다.[* 이들이 얼마나 이재명을 싫어하냐면 지난 [[7회 지선]] 당시 민주당 경기지사 후보가 [[이재명]]이라는 이유로 [[남경필]]을 지지했을 정도다.] 문재인 지지자 중에서도 아주 극소수만 지지할 것으로 보이고, 실제로도 [[제21대 총선]]에서 아주 낮은 득표율인 0.05%, 14,242표를 득표했다. 당명 부터 친노, 친문임을 주장하는 정당이었으나 이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을 지지해 주류 민주당계 정당과 약간은 다른 노선을 걷는 중이다. 정확히는 친노, 친문이면서도 반이재명이라는 이유만으로 친윤인 상태다. == 소속 정치인 == ===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 ||<-7> '''{{{+1 [[대한민국 대통령|{{{#ffc224 대한민국 대통령}}}]]}}}''' || ||<-7>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width=100]] || ||<|2> 번 ||<|2> 이름 ||<|2> 대 ||<-2> 임기 ||<|2> 선출 방법 ||<|2> 정당 || || 취임일 || 퇴임일 || || 2 || [[파일:President_PSY.jpg|height=110]][br][[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80&height=1]] [br] '''[[윤보선|{{{#000,#fff 윤보선}}}]]'''[br]'''(1897 ~ 1990)''' || 4 || 1960년 8월 13일 || 1962년 3월 24일 || [[제4대 대통령 선거|1960년 대선]] [br] 간선 82.2% || 무소속 || || 8 || [[파일:Kim_Dae-jung_presidential_portrait.jpg|height=110]][br][[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80&height=1]] [br]'''[[김대중|{{{#000,#fff 김대중}}}]]'''[br]'''(1924 ~ 2009)''' || 15 ||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 [[제15대 대통령 선거|1997년 대선]] [br] 직선 40.3% || [[새정치국민회의]] ,,(1998 ~ 00),,[br][[새천년민주당]] ,,(2000 ~ 02),,[br]무소속 ,,(2002 ~ 03),,|| ||<|3> 9 ||<|3> [[파일:노무현_대통령.jpg|height=110]][br][[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80&height=1]] [br]'''[[노무현|{{{#000,#fff 노무현}}}]]'''[br] '''(1946 ~ 2009)''' ||<|3> 16 || 2003년 2월 25일 || 2004년 3월 12일 ,,(직무정지),, || [[제16대 대통령 선거|2002년 대선]] [br] 직선 48.9% || [[새천년민주당]] ,,(2003),,[br]무소속 ,,(2003 ~ 04),,|| ||<-4> ''[[고건]] 국무총리가 직무정지 기간동안 권한대행 (2004년 3월 12일 ~ 2004년 5월 14일)''|| || 2004년 5월 14일 || 2008년 2월 24일 || ,,탄핵소추 기각,, || 무소속 ,,(2004),,[br][[열린우리당]] ,,(2004 ~ 07),,[br]무소속 ,,(2007 ~ 08),,|| || 12 || [[파일:President-Moon.jpg|height=110]][br][[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80&height=1]] [br]'''[[문재인|{{{#000,#fff 문재인}}}]]'''[br]'''(1953 ~ )''' || 19 || 2017년 5월 10일[br] || 2022년 5월 9일 || [[제19대 대통령 선거|2017년 대선]] [br] 직선 41.1% || [[더불어민주당]]|| ===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 === ||<-7>
'''{{{+1 [[대한민국 부통령|{{{#ffc224 대한민국 제1공화국 부통령}}}]]}}}''' || ||<|2> 번 ||<|2> 이름 ||<|2> 대 ||<-2> 임기 ||<|2> 선출 방법 ||<|2> 정당 || || 취임일 || 퇴임일 || || 4 || [[파일:장면 전 국무총리.jpg|height=110]][br][[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80&height=1]] [br]'''[[장면|{{{#000,#fff 장면}}}]]'''[br](1899 ~ 1966) || 4 || 1956년 5월 15일 || 1960년 4월 25일 || [[제4대 부통령 선거|1956년 부통령 선거]] [br] 직선 46.4% || [[민주당(1955년)|민주당]]|| === [[국무총리|내각제 총리]] === ||<-7>
'''{{{+1 [[국무총리|{{{#ffc224 대한민국 제2공화국 국무총리}}}]]}}}''' || ||<|2> 번 ||<|2> 이름 ||<|2> 대 ||<-2> 임기 ||<|2> 선출 방법 ||<|2> 정당 || || 취임일 || 퇴임일 || || 4 || [[파일:장면 전 국무총리.jpg|height=110]][br][[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width=80&height=1]] [br]'''[[장면|{{{#000,#fff 장면}}}]]'''[br](1899 ~ 1966) || 7 || 1960년 8월 19일 || 1961년 5월 18일 || [[제5대 국회의원 선거#s-4.2|장면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안]] [br] 간선 52.0% || [[민주당(1955년)|민주당]]|| === 국회의원 === ==== 13대 국회 ==== || [[평화민주당|[[파일:평화민주당 로고.jpg|height=40]]]] '''[[제13대 국회의원 선거|{{{#324e73 제13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금식]] || [[권노갑]] || [[김길곤]] || [[김대중]] || [[김덕규]] || || [[김득수]] || [[김봉욱]] || [[김봉호]] || [[김영도(1929)|김영도]] || [[김영배(1932)|김영배]] || || [[김영진(1947)|김영진]] || [[김원기(1937)|김원기]] || [[김종환(정치인)|김종완]] || [[김주호]] || [[김충조]] || || [[김태식(정치인)|김태식]] || [[노승환]] || [[류인학]] || [[류준상(1942)|류준상]] || [[문동환]] || || [[박상천]] || [[박석무]] || [[박실]] || [[박영숙]] || [[박종태]] || || [[서경원]] || [[손주항]] || [[송현섭]] || [[신기하]] || [[신순범]] || || [[양성우(시인)|양성우]] || [[오탄]] || [[이경재(1932)|이경재]] || [[이교성]] || [[이돈만]] || || [[이동근(1939)|이동근]] || [[이상수(정치인)|이상수]] || [[이상옥(1950)|이상옥]] || [[이영권]] || [[이원배]] || || [[이재근(1937)|이재근]] || [[이찬구(1941)|이찬구]] || [[이철용(정치인)|이철용]] || [[이해찬]] || [[이협(정치인)|이협]] || || [[이형배]] || [[이희천]] || [[임춘원(1938)|임춘원]] || [[정균환]] || [[정기영(1928)|정기영]] || || [[정대철]] || [[정상용]] || [[정웅]] || [[조세형(정치인)|조세형]] || [[조순승]] || || [[조윤형]] || [[조승형]] || [[조찬형]] || [[조희철(1934)|조희철]] || [[조홍규]] || || [[채영석]] || [[최락도]] || [[최봉구]] || [[최영근(1922)|최영근]] || [[최훈(정치인)|최훈]] || || [[한광옥]] || [[허경만]] || [[허만기]] || [[홍기훈(정치인)|홍기훈]] || [[홍영기(1918)|홍영기]] ||}}}}}} || || [[통일민주당|[[파일:김영삼의 통일민주당.jpg|height=25]]]] '''[[제13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13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보성]] || [[강삼재]] || [[강신옥]] || [[권헌성]] || [[김광일]] || || [[김남]] || [[김덕룡]] || [[김동규(1932)|김동규]] || [[김동영(정치인)|김동영]] || [[김동주(정치인)|김동주]] || || [[김봉조(1939)|김봉조]] || [[김성룡(공군참모총장)|김성룡]] || [[김영삼]] || [[김우석(1936)|김우석]] || [[김운환]] || || [[김일동]] || [[김재광]] || [[김정길(1945)|김정길]] || [[김정수(1937)|김정수]] || [[노무현]] || || [[노홍준]] || [[문정수]] || [[문준식]] || [[박경수(정치인)|박경수]] || [[박관용]] || || [[박용만(1924)|박용만]] || [[박재규(1946)|박재규]] || [[박종률]] || [[박태권]] || [[백남치]] || || [[백찬기(정치인)|백찬기]] || [[서석재]] || [[서청원]] || [[석준규]] || [[송두호]] || || [[신상우]] || [[신영국]] || [[신하철]] || [[심완구]] || [[오경의]] || || [[유기준(1924)|유기준]] || [[유승번]] || [[이기택]] || [[이인제]] || [[이행구]] || || [[장석화]] || [[정상구]] || [[정재문]] || [[정정훈(정치인)|정정훈]] || [[조만후]] || || [[최기선]] || [[최정식]] || [[최이호]] || [[최형우]] || [[허재홍]] || || [[황대봉]] || [[황명수]] || [[황병태]] || }}}}}} || || [[한겨레민주당|[[파일:한겨레민주당.png|height=20]]]] '''[[제13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13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박형오]] ||}}}}}} || ==== 14대 국회 ==== || [[민주당(1991년)|[[파일:Democratic Party 1991 logo.png|width=30]]]] [[민주당(1991년)|[[파일:민주당글자.png|width=60]]]] '''[[제14대 국회의원 선거|{{{#009d68 제14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수림]] || [[강창성]] || [[강철선]] || [[강희찬(정치인)|강희찬]] || [[국종남]] || || [[권노갑]] || [[김대중]] || [[김덕규]] || [[김말룡]] || [[김명규(정치인)|김명규]] || || [[김병오(정치인)|김병오]] || [[김봉호]] || [[김상현(1935)|김상현]] || [[김영배(1932)|김영배]] || [[김영진(1947)|김영진]] || || [[김원기(1937)|김원기]] || [[김원길]] || [[김원웅]] || [[김옥두]] || [[김옥천]] || || [[김인곤]] || [[김장곤]] || [[김종완(정치인)|김종완]] || [[김충조]] || [[김충현]] || || [[김태식(정치인)|김태식]] || [[나병선]] || [[류인태]] || [[류인학]] || [[류준상(1942)|류준상]] || || [[문희상]] || [[박계동]] || [[박광태]] || [[박규식]] || [[박상천]] || || [[박석무]] || [[박실]] || [[박은태(정치인)|박은태]] || [[박일(1927)|박일]] || [[박정훈(정치인)|박정훈]] || || [[박지원(1942)|박지원]] || [[박태영]] || [[손세일]] || [[송천영]] || [[신계륜]] || || [[신순범]] || [[신진욱]] || [[안동선]] || [[양문희]] || [[오탄]] || || [[원혜영]] || [[이경재(1932)|이경재]] || [[이규택]] || [[이기택]] || [[이길재]] || || [[이동근(1939)|이동근]] || [[이부영]] || [[이석현(정치인)|이석현]] || [[이영권]] || [[이우정(1923)|이우정]] || || [[이원형(1933)|이원형]] || [[이윤수(정치인)|이윤수]] || [[이장희(정치인)|이장희]] || [[이철]] || [[이해찬]] || || [[이협(정치인)|이협]] || [[이희천]] || [[임복진]] || [[임춘원(1938)|임춘원]] || [[장기욱]] || || [[장석화]] || [[장영달]] || [[장재식]] || [[장준익]] || [[정균환]] || || [[정기호(1942)|정기호]] || [[정대철]] || [[정상용]] || [[제정구]] || [[조세형(정치인)|조세형]] || || [[조순승]] || [[조순형]] || [[조홍규]] || [[채영석]] || [[최두환]] || || [[최락도]] || [[최재승]] || [[하근수]] || [[한광옥]] || [[한영수(정치인)|한영수]] || || [[한화갑]] || [[허경만]] || [[홍기훈(정치인)|홍기훈]] || [[홍사덕]] || [[홍영기(1918)|홍영기]] || || [[황의성]] ||}}}}}} || ==== 