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바티칸의 역사)] |||| {{{+1 '''교황령'''}}}[br]'''Stati della Chiesa'''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Flag_of_the_Papal_States_%281808-1870%29.svg.png|width=120]] || |||| 국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cationVaticanCity.png]] || |||| 지도 || |||| [[1870년]]~[[1929년]] || || 위치 ||[[바티칸]] || || 수도 ||[[바티칸(도시)|바티칸]] || || 정치체제 ||[[비주권군주제]][br][[선거군주제]][br][[신권정치]]|| || 지도자 ||[[교황]]|| || 언어 ||[[라틴어]][br][[이탈리아어]]|| || 이전 국가 ||[[교황령]]|| || 이후 국가 ||[[바티칸 시국]]||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통일전쟁]] 중 [[교황령]]이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당한 [[1870년]]부터 [[교황]]과 [[베니토 무솔리니]] 간에 맺어진 [[라테라노 조약]]으로 [[교황령]]([[바티칸 시국]])이 부활하는 [[1929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바티칸 포로([[라틴어]]: Captivus Vaticani)'라는 표현은 교황령이 이탈리아로 합병되는 과정을 지켜본 교황 [[비오 9세]]의 발언을 통해 정착되었다. == 역사 == [[18세기]] [[프랑스 왕국|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전 유럽을 휩쓴 [[계몽주의]]는 [[이탈리아]]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프랑스 제1제국|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몰락하자 [[빈 체제]]가 설립, [[이탈리아 반도]] 북부는 [[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을 제외하면 [[합스부르크 가문]]이 이끄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이 오스트리아 제국 직할령이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방계가 다스리는 [[토스카나 대공국]]과 [[모데나 레조 공국]]은 본가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모데나 공국의 [[프란체스코 4세]]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원을 받아 [[극우|극한의]] [[반동주의]] 정책을 실시했다.] 당시 여러 국가들로 나뉘어 있던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이런 합스부르크 체제에 대항하여 [[민족주의]]가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사르데냐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을 중심으로 [[이탈리아 통일전쟁]]이 발발하였다. 그리고 통일전쟁의 결과 [[이탈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통일한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주도로 [[이탈리아 왕국]]이 성립되었다. [[이탈리아 왕국]]에 있어 교황령은 [[이탈리아 통일]]을 위해 합병해야할 세속 국가에 지나지 않았다. 교황은 [[프랑스 제2제국|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에게 파병을 요청하여 [[이탈리아 왕국군]]과 [[로마]]의 통일세력으로부터 로마를 지키게 하였다. 파국을 피한 교황은 이탈리아 민족운동을 억압하는 한편, 교황령의 행정과 경제 개혁을 추구하여 세속권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으로 [[프랑스군|프랑스 제국군]]이 철수하면서, [[이탈리아 왕국]]은 [[이탈리아인|이탈리아 민중]]의 지지 아래 [[1870년]] 9월 로마에 입성하여 교황령을 합병하였다. 이로써 교황령의 [[군주]]인 [[교황]]은 [[바티칸(도시)|바티칸]] 지역을 제외한 모든 세속 영토와 권력, 그에 따르던 세금 수입을 상실하였으며, 국제법상 외교 주체로도 인정받지 못하고 [[이탈리아 왕국]] 내부에서 제한적인 자치권만을 가진 [[비주권군주제|비주권군주]]로 전락하게 되었다. 교황령 병합 직후 이탈리아 왕국 정부는 보장법(Legge delle guarentigie)을 통과시켜 영토를 제외한 이전 교황의 권리를 대부분 보장할 것을 약속했지만 교황 [[비오 9세]]는 자신을 '바티칸의 포로'라고 선언하고 바티칸에서 나오지 않았다. 또한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와 [[사보이아 가문|사보이아 왕가]] 전체를 파문하고 이탈리아 왕국과의 모든 대화를 거부했다. [[바티칸]]의 대(對) 이탈리아 정책은 [[비오 11세]]가 [[1929년]] [[라테라노 조약]]을 체결하였을 때에서야 비로소 수정되었다. 교황 [[비오 11세]]가 [[베니토 무솔리니]]와 체결한 이 조약으로 [[바티칸 시국]]이 성립되었으며 이로써 59년 동안 지속된 바티칸 포로 시기도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 관련 문서 == * [[교황령]] * [[이탈리아 통일]] * [[검은 귀족]] * [[역사적 극우파]] * [[라테라노 조약]]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비오 9세,version=50)] [[분류:바티칸 시국의 역사]][[분류:비주권군주제]][[분류:이탈리아의 역사]][[분류:이탈리아-바티칸 관계]][[분류:종교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