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BS 드라마 스페셜(2006~2010))] ||<-3> '''SBS 드라마 스페셜[br]{{{+1 바람의 화원}}}''' (2008)[br]Painter of the Wind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바람의 화원(드라마) 포스터.jpg|width=100%]]}}} || ||<-2> '''장르''' ||[[한국사극|사극]] || ||<-2> '''방송 시간''' ||수 · 목 / 오후 9:55 ~ 오후 10:55 || ||<-2> '''방송 기간''' ||[[2008년]] [[9월 24일]] ~ [[2008년]] [[12월 4일]] || ||<-2> '''방송 횟수''' ||20부작 || ||<-2> '''제작''' ||[[드라마하우스 스튜디오]]|| ||<-2> '''채널''' ||[[SBS|[[파일:SBS 로고.svg|width=45]]]] || ||<|4> '''제[br]작[br]진''' || '''제작''' ||허웅 || || '''연출''' ||[[장태유]], [[진혁(PD)|진혁]] || || '''조연출''' ||[[최영훈(PD)|최영훈]] || || '''극본''' ||이은영 || ||<-2> '''원작''' ||[[이정명]] 《[[바람의 화원]]》 || ||<-2> '''출연''' ||[[박신양]], [[문근영]], [[류승룡]], [[배수빈]], [[문채원]] 외 || ||<-2> '''[[영상물 등급 제도|{{{#D4D93D,#DDDDDD 시청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2> '''링크''' ||[[http://tv.sbs.co.kr/hwawo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정명]] 작가의 [[바람의 화원|동명의 팩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SBS [[수목 드라마]]. [[박신양]], [[문근영]] 주연으로, [[남장여자]] 열풍과 [[신윤복]] 여자설[* 실제로는 남자가 맞지만 화풍이나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현재까지도 그의 성별의 대한 논란은 끊이질 않고 있다. 다만 미술협회, 교수 등은 신윤복은 확실히 남자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역사 왜곡이라고 원작자와 SBS를 비판하고 있다. 증거 면에서 보면 '청죽화사'라는 책에서도 신윤복은 여자라고 설명되어 있지 않았으며, 위창 오세창 선생의 '근역서화징'에도 그런 말은 없다. 만약 신윤복이 여자였다면 최소한 한자락 증거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런 것은 하나도 없고 그저 화풍만으로 여자라고 하는 것은 애초에 어불성설. 그리고 앞의 각주에서도 나왔듯 애초에 작가부터 신윤복 여자설이 진실이라고 하지 않았다.]을 널리 퍼트려 많은 사람들이 신윤복이 여자라고 믿는 등,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작품. 하지만 ost나 스토리 안에 그림을 녹여내는 미술작품의 연출 면에 관해서는 매우 미려하게 구성되어있다. 이 드라마를 담당한 [[장태유]] PD[* 역시 아름답고 감각적인 화면 연출을 보인 [[뿌리깊은 나무(SBS)|뿌리깊은 나무]]의 PD이기도 함.]가 미대 출신이라 연출에 있어서는 호평을 많이 받았다. == [[바람의 화원#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람의 화원, 앵커=등장인물)] == 불운한 대진표 == 대진운은 다소 불운했다. 하필이면 당시 동시간대 방영됐었던 작품[* 방영기간은 다음과 같다. 베토벤 바이러스는 2008.09.10.~2008.11.12. 바람의 나라는 2008.09.10.~2009.01.15. 바람의 화원은 2008.09.24.~2008.12.04. 였다. 1주 먼저 시작한 두 작품에 다소 묻혀버렸다.]이 [[김명민]] 주연의 대박난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드라마)|베토벤 바이러스]]와 2년 전 [[주몽(드라마)|주몽]]으로 스타덤에 오른 [[송일국]] 주연의 [[바람의 나라(드라마)|바람의 나라]]였던 것.[* 바람의 나라는 비판도 많았고 지금은 잊혀진 흑역사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동북공정]]으로 인한 고구려 사극 열풍의 한 일환으로 제작된 드라마였다. 2006년 [[주몽(드라마)|주몽]], [[연개소문(드라마)|연개소문]], [[대조영(드라마)|대조영]]을 시작으로 2007년 [[태왕사신기]] 그리고 2008년 바람의 나라 이후 [[자명고(드라마)|자명고]]를 마지막으로 고구려 사극이 식상해졌는지 선덕여왕이나 계백 김수로 등 고구려 이외 사극이 만들어졌다.] [[시청률]] 면에서는 크게 빛나지 못하는 듯 했으나 극이 진행될수록 점점 상승세를 보이더니 베토벤 바이러스 종영 후 마침내 동시간대 시청률 1위로 종영하는 기염을 토해낸다. 