15대 국회 ==== || [[새정치국민회의|[[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가로 로고.svg|height=20]]]] '''[[제15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15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국창근]] || [[권노갑]] || [[길승흠]] || [[김경재]] || [[김근태]] || || [[김명규(정치인)|김명규]] || [[김민석(정치인)|김민석]] || [[김병태(기업인)|김병태]] || [[김봉호]] || [[김상우(정치인)|김상우]] || || [[김상현(1935)|김상현]] || [[김성곤]] || [[김영배(1932)|김영배]] || [[김영진(1947)|김영진]] || [[김영환(1955)|김영환]] || || [[김옥두]] || [[김원길]] || [[김인곤]] || [[김종배(1954)|김종배]] || [[김진배]] || || [[김충조]] || [[김태식(정치인)|김태식]] || [[김한길]] || [[김홍일(1948)|김홍일]] || [[남궁진]] || || [[박광태]] || [[박상규(정치인)|박상규]] || [[박상천]] || [[박정수(정치인)|박정수]] || [[박정훈(정치인)|박정훈]] || || [[박찬주(정치인)|박찬주]] || [[방용석(정치인)|방용석]] || [[배종무]] || [[설훈]] || [[손세일]] || || [[신기남]] || [[신기하]] || [[신낙균]] || [[안동선]] || [[양성철]] || || [[유선호(정치인)|유선호]] || [[유재건]] || [[윤철상]] || [[이기문]] || [[이길재]] || || [[이동원]] || [[이상수(정치인)|이상수]] || [[이석현(정치인)|이석현]] || [[이성재(정치인)|이성재]] || [[이윤수(정치인)|이윤수]] || || [[이해찬]] || [[이협(정치인)|이협]] || [[임복진]] || [[임채정]] || [[장성원(정치인)|장성원]] || || [[장영달]] || [[장재식]] || [[정균환]] || [[정동영]] || [[정동채]] || || [[정세균]] || [[정한용]] || [[정호선]] || [[정희경]] || [[조성준(정치인)|조성준]] || || [[조순승]] || [[조순형]] || [[조찬형]] || [[조철구]] || [[조홍규]] || || [[채영석]] || [[천용택]] || [[천정배]] || [[최선영(정치인)|최선영]] || [[최재승]] || || [[최희준]] || [[추미애]] || [[한영애]] || [[한화갑]] ||}}}}}} || || [[통합민주당(1995년)|[[파일:Democratic Party 1991 logo.png|width=30px]]]]'''[[통합민주당(1995년)|{{{#009d68 통합민주당}}}]]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9d68 제15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김홍신]] || [[권기술]] || [[권오을]] || [[이규정]] || [[이규택]] || || [[이미경(정치인)|이미경]] || [[이부영]] || [[이수인]] || [[이중재(1925)|이중재]] || [[장을병]] || || [[제정구]] || [[조중연(1936)|조중연]] || [[최욱철]] || [[하경근]] || [[황규선]] ||}}}}}} || ==== 16대 국회 ==== || [[새천년민주당|[[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_가로.svg|height=2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16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성구]] || [[강현욱]] || [[고진부]] || [[곽치영]] || [[김경재]] || || [[김경천]] || [[김근태]] || [[김기재]] || [[김덕규]] || [[김덕배(정치인)|김덕배]] || || [[김명섭]] || [[김민석(정치인)|김민석]] || [[김방림]] || [[김성순]] || [[김성호(1962)|김성호]] || || [[김영배(1932)|김영배]] || [[김영진(1947)|김영진]] || [[김영환(1955)|김영환]] || [[김옥두]] || [[김원기(1937)|김원기]] || || [[김원길]] || [[김운용]] || [[김윤식(1947)|김윤식]] || [[김충조]] || [[김태식(정치인)|김태식]] || || [[김태홍(정치인)|김태홍]] || [[김택기]] || [[김한길]] || [[김홍일(1948)|김홍일]] || [[김효석(1949)|김효석]] || || [[김희선(정치인)|김희선]] || [[남궁석]] || [[문석호]] || [[문희상]] || [[박광태]] || || [[박병석]] || [[박병윤]] || [[박상규(정치인)|박상규]] || [[박상천]] || [[박상희(1951)|박상희]] || || [[박용호(방송인)|박용호]] || [[박인상]] || [[박종우(1938)|박종우]] || [[배기선]] || [[배기운]] || || [[서영훈]] || [[설송웅]] || [[설훈]] || [[송석찬]] || [[송영길(정치인)|송영길]] || || [[송영진(정치인)|송영진]] || [[송훈석]] || [[신계륜]] || [[신기남]] || [[심규섭]] || || [[심재권]] || [[안동선]] || [[원유철]] || [[유삼남]] || [[유용태]] || || [[유재건]] || [[유재규]] || [[윤철상]] || [[이근진]] || [[이낙연]] || || [[이만섭]] || [[이미경(정치인)|이미경]] || [[이상수(정치인)|이상수]] || [[이용삼]] || [[이원성]] || || [[이윤수(정치인)|이윤수]] || [[이인제]] || [[이재정(1944)|이재정]] || [[이종걸]] || [[이창복]] || || [[이해찬]] || [[이협(정치인)|이협]] || [[이호웅]] || [[이훈평]] || [[이희규]] || || [[임종석]] || [[장성민]] || [[장성원(정치인)|장성원]] || [[장영달]] || [[장영신]] || || [[장재식]] || [[장정언]] || [[장태완]] || [[전갑길]] || [[전용학]] || || [[정균학]] || [[정균환]] || [[정대철]] || [[정동영]] || [[정동채]] || || [[정범구]] || [[정세균]] || [[정장선]] || [[정철기]] || [[조성준(정치인)|조성준]] || || [[조순형]] || [[조재환(정치인)|조재환]] || [[조한천]] || [[천용택]] || [[천정배]] || || [[최선영(정치인)|최선영]] || [[최영희(1939)|최영희]] || [[최용규(1956)|최용규]] || [[최재승]] || [[추미애]] || || [[한명숙]] || [[한화갑]] || [[함승희]] || [[허운나]] || [[홍재형]] ||}}}}}} || ==== 17대 국회 ==== || '''[[열린우리당|[[파일:열린우리당 1차 로고.svg|width=20]]]]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 제17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기정]] || [[강길부]] || [[강봉균]] || [[강성종]] || [[강창일]] || || [[강혜숙]] || [[구논회]] || [[권선택]] || [[김교흥]] || [[김근태]] || || [[김기석(정치인)|김기석]] || [[김낙순]] || [[김덕규]] || [[김동철]] || [[김맹곤]] || || [[김명자]] || [[김부겸]] || [[김선미(정치인)|김선미]] || [[김성곤(1952)|김성곤]] || [[김영주(1955)|김영주]] || || [[김영춘(정치인)|김영춘]] || [[김우남]] || [[김원기(1937)|김원기]] || [[김원웅]] || [[김재윤(1965)|김재윤]] || || [[김재홍(1950)|김재홍]] || [[김종률]] || [[김진표(정치인)|김진표]] || [[김춘진]] || [[김태년]] || || [[김태호(정치인)|김태홍]] || [[김한길]] || [[김혁규(정치인)|김혁규]] || [[김현미]] || [[김형주]] || || [[김희선(정치인)|김희선]] || [[노영민]] || [[노웅래]] || [[노현송]] || [[문병호]] || || [[문석호]] || [[문학진]] || [[문희상]] || [[민병두]] || [[박기춘]] || || [[박명광]] || [[박병석]] || [[박상돈]] || [[박영선]] || [[박찬석]] || || [[박홍수]] || [[배기선]] || [[백원우]] || [[변재일]] || [[복기왕]] || || [[서갑원]] || [[서재관]] || [[선병렬]] || [[송영길(정치인)|송영길]] || [[신계륜]] || || [[신기남]] || [[신중식]] || [[신학용]] || [[심재덕]] || [[안민석]] || || [[안병엽]] || [[안영근]] || [[양승조]] || [[양형일]] || [[염동연]] || || [[오시덕]] || [[오영식]] || [[오제세]] || [[우상호]] || [[우원식]] || || [[우윤근]] || [[우제창]] || [[우제항]] || [[원혜영]] || [[유기홍]] || || [[유선호(정치인)|유선호]] || [[유승희(정치인)|유승희]] || [[유시민]] || [[유인태]] || [[유재건]] || || [[유필우]] || [[윤원호]] || [[윤호중]] || [[이강래]] || [[이경숙(1953)|이경숙]] || || [[이계안]] || [[이광재]] || [[이광철]] || [[이근식]] || [[이기우(1966)|이기우]] || || [[이목희]] || [[이미경(정치인)|이미경]] || [[이상경(1964)|이상경]] || [[이상락]] || [[이상민(1958)|이상민]] || || [[이석현(정치인)|이석현]] || [[이시종]] || [[이영호(1959)|이영호]] || [[이용희(1931)|이용희]] || [[이원영(1954)|이원영]] || || [[이은영(1952)|이은영]] || [[이인영(정치인)|이인영]] || [[이종걸]] || [[이철우(1960.08)|이철우]] || [[이해찬]] || || [[이호웅]] || [[이화영(정치인)|이화영]] || [[임종석]] || [[임종인]] || [[임채정]] || || [[장경수]] || [[장복심]] || [[장영달]] || [[장향숙]] || [[전병헌]] || || [[정덕구]] || [[정동채]] || [[정봉주]] || [[정성호(정치인)|정성호]] || [[정세균]] || || [[정의용]] || [[정장선]] || [[정청래]] || [[제종길]] || [[조경태]] || || [[조배숙]] || [[조성래]] || [[조성태]] || [[조일현]] || [[조정식(1963)|조정식]] || || [[주승용]] || [[지병문]] || [[채수찬]] || [[천정배]] || [[최규성]] || || [[최규식(1953)|최규식]] || [[최성(정치인)|최성]] || [[최용규(1956)|최용규]] || [[최재성(정치인)|최재성]] || [[최재천(정치인)|최재천]] || || [[최철국]] || [[한광원]] || [[한명숙]] || [[한병도]] || [[홍미영]] || || [[홍재형]] || [[홍창선]] ||}}}}}} || || [[새천년민주당|[[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_가로.svg|height=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17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김종인]] || [[김홍일(1948)|김홍일]] || [[김효석(1949)|김효석]] || [[손봉숙]] || [[이낙연]] || || [[이상열(정치인)|이상열]] || [[이승희(정치인)|이승희]] || [[이정일(1947)|이정일]] || [[한화갑]] ||}}}}}} || ==== 