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명이 박진경인 걸그룹 woo!ah!의 멤버, rd1=우연(woo!ah!), other2=건군기의 군인, rd2=박진경(군인))] ||<-2> '''{{{#000 {{{-1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책임 프로듀서}}}[br]{{{+1 박진경}}}[br]Jinkyung Par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진경 PD-카카오 프로필.jpg|width=100%]]}}} || || '''출생''' ||[[1982년]] [[7월 11일]] ([age(1982-07-1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2 (신소재공학 / 학사)}}} || || '''직업''' ||[[PD(방송)|예능 PD]] || || '''MBTI''' ||[[INTP]] || || '''소속''' ||[[카카오엔터테인먼트]] {{{-4 (2019 ~)}}} || || '''경력''' ||[[문화방송|MBC]] 예능본부 PD {{{-4 (2007 ~ 2019)}}}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inkyung)]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img.hani.co.kr/00546687301_20151228.jpg|width=400]]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5062116457212305|[마이 리틀 텔레비전] 박진경 PD “채팅 참여자를 제2의 MC라고 생각한다”]] [[http://m.imagazinekorea.com/daily/dailyView.asp?no=4464&pType=5&pType2=|웃기는 남자들_`마리텔`의 박진경PD]]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011&contents_id=98626|나도야 간다, 젊은 PD들!]] 대한민국의 PD. 1982년 7월 11일생 ([age(1982-07-11)]세). 최종학력은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부 학사다.[* 인터뷰에 따르면 성적이 나빠서 원하는 과로는 입학을 못 하고 연세대의 락밴드 '[[소나기(동음이의어)#s-4|소나기]]'에 들어가 베이스 기타만 치다가 졸업했다고 한다. 학부제라 1학년 성적이 안 좋아 원하는 과로 못 간듯.] [[쇼! 음악중심]][* 2009년 조연출.], [[무한도전]][* 2008/2009/2011년 조연출, 2014/2015년 연출.][* 직접적인 등장은 2008년 태안 특집 때 정형돈의 요리를 맛본것과 [[무한도전 인생극장 Yes or No|인생극장 Yes or No]] 때 [[유재석]]이 마라도행 배가 끊겨 모슬포항에 머물러 있었는데 이때 어선 빌릴 돈을 빌려달라고 찾아간 것. [[무한도전 특별기획전/극한알바|극한알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ittletv&no=145895&page=2&exception_mode=recommend|63빌딩 유리닦이 에피소드]] 등 2015년 초까지 무한도전에 있다가 마리텔을 시작하면서 나갔다.]과 사남일녀의 공동 연출 경력이 있으며,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그가 첫 메인 PD로 참여하는 데뷔작이었는데, 이것이 대박을 치면서 사람들에게 이름이 알려지게 된다. [[이말년]]과 5촌 관계이다. 나이는 1살밖에 차이가 안 나지만 박진경이 이말년의 숙부다. 2019년 12월 10일, [[문화방송|MBC]]를 떠나 [[카카오엔터테인먼트/뮤직부문|카카오M]](현 [[카카오엔터테인먼트]])으로 이적하였다. 2020년 9월부터는 [[카카오TV 모닝]]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 '책임 프로듀서(CP)'가 되었다. == 제작 경력 == ||<-4><#FEE500> {{{#000 '''조연출 프로그램''' }}} || || '''채널''' || '''연도''' || '''콘텐츠''' || '''비고'''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08[br]~ 2009 || [[무한도전]] ||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09 || [[쇼! 음악중심]] ||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11 || [[무한도전]] ||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12[br]~ 2013 || [[무릎팍도사]] || || ||<-4><#FEE500> {{{#000 '''연출 프로그램''' }}} || || '''채널''' || '''연도''' || '''콘텐츠''' || '''비고'''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14 || 사남일녀 || [* 강영선, 조욱형 PD와 공동 연출]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14[br]~ 2015 || [[무한도전]] ||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15[br]~ 