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FF0000 20%, #FF0000 80%, #DD0000);" {{{#ffffff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장}}}''' || || [[밀루틴 이브코비치]][br](1930) || {{{+1 →}}} || '''{{{#002c77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br]'''{{{#002c77 (1930)}}}''' || {{{+1 →}}} || 다니엘 프레멜[br](1931) || || [[밀루틴 이브코비치]][br](1931) || {{{+1 →}}} || '''{{{#002c77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br]'''{{{#002c77 (1931)}}}''' || {{{+1 →}}} || 이반 히트레치[br](1931) || || [[밀루틴 이브코비치]][br](1931) || {{{+1 →}}} || '''{{{#002c77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br]'''{{{#002c77 (1932)}}}''' || {{{+1 →}}} || 다니엘 프레멜[br](1932) || || 구스타프 레너[br](1935) || {{{+1 →}}} || '''{{{#002c77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br]'''{{{#002c77 (1935~1936)}}}''' || {{{+1 →}}} || [[블라고예 마르야노비치]][br](1936~1937)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br]Милорад Арсенијевић[br]Milorad Arsenijević}}}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RSENIJEVIC.jpg|width=100%]]}}} || ||<|2> '''출생''' ||[[1906년]] [[6월 6일]]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왕국)] 스메데레보 || ||<|2> '''사망''' ||[[1987년]] [[3월 18일]] (향년 80세) || ||[include(틀:국기, 국명=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베오그라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유고슬라비아 왕국)][* 현재 국적으로 따지면 [[세르비아]]이다.] || || '''포지션''' ||[[하프백]] || || '''신체''' ||168cm, 68kg || || '''등번호'''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마치바 샤바츠 (1921-1925)[br]'''BSK 베오그라드 ,,(1926 ~ 1937년),,''' || || '''감독'''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1946 ~ 1954년),, || || '''국가대표''' ||52경기 1골 ,,(1927 ~ 1936년),, || [목차] [clearfix] == 생애 == === 선수 생활 ===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는 스메데레보에서 태어났지만 그 곳에서는 어린 시절의 기억밖에는 없다. 그의 [[아버지]]는 마츠바에서 일하던 [[회계사]]였다. 축구는 14살부터 시작했고 잠시 유스에서 뛰었지만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아 곧 성인팀에서 뛰게 되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베오그라드]]에서 공부를 하게 되었는데 그는 [[수학]]을 잘했고, 기술 과학 쪽으로 진로가 예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축구도 좋아했기에 축구 선수로서의 생활도 했다. 그는 사바츠의 한 팬에 의해 BSK 베오그라드에서 선수 생활을 지속했는데, 초창기 BSK에는 [[헝가리]]에서 건너온 두 명의 [[선수 겸 감독]]이 있었다. 그들은 아르세니예비치를 발탁했고 금방 팀에 녹아들어갔다. 분명히 아르세니예비치의 자리에는 요바노비치라는 더 나은 선수가 있었지만 아르세니예비치의 재능을 신뢰했기 때문이었다. 처음에 아르세니예비치는 [[브라티슬라바]]에서의 투어에서 선을 보였다. 당시 유럽 축구계는 [[영국]]을 제외하면 [[체코]], [[헝가리]] 등 중유럽 쪽이 대세였다. 그는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며 젊은 아르세니예비치는 축구계의 정확한 계시다[* 원문은 Mladi Arsenijević je pravo fudbalsko otkrovenje.]라는 칭찬도 듣게 된다. 아르세니예비치는 이 칭찬이 가장 가슴에 남았다고 회고했다. 언론들도 앞 다투어 아르세니예비치를 칭찬했지만 다른 것들은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그 당시의 축구계가 그랬지만 그는 [[아마추어]]였다. 축구보다 공부를 중시했고 2주에 한 번 정도만 연습을 할 뿐이었다. [[레모네이드]]와 차를 빼면 팀에서 어떤 것도 받지 않았다. 하지만 이런 그를 축구계 역시 내버려두지 않았고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에서도 그를 발탁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단순한 꿈의 실현이 아닌 전쟁에 나가는 군인의 심정, 아버지 조국의 명예를 드높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뛰었다고 한다. 그는 국가대표로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올림픽]]과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월드컵]]에서 모두 주전으로 활약했고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에서 총 52경기를 뛰었다. === 감독 생활 === 그는 1948년 이후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처음 런던 올림픽 대표팀의 감독을 활동할 때에는 초대 월드컵에서의 팀동료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와 공동 감독을 맡았다. 그러면서 유고슬라비아의 50년대 전성기를 이끌었던 수많은 스타플레이어들을 대표팀에서 녹여내었다. 올림픽에서는 주로 공동 감독 체제로 나갔고,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브라질 월드컵]]에서도 대표팀을 이끌었다. 승승장구했지만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의 조별 예선 최종전에서 2대0으로 패배하여 2위에 그쳤고 결국 짐을 쌌다.[* 당시는 1위 팀만 결승 리그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올림픽에서는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과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매직 마자르]]에게 결승전에서 패배하며 모두 [[콩라인|준우승]]에 머물렀다. 6년간 국가대표팀을 이끈 이후에는 베오그라드의 아마추어 팀을 이끌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전기 기계 분야와 운송 분야의 [[교수]]로 활동하였다. 그 동안 두 권의 책도 썼다고 한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대인 마크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 하프백이었다. == 뒷이야기 == * 아르세니예비치는 수학 외에도 언어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독일어]], [[프랑스어]], [[헝가리어]],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등을 모두 소화했는데 그 중 독일어에 특히 뛰어나서 독일어 [[교수]]의 잘못된 발음을 교정해줄 정도였다. 이 때문에 미운털이 박혔는지 독일어 교수는 그에게 [[학점]]을 짜게 줬다. 그 때문에 5점짜리로 도배된 성적표에 독일어만 4점이 찍혔다고 한다. * 이런 면이 있음에도 매우 [[겸손]]하여 그의 팀 동료를 포함한 주위 사람들에게 자신의 지식을 함부로 늘어놓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교수와의 일화도 있는 것으로 보아 조금 반항적인 면도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있으면서 선수들에게 평을 내린 것이 아직 전해져 내려온다. 예를 들어 [[라이코 미티치]]의 경우 위대하지만 고집이 세서 절대 자기 스타일을 안 바꿀 것, 세쿨라라치는 경박하여 피치에서 희롱을 당해도 시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그를 아낀다는 식이다. == 수상 == === 클럽 ===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 4회: 1930–31, 1932–33, 1934–35, 1935–36(BS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준우승 2회: 1927, 1929(BS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컵 우승 1회: 1934(BSK 베오그라드) === 감독 === * [[올림픽]] 준우승 2회: [[1948 런던 올림픽|1948]], [[1952 헬싱키 올림픽|1952]] [[분류:1906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분류:유고슬라비아의 축구선수]][[분류:유고슬라비아의 축구감독]][[분류:OFK 베오그라드/은퇴, 이적]][[분류: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유고슬라비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참가 선수]][[분류:유고슬라비아의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참가 선수]][[분류:유고슬라비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50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감독]][[분류:1948 런던 올림픽 축구 참가 감독]][[분류:1952 헬싱키 올림픽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