18대 국회 ==== || '''[[통합민주당(2008년)|[[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height=20]]]] [[제18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18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기정]] || [[강봉균]] || [[강성종]] || [[강창일]] || [[김동철]] || || [[김부겸]] || [[김상희(정치인)|김상희]] || [[김성곤(1952)|김성곤]] || [[김성순]] || [[김상희(정치인)|김상희]] || || [[김성곤(1952)|김성곤]] || [[김성순]] || [[김세웅]] || [[김우남]] || [[김유정(정치인)|김유정]] || || [[김재균(1952)|김재균]] || [[김재윤(1965)|김재윤]] || [[김종률]] || [[김진표(정치인)|김진표]] || [[김춘진]] || || [[김충조]] || [[김효석(1949)|김효석]] || [[김희철(정치인)|김희철]] || [[노영민]] || [[문학진]] || || [[문희상]] || [[박기춘]] || [[박병석]] || [[박상천]] || [[박선숙]] || || [[박영선]] || [[박은수(1956)|박은수]] || [[박주선]] || [[백원우]] || [[백재현(정치인)|백재현]] || || [[변재일]] || [[서갑원]] || [[서종표]] || [[송민순]] || [[송영길(정치인)|송영길]] || || [[신낙균]] || [[신학용]] || [[안규백]] || [[안민석]] || [[양승조]] || || [[오제세]] || [[우윤근]] || [[우제창]] || [[원혜영]] || [[유선호(정치인)|유선호]] || || [[이강래]] || [[이광재]] || [[이낙연]] || [[이미경(정치인)|이미경]] || [[이석현(정치인)|이석현]] || || [[이성남(정치인)|이성남]] || [[이시종]] || [[이용삼]] || [[이용섭]] || [[이종걸]] || || [[이춘석]] || [[장세환]] || [[전병헌]] || [[전현희]] || [[전혜숙]] || || [[정국교]] || [[정세균]] || [[정장선]] || [[조경태]] || [[조배숙]] || || [[조영택]] || [[조정식(1963)|조정식]] || [[주승용]] || [[천정배]] || [[최규성]] || || [[최규식(1953)|최규식]] || [[최문순]] || [[최영희(1950)|최영희]] || [[최인기]] || [[최재성(정치인)|최재성]] || || [[최철국]] || [[추미애]] || [[홍재형]] ||}}}}}} || || [[창조한국당|[[파일:창조한국당 흰색 아이콘.svg|height=17]]]] [[창조한국당|[[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height=17]]]] '''[[제18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18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문국현]] || [[이용경]] || [[이한정(정치인)|이한정]] ||}}}}}} || ==== 19대 국회 ==== || [[민주통합당|[[파일:democraticunitedpartylogo.png|width=20px]]]] '''[[민주통합당|{{{#3AB34A 민주통합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3AB34A 제19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기정]] || [[강창일]] || [[김경협]] || [[김관영]] || [[김광진(정치인)|김광진]] || || [[김기식]] || [[김기준]] || [[김동철]] || [[김민기(정치인)|김민기]] || [[김상희(정치인)|김상희]] || || [[김성곤(1952)|김성곤]] || [[김성주(1964)|김성주]] || [[김승남]] || [[김영록]] || [[김영주(1955)|김영주]] || || [[김영환(1955)|김영환]] || [[김용익]] || [[김우남]] || [[김윤덕(1966)|김윤덕]] || [[김재윤(1965)|김재윤]] || || [[김진표(정치인)|김진표]] || [[김춘진]] || [[김태년]] || [[김한길]] || [[김현(1965)|김현]] || || [[김현미]] || [[남인순]] || [[노영민]] || [[노웅래]] || [[도종환]] || || [[문병호]] || [[문재인]] || [[문희상]] || [[민병두]] || [[민홍철]] || || [[박기춘]] || [[박남춘]] || [[박민수(정치인)|박민수]] || [[박범계]] || [[박병석]] || || [[박수현(정치인)|박수현]] || [[박영선]] || [[박완주]] || [[박지원(1942)|박지원]] || [[박혜자]] || || [[박홍근]] || [[배기운]] || [[배재정]] || [[백군기]] || [[백재현(정치인)|백재현]] || || [[변재일]] || [[부좌현]] || [[서영교]] || [[설훈]] || [[송호창]] || || [[신경민]] || [[신계륜]] || [[신기남]] || [[신장용]] || [[신학용]] || || [[심재권]] || [[안규백]] || [[안민석]] || [[양승조]] || [[신동근]] || || [[신창현]] || [[심재권]] || [[안규백]] || [[안민석]] || [[안호영]] || || [[양승조]] || [[오영식]] || [[오제세]] || [[우상호]] || [[우원식]] || || [[우윤근]] || [[원혜영]] || [[유기홍]] || [[유대운]] || [[유승희(정치인)|유승희]] || || [[유은혜]] || [[유인태]] || [[윤관석]] || [[윤호중]] || [[윤후덕]] || || [[은수미]] || [[이낙연]] || [[이목희]] || [[이미경(정치인)|이미경]] || [[이상민(1958)|이상민]] || || [[이상직]] || [[이석현(정치인)|이석현]] || [[이언주]] || [[이용섭]] || [[이원욱]] || || [[이윤석(정치인)|이윤석]] || [[이인영(정치인)|이인영]] || [[이종걸]] || [[이찬열]] || [[이춘석]] || || [[이학영]] || [[이해찬]] || [[인재근]] || [[임내현]] || [[임수경]] || || [[장병완]] || [[장하나(정치인)|장하나]] || [[전병헌]] || [[전순옥]] || [[전정희]] || || [[전해철]] || [[정성호(정치인)|정성호]] || [[정세균]] || [[정청래]] || [[정호준]] || || [[조경태]] || [[조정식(1963)|조정식]] || [[주승용]] || [[진선미]] || [[진성준(정치인)|진성준]] || || [[최규성]] || [[최동익]] || [[최민희]] || [[최원식]] || [[최재성(정치인)|최재성]] || || [[최재천(정치인)|최재천]] || [[추미애]] || [[한명숙]] || [[한정애]] || [[홍영표]] || || [[홍의락]] || [[홍익표(1967)|홍익표]] || [[홍종학]] || [[황주홍]] ||}}}}}} ||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국민의당)]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민주당)] ==== 20대 국회 ==== ||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height=16]]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svg|width=1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20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병원]] || [[강창일]] || [[강훈식]] || [[고용진]] || [[권미혁]] || || [[권칠승]] || [[금태섭]] || [[기동민]] || [[김경수]] || [[김경협]] || || [[김두관]] || [[김민기(정치인)|김민기]] || [[김병관(정치인)|김병관]] || [[김병기(정치인)|김병기]] || [[김병욱(1965)|김병욱]] || || [[김부겸]] || [[김상희(정치인)|김상희]] || [[김성수(1956)|김성수]] || [[김영주(1955)|김영주]] || [[김영진(1967)|김영진]] || || [[김영춘(정치인)|김영춘]] || [[김영호(정치인)|김영호]] || [[김정우(1968)|김정우]] || [[김종민(1964)|김종민]] || [[김종인]] || || [[김진표(정치인)|김진표]] || [[김철민(정치인)|김철민]] || [[김태년]] || [[김한정]] || [[김해영]] || || [[김현권]] || [[김현미]] || [[남인순]] || [[노웅래]] || [[도종환]] || || [[문미옥]] || [[문희상]] || [[민병두]] || [[민홍철]] || [[박경미]] || || [[박광온]] || [[박남춘]] || [[박범계]] || [[박병석]] || [[박영선]] || || [[박완주]] || [[박용진(정치인)|박용진]] || [[박재호]] || [[박정]] || [[박주민]] || || [[박찬대]] || [[박홍근]] || [[백재현(정치인)|백재현]] || [[백혜련]] || [[변재일]] || || [[서영교]] || [[서형수]] || [[설훈]] || [[소병훈]] || [[손혜원]] || || [[송기헌]] || [[송영길(정치인)|송영길]] || [[송옥주]] || [[신경민]] || [[신동근]] || || [[신창현]] || [[심재권]] || [[안규백]] || [[안민석]] || [[안호영]] || || [[양승조]] || [[어기구]] || [[오영훈]] || [[오제세]] || [[우상호]] || || [[우원식]] || [[원혜영]] || [[위성곤]] || [[유동수]] || [[유승희(정치인)|유승희]] || || [[유은혜]] || [[윤관석]] || [[윤호중]] || [[윤후덕]] || [[이개호]] || || [[이상민(1958)|이상민]] || [[이석현(정치인)|이석현]] || [[이언주]] || [[이용득]] || [[이원욱]] || || [[이인영(정치인)|이인영]] || [[이재정(1974)|이재정]] || [[이종걸]] || [[이찬열]] || [[이철희(1964)|이철희]] || || [[이춘석]] || [[이학영]] || [[이훈(1965)|이훈]] || [[인재근]] || [[임종성]] || || [[전재수]] || [[전해철]] || [[전현희]] || [[전혜숙]] || [[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 || || [[정세균]] || [[정재호(1965)|정재호]] || [[정춘숙]] || [[제윤경]] || [[조승래]] || || [[조응천]] || [[조정식(1963)|조정식]] || [[진선미]] || [[진영(정치인)|진영]] || [[최명길(정치인)|최명길]] || || [[최운열]] || [[최인호(정치인)|최인호]] || [[추미애]] || [[표창원]] || [[한정애]] || || [[홍영표]] || [[홍익표(1967)|홍익표]] || [[황희(정치인)|황희]] ||}}}}}} || || [[국민의당(2016년)|[[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svg|height=20]]]] '''[[제20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20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권은희(1974)|권은희]] || [[김경진(정치인)|김경진]] || [[김관영]] || [[김광수(1958)|김광수]] || [[김동철]] || || [[김삼화]] || [[김성식(1958)|김성식]] || [[김수민(정치인)|김수민]] || [[김종회(1965)|김종회]] || [[김종회(1965)|김종회]] || || [[박선숙]] || [[박주선]] || [[박주현(1963)|박주현]] || [[박준영(1946)|박준영]] || [[박지원(1942)|박지원]] || || [[손금주]] || [[송기석]] || [[신용현]] || [[안철수]] || [[오세정]] || || [[유성엽]] || [[윤영일]] || [[이동섭]] || [[이상돈(1951)|이상돈]] || [[이용주(정치인)|이용주]] || || [[이용호(1960)|이용호]] || [[이태규(정치인)|이태규]] || [[장병완]] || [[장정숙]] || [[정동영]] || || [[정인화]] || [[조배숙]] || [[주승용]] || [[채이배]] || [[천정배]] || || [[최경환(1959)|최경환]] || [[최도자]] || [[황주홍]] || }}}}}} ||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민주평화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대안신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민생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시민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열린민주당)] ==== 