2017 || '''[[마이 리틀 텔레비전]]''' || [* [[이재석(PD)|이재석]] PD와 공동 연출]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18 || '''[[두니아 ~ 처음 만난 세계]]''' || [* [[이재석(PD)|이재석]], 권성민 PD와 공동 연출]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height=12]]]] || 2019 ||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 [* [[권해봄]], 김석현 PD와 공동 연출]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0 || [[카카오TV 모닝#s-3.3|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1]]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0[br]~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2]]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3]]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4]]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5]]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2023 || '''[[좀비버스]]'''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4><#FEE500> {{{#000 '''기획 프로그램''' }}} || || '''채널''' || '''연도''' || '''콘텐츠''' || '''비고'''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0 || [[카카오TV 모닝]] ||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0 || [[카카오TV 모닝#s-3.3|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1]]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0[br]~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2]]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3]]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4]]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1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5]]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카카오TV|[[파일:카카오TV 로고.svg|height=15]]]] || 2021 || [[맛집의 옆집]] || || || [[카카오페이지|[[파일:카카오페이지 로고.svg|height=15]]]] || 2023 || [[소녀 리버스(RE:VERSE)]] || [* 조욱형 CP와 '총괄 연출'을 맡았다.] ||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5]]]] || 2023 || '''[[좀비버스]]''' || [*병행 책임 프로듀서(CP)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연출도 병행하였다.] || === [[마이 리틀 텔레비전]] === [[파일:6w8VsKH.jpg]]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처음 방영되기 전 대다수의 사람들이 보기에 신선한 포맷이라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인터넷 방송의 특징 중 하나인 채팅창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와 노잼화에 대한 우려를 숨기지 않았었는데, 깔끔한 편집과 인터넷 [[밈(인터넷 용어)|밈]]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프로그램에 잘 녹아들며 호평을 받았고,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시작했던 마리텔은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5062116457212305|“국장실 가서 테이블에 다리 올려도 된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성장했다. 일단 PD 본인이 [[리그 오브 레전드]]나 [[하스스톤]]을 즐기는 게임광이기도 하고 서브컬처 문화에 익숙한 젊은 PD였다는 것이 성공 요인으로 보인다. 특히 이런 채팅을 보여주는 형식은 크게 히트를 쳐서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차용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삼성증권에서도 차승원을 모델로 한 CF를 찍으면서 대놓고 갖다 썼다.] 