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BA)] ---- ||<-2>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width=200]] || ||<-2> '''{{{+1 밀워키 벅스}}}''' || ||<-2> '''{{{+1 Milwaukee Bucks}}}''' || || '''창단''' ||[[1968년]]^^([age(1968-01-01)]주년)^^|| || '''연고지''' ||[[위스콘신|위스콘신 주]] [[밀워키]]|| || '''컨퍼런스''' ||[[NBA/서부 컨퍼런스|서부 컨퍼런스]] (1970~1980)[br]'''[[NBA/동부 컨퍼런스|{{{#00471b 동부 컨퍼런스}}}]]''' (1980~)|| || '''디비전''' ||[[NBA/이스턴 디비전|이스턴 디비전]] (1968~1970)[br][[NBA/미드웨스트 디비전|미드웨스트 디비전]] (1970~1980)[br]'''[[NBA/센트럴 디비전|{{{#00471b 센트럴 디비전}}}]]''' (1980~)|| || '''연고지 변천''' ||'''[[밀워키|{{{#00471b 밀워키}}}]]''' (1968~)|| || '''구단명 변천''' ||'''{{{#00471b 밀워키 벅스}}}''' (1968~)|| || '''홈 경기장''' ||밀워키 아레나 (Milwaukee Arena, 1968~1988) [br] [[BMO 해리스 브래들리 센터]] (BMO Bradley Center, 1988~2018) [br] '''[[파이서브 포럼|{{{#00481b 파이서브 포럼}}}]]''' (Fiserv Forum, 2018~)[* [[마케트 대학교]]의 농구팀과 공유.]|| || '''저지 스폰서''' ||[[모토로라]] (Motorola)|| || '''구단주''' ||웨슬리 이든스[* 래즈리와 함께 실질적인 공동 구단주이다. 둘이서 전 구단주인 허브 콜로부터 총 5억 5천만 달러를 지불하고 구단을 인수하였다. ], 마크 래즈리, 제이미 디난, [[애런 로저스]], 마이크 파시텔리, 레니 주[* 한인 1.5세로 맨하튼의 샌드위치 업체 '렌위치그룹'의 대표, 한국 이름은 주세훈]|| || '''단장''' ||존 호스트 (Jon Horst)|| || '''감독''' ||아드리안 그리핀 (Adrian Griffin)[* 2018-19 ~ 2022-23 시즌까지 토론토 랩터스의 수석코치를 역임한 경력이 있다.]|| || '''G 리그 제휴''' ||위스콘신 허드 (Wisconsin Herd)|| || '''로컬 경기 중계''' ||[[Bally Sports|Bally Sports Wisconsin]]|| || '''약칭''' ||'''{{{+1 MIL}}}'''|| ||<-2> [[http://www.nba.com/bucks|[[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ucks, 크기=25)] | [[https://www.facebook.com/milwaukeebuck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buck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bucksdotc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2> '''우승 기록''' || || '''[[NBA 파이널|{{{#fff NBA 파이널}}}]] 우승[br](2회)''' ||'''{{{#00471b 1971}}}, [[2021 NBA 파이널|{{{#00471b 2021}}}]]'''|| || '''컨퍼런스 우승[br](3회)''' ||1971, 1974, 2021|| || '''디비전 우승[br](18회 / 최다 우승)''' ||1971, 1972, 1973, 1974, 1976,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2001, 2019, 2020, 2021, 2022, 2023|| ||<-2> '''프랜차이즈 팀 기록''' || || '''최고 승률''' ||'''.805''' - (1970-71시즌, 82경기 66승 16패)|| || '''최저 승률''' ||'''.183''' - (2013-14시즌, 82경기 15승 67패)|| || '''최다 승''' ||'''66승''' - (1970-71시즌, 82경기 66승 16패)|| || '''최다 패''' ||'''67패''' - (2013-14시즌, 82경기 15승 67패)|| || '''최고 계약''' ||'''$228,200,826''' - 