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26428b '''바이런 스캇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2985.gif|width=100]] || || '''{{{#FDB927 1985}}}''' || '''{{{#FDB927 1987}}}''' || '''{{{#FDB927 1988}}}''' || ---- [include(틀:NBA 역대 올해의 감독상)] }}} || ||<-2>
[[파일:ESPN 바이런 스캇.jpg|width=100%]] || || '''이름''' || 바이런 안톤 스캇[br](Byron Anton Scott) || || '''생년월일''' || [[1961년]] [[3월 28일]] ([age(1961-03-28)]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지''' || [[유타 주]] 오그던 || || '''출신학교''' || [[파일: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아이콘.png|width=20]]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 || '''신장''' || 191cm (6' 3") || || '''체중''' || 88kg (195 Ibs) || || '''포지션''' || [[슈팅 가드]] || || '''드래프트''' || 1983년 1라운드 4순위[br][[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샌디에이고 클리퍼스]] 지명 || || '''역대 소속팀'''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83-1993)'''[br][[인디애나 페이서스]] (1993-1995)[br][[멤피스 그리즐리스|밴쿠버 그리즐리스]] (1995-1996)[br]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1996-1997)[br]파나시나이코스BC (1997-1998) || || '''역대 지도자''' || [[새크라멘토 킹스]] 어시스턴트 코치 (1998-2000)[br][[브루클린 네츠|뉴저지 네츠]] 감독 (2000-2004)[br][[뉴올리언스 펠리컨스|뉴올리언스 호네츠]] 감독 (2004-2009)[br][[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감독 (2010-2013)[br]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감독 (2014-2016) || || '''역대 등번호''' || 4번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농구인으로, NBA에선 현역 선수 시절에는 쇼타임 레이커스의 준수한 롤플레이어였으나, 지도자가 된 이후에는 [[명선수는 명지도자가 될 수 없다|명선수는 명지도자가 될 수 없을 정도]]로 성적도 다 망쳐가지고 팬들에게 무지막지하게 욕만 먹은 농구인이었다.[* 특히 클리블랜드와 레이커스에서 심했다.] 바이런 스캇의 명언으로 [[코비 브라이언트]]에겐 많은 슛을 던질 특권이 있었다, 한 경기당 3점슛 시도는 15~20 개가 적당하다 등이 있었다. 선수시절의 성공과는 정 반대의 꼰대질을 감독이 되면서 해버린 특이한 멘탈리티의 소유자. [[릭 아델만]], 에디 조던(전 워싱턴 위저즈 감독) 등처럼 프린스턴 모션 오펜스를 구사했다. == 일생 == === 현역 시절 === 1961년 유타 주 오그덴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로스앤젤레스 인근 지역인 잉글우드에서 보냈고, 모닝사이드 고등학교 재학 당시 칼 프랭클린(1946~2020) 감독 밑에서 농구를 배운 후 1979년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에 진학하여 선배 [[팻 리버]], 앨튼 리스터와 함께 네드 울크(1920~2003)[* 위스콘신 주 매리언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라크로스 주립 사범대학(현 위스콘신 대학교 라크로스 캠퍼스)을 다니며 야구, 미식축구, 농구를 섭렵했고, 졸업 후 고등학교 체육교사로 일하다가 1948년 제이비어 대학교 미식축구 및 농구 코치로 체육 지도자 생활을 시작, 1949년부터 야구감독도 겸하며 1951년 농구감독으로 승격되었다. 1957년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농구부로 전근간 후 임기 25년 동안 NCAA 전국대회에서 세 번 8강을 찍었고(1961, 1963, 1975년), 스캇, 리버, 리스터 외에 조 칼드웰, 라이오넬 홀린스 등을 육성했다.]