예능에서 네모칸 형식으로 이모티콘과 함께 글을 보여주는 형식이 나오면 마리텔에서 나온 거라고 보면 된다. 여담으로 마리텔에서 [[김구라]] 방에서만 3차례 출연했다. [[파일:external/oi67.tinypic.com/vgjsd1.jpg]] 연출력이 호평을 받고 있다. 특히 MLT-19에서는 김성주 - 안정환 방송에서 [[마이 리틀 텔레비전/MLT-16~MLT-20#s-5.4|절대 못 나갈 것 같은 후반전 방송 장면이]] 본방에 거의 그대로 나갔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조.[* 다음 링크를 참조. [[https://www.facebook.com/MBCentertain/videos/1689227171361239/|심지어 해당 장면은 MBC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에도 올라왔다.]]] MLT-19 본방 이후 박진경 PD의 연출력에 대해 각종 커뮤니티에서 극찬하며 김태호 - [[나영석]]의 뒤를 잇는 차세대 스타 PD감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 출연 == * [[MBC FM4U]] [[배철수의 음악캠프]] (2017.01.06) * [[SBS 파워FM]] [[딘딘의 뮤직하이]] (2023.08.05) == 수상 == * 2015 제27회 한국PD대상 TV예능 부문 작품상 <무한도전-토토가> ([[김태호(PD)|김태호]], 강성아, 박진경 연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297577|#]] * 2015 한국PD연합회 선정 185회 이달의 PD상 <마이 리틀 텔레비전> [[http://www.kpda.co/gb/bbs/board.php?tb=&bo_table=monthPD&wr_id=200&tab=2|#]] * 2015 한국소비자브랜드위원회 주최 대한민국 올해의 브랜드 대상 <마이 리틀 텔레비전>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113140|#]] * 2015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ABU)상 TV 예능 부문 최우수상 <[[마이 리틀 텔레비전]]>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04&aid=0000118614|#]] * 2015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방송영상산업발전유공 예능 부문 국무총리 표창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697833|#]] * 2016 제28회 한국PD대상 실험정신상 <마이 리틀 텔레비전> [[http://star.mbn.co.kr/view.php?no=181658&year=2016&refer=portal|#]] * 2016 제43회 한국방송대상 연예오락TV 작품상 <마이 리틀 텔레비전> [[http://osen.mt.co.kr/article/G1110488884|#]] * 2018 제51회 휴스턴 국제영화제 예능 부문 금상 <마이 리틀 텔레비전> [[http://enews24.tving.com/news/article?nsID=1286305|#]] == 음악 덕후 == [[음악]]을 좋아해서 막연히 음악 관련 일을 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2007년에 MBC를 통해서 방영된 [[메탈리카]] [[https://www.youtube.com/watch?v=eU0Cb85m1FQ|공연 실황]]을 밤중에 보고 있다가 ‘저런 것도 [[방송국]]에서 하는구나’ 생각해서 방송국에 지원했다고. 실제로 트위터를 통해 음악 이야기를 자주 하며, [[장시간 음반|LP판]] 수집이 취미라 [[https://instagram.com/iamjinkyung|인스타그램]]에 다수의 LP판 사진이 올라오기도 한다. 대충 5000장이나 소장하고 있지만, 좋아하는 이성이 싫어하면 처분 가능하다고 밝혔다.[* [[배철수의 음악캠프]] 2017년 1월 6일] 2018년에는 [[포스트락 마이너 갤러리]]에 정체를 숨기고 자신이 소장한 앨범과 LP를 자랑하기도 했다.[* 글을 올리고 몇 시간 뒤 모 이용자에 의해 글쓴이가 박진경 PD라는 것이 밝혀졌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122559|#]]]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122426|#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122439|#2]]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122450|#3]] 음악중에서도 [[록 음악]], 특히 [[메탈(음악)|헤비메탈]]을 좋아하는 [[메탈헤드]]인 것으로 보인다. 방송이나 매체에 출연할 때마다(거의 대부분 메탈 밴드 굿즈를 착용하고 나오기도 한다.[* 트위터에 올라온 많이 들은 음악 리스트에 [[더 페인스 오브 빙 퓨어 앳 하트|The Pains of Being Pure at Heart]]나 [[Knife Party]]의 곡들이 올라가 있는 것을 보면 다른 장르 또한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탈계 아이돌인 [[BABYMETAL]]도 좋아하는지 [[https://twitter.com/jinkyung/status/677815042897784833|타이틀 미정이지만 예약을 했다고.]] 