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년 시위]][[분류:2016년 시위]][[분류:2017년 시위]][[분류:2018년 시위]][[분류:박근혜 정부]][[분류: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집회]][[분류:문재인 정부]] [목차] == 개요 == [[2015년]] 11월부터 비정기적으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주도 하에 53개 단체에서 주최한 노동운동 집회. [[2015년]] [[11월 14일]]에 1차 집회, [[12월 5일]]에 2차 집회, [[12월 19일]]에 3차 집회가 열렸다. [[2016년]] [[2월 27일]]에 4차 집회, [[3월 26일]]에는 5차 집회가 진행되었다. [[2016년]] [[11월 12일]]과 [[2017년]] [[2월 25일]]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와 탄핵을 촉구하는 [[2016년 11월 민중총궐기|6차 집회]]와 [[2017년 2월 민중총궐기|7차 집회]]가 열렸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고. == [[2015년 11월 민중총궐기|1차 집회]] (2015년 11월 14일) == 문서 참고 == [[2015년 12월 5일 민중총궐기|2차 집회]] (2015년 12월 5일) == 문서 참고 == [[2015년 12월 19일 민중총궐기|3차 집회]] (2015년 12월 19일) == 문서 참고 == 4차 집회 (2016년 2월 27일) == [[파일:external/fbcdn-photos-b-a.akamaihd.net/12473761_1021362497934475_1955670948962744330_o.png]] 2016년 2월 27일 민중총궐기투쟁본부 개최로 서울광장에서 열렸다. [[민주노총]], 전국농민회, [[백남기]]범국민대책위원회 순례단[* 2월 11일 보성에서 출발에 도보 행진을 하며 서울로 왔다.], 4.16 연대, 공무원노조, 전쟁반대평화실현국민행동 등의 단체가 참여해 주최측 추산 2만명, 경찰 추산 1만 3000명이 모였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8216753&date=20160227&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2|관련 기사]] 정부의 '[[박근혜정부/노동개혁|노동개악]]'은 [[근로기준법]]의 취지를 부정하는 것이고, 대선 당시 농민들에게 약속했던 쌀값 보장 약속을 파기했다며 밥쌀 수입 중단[* 앞서 2015년 12월에 정부가 밥쌀을 추가 수입하기로 결정해, 농민 단체에서는 이미 쌀값이 폭락하는 가운데 쌀 추가 수입이 웬 말이냐며 반발했다.]을 주장했다. 또한 [[2015년 11월 민중총궐기]] 때 경찰의 물대포에 맞아 중태에 빠진 [[백남기]]씨에 관한 책임자 처벌과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에 협조할 것을 촉구했고, [[THAAD]]의 한반도 배치 반대도 주장했다. 오후 3시부터 시작된 집회는 5시 30분 경 종료됐고, 이후 서울광장에서 대학로까지 행진한 후 해산했다. 경찰과 충돌 없이 평화롭게 끝났다. == 총선투쟁승리 범국민대회(5차 집회, 2016년 3월 26일) == [[파일:external/nodong.org/3871e90969687123b19706cd84b9f88a.png]] [[파일:external/www.gunchi.org/photo_2016-03-23_11-23-06.jpg]] 2016년 3월 26일 서울을 비롯해 부산, 대구, 전주, 창원, 제주 등 전국 14곳에서 집회가 열렸다. 서울의 경우 주최측 추산 2만 여명, 경찰측 추산 4천 여명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3654200|참가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시점이라 경찰에서는 선거법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엄단하겠다고 경고했고, 집회 중에는 선관위 관계자들도 경찰과 동행해 선거법 위반 여부를 점거했다. 그동안 민중총궐기에서 계속됐던 [[노동개악]] 반대 등을 비롯해 총선을 통해 [[박근혜 정부]]를 심판하자는 구호가 나왔지만, 특정 정당을 거론한 건 아니라서 경찰측은 선거법 위반 행위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다만 집회 중 [[민중연합당]] 명함이 발견되면서 선관위 관계자들이 명함을 회수했다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701424|한다.]] 6시경 집회가 끝난 후 400여명 가량이 서울광장으로 향하면서 경찰과 대치하는 일도 있었다. 이름이 5차 민중총궐기가 아니라, '''총선투쟁승리 범국민대회''' 인것은, 총선이 다가옴을 기념하여, 민중총궐기 투쟁본부와 2016총선공동투쟁본부가 공동 개최한 시위이기 때문이다. 원래 이름은 '''총선승리 민중대회'''였다가 수정되었다. ~~그런데 언론에서는 다들 5차 민중총궐기라고 부른다.