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박성배 관련 틀'''}}}}}} || || {{{#!folding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박성배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include(틀:양주시민축구단 감독)]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박성배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FA컵(대한민국)|[[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height=2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04297; font-size: 0.9em" [[FA컵(대한민국)#s-9.3|{{{#f7c626 '''2000 FA컵 MVP'''}}}]]}}}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 || ||<-3> {{{+2 {{{#ffffff '''숭실대학교 축구부 감독'''}}}}}} || ||<-3> '''{{{#fff {{{+1 SOONGSIL UNIVERSITY FC}}}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운로드박성배6).jpg|width=100%]]}}} || ||<-2> ''' 이름 ''' || '''{{{+1 박성배}}} [br] 朴成培 | Park Sung-Bae''' || ||<|2><-2> '''출생''' ||[[1975년]] [[11월 28일]] ([age(1975-11-28)]세)|| ||[[충청북도]] [[청주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 / ^^은퇴^^) [br][[축구 감독]] || ||<-2> '''신체''' ||181cm, 80kg || ||<-2> '''학력''' ||청주대성중 - [[청주대성고등학교|청주상고]] - [[숭실대]] || ||<|3> ''' 소속 ''' || ''' 선수 ''' ||'''[[전북 현대 다이노스]] (1998~2002)''' [br] [[광주 상무 불사조]] (2003~2004) [br] [[FC 서울]] (2005~2006)[* 한 경기도 뛰지 못하면서 입단 3개월 만에 부산으로 임대되었다.] [br] → {{{-1 [[부산 아이파크]] (2005~2006 / 임대)}}}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7) [br] 영하트 마나와투 (2008~2009) [br] 이스턴 서버브스 (2009) [br] [[용인시청 축구단]] (2010) || || ''' 감독 ''' ||FC 오산 U-15 (2011~2013) [br] [[양주시민축구단]] (2021~2022) [br] [[숭실대학교 축구부|숭실대학교]] (2023~ )|| || ''' 코치 ''' ||[[용인시청 축구단]] (2010 / ^^플레잉 코치^^) [br] [[대한축구협회]] (2016 / ^^유소년 전임지도자^^) [br]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대표팀]] (2017~2018)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9 / ^^수석 코치^^) [br] [[안산 그리너스 FC]] (2020 / ^^수석 코치^^) || ||<-2> '''국가대표''' ||8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999~2001)^^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현역 시절 별명은 [[흑상어]]. == 클럽 경력 == === 프로 이전 === 청주대성중-청주상고 시절 유인권 감독의 지도 아래 [[이운재]], [[이장관]], [[전경준]], [[서혁수]] 등과 함께 1991년 전국대회 3관왕에 기여하는 등 청주상고의 첫 번째 부흥기를 이끌었다. [[숭실대학교]] 재학중 이던 1994년 20세 이하 대표팀에 발탁되어 2경기에 출전해, 쿠웨이트와 태국을 상대로 각각 한 골씩을 기록했다. === 프로 경력 === [[파일:다운로드박성배(7).jpg]] 1998년 [[전북 현대 다이노스]]에 입단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다. 5시즌동안 리그 93경기 출전 26골을 기록 후 [[광주 상무]]에서 군생활을 하였다. 전역 후 트레이드를 통해 2005년 [[FC 서울]]로 이적했지만 당시 김은중과 정조국, 박주영 등 쟁쟁한 공격진 속에서 정규리그에 단 한 경기에도 나서지 못하고 [[부산 아이파크]]로 임대되어 20경기 5골을 기록했다. 이 당시 네 경기 연속골을 기록하는 등 6경기 연속 공격 포인트를 올리며 맹활약했고 팀을 전기리그 우승으로 이끌기도 했다. 그러나 다음시즌 서울 복귀 후에 또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R리그만 뛴 끝에 2007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해, 13경기 2골을 기록했다. 이 두 골 중에서 당시 수원 첫 시즌이던 양상민이 기여한 골도 있다.