21대 국회 ==== ||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height=16]]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svg|width=1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21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득구]] || [[강병원]] || [[강선우]] || [[강준현]] || [[강훈식]] || || [[고민정]] || [[고영인]] || [[고용진]] || [[권칠승]] || [[기동민]] || || [[김경협]] || [[김교흥]] || [[김남국]] || [[김두관]] || [[김민기(정치인)|김민기]] || || [[김민석(정치인)|김민석]] || [[김민철(정치인)|김민철]] || [[김병기(정치인)|김병기]] || [[김병욱(1965)|김병욱]] || [[김상희(정치인)|김상희]] || || [[김성주(1964)|김성주]] || [[김성환(1965)|김성환]] || [[김수흥]] || [[김승남]] || [[김승원(정치인)|김승원]] || || [[김영배(1967)|김영배]] || [[김영주(1955)|김영주]] || [[김영진(1967)|김영진]] || [[김영호(정치인)|김영호]] || [[김용민(1976)|김용민]] || || [[김원이]] || [[김윤덕(1966)|김윤덕]] || [[김정호(1960)|김정호]] || [[김종민(1964)|김종민]] || [[김주영(1961)|김주영]] || || [[김진표]] || [[김철민(정치인)|김철민]] || [[김태년]] || [[김한정]] || [[김회재]] || || [[남인순]] || [[노웅래]] || [[도종환]] || [[맹성규]] || [[문정복]] || || [[문진석]] || [[민병덕]] || [[민형배]] || [[민홍철]] || [[박광온]] || || [[박범계]] || [[박병석]] || [[박상혁(1973)|박상혁]] || [[박성준(정치인)|박성준]] || [[박영순]] || || [[박완주]] || [[박용진]] || [[박재호]] || [[박정|박 정]] || [[박주민]] || || [[박찬대]] || [[박홍근]] || [[백혜련]] || [[변재일]] || [[서동용]] || || [[서삼석]] || [[서영교]] || [[서영석(1964)|서영석]] || [[설훈|설 훈]] || [[소병철]] || || [[소병훈]] || [[송갑석]] || [[송기헌]] || [[송영길(정치인)|송영길]] || [[송옥주]] || || [[송재호(정치인)|송재호]] || [[신동근]] || [[신영대]] || [[신정훈]] || [[안규백]] || || [[안민석]] || [[안호영]] || [[양기대]] || [[양향자]] || [[어기구]] || || [[오기형]] || [[오영환]] || [[오영훈]] || [[우상호]] || [[우원식]] || || [[위성곤]] || [[유기홍]] || [[유동수]] || [[윤건영]] || [[윤관석]] || || [[윤영덕]] || [[윤영찬]] || [[윤재갑]] || [[윤준병]] || [[윤호중]] || || [[윤후덕]] || [[이개호]] || [[이광재]] || [[이규민]] || [[이낙연]] || || [[이병훈(정치인)|이병훈]] || [[이상민(1958)|이상민]] || [[이상직]] || [[이상헌(정치인)|이상헌]] || [[이성만]] || || [[이소영(정치인)|이소영]] || [[이수진(1969년 11월)|이수진^^(11월)^^]] || [[이용빈]] || [[이용선]] || [[이용우(1964)|이용우]] || || [[이원욱]] || [[이원택]] || [[이인영]] || [[이장섭]] || [[이재정(1974)|이재정]] || || [[이정문(1973)|이정문]] || [[이탄희]] || [[이학영]] || [[이해식]] || [[이형석]] || || [[인재근]] || [[임오경]] || [[임종성]] || [[임호선]] || [[장경태]] || || [[장철민]] || [[전재수]] || [[전해철]] || [[전혜숙]] || [[정성호(정치인)|정성호]] || || [[정일영(1957)|정일영]] || [[정정순]] || [[정청래]] || [[정춘숙]] || [[정태호(정치인)|정태호]] || || [[조승래]] || [[조오섭]] || [[조응천]] || [[조정식(1963)|조정식]] || [[주철현]] || || [[진선미]] || [[진성준]] || [[천준호]] || [[최기상]] || [[최인호(정치인)|최인호]] || || [[최종윤]] || [[한병도]] || [[한정애]] || [[한준호(1974)|한준호]] || [[허영(1970)|허 영]] || || [[허종식]] || [[홍기원]] || [[홍성국]] || [[홍영표]] || [[홍익표(1967)|홍익표]] || || [[홍정민]] || [[황운하]] || [[황희(정치인)|황 희]] ||}}}}}} || || '''[[더불어시민당|[[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width=10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21대 총선 당선인}}}]]''' ||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권인숙]] || [[김경만]] || [[김병주]] || [[김홍걸]] || [[신현영]] || || [[양경숙]] || [[양원영]] || [[양정숙]] || [[용혜인]] || [[유정주]] || || [[윤미향]] || [[이동주(1972)|이동주]] || [[이수진(1969년 5월)|이수진]] || [[전용기(정치인)|전용기]] || [[정필모]] || || [[조정훈(1972)|조정훈]] || [[최혜영]] ||}}}}}} || || [[열린민주당|[[파일:열린민주당 흰색 아이콘.svg|width=15]]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8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ffffff 제21대 총선 당선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강민정]] || [[김진애]] || [[최강욱]] ||}}}}}} || ----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시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열린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 [[광역자치단체장]] === [include(틀:민선 1기 광역단체장/새정치국민회의)] [include(틀:민선 2기 광역단체장/새천년민주당)] [include(틀:민선 3기 광역단체장/민주당(2005년))] [include(틀:민선 3기 광역단체장/열린우리당)] [include(틀:민선 4기 광역단체장/민주당(2008년))] [include(틀:민선 5기 광역단체장/새정치민주연합)] [include(틀:민선 6기 광역단체장/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민선 7기 광역단체장/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민선 8기 광역단체장/더불어민주당)] ==== 서울특별시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11대]] || [[김상돈]] (金相敦) || 1960년 12월 30일 ~ 1961년 05월 18일 || [[민주당(1955년)|민주당]]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0대]] || [[조순]] (趙淳) || 1995년 07월 01일 ~ 1997년 09월 09일 || [[민주당(1991년)|민주당]]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대]] || [[고건]] (高建) ||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35대]] ||<|3> [[박원순]] (朴元淳) ||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06월 30일 || 무소속[* 당시 야권의 단일후보였다. 보궐선거 당시 [[나경원]] 후보를 꺾었고 시장 취임 후 [[민주통합당]]에 입당한다.]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대]] ||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대]] ||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7월 09일 || [[더불어민주당]] || ==== 부산광역시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5대]] || [[오거돈]] (吳巨敦) ||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4월 23일 || [[더불어민주당]] || ==== 인천광역시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13대]] || [[송영길(정치인)|송영길]] (宋永吉) ||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15대]] || [[박남춘]] (朴南春)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광주광역시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7대]] || [[송언종]] (宋彦鐘) || 1995년 07월 01일 ~ 1998년 06월 30일 || [[민주당(1991년)|민주당]]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8대]] || [[고재유]] (高在有) ||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9대]] ||<|2> [[박광태]] (朴光泰) || 2002년 07월 01일 ~ 2006년 0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10대]] ||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 [[민주당(2005년)|민주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11대]] || [[강운태]] (姜雲太) ||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12대]] || [[윤장현]] (尹壯鉉) ||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13대]] || [[이용섭]] (李庸燮)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14대]] || [[강기정]] (姜琪正) || 2022년 07월 01일 ~ 현재 || [[더불어민주당]] || ==== 대전광역시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11대]] || [[권선택]] (權善宅) ||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11월 14일 || [[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12대]] || [[허태정]] (許泰鋌)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울산광역시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대]] || [[송철호]] (宋哲鎬)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세종특별자치시장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대]] ||<|2> [[이춘희]] (李春熙) ||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대]]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경기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8대]] || [[신광균]] (申光均)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4일 || [[민주당(1955년)|민주당]]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0대]] || [[임창열]] (林昌烈) ||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대]] || [[이재명]] (李在明) ||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10월 25일[*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전념하기 위해 조기사퇴.] || [[더불어민주당]]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대]] || [[김동연]] (金東兗) || 2022년 07월 01일 ~ 현재 || [[더불어민주당]] || ==== 강원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11대]] || [[박영록(정치인)|박영록]] (朴永綠)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4일 || [[민주당(1955년)|민주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대]] || [[이광재]] (李光宰) || 2010년 07월 01일 ~ 2011년 01월 27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36대]] ||<|3> [[최문순]] (崔文洵) || 2011년 04월 28일 ~ 2014년 06월 30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대]] ||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8대]]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충청북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10대]] || [[조대연]] (趙大衍) || 1960년 12월 30일 ~ 1961년 05월 24일 || [[민주당(1955년)|민주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대]] ||<|3> [[이시종]] (李始鍾) ||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대]] ||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대]]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충청남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9대]] || [[이기세]] (李起世) || 1961년 01월 05일 ~ 1961년 05월 24일 || [[신민당(1960년)|신민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대]] ||<|2> [[안희정]] (安熙正) ||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대]] ||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3월 06일 ||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사퇴서 제출 시점에는 제명 절차 중이었다.]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8대]] || [[양승조]] (梁承晁)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전라북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13대]] || [[김상술]] (金相戌)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3일 || [[민주당(1955년)|민주당]]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29대]] ||<|2> [[유종근]] (柳宗根) || 1995년 07월 01일 ~ 1998년 06월 30일 || [[민주당(1991년)|민주당]]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0대]] ||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대]] || [[강현욱]] (姜賢旭) || 2002년 07월 01일 ~ 2006년 0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대]] ||<|2> [[김완주]] (金完柱) ||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 [[열린우리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대]] ||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대]] ||<|2> [[송하진]] (宋河珍) ||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대]]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대]] || [[김관영]] (金寬永) || 2022년 07월 01일 ~ 현재 || [[더불어민주당]] || ==== 전라남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11대]] || [[민영남]] (閔泳南) || 1960년 12월 31일 ~ 1961년 05월 23일 || [[신민당(1960년)|신민당]]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대]] ||<|2> [[허경만]] (許京萬) || 1995년 07월 01일 ~ 1998년 06월 30일 || [[민주당(1991년)|민주당]]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대]] ||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대]] || [[박태영]] (朴泰榮) || 2002년 07월 01일 ~ 2004년 04월 29일 || [[새천년민주당]] || || [[2004년 재보궐선거|34대]] ||<|3> [[박준영(1946)|박준영]] (朴晙瑩) || 2004년 06월 06일 ~ 2006년 0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대]] ||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 [[민주당(2005년)|민주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대]] ||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 [[민주당(2008년)|민주당]]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대]] || [[이낙연]] (李洛淵) ||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05월 12일 || [[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8대]] ||<|2> [[김영록]] (金瑛錄) ||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9대]] || 2022년 07월 01일 ~ 현재 || [[더불어민주당]] || ==== 경상북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8대]] || [[이호근(1915)|이호근]] (李浩根) || 1960년 10월 07일 ~ 1961년 05월 23일 || [[민주당(1955년)|민주당]] || ==== 경상남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1960년 지방선거|10대]] || [[이기주(정치인)|이기주]] (李基周)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3일 || [[신민당(1960년)|신민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대]] || [[김두관]] (金斗官) || 2010년 07월 01일 ~ 2012년 07월 06일 || [[무소속]][* 야권 단일 후보로 무소속 당선 후 [[민주통합당]] 입당하였음]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대]] || [[김경수]] (金慶洙) ||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7월 21일 || [[더불어민주당]] ||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
대수 || 이름 || 임기 || 당적[* 선거당시 당적]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대]] ||<|2> [[우근민]] (禹瑾敏) ||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대]] || 2002년 07월 01일 ~ 2004년 04월 27일 || [[새천년민주당]]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39대]] || [[오영훈]] (吳怜勳) || 2022년 07월 01일 ~ 현재 || [[더불어민주당]] || === [[기초자치단체장]] === [include(틀:민선 6기 기초단체장/민주평화당)] [include(틀:민선 8기 기초단체장/더불어민주당)] === 당대표 === [include(틀:한국민주당 수석총무)] [include(틀:민주국민당 최고위원 및 위원장)] [include(틀:민주당(1955년) 대표)] [include(틀:신민당(1960년) 대표)] [include(틀:민주당(1963년) 총재 및 대표)] [include(틀:민정당 총재 및 대표)] [include(틀:민중당(1965년) 대표)] [include(틀:신민당(1967년) 총재 및 대표)] [include(틀:민주한국당 총재)] [include(틀:신한민주당의 총재)] [include(틀:통일민주당 총재)] [include(틀:평화민주당 총재)] [include(틀:민주당(1990년) 총재)]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총재)] [include(틀:민주당(1991년) 대표)]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총재)]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총재 및 총재권한대행)]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총재 및 대표)] [include(틀:열린우리당 의장)] [include(틀:민주당(2005년) 대표)] [include(틀: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대표)]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대표)] [include(틀:민주당(2007년) 대표)]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대표)] [include(틀:국민참여당 대표)] [include(틀:민주당(2008년) 대표)] [include(틀:민주통합당 대표)] [include(틀:민주당(2013년) 대표)]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대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대표)]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대표)] [include(틀:민주평화당 