2020년 [[야니스 아데토쿤보]]|| ||<-2> '''팀 컬러 / 유니폼'''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팀 컬러''' || ||<-5> 녹색{{{+5 {{{#00471b ■}}}}}} 크림색{{{+5 {{{#f0ebd2 ■}}}}}} 파랑색{{{+5 {{{#007dc5 ■}}}}}} 검은색{{{+5 {{{#000000 ■}}}}}} 흰색{{{+5 □}}} || ||<-5> '''유니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waukee_Bucks_Association_Jersey_202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waukee_Bucks_Icon_Jersey_202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waukee_Bucks_Statement_Jersey_202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waukee_Bucks_City_Jersey_202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lwaukee_Bucks_Earned_Jersey_2020.jpg|width=100%]]}}} || || '''Association''' || '''Icon''' || '''Statement''' || '''City''' || '''Earned''' || }}}}}}}}}}}} || ||<-2> '''[[NBA 파이널|{{{#00471b NBA 파이널 우승 연혁}}}]]'''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1971 NBA 파이널 우승팀''' || || 1970[br][[뉴욕 닉스]] || → || '''밀워키 벅스''' || → || 1972[br][[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5> '''[[2021 NBA 파이널|{{{#fff 2021 NBA 파이널 우승팀}}}]]''' || || 2020[br][[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 || '''밀워키 벅스''' || → || 2022[br][[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4>
'''{{{#fff 밀워키 벅스의 엠블럼 변천}}}''' || ||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1968~1993).svg|width=180]] ||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1993~2006).svg|width=180]] ||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2006~2015).svg|width=180]] || [[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width=170]] || || '''{{{#fff 1968/69 ~ 1992/93}}}''' || '''{{{#c4ced4 1993/94 ~ 2005/06}}}''' || '''{{{#c4ced4 2006/07 ~ 2014/15}}}''' || '''{{{#00471b 2015/16 ~ }}}''' || [[전미 농구 협회|NBA]]의 프로[[농구]]팀. 동부 컨퍼런스 센트럴 디비전 소속. 연고지는 [[밀워키]]. 1968년에 창단되어 창단 이래로 팀 명칭과 연고지를 한번도 변경하지 않은 NBA에서도 흔치 않은 팀이다. NBA 역대 창단 이후 가장 빠른 우승 기록을 가진 팀이지만, 2020-21시즌 두번째 우승을 하기까지 50년의 세월을 기다려야 했던 팀이다. 팀 명칭인 벅스(Bucks)는 밀워키 지역 숲 속에 사는 용맹한 '야생 수사슴'을 의미하며 이는 팀명 공모전에서 뽑힌 이름이었다. '용맹하고 탄력이 좋으며 무척 빠르고 예민한 구단'이 되자는 염원을 지니며 붙인 이름이었다. 다른 팀이 역사적인 연승기록을 세우고 있을 경우 이를 멈춰버리는 연승 스토퍼로도 유명하다.[* 심지어는 다른 도시의 역사적인 기록 달성도 막아버린다. 