와 밥 웨인하워 감독에게 가르침을 받고 1983년 NBA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4순위로 샌디에이고 클리퍼스에 지명되었지만, 놈 닉슨과 교환권을 얻어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로 트레이드 되었다.[* 알려진 대로 이는 놈 닉슨과 매직 존슨의 불화로 발생한 트레이드이다.] [[파일:external/cdn.mirror.wiki/Byron-Scott-Lakers.jpg|width=400]] 당시 루키 시즌이었던 1983-84시즌부터 선발로 출전해 평균 10.6득점을 기록하면서 올 루키 퍼스트 팀에 선출되었다. 2년차인 1984-85시즌에는 라이벌인 보스턴 셀틱스를 누르고 처음으로 우승반지을 얻으며 슈터로서의 능력을 발휘해 3점슛 성공률 43.4%로 1위에 올랐고, 평균 15득점 이상을 넣은 유력한 득점 기록원으로 성장했다. 그 후 2년 뒤인 1986-87에도 보스턴을 상대로 또 한번 우승을 얻게 되었다. 1987-88시즌에는 커리어 처음이자 유일하게 평균 21.7득점을 넣으며 20득점을 넘었는데, 제임스 워디나 매직 존슨 등을 누르며 팀 가운데에서 최고 성적을 기록하였고 결승에서 [[디트로이트 피스톤즈]]를 만나 백투백 챔피언에 성공했다. 그러나 1988-89시즌 파이널 1차전을 앞두고 햄스트링 부상을 당해 전력 손실이 엄청나게 커졌고, 공격 3옵션을 잃었을 뿐 아니라, [[아이제아 토마스(1961)|아이제아 토마스]]나 [[조 듀마스]]를 수비해야 할 빠르고 작은 스타팅 가드가 없어져 버리면서 시리즈 내내 매직에게 부하가 크게 걸릴 수 밖에 없었다. 준우승 이후 카림이 은퇴했어도 Big 3 멤버인 워디, 매직에 이어 3번째로 득점을 기록하며 리그 중에서도 가장 강호팀으로 꼽혔으나, 1989-90시즌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는 [[피닉스 선즈]]에게, [[1991 NBA 파이널|1990-91시즌 NBA 파이널]]에서는 [[마이클 조던|그 분]]이 이끄는 [[시카고 불스]]에게 패하며 우승에는 실패했다. 오프 시즌에는 매직 존슨이 HIV 양성반응 판정이 나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선수생활을 마쳤고, 팀도 암흑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황금기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레이커스 시절 당시를 정리해 보면 [[카림 압둘자바]], [[매직 존슨]], [[제임스 워디]] 등 황금기 시절 화려한 속공을 중심으로 한 닥공 어태커들의 두를 받치고, 카림의 리바운드를 하고 난 뒤에 매직이 패스한 공을 [[3점슛]]으로 넣거나 또는 덩크를 꽂으며 팀의 중요한 득점 패턴의 하나가 되었다. 우수한 디펜더로서 매직 존슨의 매치업을 한결 편하게 해준 1번 전문 수비로 팀의 활약에 공헌하였다. 이후 스캇은 1993-94시즌부터 [[인디애나 페이서스]]로 옮기게 되었는데, 우승 경험이 풍부한 베테랑 역할을 요구하며 [[레지 밀러]]의 교체 선수로 활동했다. 1995-96시즌에는 창단 멤버로 밴쿠버 그리즐리스로 이적하였지만, 창설 이후 플레이오프에 들어서지도 못하고 불과 1년만에 떠나 3시즌만에 친정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로 복귀하였다. 당시 스캇이 없었던 사이 올랜도 매직에서 센터 [[샤킬 오닐]], 고졸 신인이었던 [[코비 브라이언트]]을 얻으며 팀 재건에 성공하였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칼 말론]], [[존 스탁턴]] 등이 이끈 유타 재즈에게 1-4로 완전히 제압을 당해 탈락해 버렸다. [[파일:바이런 스캇 유럽에서 뛰었을 때.jpg]] 이후 그리스로 건너가 명문 팀 파나티나이코스 BC와 계약을 체결해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PAOK 테살로니키[* 당시 새크라멘토 킹스의 레전드인 [[페자 스토야코비치]]가 뛰었던 팀이다.]