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9기 중앙인민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6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6기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남포시 책임비서]] [[분류:남포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분류:평양시인민위원회 위원장]] [[분류:자강도 인민위원회 위원장]] [[분류:7기 최고인민회의 예산심의위원회 위원]] [[분류: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8기 최고인민회의 예산심의위원회 위원]] [[분류: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분류:북한의 대사]] [include(틀:역대 평양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정치인. == 생애 == 1922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중앙당학교를 졸업했다는 정보가 있다. 1963년 6월, 만포군 인민위원장에 임명되어 1967년 11월 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1974년 6월 20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주 수단 대사로 발령받았고 8월 15일에 신임장을 봉정하였다. 1975년 6월 5일, 에티오피아와의 수교를 성사시켰으며 에티오피아 대사를 겸하였다. 1977년 5월 4일, 북한 대사관이 에티오피아에 개설되었고, [[김국태]]가 신임 대사로 임명되면서 물러났다. 1978년 10월, 조명황이 신임 수단 대사로 임명되면서 귀국했다. 귀국 후 1980년 7월, 자강도 행정경제위원장에 임명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1982년 2월, 최고인민회의 7기 대의원에 선출, 예산심의위원이 되었다. 1983년 2월에 자강도 인민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1984년 10월, [[김만금]]의 뒤를 이어 평양시 인민위원장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1984년 11월, [[김만금]] 장의위원을 지냈다. 평양시 대표단장으로 쿠바, 페루 등을 방문했으며 1984년 12월, 조선로동당 6기 10중전회에서 중앙검사위원으로 보선되었다. 1985년 2월, [[량광일]] 장의위원을 지냈다. 1985년 6월, 인민봉사위원장으로 옮기고 인민위원장 자리를 [[서윤석(1928)|서윤석]]에게 물려주었으며 당정 대표단장으로 니카라과, 소련 등으르 방문하였다. 1986년 1월, 비서국 비서로 승진한 [[리근모]]의 뒤를 이어 남포시 책임비서 겸 인민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1986년 2월, 조선로동당 6기 11중전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보선되었다. 1986년 7월, 소련을 방문하였고 1986년 11월, 8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및 예산심의위원에 재선되었다. 1987년 4월, 김일성 75세기념 [[김일성훈장]]을 받았고 1990년 4월, 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었으며 최고인민회의 9기 1차 회의에서 중앙인민위원에 선출되었다. 1992년 3월, [[현무광]]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1992년 4월, 김일성 팔순기념 [[김일성훈장]]을 또 받아 이중수훈자가 되었다. 1994년 7월, [[김일성]] 장의위원, 1995년 2월, [[오진우]] 장의위원을 지냈다. 1997년 10월 2월, 남포시당 대표회에서 김정일 총비서 추대 결정서 채택 보고를 맡았는 등 활동을 이어나갔으나 1998년 9월, 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서 탈락하였고 [[리영복]]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사라졌다. 이후 동정보도는 없다. == 참고문헌 == * (最新)北韓人名辭典(서울: 北韓硏究所,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