실제로 [[보스턴]]은 2018-19시즌 [[보스턴 레드삭스|레드삭스]]의 월드시리즈 우승, 이후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슈퍼볼 우승으로 이미 2종목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보스턴 브루인스|브루인스]] 역시 현재 스탠리 컵 플옵 4강까지 올라 우승을 노리고 있으며 [[보스턴 셀틱스|셀틱스]]만 어떻게 잘 해준다면 미 프로스포츠 사상 유래없는 '4대 스포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 기회였다. 그리고 셀틱스가 8강 1차전에서 이변을 일으키며 대승을 거두자 언론에서는 그야말로 역사를 쓸 절호의 기회라는 소리를 내었으나, 이후 밀워키가 귀신같이 4경기 연속 잡아내며 그랜드 슬램의 꿈은 물거품이 되었다.--밀워키를 잡아도 대진표 상 골든스테이트와 토론토가 건재하기 때문에 우승까지는 가지 못한다는 건 함정.--] 국내 NBA팬들에게는 '''[[녹용]]'''이라는 별명으로 불리우고 있다. 구단의 유니폼도 녹색에[* 세분화해 구별해 보면 'Hunter Green', 즉 '사냥꾼 녹색'이다.], 구단의 마스코트가 사슴이라 잘 어울리는 별명. ~~거기에다가 구단주도 재미동포 1.5세대~~ == 역사 == === 벅스 이전의 위스콘신 농구 === 위스콘신 주는 스몰마켓이라 NFL 팀 [[그린베이 패커스]]를 빼고 프로 스포츠가 자리잡지 못했다. 1951년에 NBA 팀 [[애틀랜타 호크스|트라이시티 블랙호크스]]가 밀워키로 연고이전해 '밀워키 호크스'로 출범했으나, 별 인기를 못 얻고 1955년에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로 연고이전한 이후 한동안 주내에 프로농구 팀이 없었다. === 창단과 빠른 성장 === 1967년에 새 경쟁자 ABA가 창설되면서 NBA 팀이 없는 도시들을 중심으로 틈새시장을 노리자, 그동안 확장에 소극적이던 NBA도 차차 팀을 늘려가기 시작했다. 1968년에 지역 사업가 웨슬리 파발론과 마빈 피쉬먼의 주도로 운영사 '밀워키 프로페셔널 스포츠 & 서비스'를 설립하며 정식 창단했고, 파발론은 사장, 피쉬먼은 부사장을 각각 맡았다. 동년도에 창단한 [[피닉스 선즈]]와 함께 확장팀으로서 참가한 뒤 초대 감독은 전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주전 포인트가드 래리 코스텔로, 선수진은 웨인 엠브리[* 1972년에 NBA 역사상 흑인으로서 처음으로 이 팀의 단장이 됐다.], 렌 차펠, 프레드 헤첼, 존 맥글로클린, 가이 로저스, 돈 스미스, 플린 로빈슨, 그렉 스미스, 딕 커닝엄 등의 2~3류 선수들을 확장 드래프트를 통해 모았고, 드래프트에선 오클라호마 대학교 출신 찰리 폴크를 전체 7번으로 뽑았다. 초창기엔 로빈슨과 맥글로클린 등이 활약했지만 신생팀이 그렇듯이 창단 첫 해인 1968-69 시즌은 27승 55패로 처참하게 망했다. 그 댓가로 1969년 드래프트를 맞이한 그들은 [[피닉스 선즈]]와 1라운드 픽을 두고 동전 던지기를 했고, 여기서 이기면서 전체 1번 픽을 가져가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선즈는 역사상 단 한번도 강력한 정통센터를 가져본 적이 없다. 물론 2000년대의 아마레 스타더마이어가 있긴 했지만 그는 스몰라인업에서 센터로 출장했을뿐 원래 포지션은 파워포워드였다.] 이 과정에서 UCLA 출신의 센터 [[카림 압둘자바]][* 밀워키 시절에는 '루 앨신더(Lou Alcindor)'란 이름으로 활약했다.]를 1라운드 1번, 노포크 주립대학교 출신 밥 댄드릿지를 4라운드 45번으로 각각 지명했다. 특히 자바를 뽑은 행운으로 팀은 새 도약의 전기를 마련했다. === 전성기였던 1970년대 === [youtube(nEgfomjJVZE)] 1969-70 시즌에 자바의 활약으로 전시즌 27승에서 56승으로 29승을 더 거두면서 바로 강호로 탈바꿈했고, 이 여세를 몰아 플레이오프에 처녀 진출해서 첫 관문에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를 4승 1패로 이기고, 지구 결승에서 윌리스 리드의 뉴욕 닉스랑 맞붙었다가 1승 4패로 졌다. 1970년 오프시즌 때 폴크 및 로빈슨을 신시내티 로열스의 에이스 [[오스카 로버트슨]]과 맞바꿔서 창단 3년차인 1970-71 시즌에는 66승 16패로 지구 1위로 플옵에 나가 샌프란시스코 워리어스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를 파죽지세로 꺾은 뒤, 파이널에서 웨스 언셀드의 볼티모어 불리츠를 4전 전승으로 이겨 우승에 성공했다. 이는 창단 3년만에 우승한 기록이고, 이 기록은 아마도 NBA 역사상 영원히 깨지지 않을 기록일 듯하다. 