전자음악도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스타그램에 찍힌 사진의 LP를 보면 Fuck buttons나, Squarepusher, Venetian Snares의 앨범들도 있다. 인터뷰에서 입은 옷도 미국의 마이너 드론메탈 밴드인 Sunn O)))의 티셔츠일 정도로 매니악한 메탈음악도 좋아하는 듯하다. 2016년 4월에는 대중문화 웹진 [[ize]]에 [[BABYMETAL]]을 소개하는 글을 기고하여 덕심을 드러냈다. [[https://www.iz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95|베비메탈, 장난이 아니야]] 일본의 4인조 걸그룹 [[PassCode]]도 진심으로 좋아한다. 바쁜 시기에는 공연에 보러 가지 못해 아쉽다는 글을 자주 올린다. 음악 덕후라서 그런지 은근히 방송에 덕심을 드러내는 음악을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2016년 1월 17일 [[데이비드 보위]]가 세상을 뜬 주 토요일 방송에서는 엔딩 뮤직비디오로 보위의 Life on Mars를 넣었다. 2016년 4월 16일 방영분 윤도현 방에서는 [[스케이트보드]]라는 방의 주제에 맞게 The Adolescents, Blink-182 등의 스케이트 펑크 음악을 삽입하기도 했다. 전자음악의 경우는 마리텔 본방에서 백종원이 옥상으로 쫒겨날 때 Venetian Snares의 음악을 사용하기도 했다. 케이팝 걸그룹 노래도 상당히 좋아한다. 2020년까지는 매년 올해 최고의 곡을 선정하는 '여자 아이돌 악곡 베스트'를 만들었을 정도.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 가능하다.) 특히, 前 [[AOA(아이돌)|AOA]] 멤버였던 [[초아(가수)|초아]]의 '''열성 팬'''이었다. 트위터에서도 여러 차례 인증을 할 정도. 당연히 AOA 팬들에게 환호를 받고 있고, 초아가 하차한 뒤 복귀하길 바라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현시점에서는 너무 팬인증을 많이 해서 오히려 부담스러운 상황이란 말이 많았지만...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진짜 복귀했다.]] 초아가 복귀했던 MLT-12에서 김구라의 트루 예능스토리 중 2015년 예능 신인상을 꼽던 자리에서 초아를 채팅으로 언급했다. 팟수들은 당연히 분개. 2015년 11월 21일 [[마이 리틀 텔레비전]] 방영분에 [[카카오톡|카톡]]으로 출연했는데 역시 프로필 사진은 [[초아(가수)|초아]]였다. MLT-18에서 관상가가 천생연분이 초아라고 인증해줬다. 빙글빙글 웃는 그의 얼굴을 라이브로 보던 시청자들은 [[주작]]방송이라며 또 분개. 마리텔 마지막회의 엔딩 영상에서 김구라가 라디오를 틀자 흘러나오는 노래로, 초아의 '무슨 말이 더 필요해'가 흘러나왔다. 라디오 속의 테이프를 잘보면 '''진짜루 좋은 노래'''라고 써져있다. 이 곡은 웬만한 초아 팬이 아니면 모를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곡이기에 여전히 초아의 열성 팬임을 알 수가 있다. 덕분에 좋은 곡 알고 간다는 반응이 많이 나오고, 그날 새벽에 멜론 실시간 검색 1위의 기염을 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AOA(아이돌)/사건 사고#s-2|초아가 AOA에서 탈퇴]]하면서 마음이 떠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4년이 지난 [[2021년]],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 이적 후 자신이 연출하는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3]] 스페셜 편에 [[초아(가수)|초아]]를 섭외했다! AOA에게만 편향된 것은 아니고 타 걸그룹의 노래도 자주 들었었다. 2015년 올해의 여돌악곡 베스트 3로 [[Apink]]의 'Remember',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오늘부터 우리는', [[러블리즈]]의 'Ah-Choo'를 뽑은 걸 보면 꽤나 청순더쿠 기질이 있다[* 그는 이 라인업이 확정은 아니고, 추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지만 2016년으로 해가 바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 라인업이 확정되었다.]. 러블리즈가 MLT-15에서 윤상 방송의 게스트로 나오자 마리텔 갤러리에서는 '우회상장' '사심방송' 드립이 성행했고, 본방송에서는 녹화장에 들어오는 이들을 보고 턱살을 가리고 숨는 모습까지 나왔다. 여자친구가 MLT-21에 출연함으로써 이들 3개 팀 모두 마리텔에 등장했다. 그리고 러블리즈 [[Kei|케이]]는 MLT-29에 재출연한다. 현재는 7인조 걸그룹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의 노래를 정말 좋아한다. 록과 메탈을 기반으로 하는 그룹이라 취향에 딱 맞는 것으로 보인다. 최애 멤버는 [[지유(드림캐쳐)|지유]]인 것으로 추정된다. === 여자 아이돌 악곡 베스트 === 매년 겨울이 다가올 때쯤 박진경 PD가 그 해 들었던 여자 아이돌 노래 중 자신의 마음에 든 노래 순위를 SNS에 업로드 한다. 