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jpg|width=100%]]}}} || ||<-2>{{{+1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br]{{{#!wiki style="font-family: Times, serif" '''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 ||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제작''' ||[[1830년]]|| || '''사조''' ||[[낭만주의]]|| || '''종류''' ||유화|| || '''기법''' ||캔버스에 유화|| || '''크기''' ||260cm × 325cm|| || '''소장'''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br][[루브르]]|| ||<-2> || [목차] == 설명 == 불어: La Liberté guidant le peuple 영어: Liberty Leading the People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은 [[프랑스]]의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가 그린 작품이다.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루브르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 역사적 배경 == 흔히들 [[프랑스 혁명]]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알고 있지만, 정확히는 [[1830년]] [[7월 혁명]]을 기념하기 위해 그린 그림이다.[* 비슷하게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작품이 [[레 미제라블]]이다.] 하지만 세계사에 별다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에게 이 그림을 보여주고 '이 그림이 무엇을 기념하기 위해 그린 것입니까?'하고 물어보면 십중팔구 [[프랑스 혁명]]이라고 대답한다.[* 실제로 중·고등학교 [[미술(교과)|미술]] [[기말고사]]나 대학교 [[교양과목]]으로 [[미술]] 관련 교양에서 [[시험]]을 볼 때 [[객관식]]이나 [[주관식]] 단답형으로 학생들을 많이 낚을 수 있는 작품이며 오답률이 가장 높다.] 참고로 이 그림의 부제는 '1830년 7월 28일'. [[7월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쫓겨나고 그 뒤에 왕이 된 사람이 [[프랑스 대혁명]] 때 혁명파로 이름을 날렸던 [[루이 필리프 1세]]로, 입헌 군주[* 루이 필리프가 퇴위되기 전까지 그의 입헌 군주정은 '7월 왕정'으로 불렸다.]로 즉위했다. 근데 말이 입헌 군주였지 실상은 소수의 부유한 지주층이 권력을 잡고 있었기에 사실상 '''독재왕정'''에 가까웠다. [[7월 왕정]]에 대한 불만은 [[산업 혁명]]이 시작되면서 새로 등장한 산업자본가와 노동자의 세력이 등장하면서 불만이 심해졌고, 이는 [[프랑스 2월 혁명|2월 혁명]]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 그림 해설 == 그림 앞의 시체와 그림 속 인물들이 그리는 그림의 중앙에서 우측으로 약간 치우친 역삼각형 모양 등, 그림의 전반적인 구도가 테오도르 제리코의 1816년 작, 메두사의 뗏목과 매우 흡사하다. 깃발을 들고 있는 여인은 제목대로 [[로마 신화]]의 자유의 여신 [[리베르타스#s-2]]라고 볼 수도 있고, [[프랑스]]를 상징하는 의인화 캐릭터인 [[마리안(프랑스)|마리안(느)]]이라고 볼수도 있다. 이때 마리안(느) 라는 이름은 당시 프랑스에서 가장 흔한 이름이었던 '마리'와 '안느'의 의 합성어라는 이야기도 있다. 물론 [[마리안(프랑스)|마리안]]라는 캐릭터가 여신 [[리베르타스]]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자유의 여신 왼편에 소총을 든 신사는 화가 본인의 모습을 본땄다. 이렇게 [[오너캐|화가 본인을 자신의 그림 속에 집어넣는 일]]은 바로크 시대부터 비일비재하게 있어왔다. [[아테네 학당]]의 [[라파엘로 산치오]]나 [[최후의 심판]]의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등의 거장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림 속 프랑스 국기인 삼색기를 들고있는 여성 옆의 아이는 훗날 [[프랑스]]의 소설가 [[빅토르 위고]]가 [[레 미제라블]]을 집필할 때 [[테나르디에 가족#s-4|가브로슈]]의 모티브가 된다. 이 그림은 영화 [[존 윅 4]]에서도 등장했다. [[빈센트 드 그라몽]]이 윈스턴을 통해 존 윅의 결투 신청을 받는 장면에서, '사르다나팔루스의 죽음'와 함께 볼 수 있다. == 패러디 == 무명이었던 들라크루아를 단숨에 유명하게 만든 작품이니만큼 패러디도 많다. [[http://image.zdnet.co.kr/2012/03/14/VEIHSFRkfmnhFcEvJZIP.jpg|미국에 존재하는 광팬(fanboys)과 팬덤들을 풍자한 그림]]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4/4e/Viva_La_Revolution.jpg|일본 록그룹 Dragon Ash의 1999년 앨범 발표때 만든 표지]]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ouse0637&logNo=50173651287&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미국 인디밴드 홀드유어호스(Hold your Horses)의 70 Million. 