그 뒤로 자바-빅 O 콤비를 앞세워 NBA의 강호로 군림해서 자바는 MVP 3회를 수상했지만, 왕조를 구축해야 했던 그들은 불행히도 한 끗 차이로 더 이상 정상 도전에 실패했다. 1971-72 시즌에는 자바의 폭발적인 득점력으로 1972년 1월 9일 레이커스전에서 120-104로 이겨 레이커스의 34연승 시도를 막아섰고, 63승 19패로 또 지구 1위를 차지해 2차전에 직행하며 골든스테이트를 4승 1패로 꺾고, 컨퍼런스 결승에서 69승 신화를 일군 레이커스랑 맞붙다가 2승 4패로 졌다. 1972-73 시즌에는 후반 14연승을 찍어 60승 22패로 3년 연속 지구 1위를 차지하여 플옵에서 릭 배리의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랑 맞붙다가 2승 4패로 졌다. 1973-74 시즌에는 루셔스 알렌의 무릎 연골 부상으로 악재가 생겼음에도 자바의 신들린 득점력으로 59승 23패로 4년 연속 지구 1위를 따내 플옵에서 레이커스랑 시카고 불스를 연달아 꺾었지만, 존 하블리첵-데이브 코웬스-조조 화이트 3인방이 이끄는 [[보스턴 셀틱스]]에게 파이널에서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패했고, 다시 파이널에 나가기까진 47년을 기다려야 했다. 그래도 위와 같은 영광 때문에 워싱턴 불리츠의 에이스이던 [[웨스 언셀드]]는 1970년대에 벅스가 셀틱스에 이은 절대강자가 될 거라고 예상했다. === 꾸준했던 1980년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1970년대 중반-80년대)] === 빅3의 등장, 중흥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1990년대-2000년대 초반)] === 레드와 보것의 시대, 리빌딩의 시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0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 과도기 === ==== 2013-14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13-14시즌)] ==== 2014-15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14-15시즌)] ==== 2015-16 시즌 ==== 영입선수들이 부상과 예상보다 못한 활약과, 마이클 카터 윌리엄스의 부진속에 플레이오프 레이스에서 밀려난 상태이다. 그러나 12월 12일(현지시간), 로드트립의 마지막경기를 가진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와의 경기에서 108-95로 승리를 거두며, 그들의 연승행진을 28에서 중단시켰다.[* 벅스는 또한 1972년 1월 9일, 33연승을 달리고 있던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LA 레이커스]]를 120-104로 꺾고 연승행진을 중단시킨 바 있다. ~~엄청난 기록파괴자들~~] 그래놓고 곧바로 시즌 3승 21패에 불과하던 레이커스에게 95-113으로 패했다(...) 연승의 기록을 깬 후 일주일만에 12월 19일에 골든스테이트의 홈구장인 오라클 아레나에서 경기를 갖게 되었다. 골든스테이트는 이 날 경기에 앞서 피닉스 선즈를 대파하면서 복수심을 불태우고 있던 상황. 경기 초중반 10점 이상 앞서나가며 골든스테이트가 갱신하고 있던 홈경기 연승기록도 깨나 싶었지만...3쿼터 [[드레이먼드 그린]]에게 처절하게 당하며 안타깝게도 이 기록은 깨지 못했다. 스코어는 121-112 후반기에는 여전히 플레이오프권에서 떨어져 있긴 하지만, [[크리스 미들턴]] - [[야니스 아데토쿤보]] - [[자바리 파커]] 라인업이 매번 준수한 활약을 보이며 다음 시즌에 대한 기대를 만들고 있다. === [[야니스 아데토쿤보|그리스 괴인]]의 성장 === ==== 2016-17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16-17시즌)] ==== 2017-18 시즌 ==== 현지시간으로 1월 22일에 [[제이슨 키드]] 감독이 경질당했다. 팀에서 공지한 사유는 제자리걸음인 성적. 잔여 시즌은 조 프런티 어시스던트 코치가 지휘봉을 잡을 예정이다. 