베토벤 바이러스가 줄곧 1위였고 [[바람의 나라(드라마)|바람의 나라]]가 2위였으나 바람의 나라가 중반 이후 정체된 틈을 타 1위를 기록한 것. 현재는 바람의 나라가 흑역사 취급을 받으며 완전히 잊혀진 반면 베토벤 바이러스와 이 작품은 수작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세 작품의 주연 모두 연말 연기대상에서 좋은 성적을 받았다. 문근영과 김명민이 대상을 받았고, 송일국이 남자 최우수상을 받았다. == 문제점 == 사실 완성도 측면에서는 문제가 많은 작품이었다. 초반부에서 중반부로 넘어가면서 스토리가 갈지자 행보를 보이며 산으로 가버렸고 캐릭터 붕괴도 심했다. 초반에 총명하고 발랄하게 나왔던 주인공 신윤복은 캐릭터가 완전히 변해서 바보 멍청이 좀비가 되어버렸다. 신윤복의 스승이며 나중에는 신윤복의 정체를 알고 사랑하게 되는 김홍도는 내용의 개연성을 해칠 정도로 시도 때도 없이 막 나오더니 나중에는 뜬금없이 자기 손을 숯불에 넣기까지 해서 갑툭튀홍도 및 숯불홍도 라는 별명을 얻었다. 게다가 pd가 초반부에 너무 공을 들이느라 촬영시간을 다 써버리는 통에 전체 시간 배분을 못해서 뒤로 갈수록 시간 부족으로 날림촬영을 했다. 한마디로 용두사미. 마지막회는 초생방으로 촬영하고 앞부분을 방영해가며 뒷부분 편집하느라 장면들이 개연성 없이 나열되는가 하면 배경음악이 뚝뚝 끊겼다. 그래서 그 동안 드라마 상태가 점점 안 좋아진 것을 뻔히 봤으면서도 마지막회에는 유종의 미를 거둘 것이라는 희망~~혹은 미련, 혹은 덧없는 꿈~~을 잃지 않고 영화관 대관까지 해서 마지막회를 단체관람한 팬들을 뒷목 잡게 만들었다.~~이놈들아, 영화관 대관비용 물어내라~~ 공교롭게도 당시 경쟁작이었던 베토벤 바이러스와 바람의 나라 역시 작품성 측면에선 썩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다. == 팬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층이 꽤나 탄탄했다. 일단 대본이 엉망이 된 것과 별도로 배우들 연기가 괜찮았고, 초반부 신윤복과 정향 캐릭터가 워낙 매력적으로 나왔던데다가, ost도 훌륭하고, 초반부만 해도 뛰어난 연출로 아름다운 장면이 이어졌기 때문에, 그 초반부에서 뻑 가버린 팬들이 제법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라마는 점점 개판으로 흘러갔지만 의외로 일정 수준 이상의 시청률은 유지할수 있었다. 바람의 화원 팬은 아직도 극성팬들로 유명하다. 특히 여-여 커플인 닷냥 커플의 팬들이 있는데, 상대 배우인 박신양을 양파로 부르는 등 아직까지도 박양파라는 별명을 붙여가며 질긴 안티짓을 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팬들이 미친 화력으로 응원해서 문근영은 그 해의 [[SBS 연기대상]] 수상자가(역대 최연소) 되었다. 다만 이건 김홍도역을 맡은 박신양이 SBS와 출연료 문제로 싸웠기에 문근영으로 갔을 가능성이 있기는 하다. 게다가 문근영과 [[문채원]]이 베스트 커플상까지 받았다! 최초로 여여커플이 베스트 커플을 수상한 진기록이다[* 사실 닷냥커플은 원작에서 공식 커플이다. 당시에는 아직 미디어에 성소수자 커플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길 꺼릴때이기에 김홍도와 신윤복이 서로 좋아하는 사이고 정향이 신윤복을 짝사랑하는 삼각구도로 그려졌지만, 원작에선 정향과 신윤복이 서로 좋아하는 사이이며 김홍도가 신윤복을 짝사랑하는 입장이었다.]. 심지어 종영된 지 한참 지난 현재도 [[디시인사이드]]의 바람의 화원 갤러리가 아직 개미소굴로 끌려들어가지 않았을 정도다. 이제는 사실상 바화 갤러리가 문근영 갤러리를 대신하고 있을 정도로 팬들의 충성심이 대단하다. == 여담 == * 방영 당시, [[지만원]]이 [[김홍도]]는 [[우익]]이고 신윤복은 [[좌익]]이라는 재미있는 [[헛소리]]를 했는데 이 주장은 [[수구꼴통]] 단체들도 일절 관심을 안 두었다. 그것보단 문근영을 [[연좌제]]로 연루하여 비난하던 터에 배역을 두고 발악했다는 평을 듣었다. * [[OST]] 중 11번째인 '''웃다가 울다가''' 가 [[두산]]그룹의 사람이 미래다 광고에 사용 되면서 유명해졌다.[[https://youtu.be/bGHhvBJUKXE|##]] [youtube(CiWA06iXMo0)] * [[문근영]]의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0105418|캐스팅 기사]]가 처음 났을 당시에 보도된 연출자는 [[장태유]] PD가 아니라 [[피아노(SBS)|피아노]], [[건빵선생과 별사탕]] 등을 연출한 오종록 PD였다. 하지만 무슨 이유인지 알려지지 않은 채 장태유 PD가 연출자로 확정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람의 화원, version=104)] [[분류:2008년 드라마]][[분류:2008년 종영]][[분류:SBS 수목 드라마]][[분류:소설 원작 드라마]][[분류:한국 사극]][[분류:가상역사 드라마]][[분류:남장여자/드라마]][[분류:조선/창작물]][[분류:한국방송대상 작품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