참고로 이 그림 말고도 여러 명화들에 등장하는 존재들을 패러디했다.]] [[http://pub.cyphers.co.kr/images/20121009/1349714900147.jpg|사이퍼즈 버전]] [[http://www.overkillsoftware.com/ovk-media/2016/10/hox-daydeal-wallpaper.png|강도들을 이끄는 범죄의 여신(...)]] [[페이데이 2]] 패닉 룸 하이스트 업데이트로 나온 일러스트다. [[https://www.rollingstone.com/culture/culture-news/kadir-nelson-cover-artwork-july-2020-1014011/|Black Lives Matter (2020년 조지플로이드 사망 항의시위) 버전.]] [[콜드플레이]]의 히트곡 [[Viva la Vida(콜드플레이)|Viva la Vida]]가 수록 된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의 앨범 커버가 바로 이 그림으로, 뮤직비디오에서도 왕이 이 그림을 들고 방랑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의 [[영조]] 실록과 [[정조(조선)|정조]] 실록 편에 각각 쓰였다. 영조 실록 편에선 [[정순왕후(조선 영조)|정순왕후]]의 [[사도세자]] 모함설을 다루면서 정순왕후가 여신의 포지션으로, 그리고 [[홍봉한]], 김상로 외의 다른 [[노론]]들이 따라오는 구도로 패러디했다. 정조 실록 편에선 [[프랑스 대혁명]]을 언급하느라 그냥 그림을 썼다. 근데 이 그림은 프랑스 대혁명이 아니라 1830년 7월 8일 혁명이라 고증오류였고 개정판에서 바스티유 감옥 습격으로 교체되었다. 사계절 출판사에서 출간했던 <역사신문>에서는 [[임오군란]]을 설명하면서 [[명성황후 민씨]]를 '[[https://blog.naver.com/lonlyhaki/140203474068|청군을 이끄는 조선의 여신]]'이란 만평으로 패러디했다.(그린이 이은홍 화백) 제목 그대로 청군이 뒤따르고 앞에는 조선 백성들이 쓰러져 있어서 민씨에 대해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파일:external/pm1.narvii.com/8d332ab015bb96b7d520ee7403cdf009149f210c_hq.jpg|width=500]] [[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지루한 세계]] 애니판 오프닝에도 매번 나온다. [[Fate/Grand Order]]에 등장하는 개념예장 [[Fate/Grand Order/개념예장/★★★★★(SSR)/2016년 이벤트#s-6.2|칼데아를 이끄는 소녀]]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만화 [[원피스(만화)|원피스]]의 등장인물 [[혁명군]] 동군 군대장 [[벨로 베티]]의 모티브도 이 그림이다.[* 출처 : 단행본 95권 SBS.] 베티의 능력 [[격려격려 열매]]의 힘이 바로 깃발을 휘두르는 것으로 사람들의 전위를 솟구치게 하는 것이다. [[파일:민주를 이끄는 홍콩의 민중.jpg|width=500]]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버전. 원작과 달리 군중이 안전모와 방독면과 고글, 그리고 우산을 장착했다. [[한국전쟁]] 당시의 부산에서는 대한노총(현 [[한국노총]]) 소속의 간부들과 어느 여전사가 남침해 온 [[조선인민군]]과 맞서 싸우는 구도의 그림이 걸렸다.[[https://blog.naver.com/pzkpfw3485/221008562861|링크]] [[비비안(기업)|비비안]]은 민중의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소재로 한 [[https://www.youtube.com/watch?v=fCH5krqLDvY|속옷 광고]]를 제작했다. [[무한도전]] 패션화보편에서도 패러디 되었다. 여기서 여신 역은 모델 [[장윤주]]였다. [[2011년]] 달력 제작을 위한 [[도전 달력모델]] 프로젝트에서 3월 달력 표지로 각 명화를 패러디하면서 같이 등장.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84086593002048&mediaCodeNo=258|#]] 보그 코리아 3월호에도 실렸다. [[소녀전선 인형소극장]] 치유편 2기 11화에서 디너게이트 RO가 자신이 인형이던 시절을 회상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나오는 두 번째 회상씬이 딱 이 그림의 패러디다. 드라마 [[빈센조]] 7화의 금가프라자 사람들과 용역들의 난투극 엔딩장면에서 패러디되었다. [[기숙학교의 줄리엣]] 10권 63화에서 패러디되었다. 여기서 중심을 차지한 것은 [[코마이 하스키]]고, 엎드려서 하스키를 바라보는 것은 코히츠지 에이고다. [[현실주의 용사의 왕국 재건기]] 코믹스판 2권 표지에서 [[리시아 엘프리덴]]이 자유의 여신의 포즈를 오마쥬했다. [[마왕성에서 잘 자요]] 219화에서도 패러디되었다. [[차이나타운(인천)]] 벽화 거리에 이 그림의 구도를 따서 [[진승·오광의 난]]을 묘사한 그림이 있다. > 진승·오광의 봉기 - 왕후장상영유종호(王侯將相寧有種乎)! > 하남 양성 사람 진승과 양하 사람 오광이 축성 공사에 동원된 백성들을 선동하여 민란을 일으킨다. 진(陳)을 점령하고 군세를 불려 함양을 공격할 정도로 기세를 올린다. 병맛 개그 게임 [[던전스 2|던전스]] [[던전스 4|시리즈]]에서도 [[https://m.youtube.com/watch?v=6KO0U55PBUY|패러디]][[https://m.youtube.com/watch?v=yNVTkygk0Ss|되었다.]] 이 작품에서는 사악한 몹들을 이끄는 악의 간부 다크엘프의 모습이라 원작 그림과는 이미지가 완전히 반대다. [[분류:19세기 작품]][[분류:회화 작품]][[분류:실화 바탕 그림]][[분류:루브르 박물관 소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