선수들의 재능에 비해 성적이 잘 안나온다는 평을 계속 들으며 44승 38패 동부 7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부상자가 많은 [[보스턴 셀틱스]]와 1라운드에서 맞붙었고 7차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패배. === [[마이크 부덴홀저|부덴홀저]]의 부임, 새로운 전성기 === ==== 2018-19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18-19시즌)] ==== 2019-20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19-20시즌)] ==== 2020-21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20-21시즌)] ==== 2021-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21-22시즌)] ==== 2022-2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밀워키 벅스/2022-23시즌)] === [[데미안 릴라드]] 영입 === ==== 2023-24 시즌 ==== == [[영구 결번/스포츠|영구결번]] == [include(틀:밀워키 벅스 영구결번)] '''1. [[오스카 로버트슨]](Oscar Robertson)''' : [[새크라멘토 킹스|신시내티 로열스]]에서 오래 뛴 명 가드로, NBA 역대 최고의 가드 중 하나였다. 밀워키로 이적한 이후에는 전성기보단 기량이 꺾이긴 했지만, 그럼에도 훌륭한 활약으로 압둘자바, 댄드리지와 함께 창단 첫 우승을 일궈냈다. '''2. 주니어 브리지맨 (Junior Bridgeman)''' : 압둘자바가 떠난 이후 밀워키를 지킨 선수. '''4. [[시드니 몽크리프]] (Sidney Moncrief)''' : 1980년대 밀워키가 PO 단골 손님이던 시절에 활약했던 선수. 유일하게 올해의 수비수 상을 2번 받은 최고의 수비수이자 훌륭한 공수겸장 가드였다. '''6. [[빌 러셀]] (Bill Russell)''' : 전 구단 영구결번. '''8. [[마퀴스 존슨]] (Marques Johnson)''' : 아데토쿤보의 등장 이전 벅스 역사상 가장 뛰어난 실력을 가진 포워드였다. 비교적 뒤늦게 영구결번이 된 선수. '''10. 밥 댄드리지 (Bob Dandridge)''' : 카림, 오스카와 함께 밀워키의 우승을 이끈 올스타 선수.[* 후일 워싱턴으로 이적하여 또다시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14. 존 맥글로클린 (Jon McGlocklin)''' : 밀워키 최초의 전성기인 1970년대 활약했던 선수. '''16. [[밥 레이니어]] (Bob Lanier)''' : 디트로이트에서 막강한 기량을 선보였던 명 센터. '''32. 브라이언 윈터스 (Brian Winters)''' : 압둘자바 시대 이후의 밀워키에서 활약한 가드. '''33. [[카림 압둘자바]]''' : '''설명이 필요 없는 밀워키 역대 최고의 선수'''로 창단 첫 우승의 주인공이다. 아직 영구결번이 되지는 않았지만 [[야니스 아데토쿤보]]의 등번호 34번은 영구결번이 사실상 확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크리스 미들턴]] 역시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역대 성적 == ||­ || 우승 || ||­|| 준우승 || ||­|| 플레이오프 진출 || || || 플레이오프 탈락 || || '''{{{#f0ebd2 연도}}}''' || '''{{{#f0ebd2 정규시즌 순위}}}'''[* 디비전 순위가 의미가 없어진 2015-16 시즌부터는 컨퍼런스 순위 기재.] || '''{{{#f0ebd2 플레이오프}}}''' || '''{{{#f0ebd2 컨퍼런스}}}''' || '''{{{#f0ebd2 팀이름}}}''' || '''{{{#f0ebd2 경기수}}}''' || '''{{{#f0ebd2 승}}}''' || '''{{{#f0ebd2 패}}}''' || '''{{{#f0ebd2 승률}}}''' || || 1968-69 || 7위/7팀 || {{{#fff 탈락}}} ||<|2> '''동부 디비전''' ||<|54> '''밀워키 벅스''' || 82 || 27 || 55 || .329 || || 1969-70 || 2위/7팀 || 디비전 파이널 진출 || 82 || 56 || 26 || .683 || || 1970-71[* 이 시즌 부터 서부, 동부 컨퍼런스로 구분되었다.] || 1위/4팀 || '''우승''' ||<|10> '''서부 컨퍼런스''' || 82 || 66 || 16 || .805 || || 1971-72 || 1위/4팀 ||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 