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군대)] [include(틀:바레인 관련 문서)] ||<-2><:>{{{+3 {{{#FFF '''바레인 국방군''' }}}}}}[br] {{{+2 {{{#FFF قوة دفاع البحرين }}}}}} [br] {{{+1 {{{#FFF Bahrain Defence Force }}}}}}|| ||<-2> [[파일:1920px-Flag_of_the_Bahrain_Defence_Force.svg.png|width=300]] || || 국가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30]] [[바레인]] || || 소속 || [[국방부|바레인 국방부]] || || 상비군 || 18,400명 || || 병역제도 || [[모병제]] || [목차] [clearfix] == 개요 == [[바레인]]의 군대. 총 병력은 18,400여 명으로 통수권자는 국왕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1968년에 창설되었으며 육군-해군-공군-근위대-의무군으로 총 5군체제를 운용하고 있다. == 육군 == [include(틀:현대전/바레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바레인 보병장비)] [[파일:2011043016025463.jpg]] >Royal Bahraini Army(RBA)(الجيش البحريني) 총병력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1만 5천명 규모를 현역 상비군으로 유지하며 11만명정도의 예비군을 운용하고 있다. 육군참모총장으로는 칼리파 빈 압둘라 알 칼리파(Khalifa bin Abdullah Al-Khalifa) 중장이 지휘하고 있다. 한국으로 치면 1개 보병사단 규모에 불과하기 때문에 전체 전력은 3개 여단(1개 기갑여단 / 1개 기계화보병여단 / 1개 포병여단) 2개 대대(1개 방공대대 / 1개 특수전대대)로 구성되어있다. 주로 서방제 무기로 무장해있으나 무기들이 이미 서방에서는 2선급으로 퇴역한 물건들이 주력으로 운용중에 있다.[* 주력전차가 [[M60 패튼#s-2.4|M60A3]]이고 장갑차는 [[M113]]을 운용하는등 2선급에서도 퇴역한 물건들이 운용되고 있다.] 2015년 [[예멘 내전]]에 참전하였고 후티반군과 교전하여 5명의 전사자를 발생시킨 것이 최근 실전 경험 사례다. == 해군 == [include(틀:현대전/바레인 함선)] >Royal Bahrain Naval Force(RBNF)(سلاح البحرية الملكية البحرينية) 해군은 전투함 7척[* [[페리급]] 1척 / FPB 62급 [[코르벳]] 2척 / 리버급 순찰함 1척 / TNC 45급 고속함 4척], 순찰정 31척, 상륙함 10척, 인원 700명 규모를 운용하며 해군참모총장으로는 무함마드 유시프 알 아셈(Mohammed Yousif al-Asam) 제독이 지휘한다. 규모가 제일 작은 군종치고는 운용하는 함선들이 매우 많은 편인데 이는 해군이 해안경찰 역할을 겸임하기 때문이다. == 공군 == [include(틀:현대전/바레인 항공병기)] >Royal Bahraini Air Force(RBAF)(سلاح الجو الملكي البحريني) 총병력 1500여 명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서방제 전투기와 헬기를 운용하고 있다. 군대의 규모에 비해 장비는 준수하게 갖췄다. || 항공기 || 보유 대수 || || [[F-16#s-4.2|F-16C]][* [[F-16#s-4.3|F-16V]]로 개량사업 진행중] || 17대 || || [[F-16#s-4.2|F-16D]][* [[F-16#s-4.3|F-16V]]로 개량사업 진행중] || 4대 || || [[F-5#s-5|F-5E/F]] || 12대 || || [[BAE 호크#s-3.5|BAE 호크 Hawk 129]] || 6대 || || T67 Firefly 초등훈련기 || 3대 || || Cessna 208 경수송기 || 1대 || || [[C-130#s-3.11.1|C-130J-30]] || 2대 || || 헬기 || 보유 대수 || || Bell 212[* [[UH-1]] 계열] || 21대 || || [[UH-60 블랙 호크#s-6.1|UH-60M]] || 8대 || || [[S-92]] || 1대 || || [[AH-1#s-8.6|AH-1E/F]] || 22대 || || [[AH-1Z]] || 12대(예정)[* 2021년 계약완료] || || [[Bo 105]] || 4대 || == 근위대 == >Royal Guard of Bahrain(الحرس الملكي) 왕실 직속 [[친위대]]로 2011년 국왕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가 당시 24세였던 나세르(Nasser bin Hamad Al Khalifa) 왕자를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이상할정도로 병력 규모나 그외 정보가 아무것도 없으나 추측상 1000~1200여명 내로 보인다. 바레인군 육해공 전체가 1만7천 200여명인 점을 감안하면 최대 1000여명으로 추측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시아파가 없어서 [[바레인]] 내에서 야당의 비판이 있었으나 왕실 직속인 관계로 묻혔다고 한다. == 의무군 == >Bahrain Royal Medical Services 1968년부터 군통합병원을 설립하여 이들이 운용되고 있으며 이 종합병원을 거점으로 의무군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DFRMS Hospitals Health System이라는 시스템을 독과점으로 제공하며 4000여명의 의사들이 여기에 소속되어있다. [[분류:서아시아의 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