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트리니티 블러드의 등장인물, rd1=바츨라프 하벨(트리니티 블러드))] [include(틀:역대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 [include(틀:역대 체코 대통령)] ||<-2> [[체코슬로바키아|{{{#fff '''체코슬로바키아 제10대 대통령'''}}}]] || ||<-2> '''[[체코 대통령|{{{#fff 체코 공화국 초대 대통령}}}]][br]{{{+1 바츨라프 하벨}}}[br]Václav Have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áclav_Havel.jpg|width=100%]]}}} || ||<|2> '''출생''' ||[[1936년]] [[10월 5일]]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프라하]] || ||<|2> '''사망''' ||[[2011년]] [[12월 18일]] (향년 75세) || ||[[체코]] 프라하 || ||<|4> '''재임 기간''' ||제10대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 || ||[[1989년]] [[12월 29일]] ~ [[1992년]] [[7월 20일]] || ||초대 [[체코]] 대통령 || ||[[1993년]] [[2월 2일]] ~ [[2003년]] [[2월 2일]] || || '''외부 링크''' ||[[https://www.vaclavhavel.cz/en/|www.vaclavhavel-library.org]]||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올가 하블로바 ,,(1964 ~ 1996),,[* [[1996년]] [[사별]].][br]마그마르 베슈크르노바 ,,(1997 ~ ),, || || '''학력''' ||체코공과대학교[br]프라하국립공연예술대학 || || '''직업''' ||극작가, 정치인 || || '''정당''' ||시민회의당 ,,(1989 ~ 1991),,[br]시민민주동맹 ,,(1990 ~ 1998),,[br]녹색당 ,,(2004 ~ 2011),, || || '''주요 경력'''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 ,,(1989 ~1992),,[br]'''체코 공화국 대통령''' ,,(1993 ~ 2003),, || || '''수상 이력''' ||[[카롤루스 대제]]상 ,,([[1991년]]),,[br][[필라델피아]] 자유의 메달 ,,([[1994년]]),,[br][[서울평화상]] ,,([[2004년]]),,[br]백수리 훈장 수훈[br]특급 대십자 연방공로십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체코]]의 자유화와 민주화를 주도한 [[극작가]] 겸 [[정치가]]. [[체코]]의 [[국부]].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의 마지막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분리된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체코의 초대 대통령으로 재직했다. == 생애 == 1936년 [[프라하]]에서 명문 지식인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유한 지식인 가문 출신이라는 집안 배경 때문에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가 공산화된 이후 [[반동분자|교육, 직장 배정 등 여러 면에서 공산당에 의해 제약을 받았다]]. 1959년 군복무를 마친 이후 하벨은 본격적으로 극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프라하의 한 극장에 자리잡은 그는 이후 여러 편의 극들을 발표하면서 명성을 얻기 시작하지만 [[1968년]] 발생한 [[프라하의 봄]]은 민주화 투사로서의 그가 탄생하는데 있어 큰 전환점이 되었다. 이 당시 [[소련군]]의 침공을 알렸던 '자유 체코슬로바키아 라디오' 에서 활동한 경력때문에 그는 극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이후 하벨은 1977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지식인들이 모여 정치 개혁을 촉구한 77 헌장(카르타)에 가입하여 민주화 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산당의 탄압을 받아 1979년부터 1983년까지 투옥된다. 1989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주화를 이룬 비폭력 혁명인 [[벨벳 혁명]]의 주역으로, 동구권 여러 국가에서 벌어지고 있던 [[1989년 동유럽 혁명|동유럽 혁명]] 당시 다방면으로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여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구스타우 후사크]](Gustáv Husák) 1당 독재 체제를 마침내 무너뜨리고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하벨은 체코슬로바키아가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해체 및 분리되는 것을 반대했지만, 이 후에도 2003년까지 체코 공화국의 대통령에 재임했었고 퇴임 후에는 본업인 극작가로 돌아와 활동을 계속하였다. [[2004년]]에 [[서울평화상]]을 수상했다. [[2011년]]에 75세를 일기로 타계한 후, 이듬해 그의 이름을 본따서 수도 [[프라하]]의 관문인 루지네 국제공항이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국제공항]]으로 개명하였다. [[2015년]] [[경희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 수여식이 열렸다. 이미 고인이 된 바츨라프 대신 그의 동생 이반 하벨이 대리로 수여받았다. 대표작에는 희곡 《뜰의 축제》(Zahradní slavnost), 《힘없는 자들의 힘》(Moc bezmocných)[* [[2019년]] 한국-체코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어로 번역 출판되었다.] 등이 있다. 1992년에는 한국을 방문했다.[[https://youtu.be/3aU3Pp6pi24|#]] == 둘러보기 == [include(틀:역대 서울평화상 수상자)] [각주] [[분류: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분류:체코 대통령]][[분류:체코의 극작가]][[분류:민주운동가]][[분류:체코 남성 작가]][[분류:작가 출신 정치인]][[분류:1936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프라하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