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폴란드 관련 문서)] [[파일:1515125154151.png|width=300]] [[파일:warsaw-metro-map.png]] 노선도 ||[[파일:siemens inspiro warsaw metro.jpg|width=100%]]||[[파일:Skoda_Varsovia.jpg|width=100%]]|| [[http://metro.waw.pl/|홈페이지]] {{{+1 '''Metro w Warszawie'''}}} Warsaw Metro [목차] == 개요 == [[폴란드]]의 [[수도(행정구역)|수도]]인 [[바르샤바]]의 [[도시철도]]. [[1995년]] [[바르샤바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하고 [[2015년]] [[바르샤바 지하철 2호선]]을 개통하여 2개의 노선이 있다. == 역사 == 아래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기구한 [[폴란드]] 근현대사의 상징이 바로 바르샤바 지하철이다. 해당기간 동안 바르샤바의 도시철도망은 [[노면전차]]에 의존했으며 지하철이 개통되었어도 노선길이가 그리 길지 않은 관계로 현재도 트램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다. 트램의 연장길이가 132km에 달하기 때문에 지하철과는 비교도 할수없을 정도로 커버리지망이 넓기 때문이다. [[폴란드 제2공화국]] 시절인 [[1919년]](...)에 착공했다가 [[1995년]]에 1호선을 처음 개통하여 '''무려 76년 걸린 장대한 [[티스푼 공사]]'''의 역사가 있다. [[베르사유 조약]]으로 [[폴란드]]가 [[독립]]한 [[1918년]]에 바로 [[바르샤바]]에 [[도시철도]]를 놓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1920년]] 삽을 뜨자마자 [[우크라이나]] 문제로 인해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이 벌어져 나라의 모든 [[예산]]과 [[국채]]를 [[전쟁]]에 쏟아부었다. 이 때문에 [[바르샤바]] 지하철 계획은 [[안드로메다]]로 가버렸다. [[1922년]] [[리가 조약]]으로 [[폴란드 제2공화국]]은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서부를 획득, 국경선을 대폭 동쪽으로 확장했다. 폴란드는 소비에트 러시아와 전쟁 와중에 [[폴란드-리투아니아|왕년에 같은 나라였던]]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뉴스|빌노(Wilno)]]를 [[삥]]뜯는 일도 있었다. 신생 폴란드 공화국은 [[소련]]과의 [[전쟁]] 외에도 [[체코슬로바키아]]가 하부 [[실롱스크]]의 치에신[* 체코어로 테신, 독일어로 테셴] 지방을 뜯어가고,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과는 [[단치히 자유시]], [[폴란드 회랑]], 상부 [[실롱스크]] 문제로 외교관계가 험악해지면서 지하철 따위에 신경을 쓸 수가 없었다. [[1925년]] [[바이마르 공화국]]의 [[한스 루터]] 수상이 [[독일-폴란드 무역 전쟁]]을 일으키면서 폴란드 제2공화국 경제에 악영향이 미쳤고, 바르샤바 지하철을 위해 파놨던 공구들은 공사가 중단된 채 계속 밀려갔다. [[1929년]] [[세계 대공황]]이 닥치자 [[폴란드]] 경제는 망했어요가 아니라 '''파탄'''나버려서 계속해서 [[바르샤바]] 지하철 계획은 밀리게 된다. 폴란드 경제는 [[1934년]]에 성장하기 시작했고[* 마침 독일과의 무역 전쟁도 같은 해에 끝났다.], 폴란드는 다시 경제성장을 하게 되면서 [[1936년]] 바르샤바 지하철 공사를 재개했다. 그러나, [[1939년]] [[9월 1일]], [[아돌프 히틀러]]가 '''[[폴란드 침공]]'''을 감행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뒤이어 [[이오시프 스탈린]]도 [[독소 불가침조약]]에 따라 [[1939년]] [[9월 17일]] 소련-폴란드 불가침조약을 깨고 전격적으로 폴란드를 침공하여, 폴란드는 완전히 멸망했다. 그리고 이 때까지 파 놨던 바르샤바 지하철 공구들은 이후 [[폴란드 망명 정부]]의 [[레지스탕스]] 기반이 되었으며, [[1943년]] [[유태인]]들의 [[바르샤바 게토 봉기]], [[1944년]] 폴란드인들의 [[바르샤바 봉기]]를 위한 [[폴란드 망명 정부]]와 유태인들의 비밀기지로도 쓰였다. 