해당 순위표가 각종 커뮤니티에서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한다. 정확히 언제부터 이 순위를 올렸는지는 불명이다. 2021년 이후부터는 여자 아이돌 메타가 본인의 취향이 아니라고 하여, 업데이트 되고 있지 않다. ====# 선정 곡 #==== ||<-3> {{{#ffffff '''2012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Electric Shock|제트별 (Jet)]] || [[f(x)]] || || {{{#ffffff '''2'''}}} || [[Une Annee|BUBIBU]] || [[Apink|에이핑크]] || || {{{#ffffff '''3'''}}} || [[Funky Town|Lovey-Dovey]] || [[티아라(아이돌)|티아라]] || || {{{#ffffff '''4'''}}} || [[Electric Shock]] || [[f(x)]] || || {{{#ffffff '''5'''}}} || [[AOA(아이돌)/음반 목록#s-1.1|ELVIS]] || [[AOA(아이돌)|AOA]] || || {{{#ffffff '''6'''}}} || [[EXID/음반#s-1.4.1|WHOZ THAT GIRL]] || [[EXID]] || || {{{#ffffff '''7'''}}} || [[MIRAGE|SEXY LOVE]] || [[티아라(아이돌)|티아라]] || || {{{#ffffff '''8'''}}} || [[오렌지캬라멜/음반 목록#s-1.5|립스틱 (LIPSTICK)]] || [[오렌지캬라멜]] || [[https://open.spotify.com/playlist/27jqjJuwwpiZaDnNeRdHdQ|Spotify 재생 목록]] ||<-3> {{{#ffffff '''2013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I GOT A BOY]] || [[소녀시대]] || || {{{#ffffff '''2'''}}} || [[Pink Tape|첫 사랑니 (Rum Pum Pum Pum)]] || [[f(x)]] || || {{{#ffffff '''3'''}}} || [[Secret Garden(음반)|NoNoNo]] || [[Apink|에이핑크]] || || {{{#ffffff '''4'''}}} || [[AOA(아이돌)/음반 목록#s-1.3|Without You]] || [[AOA(아이돌)|AOA]] || || {{{#ffffff '''5'''}}} || [[헬로비너스/음반 목록#s-1.4|차 마실래?]] || [[헬로비너스]] || || {{{#ffffff '''6'''}}} || [[달샤벳/음반 목록#s-1.6|내 다리를 봐]] || [[달샤벳]] || || {{{#ffffff '''7'''}}} || [[Pink Tape|시그널 (Signal)]] || [[f(x)]] || || {{{#ffffff '''8'''}}} || [[전원일기(티아라 N4)|전원일기]] || [[티아라 N4]] || || {{{#ffffff '''9'''}}} || [[예뻐 예뻐]] || [[레이디스 코드]] || || {{{#ffffff '''10'''}}} || [[스피카(아이돌)/음반 목록#s-1.6|Tonight]] || [[스피카(아이돌)|스피카]] || [[https://open.spotify.com/playlist/4LCXyh87goaivEXiMVx0MX|Spotify 재생 목록]] 박진경 PD가 만든 재생 목록에는 8위까지의 노래만 있다. 그래서 2013년 순위에 대한 내용을 처음 작성할 때는 8위까지 작성되었다. 하지만 작성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뜬금없이 본인 트위터로 2013 악곡 베스트 재생 목록 링크를 공유했는데, 그 재생 목록 설명에는 'Missing two songs; Ladies' Code - PRETTY PRETTY, SPICA - Tonight'가 적혀 있었다. 그리고 나무위키에 두 곡이 업데이트되자, 귀신같이 해당 트윗도 사라졌다. ||<-3> {{{#ffffff '''2014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레인보우 블랙#s-6.1|Cha Cha]] || [[레인보우 블랙]] || || {{{#ffffff '''2'''}}} || [[사뿐사뿐]] || [[AOA(아이돌)|AOA]] || || {{{#ffffff '''3'''}}} || [[짧은 치마(AOA)|짧은 치마 (Miniskirt)]] || [[AOA(아이돌)|AOA]] || || {{{#ffffff '''4'''}}} || [[LUV(Apink)|LUV]] || [[Apink|에이핑크]] || || {{{#ffffff '''5'''}}} || [[단발머리(AOA)|단발머리]] || [[AOA(아이돌)|AOA]] || || {{{#ffffff '''6'''}}} || [[단발머리(AOA)|Joa YO!]] || [[AOA(아이돌)|AOA]] || || {{{#ffffff '''7'''}}} || [[달샤벳/음반 목록#s-1.7|B.B.B (Big Baby Baby)]] || [[달샤벳]] || || {{{#ffffff '''8'''}}} || [[짧은 치마(AOA)|가로등 불 아래서]] || [[AOA(아이돌)|AOA]] || || {{{#ffffff '''9'''}}} || [[Pink Blossom|Mr. Chu (On