[[http://www.bluewings.kr/index.php?mid=vod_highlight&page=40&document_srl=39161|영상 자동 다운로드 주의]] 이후 2008년 수원과의 계약 종료 후 가족과 뉴질랜드로 이사를 가며 뉴질랜드 리그의 영하트 마나와투와 이스턴 서버브스에서 선수생활을 한 후, 2010년 창단된 내셔널리그의 [[용인시청 축구단]]의 플레잉코치로 국내에 복귀했다(17경기 3골) == 국가대표 경력 == 1998년 11월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있었던 중국 프로 선발팀과의 친선 경기에 출전하였는데 이 경기는 사실상 대표팀 간의 경기였지만 프로 선발 팀 명목으로 출전하였기 때문에 공식 A매치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그 후 1999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코리아컵]]에 출전[* 맥시코와 경기에서 PK를 얻어낼 뻔 했는데, 심판이 [[루쥔|혐한에 승부조작범]]이라서...]했고, 히딩크호 초기 2001년 칼스버그컵을 포함,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대표팀 선수로 8경기에 출전했다. 당시 국가대표 감독이었던 [[거스 히딩크]]가 눈여겨봤던 선수로서 나름 잠재력있던 재목으로 보여진다. 전지 훈련중에도 히딩크로부터 '네가 대한민국 최고의 공격수다. 잠재력이 터지길 바란다'라는 격언도 받았을 정도니 박성배에게 거는 기대가 많았던 모양.[* 여러모로 [[벤투호]]의 [[조규성]]과 같은 기대감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선배인 박성배는 조규성과 달리 그 기회를 잡지 못한 안타까운 사례] 그러나 부상으로 불참했던 [[황선홍]]을 대신해 LG컵[* [[LG]] 후원의 국제 축구대회로 아프리카와 중동, 남미 위주로 참여하는 소규모 대회다. 2000년과 2001년동안은 한국도 월드컵 대비 명목으로 참여했고 2001년은 우승까지 거머쥐었다. 대회는 2011년자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국가대표로도 참여했음에도 박성배 본인도 앓던 부상과 큰 부담을 이겨내지 못한 채 인상적인 활약상을 보여주진 못했고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슬럼프]]에 빠져 국가대표로부터 부름을 받는 일은 없었다. [[김병지]], [[고종수]], [[서정원]], [[심재원(축구선수)|심재원]]과 함께 히딩크 휘하에서 안타까움을 자아낸 케이스중 하나.[[https://v.daum.net/v/20210420112020280|#]] == 지도자 경력 == === 코치 시절 === 2011년 은퇴 및 용인시청의 코치로 일한 후, 2013년 FC 오산의 U-15 감독을 맡아 3년간 지도했다. 그 후 2016년부터 [[대한축구협회]] 전임지도자로 일하며 U-14 대표팀 감독, U-20 대표팀 코치 등 유소년 지도를 맡았고, 특히 [[201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대표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는 평을 받았다. 2018년 12월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5대 감독으로 선임된 [[이임생]] 감독을 보좌할 수석 코치로 합류하게 되었다. 이임생 감독 본인과, 새로 합류한 [[주승진]] 코치가 수비수 출신이어서 공격 부문을 담당할 코치가 필요했다고. 이임생 감독과는 2007년 당시 선수와 수석 코치로 만났으며, 박성배 본인에게는 12년 만의 수원 복귀이자 첫 프로팀 코치 경력이다. 2019년 FA컵 우승이라는 업적을 남기며 수석코치로서 좋은 역할을 했다고 평가를 받았다. 2020년 1월 [[안산 그리너스]]의 수석코치로 선임되었고, 최약체라 평가되었던 팀을 7위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 감독 시절 === 2021년 [[양주시민축구단]] 감독에 선임되며 성인팀 감독으로 데뷔하게 되었다. [[대한축구협회 FA컵/2021년|2021년 FA컵]] 16강전에서 친정팀 [[전북 현대 모터스]]를 승부차기 끝에 이기는 그야말로 자이언트 킬링, '''대이변을 일으켰다.'''[* 여담으로, 박성배 감독과 상대 전북의 김상식 감독은 2019년에 수원 삼성과 전북에서 각각 수석 코치를 맡은 바가 있었다. 2021 FA컵 16강에서는 감독으로서 서로를 상대하게 된 것.] 8강 상대는 [[울산 현대]]로 정해졌다. 여기서도 전후반 내내 라인을 내리지 않고 강한 압박을 거는 전술로 울산과 어느 정도 대등히 맞섰으나 윤일록과 김지현의 골로 아쉽게 양주의 돌풍은 막을 내리고 말았다. 하지만 정작 리그에서는 차하위인 14위를 기록했다. 본래 K3리그 14위팀이 K4리그 3위/4위팀의 K4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의 승자와 승강 결정전을 치러야 했으나, 2022시즌 [[김포 FC]]의 K리그2 진출로 인해 K3리그에 공석 한 자리가 생기면서 가까스로 잔류했다. 2022 시즌 저예산 속에서도 리그 8위와 경기도민체전 우승을 일궈냈지만 시즌이 끝나고 양주를 떠났다. 이후 2023년 6월, 모교인 [[숭실대학교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 제18회 1, 2학년 대학축구연맹전 태백산기 대회에서 전년도 챔피언 선문대를 꺾는 등 8강까지 진출했다.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1975년 출생]][[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은퇴, 이적]][[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FC 서울/은퇴, 이적]][[분류:부산 아이파크/은퇴, 이적]][[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은퇴, 이적]][[분류:용인시청 축구단/은퇴, 이적]][[분류:양주시민축구단/역대 감독]] [[분류:FA컵(대한민국)/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