하지만 결국 [[나치 독일]]에 발각되며 '''해당 공구들은 [[폴란드 총독부]]에 의해 완전히 폭파'''되었다. [[1944년]] [[12월]], [[독소전쟁]]의 승기를 잡은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이 [[폴란드]]를 접수하고 [[폴란드 인민 공화국]]을 세웠다. 그러나 폴란드는 소련의 기대와 달리 [[공산당]] 정권이 계속해서 불안정했다. [[스탈린]]이 [[국민투표]] 결과를 조작[* [[폴란드 인민 공화국]] 헌법은 4부분으로 쪼개서 국민투표를 했다. 그러나 실제 투표 결과에서 가결된 부분은 '''농지개혁''' 하나(찬성률 65%)였고, 공산 정권을 세우는 권력 사안이나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하는 다른 부분은 모두 '''찬성률이 40%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위대하신 스탈린 서기장 동무께서 친히 '''[[부정선거|90% 찬성으로 조작]]'''하셨다.]해서 공산당 정권을 세웠기[* 당연히 이것도 대대적인 [[부정선거]]였다. [[1945년]] 폴란드 통일노동자당(공산당) 지지율은 선거에서 고작 '''16%'''에 불과한 대참패였다. 그러나 스탈린 서기장 동무께서 친히 '''85%로 조작'''해주셨다. 국민투표와 [[1945년]] 선거의 실제 득표는 [[소련 해체]] 이후 [[보리스 옐친]] 시대의 [[러시아]] 연방에서 [[러시아-폴란드 관계]] 개선의 일환으로 관련 자료를 [[폴란드 제3공화국]]한테 넘기면서 알려졌다.]때문에, 들어설 때부터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정당성은 취약했다. 게다가 [[나치 독일]] 치하의 [[폴란드]]는 너무 처절하게 파괴되는 바람에 폴란드 공산정부는 전후 복구사업을 하는 데에도 헉헉댈 정도였다. 그래서 폴란드 국내에서는 [[1956년]] [[포즈난]] 항쟁,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폴란드 봉기, [[1980년대]] [[그단스크]]의 [[레흐 바웬사]]가 이끄는 [[솔리다르노시치|자유노조 운동]] 등 각종 [[시위]]와 [[항쟁]]이 빈발했다. 물론 이 기간 동안 지하철 공사를 안하려했던것은 아니었지만 폴란드가 당시 동구권내에서도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나라였기 때문에 지하철 공사는 진척되지 못했고 1980년대 들어와서야 소련의 지원으로 지하철 공사에 착공했지만 폴란드의 경제가 한창 안 좋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티스푼 공사]]로 진행되었다. 결국 [[1989년 동유럽 혁명]]에 따라 공산당 정권이 무너지고, [[1990년]] [[폴란드 제3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91년]] 폴란드 제3공화국 정부는 전면적인 바르샤바 지하철 재착공을 결정했다. [[독일연방공화국]]과 [[프랑스]] 정부의 재정, 기술 지원으로 [[1995년]] [[4월 7일]] 처음으로 [[카바티 역]](Kabaty Station)에서 [[바르샤바 공과대학역]](Politechnika Station)을 잇는 [[바르샤바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하였다. [[1920년]]부터 시작된 '''장장 76년의 역사 끝에 [[바르샤바]]에 [[도시철도]]가 들어섰다'''. 바르샤바 지하철 1호선은 [[2008년]] [[10월 25일]] [[므워치니 역]](Młociny Station)까지 개통되어 완전 개통하였다. [[대침체]]가 어찌어찌 완화된 [[2010년]] [[바르샤바 지하철 2호선]]의 공사가 시작되었다. 