82 || 63 || 19 || .768 || || 1972-73 || 1위/4팀 ||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진출 || 82 || 60 || 22 || .732 || || 1973-74 || 1위/4팀 || 준우승 || 82 || 59 || 23 || .720 || || 1974-75 || 4위/4팀 || {{{#fff 탈락}}} || 82 || 38 || 44 || .463 || || 1975-76 || 1위/4팀 || 1라운드 진출 || 82 || 38 || 44 || .463 || || 1976-77 || 6위/6팀 || {{{#fff 탈락}}} || 82 || 30 || 52 || .366 || || 1977-78 || 2위/6팀 || 2라운드 진출 || 82 || 44 || 38 || .537 || || 1978-79 || 3위/5팀 || {{{#fff 탈락}}} || 82 || 38 || 44 || .463 || || 1979-80 || 1위/5팀 || 2라운드 진출 || 82 || 49 || 33 || .598 || || 1980-81 || 1위/6팀 || 2라운드 진출 ||<|42> '''동부 컨퍼런스''' || 82 || 60 || 22 || .732 || || 1981-82 || 1위/6팀 || 2라운드 진출 || 82 || 55 || 27 || .671 || || 1982-83 || 1위/6팀 ||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 82 || 51 || 31 || .622 || || 1983-84 || 1위/6팀 ||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 82 || 50 || 32 || .610 || || 1984-85 || 1위/6팀 || 2라운드 진출 || 82 || 59 || 23 || .720 || || 1985-86 || 1위/6팀 ||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 82 || 57 || 25 || .695 || || 1986-87 || 3위/6팀 || 2라운드 진출 || 82 || 50 || 32 || .610 || || 1987-88 || 4위/6팀 || 1라운드 진출 || 82 || 42 || 40 || .512 || || 1988-89 || 4위/6팀 || 2라운드 진출 || 82 || 49 || 33 || .598 || || 1989-90 || 3위/7팀 || 1라운드 진출 || 82 || 44 || 38 || .537 || || 1990-91 || 3위/7팀 || 1라운드 진출 || 82 || 48 || 34 || .585 || || 1991-92 || 6위/7팀 || {{{#fff 탈락}}} || 82 || 31 || 51 || .378 || || 1992-93 || 7위/7팀 || {{{#fff 탈락}}} || 82 || 28 || 54 || .341 || || 1993-94 || 6위/7팀 || {{{#fff 탈락}}} || 82 || 20 || 62 || .244 || || 1994-95 || 6위/7팀 || {{{#fff 탈락}}} || 82 || 34 || 48 || .415 || || 1995-96 || 7위/8팀 || {{{#fff 탈락}}} || 82 || 25 || 57 || .305 || || 1996-97 || 7위/8팀 || {{{#fff 탈락}}} || 82 || 33 || 49 || .402 || || 1997-98 || 7위/8팀 || {{{#fff 탈락}}} || 82 || 36 || 46 || .439 || || 1998-99 || 4위/8팀 || 1라운드 진출 || 50 || 28 || 22 || .560 || || 1999-00 || 5위/8팀 || 1라운드 진출 || 82 || 42 || 40 || .512 || || 2000-01 || 1위/8팀 ||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 82 || 52 || 30 || .634 || || 2001-02 || 5위/8팀 || {{{#fff 탈락}}} || 82 || 41 || 41 || .500 || || 2002-03 || 4위/8팀 || 1라운드 진출 || 82 || 42 || 40 || .512 || || 2003-04 || 4위/8팀 || 1라운드 진출 || 82 || 41 || 41 || .500 || || 2004-05 || 5위/5팀 || {{{#fff 탈락}}} || 82 || 30 || 52 || .366 || || 2005-06 || 5위/5팀 || 1라운드 진출 || 82 || 40 || 42 || .488 || || 2006-07 || 5위/5팀 || {{{#fff 탈락}}} || 82 || 28 || 54 || .341 || || 2007-08 || 5위/5팀 || {{{#fff 탈락}}} || 82 || 26 || 56 || .317 || || 2008-09 || 5위/5팀 || {{{#fff 탈락}}} || 82 || 34 || 48 || .415 || || 2009-10 || 2위/5팀 || 1라운드 진출 || 82 || 46 || 36 || .561 || || 2010-11 || 3위/5팀 || {{{#fff 탈락}}} || 82 || 35 || 47 || .427 || || 2011-12 || 3위/5팀 || {{{#fff 탈락}}} || 66 || 31 || 35 || .470 || || 2012-13 || 3위/5팀 || 1라운드 진출 || 82 || 38 || 44 || .463 || || 2013-14 || 5위/5팀 || {{{#fff 탈락}}} || 82 || 15 || 67 || .183 || || 2014-15 || 3위/5팀 || 1라운드 진출 || 82 || 41 || 41 || .500 || || 2015-16 || 12위/15팀 || {{{#fff 탈락}}} || 82 || 33 || 49 || .402 || || 2016-17 || 6위/15팀 || 1라운드 진출 || 82 || 42 || 40 || .512 || || 2017-18 || 7위/15팀 || 1라운드 진출 || 82 || 44 || 38 || .537 || || 2018-19 || 1위/15팀 ||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 82 || 60 || 22 || .732 || || 2019-20 || 1위/15팀 || 2라운드 진출 || 73 || 56 || 17 || .767 || || 2020-21 || 3위/15팀 || '''우승''' || 72 || 46 || 26 || .639 || || 2021-22 || 3위/15팀 || 2라운드 진출 || 82 || 51 || 31 || .622 || ||<-2> '''[[NBA]] 통산 54시즌''' || '''V2''' ||<-2> || '''4361''' || '''2282''' || '''2079''' || '''.523''' || == 2023-24 시즌 선수단 == [include(틀:밀워키 벅스/선수단)] == 사건사고 및 논란 == === [[그레이슨 앨런]] 하드 파울 관련 논란 === [youtube(zaz7E25j2fQ)] 사건의 발단은 2022년 1월 22일(한국 시간 기준), [[시카고 불스]]와의 홈 경기에서 [[그레이슨 앨런]]이 [[알렉스 카루소]]에게 거친 파울을 저지른 것으로 시작되었다. 영상에서 보듯이 그레이슨 앨런은 카루소의 슛을 막으려는 컨택에 이어 팔을 강하게 내리치는 파울을 저지르는데, 이후 '''플래그런트 2''' 파울을 적용받고 즉시 퇴장당한다.[* 참고로 그레이슨 앨런은 대학 시절부터 더티 플레이어로 유명했다.] 그러나 플래그런트 파울 여부를 기다리는 동안 벤치에서 '''실실 웃는''' 모습을 보여주며 NBA 팬들을 격분케 했고, 이후 카루소에게 사과는 몰론이고 부상이 괜찮은지 안부차 방문조차 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더더욱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렇게 NBA 팬들이 그레이슨 앨런에게 격한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 찰나에.... [[파일:도넛 먹는 싸이코패스.png]] 그 다음날, 밀워키 벅스 공식 트위터에서 그 전날 하드 파울을 저지른 '''그레이슨 앨런이 도넛 먹는 영상을 올려버리는''' 이해할 수 없는 짓을 저지르며 모든 NBA팬들의 어이를 날려버렸다. 게다가 이후 카루소가 '''오른쪽 손목 골절'''로 '''6~8주 아웃'''이라는 소식이 들려오며 더더욱 팬들의 분노가 커진 상황. 이걸 본 시카고 불스 공식 계정은 '''Seriously??(진심이냐??)'''라고 답을 달며 어이없음을 표현했다.[* 이후 비난이 커지자 벅스 공식 계정은 저 트윗을 삭제했다. 몰론 저 영상을 올린 것에 대해 사과는 일절 없었다.] 