대표)] [include(틀:바른미래당 대표)] [include(틀:대안신당 대표)] [include(틀:민생당 대표)]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대표)] [include(틀:열린민주당 대표)] [include(틀:깨어있는시민연대당 대표)] [include(틀:새로운물결 대표)] == 역대 선거결과 == [[파일:대한민국 정당별 득표율.png]] [[파일:대한민국국회정당별의석20180716.png]] [[파일:대한민국지방선거정당별당선직20180716.png]] === 대통령 선거 === || 후보자 || 연도 || 대수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이시영(정치인)|이시영]] || [[제2대 대통령 선거|1952년]] || [[이승만|2대]] || [[민주국민당]] || 764,715 || 10.89% || 3위 || || [[신익희]] || [[제3대 대통령 선거|1956년]] || [[이승만|3대]] ||<|14> '''[[민주당(1955년)|민주당]]''' ||<-3> 유세기간 중 사망[* 선거를 열흘 남기고 [[전주시|전주]]로 가기 위해 [[전라선]] 열차를 타던 중 [[호남선]] 구간인 함열역 부근에서 뇌일혈로 졸도했고 [[익산역|이리역]]에 급히 내려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을 거두고 말았다.][* 전체 투표수의 20.5%인 1,856,818표의 무효표를 이승만을 반대하지만 조봉암을 지지하지 않는 민주당 지지층의 표라는 해석이 있다.] || || [[조병옥]] || ~~[[3.15 부정선거|1960년]]~~ || ~~[[이승만|4대]]~~[* [[3.15 부정선거]]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3> 유세기간 중 사망[* 후보등록을 하고 나서 위병이 심해져서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으로 가서 복부수술을 받았는데 수술후유증으로 인한 심장발병증으로 사망했다. 이쪽은 상태가 회복되다가 일어난 상태라 암살설이 퍼졌다.] || || [[김창숙]] ||<|12> '''[[제4대 대통령 선거|1960년]][* 간선제로 실시되어 민·참의원 합동투표로 이뤄졌다.]''' ||<|12> '''[[대한민국 제2공화국|4대]]''' || 29 || 11.5% || 2위 || || [[백낙준]] || 3 || 1.2% || 3위 || || [[변영태]] || 3 || 1.2% || 3위 || || [[김도연(1894)|김도연]] || 2 || 0.8% || 5위 || || [[허정]] || 2 || 0.8% || 5위 || || [[김병로]] || 1 || 0.4% || 7위 || || [[김시현(독립운동가)|김시현]] || 1 || 0.4% || 7위 || || [[나용균]] || 1 || 0.4% || 7위 || || [[박순천]] || 1 || 0.4% || 7위 || || [[유옥우]] || 1 || 0.4% || 7위 || || [[이철승]] || 1 || 0.4% || 7위 || ||<|3> '''[[윤보선]]''' || '''208표''' || '''82.2%''' || {{{#ffffff '''당선'''}}} || || [[제5대 대통령 선거|1963년]] || [[박정희|5대]] || [[민정당]] || 4,546,614표 || 45.09% || 2위 || ||<|2> [[제6대 대통령 선거|1967년]] ||<|2> [[박정희|6대]] || [[신민당(1967년)|신민당]] || 4,526,541표 || 40.93% || 2위 || || [[김준연]] || [[민중당(1967년)|민중당]] || 248,369표 || 2.24% || 4위 || || [[김대중]] || [[제7대 대통령 선거|1971년]] || [[박정희|7대]] || [[신민당(1967년)|신민당]] || 5,395,900표 || 45.25% || 2위 || || [[유치송]] ||<|2> [[제12대 대통령 선거|1981년]][* 대통령 선거인단으로 뽑는 간선제였다.] ||<|2> [[전두환|12대]] || [[민주한국당]] || 404 || 7.70% || 2위 || || [[김의택]] || [[민권당]] || 26 || 0.5% || 4위 || || [[김영삼]] ||<|2> [[제13대 대통령 선거|1987년]] ||<|2> [[노태우 정부|13대]] || [[통일민주당]] || 6,337,581표 || 28.03% || 2위 || ||<|3> '''[[김대중]]''' || [[평화민주당]] || 6,113,375표 || 27.04% || 3위 || || [[제14대 대통령 선거|1992년]] || [[문민정부|14대]] || [[민주당(1991년)|민주당]] || 8,041,284표 || 33.82% || 2위 || || '''[[제15대 대통령 선거|1997년]]''' || '''[[국민의 정부|15대]]''' || '''[[새정치국민회의]]''' || '''10,326,275표''' || '''40.27%''' || {{{#ffffff '''당선'''}}} || || '''[[노무현]]''' || '''[[제16대 대통령 선거|2002년]]''' || '''[[참여정부|16대]]''' || '''[[새천년민주당]]''' || '''12,014,277표''' || '''48.91%''' || {{{#ffffff '''당선'''}}} || || [[정동영]] ||<|4> [[제17대 대통령 선거|2007년]] ||<|4> [[이명박 정부|17대]] || [[대통합민주신당]] || 6,174,681표 || 26.14% || 2위 || || [[문국현]] || [[창조한국당]] || 1,375,498표 || 5.83% || 4위 || || [[이인제]] || [[민주당(2007년)|민주당]] || 160,708표 || 0.68% || 6위 || || [[정근모]] || [[참주인연합]] || 15,380표 || 0.06% || 9위 || ||<|2> '''[[문재인]]''' || [[제18대 대통령 선거|2012년]] || [[박근혜 정부|18대]] || [[민주통합당]] || 14,692,632표 || 48.02% || 2위 || ||<|2> '''[[제19대 대통령 선거|2017년]]''' ||<|2> '''[[문재인 정부|19대]]''' || '''[[더불어민주당]]''' || '''13,423,800표''' || '''41.08%''' || {{{#ffffff '''당선'''}}} || || [[안철수]]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6,998,342표 || 21.41% || 3위 || || [[이재명]] || [[제20대 대통령 선거|2022년]] || [[윤석열 정부|20대]] || [[더불어민주당]] || 16,147,738표 || 47.83% || 2위 || === 부통령 선거 === || 후보자 || 연도 || 대수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서상일]] || [[제1대 부통령 선거|1948년]] || [[이시영(정치인)|1대]] || [[한국민주당]] || 1표 || 0.51% || 6위 || || '''[[김성수(1891)|김성수]]''' || '''[[제2대 부통령 선거|1951년]]''' || '''[[김성수(1891)|2대]]''' ||<|3> '''[[민주국민당]]''' || '''78표''' || '''51.3%'''[* 당시에는 국회에서 간선제로 실시했는데, 여기의 수치는 결선투표의 수치이다. 1, 2차 선거는 [[제2대 부통령 선거]] 참고바람.] || {{{#fff '''당선'''}}} || || [[지청천]] || [[제2대 부통령 선거|1951년]] || [[김성수(1891)|2대]] || 2표 || 1.3% || 5위 || || [[조병옥]] || [[제3대 부통령 선거|1952년]] || [[함태영|3대]] || 575,260표 || 8.1% || 3위 || || '''[[장면]]''' || '''[[제4대 부통령 선거|1956년]]''' || '''[[장면|4대]]''' || '''[[민주당(1955년)|민주당]]''' || '''4,012,654표''' || '''46.43%''' || {{{#fff '''당선'''}}} || === 국회의원 선거 === || 연도 || 국회 || 정당 || 전체 의석수 || 지역구 || 비례 || 결과 || || [[제헌 국회의원 선거|1948년]] || [[제헌 국회의원|1대]] || [[한국민주당]] || 29 / 200 || 29 / 200 ||<|8> -[* 비례대표제 없음] || 원내 2당 || ||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0년]]''' || '''[[제2대 국회의원|2대]]''' ||<|2> '''[[민주국민당]]''' || '''24 / 210''' || '''24 / 210''' || {{{#000000 '''원내 1당'''}}} || || [[제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 3대 || 15 / 203 || 15 / 203 || 원내 2당 || ||<|2> [[제4대 국회의원 선거|1958년]] ||<|2> 4대 || [[통일당]] || 1 / 233 || 1 / 233 || 원내 3당 || ||<|3> '''[[민주당(1955년)|민주당]]''' || 80 / 233 || 80 / 233 || 원내 2당 || ||<|3> '''[[제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 || '''초대 참의원''' || '''31 / 58''' || '''31 / 58''' || {{{#ffffff '''원내 1당'''}}} || ||<|2> '''5대''' || '''175 / 233''' || '''175 / 233''' || {{{#ffffff '''원내 1당'''}}} || || [[통일당]] || 1 / 233 || 1 / 233 || 원내 5당 || ||<|4> [[제6대 국회의원 선거|1963년]] ||<|4> 6대 || [[민정당]] || 40 / 175 || 26 / 131 || 14 / 44 (20.1%) || 원내 2당 || || [[민주당(1963년)|민주당]] || 14 / 175 || 9 / 131 || 5 / 44 (13.5%) || 원내 3당 || ||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 || 9 / 175 || 6 / 131 || 3 / 44 (8.1%) || 원내 4당 || ||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 2 / 175 || 2 / 131 || 0 / 44 (8.8%) || 원내 4당 || || [[제7대 국회의원 선거|1967년]] || 7대 ||<|2> [[신민당(1967년)|신민당]] || 45 / 175 || 28 / 131 || 17 / 44 (32.7%) || 원내 2당 || ||<|3> [[제8대 국회의원 선거|1971년]] ||<|3> 8대 || 89 / 204 || 65 / 153 || 24 / 51 (44.4%) || 원내 2당 || || [[국민당(1971년)|국민당]] || 1 / 204 || 1 / 153 || 0 / 51 (4.1%) || 원내 3당 || || [[민중당(1967년)|민중당]] || 1 / 204 || 1 / 153 || 0 / 51 (1.4%) || 원내 4당 || ||<|2> [[제9대 국회의원 선거|1973년]] ||<|2> 9대 || [[신민당(1967년)|신민당]] || 52 / 219 || 52 / 146 ||<|4> -[* 비례대표제 없음] || 원내 2당 || || [[민주통일당]] || 2 / 219 || 2 / 146 || 원내 2당 ||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1978년]] ||<|2> 10대 || [[신민당(1967년)|신민당]] || 61 / 231 || 61 / 154 || 원내 2당 || || [[민주통일당]] || 3 / 231 || 3 / 154 || 원내 3당 || ||<|2> [[제11대 국회의원 선거|1981년]] ||<|2> [[제11대 국회의원|11대]] || [[민권당]] || 2 / 276 || 2 / 184 || 0 / 92 (6.7%) || 원내 4당 || ||<|2> [[민주한국당]] || 81 / 276 || 57 / 184 || 24 / 92 (21.6%) || 원내 2당 || ||<|3> [[제12대 국회의원 선거|1985년]] ||<|3> [[제12대 국회의원|12대]] || 35 / 276 || 26 / 184 || 9 / 92 (19.7%) || 원내 3당 || || [[신한민주당]] || 67 / 276 || 50 / 184 || 17 / 92 (29.3%) || 원내 2당 || || [[신민주당(한국)|신민주당]] || 1 / 276 || 1 / 184 || 0 / 92 (0.6%) || 원내 6당 || ||<|3>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3> [[제13대 국회의원|13대]] || [[평화민주당]] || 70 / 299 || 54 / 244 || 16 / 75 (19.3%) || 원내 2당 || || [[통일민주당]] || 59 / 299 || 46 / 244 || 13 / 75 (23.8%) || 원내 3당 || || [[한겨레민주당]] || 1 / 299 || 1 / 244 || 0 / 75 (1.3%) || 원내 5당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992년]] || [[제14대 국회의원|14대]] || [[민주당(1991년)|민주당]] || 97 / 299 || 75 / 237 || 22 / 62 (29.2%) || 원내 2당 ||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996년]] ||<|2> [[제15대 국회의원|15대]] || [[새정치국민회의]] || 79 / 299 || 66 / 253 || 13 / 46 (25.3%) || 원내 2당 || ||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 15 / 299 || 9 / 253 || 6 / 46 (11.2%) || 원내 4당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2000년]] || [[제16대 국회의원|16대]] ||<|2> [[새천년민주당]] || 115 / 273 || 96 / 227 || 19 / 46 (35.9%) || 원내 2당 || ||<|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2> '''[[제17대 국회|17대]]''' || 9 / 299 || 5 / 243 || 4 / 56 (7.1%) || 원내 4당 || || '''[[열린우리당]]''' || '''152 / 299''' || '''129 / 243''' || '''23 / 56 (38.3%)''' || {{{#000000 '''원내 1당'''}}} || ||<|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2008년]] ||<|2> [[제18대 국회|18대]]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81 / 299 || 66 / 245 || 15 / 54 (25.2%) || 원내 2당 || || [[창조한국당]] || 3 / 299 || 1 / 245 || 2 / 54 (3.8%) || 원내 6당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 || [[제19대 국회|19대]] || [[민주통합당]] || 127 / 300 || 106 / 246 || 21 / 54 (36.5%) || 원내 2당 ||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2> '''[[제20대 국회|20대]]'''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38 / 300 || 25 / 253 || 13 / 47 (26.7%) || 원내 3당 || ||<|2> '''[[더불어민주당]]''' || '''123 / 300''' || '''110 / 253''' || '''13 / 47 (25.5%)''' || {{{#ffffff '''원내 1당'''}}} || ||<|4>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4> '''[[제21대 국회|21대]]''' || '''163 / 300''' || '''163 / 253''' || '''0 / 47 (후보 없음)''' || {{{#ffffff '''원내 1당'''}}}[* 더불어시민당과 합산하여 180석] || || [[더불어시민당]] || 17 / 300 || 0 / 253 || 17 / 47 (33.35%) || 원내 4당[* 더불어민주당의 연합정당] || || [[열린민주당]] || 3 / 300 || 0 / 253 || 3 / 47 (5.42%) || 원내 7당 || || [[민생당]] || 0 / 300 || 0 / 253 || 0 / 47 (2.71%) || 원외 정당 || === 지방선거 === || 연도 || 횟수 || 정당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 [[광역자치단체]]의회의원 || [[기초자치단체]]의회의원 || ||<|2> [[1991년]] ||<|2> [[1991년 지방선거|1991년]] || [[신민주연합당]] ||<-2><|2> -[* 광역자치단체장와 기초자치단체장은 그 당시 임명직이다.] || 165 / 866 ||<|2> -[* 기초의원직에 정당공천제가 실시되지 않아 정당 소속이 없었다] || || [[민주당(1990년)|민주당]] || 21 / 866 || || '''[[1995년]]'''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회]]''' || [[민주당(1991년)|'''{{{#ffffff 민주당}}}''']] || '''4 / 15''' || '''84 / 230''' || '''353 / 875''' ||<|3> -[* 기초자치단체의회 없음] || || '''[[1998년]]'''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2회]]''' || '''[[새정치국민회의]|{{{#ffffff 새정치국민회의}}}]]''' || '''6 / 16''' || '''84 / 232''' || '''271 / 616''' || || [[2002년]]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회]] || [[새천년민주당]] || 4 / 16 || 44 / 232 || 143 / 682 || ||<|2> [[2006년]] ||<|2>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회]] || [[새천년민주당|민주당]] || 2 / 16 || 20 / 230 || 80 / 733 || 276 / 2888 || || [[열린우리당]] || 1 / 16 || 19 / 230 || 52 / 733 || 630 / 2888 || ||<|3> '''[[2010년]]''' ||<|3>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회]]''' || [[민주당(2008년)|'''{{{#ffffff 민주당}}}''']] || '''7 / 16''' || '''92 / 228''' || '''360 / 761''' || '''1025 / 2888''' || || [[국민참여당]] || 0 / 16 || 0 / 228 || 5 / 761 || 24 / 2888 || || [[창조한국당]] || 0 / 16 || 0 / 228 || 0 / 761 || 1 / 2888 || || '''[[2014년]]'''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회]]''' || '''[[새정치민주연합|'''{{{#ffffff 새정치민주연합}}}''']]''' || '''9 / 17''' || '''80 / 226''' || '''349 / 789''' || '''1157 / 2898''' || ||<|3> '''[[2018년]]''' ||<|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14 / 17''' || '''151 / 226''' || '''652 / 824''' || '''1639 / 2927''' || || [[민주평화당]] || 0 / 17 || 5 / 226 || 3 / 824 || 49 / 2927 || || [[바른미래당]][* [[대한민국 보수정당|보수정당]]으로도 분류] || 0 / 17 || 0 / 226 || 5 / 824 || 21 / 2927 || || [[2022년]]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 [[더불어민주당]] || 5 / 17 || 63 / 226 || 322 / 872 || 1384 / 2988 || == [[민주당계 정당/역대 전당대회|전당대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민주당계 정당/역대 전당대회)] == 진보정당과의 관계 == [include(틀:MPOV, 토론번호=AFoolishAndWeakPull)]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AFoolishAndWeakPull, 합의사항1=진보적 민주당계 정당이 진보정당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한 측에게 해당 측 서술 권리를 부여하는 것으)] ||본 단락에서 말하는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은, 정당의 이념이 아닌 대한민국 정치사에서의 계보에 따라 구분해 지칭한다.|| "진보적 방향으로 선회하는 경향을 보여온 민주당계 정당을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의 일부로 봐야 하는가?"의 문제는 "[[대한민국/정당|대한민국의 정당]]을 정치적 지형을 기준으로 구분하여야 하는가 아니면 계파를 기준으로 분류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과 그 궤가 같다. 정치적 지형을 기준으로 볼 경우, 사실상의 양당제 구도로 정치지형이 형성된 한국 특성상 민주당계 정당을 [[진보주의|진보]]정당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당의 분류를 단순히 진보-보수의 성향만으로 구분하는 것은 대한민국 정당의 계보를 극단적으로 단순히 해야만 가능하다. 민주당계 정당은 창당 이래 지금까지 여러 차례의 이념 변화와 [[분당(정치)|분당]] 등의 사건을 겪었고, 이 과정에서 일부 민주당계 정당은 진보가 아닌 [[중도주의|중도]]나 [[보수주의|보수]]의 색채를 가진 적도 많이 있었다. 게다가 '민주당계 정당'이라는 용어는 각 메이저 언론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26/2016022601405.html|조선일보]], [[http://mdev.yna.co.kr/kr/contents/?cid=GYH20151228001300044|연합뉴스]], [[http://www.hankookilbo.com/m/v/2e7c27e75cd94688803bbb514b1df04a|한국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1855416||중앙일보]] 등의 언론에서 '민주당계' 또는 '민주당계 정당'이라는 하나의 정당 분류나 계보를 사용하고 있다.]나 논문, 학술 목적의 연구에서도 사용될 만큼[* 한 사례로, [[영남대학교]] 정치학과 김학노 교수가 [[21세기]] [[대한민국]]의 통일 정책에 대해 분석한 논문([[http://www.assembly.re.kr/module/board/download.php?boardid=data&b%20idx=501&idx=674&usg=AFQjCNHyFrULCEXlgXlZdfgUsZ9bWQKv7Q|해당 논문, 링크 클릭 시 pdf 파일이 자동 다운로드되니 주의]])에서는 대한민국의 양대 정치 세력을 '보수계 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민주당계 정당'이라는 계파는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과는 별도의 계파로 공인되어 있다. 게다가 민주당계 정당 본인들 역시 '진보정당'이나 '보수정당'이 아닌, '민주당계 정당' 그 자체를 자신들의 이념 정체성으로 삼고 있다. 게다가 민주당계 정당의 경우, 자신들의 현 입장이나 정치적 사건 등으로 인해 [[중도우파|중도보수]] 쪽으로 기울어진 사례가 여러 차례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통합진보당 위헌정당해산 사건|통합진보당 해산]] 당시 [[민주당(2013년)|민주당]] 및 [[새정치민주연합]]은 통합진보당이 해산하게 된 결정적 계기였던 [[통합진보당 내란음모 수사 사건]]의 엄정 수사를 촉구하는 등 민심이 바닥으로 떨어졌던 진보정당과 거리를 두기 위해 우클릭을 하기도 했다.