물론 이 지하철 2호선도 [[1919년]]에 같이 계획되기는 마찬가지였다. [[2015년]] [[3월 8일]] [[바르샤바 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인 [[론도 다신스키에고 역]](Rondo Daszyńskiego Station)에서 [[드보제츠 빌렌스키 역]](Dworzec Wileński Station)까지 구간이 개통하였다. == 노선 == * [[바르샤바 지하철 1호선]]: [[카바티 역]] ~ [[므워치니 역]], 22.7km, 역 21개 * [[바르샤바 지하철 2호선]]: [[론도 다신스키에고 역]] ~ [[드보제츠 빌렌스키 역]], 6.3km, 역 7개. * [[환승역]]은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Świętokrzyska(시비엥톡쥬스카) 역 한 곳이다. == 계획 == * [[바르샤바 지하철 2호선]] 확장: [[2028년]]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 [[바르샤바 지하철 3호선]]: [[2025년]] 착공, [[2030년]] 개통 계획. == 요금 == == 차량 == [[파일:81-572/573.jpg|width=100%]] 바르샤바 지하철은 소련의 영향을 많이 받은 만큼 초기에는 모든 차량이 전부 메트로바곤마쉬에서 제작한 ~~구소련권 국가 지하철에서 지겹도록 보이는~~ 81-717/714형 및 81-572/573형 열차[* [[81-717/714형 전동차]]의 파생형.]였었는데, 이게 소련이 '''1976년'''에 설계한 차량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보니 성능도 딸리고[* 도입 당시 다른 나라에서는 이미 사장된 [[저항제어]] 방식을 사용했다..] 소음도 매우 심했다. 이후 2005년에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차량을 18편성 도입한다. 그리고 8년 뒤 2013년, [[지멘스]]가 제작한 inspiro 차량[* 문서 상단의 왼쪽 사진.]이 운행을 시작했는데, 이전의 차량들과는 달리 매우 새끈하고 미래지향적인 외형이 특징이다. 현재 바르샤바 지하철의 주력 차량. 2022년 10월부터는 [[스코다]]의 varsovia 차량[* 문서 상단의 오른쪽 사진.]이 운행을 시작하는데, 1호선의 소련제 똥차는 전부 이 차량으로 대차되며 2호선에서도 운행 예정이다. == 안내방송 == * 보통역 경우 >następna stacja XX. >다음역 xx. >(열차 도착전) >---- >stacja XX. Drzwi otwierają się z lewej strony.[* 81-714/717형 열차에서는 송출돼지 않는다] >이역 xx. 문이 왼쪽으로 열립니다. >(열차 도착후) * 환승역 경우(지하철 노선) >następna stacja XX. możliwość przesiadki do pociągów linii metra M0. >Next station XX. convenient change to M0 metro line. >다음역 xx. M0 지하철 노선 열차 환승 가능합니다. >(열차 도착전) >---- >stacja XX. Drzwi otwierają się z lewej strony. >station XX. >이역 XX. 문이 왼쪽으로 열립니다. >(열차 도착후) * 환승역 경우(철도 노선) >następna stacja XX. możliwość przesiadki do pociągów podmiejskich (i dalekobieżnych.) >Next station XX. possibility changing to suburban (and long-distance) trains. >다음역 xx. 교외철도 (및 장거리) 열차 환승 가능합니다. >(열차 도착전) >---- >stacja XX. Drzwi otwierają się z lewej strony. >station XX. >이역 XX. 문이 왼쪽으로 열립니다. >(열차 도착후) * 종착역 >następna stacja XX. >다음역 xx. >---- >opuszczeniem pociągu prosimy pamiętać o zabraniu bagażu. >before leaving the train, please remember to take your luggage >열차 내리실때, 수하물 가져가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 >stacja XX. Drzwi otwierają się z lewej strony. >이역 xx. 문이 왼쪽으로 열립니다. >---- >Uwaga stacja końcowa. Prosimy o opuszczenie pociagu. >Terminus, please leave the train >종착역.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 [[분류:바르샤바 지하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