~~ [[파일:external/thumb.mt.co.kr/2016032617508210655_1.jpg]] 본 대회는 오후 3시에 서울역광장에서 열렸다. 2만 여명의 시민(경찰 추산 4천명)~~맨날 경찰 추산이 항상 더 적단 말이야.~~들이 운집하였고, 경찰은 외곽에만 차벽을 쳐놓았으며, 평화집회를 보장했다. [[정의당]],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민중연합당]], 사회변혁노동자당이 시위에 참가했다. 노동당은 구교현 대표와, [[용혜인]] 비례대표 후보가 직접 참가하였다. 식순에 북 세레모니와 같은 공연들도 물론 있었으며, 딱히 선거법 위반 정황은 없어, 경찰 강경대응은 없었고, 마지막 [[민중의 노래]]를 기점으로 본 행진에 들어갔다. 은근 빨리 진행된 듯. 선거로 박근혜 정권을 심판하자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하였으나, 특정 정당을 지칭한것이 아니므로, 선거법 위반이 아니라고 경찰은 판단했다. [[파일:external/photo.wspaper.org:8080/20160327150348_0024.jpg]] 본 대회 후에 바로 [[서울시청]] 앞 청계천까지 행진을 하였다. 경찰과의 충돌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졌고, 오후 6시 경 마무리 집회를 한 후에 해산하였다. 그러나, 해산 후에 대부분의 시위대들은 서울광장에 신고되어있는 집회인 [[유성기업]] 관련 시위에 참석하였다. 해산 시에도, 분명 신고된 집회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archivenew.vop.co.kr/26084736_spike_JUC51509-1.jpg]] [[파일:external/img.focus.kr/2016032601205221182_M.jpg]] 그러나, 시위대들이 서울광장까지 행진하던 도중, 경찰의 차벽에 막혔다. 경찰은, 해당 시위가 미신고 불법시위이며, [[집시법]]에 따 라 불법이라고 주장하였으나, 시위대들은 계속해서 신고된 신고확인서를 보여주면서, 분명 신고가 되었다며 반발했다. 이후에 경찰이 '''1차 해산명령''' 을 내리고, 시위대들은 혹시 몰라서 인도로 모두 올라왔으나, 경찰은 그래도 제재하였다. 이후 2차 해산명령 이후, 제 3차 해산명령까지 발했고, 경찰들은 연행작전을 실시했고, 채증 및 [[캡사이신]]까지 등장하였다. 또한, 해산 후에도 채증사진을 통해 사법처리를 할것임을 경고했다. 이러한 충돌 당시에, [[노동당(한국)|노동당]] 대형 트럭이 신고된 집회라면서 경찰 방패부대를 밀어내기 시작했다. 시위대들은 이 광경을 보고 응원. 경찰이 이를 제재하자, 시위대들은 야당탄압이라고 야유하였다. 이후에, 곧 경찰이 길을 풀어줬고, 고공농성장 밑 빌딩까지 행진에 성공하였고, 서울광장까지 이동하여 촛불집회를 열었으나, 경찰은 서울광장에 차벽을 치고 다시 1차 해산명령을 내렸다. 이후에, [[촛불집회]]까지 해산하고 집회는 완전히 종료되었다. == [[2016년 11월 민중총궐기|6차 집회]] (2016년 11월 12일) == [Include(틀:박근혜 퇴진 요구 집회)]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집회]],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 [[파일:external/pbs.twimg.com/CuZiv_6VUAQxCn4.jpg|width=45%]] 2016년 11월 12일 오후 4시, 서울특별시청 [[서울광장]]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 가을, [[한국]]을 뒤흔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큰 영향을 끼칠 집회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만약 [[시국선언]]을 한 [[대학]]도 가담하면, [[1970년대]]~[[1980년대|80년대]]급 [[6월 민주항쟁|시]][[5.18 민주화운동|위]]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7시 30분경 시위 참여자 수가 시위대 추정으로 약 100만 명이 넘었으며 경찰 추산으로는 약 26만명 정도가 모였다. 자세한 내용은 [[2016년 11월 민중총궐기|해당 문서]] 참조. == [[2017년 2월 민중총궐기|7차 집회]] (2017년 2월 25일) ==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집회]],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25일에 진행된 집회이다. 이 날에도 [[2016년 11월 민중총궐기|지난 집회]]와 비슷한 약 107만 명의 참가자가 이 민중총궐기 집회와 17차 범국민행동 집회를 함께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8차 집회 (2018년 12월 1일)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10500654|국회 앞 1만5천명 대규모 민중대회…"文정부 개혁 역주행"]] == 9차 집회 (2022년 1월 15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