[* 참고로 통합진보당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진보정당들은 통합진보당 해산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당시 통합진보당과 결렬한 입장이었던 [[정의당]]과 북한에 매우 적대적인 입장을 취했던 [[노동당]], [[녹색당]] 모두 통합진보당 해산에 반대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간의 입장 차이가 극명하게 갈린 사례.'''][* 다만 [[이석기]] 체포에 관해서는 진보정당 사이에서도 입장이 갈렸는데, 정의당은 반대 입장에서 찬성 입장으로 선회하였고, 노동당은 끝까지 반대했다.] 다만, 21세기 들어 대체적으로는 민주당계 정당도 진보적인 성향으로 선회하고 있으며[* 박윤희 ( Yun-hee Park ) , 김민수 ( Min-su Kim ) , 박원호 ( Won-ho Park ) , 강신구 ( Shin-goo Kang ) , 구본상 ( Bon Sang Koo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의정연구> 49권0호 (2016), pp.117-157],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기존의 민주당계 정부에 비해 확실히 좌경화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정치 구도상 같은 범진보 계열로 분류되긴 하나 민주당계 정당과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은 입장 차이가 상당히 크다. 한 가지 예를 들면, 현존하는 진보정당들은 기존의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민주당계 정당의 양강 구도를 깨려는 의지가 강하다. 그래서 민주당계 정당에서는 선거 때마다 진보정당과의 후보 단일화 문제를 두고 '[[진보주의|진보]] 성향의 표를 모으느냐 아니면 진보 성향의 표를 포기하고 [[중도우파|중도보수]] 외연을 넓히느냐'라는 이슈 때문에 당 내부에서도 늘 시끄러웠다. 그래서 민주당계 정당 일부에서는 '진보정당과 연정을 하느니 차라리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과 연정하는 것이 속 편하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진보정당의 시각에서 봐도 민주당계 정당이 추구하는 정책의 지향성이나 선거에서의 진보정당에의 단일화 요구 등이 자신들의 마음에 들 리가 없다. 더욱이 진보정당의 정책적 방향에서 결코 충분하다고 보기 어려운 민주당계 정당의 성향에도 불구하고 같은 범진보로 분류된다는 이유만으로 민주당계 정당에 끌려다니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일일 것이다. 민주당계 정당이 점차 진보적으로 되더라도, [[매일경제신문]] 정치부, [[MBN]] 정치부 기자 20명이 기사를 작성하는 레이더P의 조사에 따르면([[http://raythep.mk.co.kr/newsView.php?cc=210001&no=12390|법안 표결로 본 국회의원 300명의 이념성향]]), [[정의당]]이 진보 쪽으로 -0.83만큼 치우쳐 있을 때(-1~1범위 내에서) [[더불어민주당]]은 -0.13만큼만 진보 쪽으로 가 있는 등, 같은 진보적 노선이라 하더라도 민주당계 정당은 다른 진보정당들만큼 강경하게 좌파 쪽으로 이행하고 있지는 않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오히려 보수 쪽으로 0.15만큼 가 있다. 민주당계 정당은 [[이종찬(1936)|이종찬]], [[이인제]], [[손학규]], [[오유방]], [[김종인]], [[진영(정치인)|진영]] 같이 보수정당 출신의 인물이 넘어오기도 하고[* 다만 현재는 진영, [[박재호]], [[김부겸]], [[이시종]], [[조정식(1963)|조정식]]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다 탈당한 상태. 심지어 이 경우도 대부분 [[열린우리당]]을 창당했을 때 보수정당과 성향이 맞지 않아 합류했던 인사들이다. 보수정당에 1~2년 이하로 잠깐 머문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보수정당계 인사라 보기 어렵다.] 민주당계 자생적인 인물들 중에서도 [[박영선]] 같은 보수적 인사들이 존재하기도 한다. [[제19대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중도주의|중도]]~[[중도우파|중도보수]] 쪽으로 외연을 확장하기도 하였다. 다만, 민주당계와 진보계 정당이라는 두 당사자가 이러한 입장 차이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그 바깥에 있는 강경 보수 세력들은 두 계열의 정당들을 싸잡아 [[좌파]]라고 하거나 [[빨갱이]], [[종북주의자]]로 매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식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9대 대선]]에서 [[홍준표]] 당시 [[자유한국당]] 후보의 발언이다.([[http://www.hankookilbo.com/v/d54d883f8c9245de9dbcdbf8c175f1dc|한국일보의 보도]],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133963|SBS의 보도]]).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약 10년 동안의 보수정권 시대가 개막하고 [[한나라당]] - [[새누리당]] 정권 동안 보수적인 정책이 이어지면서, 이에 반대하는 야당이었던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들은 공동의 적에 맞서서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제18대 대통령 선거|18대 대선]]에서 [[이정희]] 당시 [[통합진보당]] 후보가 대선 후보 토론회에 나와 "자신은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되러 나온 것이 아니라 단지 [[박근혜]]를 떨어트리기 위해 나왔을 뿐이다"라는 식으로 당시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사이에 사실상의 '반 박근혜' 공동전선이 형성된 적도 있고, [[2016년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 당시에는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총력전 태세로 필리버스터에 참여하기도 했다.[* 당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은 일부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필리버스터에 참여하기만 하였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에는 정부의 인선 및 정책 등에 가장 협조적으로 나오는 야당이 [[정의당]]이기도 한 만큼[* 오히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정의당]]보다 여당([[더불어민주당]])의 정책에 관해 반대가 심했다. 애초에 [[새정치민주연합]]이 당내 갈등으로 분열했던 것을 보면 이러한 국민의당의 태도가 이해되지 않는 건 아니지만. 국민의당이 분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반 여당(더불어민주당) 기조는 국민의당을 계승한 양당에게 이어지는 형태를 보였다.] 현재는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이 상당히 친밀해진 듯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 [[10차 개헌]]을 가지고 진보정당이 보수정당들과 같이 국회 중심의 개헌 스탠스를 취함에 따라 갈등이 생긴 상황. [[더불어시민당]] 출범 당시, 민주당 측에서는 야권 단합을 명분으로 노동당, 녹색당, 미래당, 민중당 같은 진보정당들을 끌여들였으나, [[기본소득당]]을 제외하면 합류 과정에서 잡음이 생겨 최종적으로 불참하였고, 특히 녹색당의 경우 더불어시민당 합류에 적극적이였으나, 성소수자 후보 공천 문제를 두고 민주당과 의견이 갈려 결국 최종적으로 불참하였다. 최근의 진보정당들이 탈민주, 독자노선을 걷고있기 때문에, 민주당과의 관계가 멀어지고 있는 상황, 특히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민주당과 정의당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2023년 기준으로 민주당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있는 진보정당은 기본소득당과 [[진보당(2020년)|진보당]] 정도인데, 기본소득당은 존재감이 크지 않고, 진보당의 경우는 NL계열에 대한 거부감 탓에, 무조건 우호적으로 보기보다는 [[오월동주]]하는 경향이 크다. 이렇듯 진보정당은 민주당계 정당과 협력과 결렬을 역사적으로 반복해온 사이다. 유권자의 입장에서는 개인의 사상이 진보정당을 지지하고 그들의 이념에 더욱 가깝더라도 진보정당 계열의 세력이 미약한 것을 감안하여 투표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에 표를 행사하는 [[전략적 투표]]를 보여주기도 한다.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국회의원 선거]]에서 진보정당이 전국 모든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못하는 만큼, 선거에서 진보정당 지지자들이 지역구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에서 출마한 후보에 투표하고, [[비례대표]] 투표는 진보정당에 투표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반면에 진보정당이 아닌 민주당의 강성 지지자들 입장에서는 진보정당을 중도층들이 싫어하는 비현실적인 소리나 하는 바보들 취급하고 보수 정당을 막기 위해 단일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은 편이다. 정리하자면 [[신익희]]-[[조병옥]]-[[장면]]-[[윤보선]]-[[유진산]]-[[김영삼]][* [[3당 합당]] 후 보수정당으로 갔지만 과거 민주당계 정당의 경선후보나 당대표를 하기도 했다.]-[[이기택]]-[[김대중]]-[[노무현]]-[[손학규]]-[[문재인]]-[[이재명]] 순으로 여러 대표와 대통령을 거치며 보수 성향에서 점점 진보 성향으로 변해가기는 했지만, '''뿌리는 진보정당과 다르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정치]] * [[대한민국/정당]] * [[대한민국 보수정당]] * [[대한민국 진보정당]] * [[동교동계]] / [[상도동계]][* 반독재 투쟁 당시 [[동교동계]]와 함께 민주당계 정당의 양대 산맥이었다. [[김영삼]] 총재가 1990년 [[3당합당]]으로 인해 보수정당인 [[민주자유당]]으로 이동하면서 [[상도동계]]들은 보수 정당으로 합류한다.] * [[친노]] / [[비노무현|비노]] * [[참여계]] * [[친문]] / [[비문재인|비문]] * [[친안희정]] * [[친이재명]] * [[손학규계]] * [[민평련]] * [[민주계]] * [[김성수(1891)|김성수]] * [[송진우(독립운동가)|송진우]] * [[신익희]] * [[조병옥]] * [[윤보선]] * [[장면]] * [[유진오]] * [[김영삼]]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include(틀:한국의 정부수립 이전 정당)]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제1공화국-제4공화국))]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제5공화국-문민정부))]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국민의 정부-참여정부))]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이명박 정부))]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박근혜 정부))]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문재인 정부-현재))] [[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