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사회주의 관련 문서)] || [[파일:DSA 월가시위.jpg|width=280]] || [[파일:BLM-NL-Utrecht-Myrthe-Minnaert-3.jpg|width=280]] || || 2011년 [[월가 점령 시위]]에 참여한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 || 2020년,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에서 BLM 시위에 참여한 [[BIJ1]] 주요 인사들. || [목차] {{{+2 '''Millennial socialism'''}}} [clearfix] == 개요 == [[1980년대]] 이후에 출생한 [[서구권]] 청년층, 특히 미국인과 영국인들이 그 이전 세대보다 [[사회주의]]에 더 지지를 보내는 현상, 혹은 [[밀레니얼 세대]]에서 보여지는 사회주의 운동, 사상 등을 가리킨다. == 상황 == === 영미권 === 2018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 18살~29살 청년층 가운데 51%가 사회주의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860208.html|#]] === 대한민국 === 2020년대 초반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구미권과 달리 대한민국의 밀레니얼 세대들은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 성향이 약한 편이다. [[박노자]]는 이에 대해 한국 청년층들은 학업과 생업으로 바쁜데다가 부모에게서 각종 지원을 받기 때문이라고 밝혔다.[[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2/01/32349/|#]] 이 외적 요소로는 현재 대한민국의 밀레니얼 세대들에 대북한 및 [[반중/국가별 사례/대한민국|대중국 인식이 대단히 좋지 않고]] 이것이 결국 사회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 과거 중국에 대한 감정이 나쁘지 않았던 [[2000년대]]에 당 강령 차원에서 사회주의를 내세웠던 민주노동당과 달리 [[2020년대]]에는 [[정의당]]과 [[진보당(2020년)|진보당]]이 좌파계열 원내정당임에도 공개적으로 (우파 사회민주주의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사회주의|원론적 사회주의]]를 지지하지 않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물론 그렇게 따지면 오히려 반중 감정이 한국 못지않게 높은 미국에서 사회주의가 인기있는걸 보면, 오히려 한국 사회가 보수적이여서 사회주의가 인기없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겠다.[* 실제로 한국에서 사회주의가 나름 주목받았던 시기는 2000년대였는데, 따지고보면 이것도 민족주의적 반미감정이 큰 역할을 했으며 사회경제적으로는 딱히 진보적인 시기도 아니였다.] == 관련 인물 == * [[버니 샌더스]] *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 * [[제러미 코빈]] == 같이 보기 == * [[Black Lives Matter]] (BLM) * [[강성좌파]] - [[노동당(영국)]] 내 계파 * [[상호교차성]] - 상호교차성 지지자=사회주의자는 아니지만, 서구권 밀레니얼 사회주의자들은 상호교차성을 지지하는 경우가 많다. * [[신좌파]] * [[정체성 정치]] == 둘러보기 == [include(틀:사회주의)] [[분류:사회주의]][[분류: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