를 만나 5차전에서 23득점을 넣어 팀을 우승으로 이끔과 동시에 파이널 MVP를 수상한 뒤, 선수생활을 마감하였다. === 지도자 시절 === 1998년부터 2시즌 동안 새크라멘토 킹스에서 코치를 맡아 릭 아델만 감독과 아버지뻘인 피트 캐릴 코치에게서 프린스턴 모션 오펜스를 터득했고, 슈팅 전문과 3점슛 성공률 향상에도 공헌하였지만, 그저 그럴 뿐이다. [[파일:뉴저지 네츠 감독 시절의 바이런 스캇.jpg|width=420]] 2000년부터 뉴저지 네츠 감독에 취임하였는데 첫 시즌부터 많은 선수들이 부상에 시달리며 26승 56패라는 최악의 기록을 세웠지만 오프시즌에 [[스테판 마버리]]와 [[제이슨 키드]]를 맞트레이드 시킨 2001-02시즌에는 킹스 때 배운 프린스턴 모션 오펜스를 성공적으로 이용해 작년 시즌과는 달리 52승 30패를 기록해 동부 컨퍼런스 1위를 확정지으며 플레이오프에서 인디애나, 샬럿, 보스턴을 잡고 동부 컨퍼런스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이후 결승전에서는 한때 친정팀이기도 한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와 맞붙었으나, 샤크-코비 콤비의 활약과 트라이앵글 오펜스에 막혀 전경기 완패를 당하며 창단 첫 우승을 놓치고 말았다. 이후 2002-03시즌에도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샌안토니오 스퍼스]]에게 패해 또 한번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 2003-04시즌에는 초반부터 안정감이 없었고, 제이슨 키드와의 불화로 사이가 좋지 않았고 작전 타임중에도 싸우기 직전까지 지시한 등 키드 본인이 거부하며 관계가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시즌 중반에 로렌스 프랭크 코치에게 감독직을 넘긴 뒤 사임했다. 2004-05시즌부터 뉴올리언스 호네츠 감독에 취임하였다. 당시 1년차는 구단이 침체기를 겪고 있었으며, 다음해인 2005-06시즌을 앞두고 NBA 드래프트에서 [[크리스 폴]]을 지명하면서 상황은 호전되었다. 2년차에 들어선 2006-07시즌에는 한때 선수 시절 그리스 파나시나이코스 BC에서 한솥밥을 먹으며 팀의 우승에도 공헌했던 세르비아 출신의 [[페자 스토야코비치]]를 영입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을 향해 대폭 보강시켰지만, 스토야코비치가 부상으로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고, 다른 부상자들도 속출하면서 승률 5%를 기록함과 동시에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2007-08시즌에 완벽하게 태세를 갖춘 지도력으로 56승 26패를 기록해 팀 창단 이후 처음으로 사우스 웨스턴 디비전 우승을 하는데 기여했다. 비록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샌안토니오에게 패했지만, 이와 같은 활약을 인정받아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2008-09시즌에는 49승 33패를 기록해 서부 컨퍼런스 7위로 아슬아슬하게 플레이오프 순위권에 들어와 덴버 너기츠와 맞붙었으나 1라운드에서 곧바로 탈락했다. 특히 문제의 경기는 4차전에서 121-63으로 대패하면서 포스트 시즌 가운데 최악의 사태를 만들어 놓았다. 2009-10시즌에는 3승 6패를 기록하면서 팬들에게 까임과 동시에 시즌 초반에 감독직에서 물러나 ESPN에서 잠시 해설진을 맡았다가 2010-11시즌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감독에 취임했다. 당시 [[르브론 제임스]]가 [[마이애미 히트]]로 이적해 버리면서 팀의 재건에 힘을 쏟아 내었으나 3년동안 플레이오프 순위권에 들어오지 못하고 결국 사임했다. 2013-14시즌에는 스펙트럼 스포츠넷의 전신인 타임 워너 케이블 스포츠넷에서 친정팀 레이커스의 분석가를 맡았으며 이후, 2014-15시즌부터 그 팀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유명한 선수는 지도자가 될 수 없을 정도로 성적을 완전히 망치며 팬들에게 무지막지하게 까였으며 2015-16시즌을 끝으로 사임했다. 2017년 8월 6일에는 ESPN에서 해설자를 맡게 되었는데, 사실상 지도자 생활을 완전히 접어 버렸다고 한다.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오그던 출신 인물]][[분류:1961년 출생]][[분류:슈팅 가드]][[분류:1983년 데뷔]][[분류:1998년 은퇴]][[분류: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출신]][[분류: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은퇴, 이적]][[분류:인디애나 페이서스/은퇴, 이적]][[분류:멤피스 그리즐리스/은퇴, 이적]][[분류:브루클린 네츠/역대 감독]][[분류:뉴올리언스 펠리컨스/역대 감독]][[분류: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역대 감독]][[분류: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