게다가 감독과 팀 동료들도 앨런을 쉴드친답시고 더더욱 상식 밖의 발언들을 했는데 [[마이크 부덴홀저]] 감독 : '''[[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031860&sfl=wr_7&stx=mil&sop=and|그레이슨 앨런의 파울, 악의적이지 않았다.]]''' [[즈루 할러데이]] : '''[[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032119&sfl=wr_7&stx=mil&sop=and|"우리는 앨런을 안다. 그는 그런 유형의 선수가 아니다. 그는 악의적으로 행동하지 않았고, 카루소가 다치는 것을 보고싶지도 않았다."]]''' [[크리스 미들턴]] : '''[[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032165&sfl=wr_7&stx=mil&sop=and|그레이슨 앨런의 파울은 좋은 하드 파울이었다.]]''' 파울을 저지르고 '''실실 웃으면서''' 나갔던 알렌의 행동이 고의적이지 않았다는 설득력 없는 발언을 했을 뿐만 아니라, 카루소의 손목 골절을 유도했던 하드파울이 '''좋은 하드 파울'''이었다는 비상식적인 표현까지 더해지면서 아예 알렌을 넘어서 팀 전체적으로 비난 여론이 쇄도하고 있다.--사실 우승 경쟁팀의 핵심 롤플레이어를 장기 아웃시켰으니 본인들 입장에선 좋은 파울일 수도 있다.-- 이 사건으로 저번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아데토쿤보가 어빙을 부상입힌 사건도 재조명되면서[* 그 당시에도 비난 여론이 있었으나 밀워키가 우승하면서 쏙들어갔다.] 아예 팀 차원으로 빌런 이미지가 쓰여지는 등 팀에 대한 안티 여론이 굉장히 늘어났다. 게다가 이 사건이 있기 전 아데토쿤보가 19-20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마이애미 히트]]에게 완패한 것을 두고 '''"그 때 마이애미는 버블팀이었다"'''고 인터뷰 한 것을 두고 '''"너도 어빙 부상 입힌 거 아니었으면 우승 못 했을텐데??"'''이라고 조롱당하는 것은 덤. 결국 이 사건으로 앨런은 1경기 출전 정지라는 솜방망이 징계[* 이것도 카루소가 부상당하지 않았다면 징계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를 받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도 밀워키 구단은 납득할 수 없는 처사라고 발언해 더더욱 욕을 먹고 있다. 이러한 팀의 몰상식한 행동들에 밀워키 팬들조차도 실드를 포기하고 팀의 비매너를 규탄하고 있으며, 타팀 팬들은 밀워키와의 경기 때 볼을 잡으면 야유로 응수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가장 큰 피해자인 시카고 불스가 밀워키의 행동에 단단히 뿔나면서 다음 대결때 그야말로 진흙탕 싸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그러나 이후 시카고 불스는 밀워키 벅스에게 플레이오프 포함 1승밖에 거두지 못하였다. --그레이슨 앨런은 불스팬들의 엄청난 야유에도 맹활약 하였다!-- == [[NBA G 리그|G 리그]] 산하팀 == ||<-2> [[파일:위스콘신 허드.png|width=200]] || ||<-2> {{{#fff '''위스콘신 허드'''}}} || ||<-2> {{{#000 '''Wisconsin Herd'''}}} || || 설립년도 || [[2017년]] ^^([age(2017-01-01)]주년)^^ || || 역사 || 위스콘신 허드 (2017년 ~ 현재) || || 연고지 || [[위스콘신]] 주 오시코시 || || 컨퍼런스 || 동부 컨퍼런스 || || 디비전 || 센트럴 디비전 || || 홈구장 || 메노미네 네이션 아레나 || == e스포츠 팀 == ||<#FFF,#1F2023> [[파일:플라이퀘스트 로고 2021.svg|width=220]] || ||<-2> '''{{{#FFF 플라이퀘스트}}}''' || ||<-2> '''{{{#0A8B4D FlyQuest}}}''' || 2017년 [[Cloud9/리그 오브 레전드|Cloud9 Challenger]]의 시드권을 구매해 창단한 리그 오브 레전드 팀. [[LCS NA 스프링 2018]]부터 활동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FlyQuest/리그 오브 레전드|FlyQuest]] 항목을 참조. == 참고 자료 == * [[https://blog.naver.com/jnml/120043513929|네이버 블로거 '짱후니'의 포스트]] [각주] [[분류:밀워키 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