Stage)]] || [[Apink|에이핑크]] || [[https://open.spotify.com/playlist/049S94Wxhr1x3NpNKTyCRu|Spotify 재생 목록]] 9곡 중에 무려 5곡이 AOA 곡이다. ||<-3> {{{#ffffff '''2015년'''}}} || || {{{#ffffff '''순서'''}}}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Heart Attack|심쿵해 (Heart Attack)]] || [[AOA(아이돌)|AOA]] || || {{{#ffffff '''2'''}}} || [[Hi~|안녕 (Hi~)]] || [[러블리즈]] || || {{{#ffffff '''3'''}}} || [[CLOSER(오마이걸)|CLOSER]] || [[오마이걸]] || || {{{#ffffff '''4'''}}} || [[Heart Attack|Luv me]] || [[AOA(아이돌)|AOA]] || || {{{#ffffff '''5'''}}} || [[오늘부터 우리는 (Me gustas tu)]]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 || {{{#ffffff '''6'''}}} || [[Pink MEMORY|Remember]] || [[Apink|에이핑크]] || || {{{#ffffff '''7'''}}} || [[Ah-Choo]] || [[러블리즈]] || || {{{#ffffff '''8'''}}} || [[THE STORY BEGINS|OOH-AHH하게]] || [[TWICE|트와이스]] || || {{{#ffffff '''9'''}}} || [[OH MY GIRL(오마이걸)|CUPID]] || [[오마이걸]] || || {{{#ffffff '''10'''}}} || [[Ice Cream Cake]] || [[Red Velvet]] || [[https://open.spotify.com/playlist/5ajxtHGT2wtGugaYEKqpkY|Spotify 재생 목록]] ||<-3> {{{#ffffff '''2016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시간을 달려서 (Rough)]]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 || {{{#ffffff '''2'''}}} || [[Good Luck(AOA)|Cherry Pop]] || [[AOA(아이돌)|AOA]] || || {{{#ffffff '''3'''}}} || [[Fresh Adventure|상상더하기]] || [[라붐(아이돌)|라붐]] || || {{{#ffffff '''4'''}}} || [[PINK OCEAN#한 발짝 두 발짝|한 발짝 두 발짝]] || [[오마이걸]] || || {{{#ffffff '''5'''}}} || [[THE SECRET|비밀이야]] || [[우주소녀]] || || {{{#ffffff '''6'''}}} || [[WINDY DAY#WINDY DAY|WINDY DAY]] || [[오마이걸]] || || {{{#ffffff '''7'''}}} || [[포텐(아이돌)/음반 목록#s-2.2.1|지독하게]] || [[포텐(아이돌)|포텐]] || || {{{#ffffff '''8'''}}} || [[AOA CREAM#s-2|질투 나요 BABY]] || [[AOA CREAM]] || [[https://open.spotify.com/playlist/5uiG6jwSbBQQoqVUI6WUQG|Spotify 재생 목록]] 원래 기록이 남아있지 않았으나, 이 문단이 작성된 이후 박진경 PD가 직접 [[Spotify|스포티파이]] 재생 목록으로 만들었다. ||<-3> {{{#ffffff '''2017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Cameo(러블리즈)|Cameo]] || [[러블리즈]] || || {{{#ffffff '''2'''}}} || [[브레이브걸스#s-4.2.4|Rollin']] || [[브레이브걸스]] || || {{{#ffffff '''3'''}}} || [[Prelude(APRIL)#s-2.1.1|봄의 나라 이야기]] || [[APRIL|에이프릴]] || || {{{#ffffff '''4'''}}} || [[마지막처럼]] || [[BLACKPINK|블랙핑크]] || || {{{#ffffff '''5'''}}} || [[WEME|I don`t like your Girlfriend]] || [[위키미키]] || || {{{#ffffff '''6'''}}} || [[Chase Me]]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 || {{{#ffffff '''7'''}}} || [[SCHXXL OUT|WE LIKE]] || [[프리스틴|PRISTIN]] || || {{{#ffffff '''감투'''}}} || [[유리구두(프로미스나인)|유리구두]] || [[프로미스나인]] || [[https://open.spotify.com/playlist/40DM2lkBgtGfRo3538PUA7|Spotify 재생 목록]] 'honorable mention (감투상)'이 신설되었다. '유리구두'가 처음으로 받았는데, [[프로미스나인]]이 데뷔 전이라 그랬다고 한다. ||<-3> {{{#ffffff '''2018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비밀정원|비밀정원 (Secret Garden)]] || [[오마이걸]] || || {{{#ffffff '''2'''}}} || [[LOVE BOMB]] || [[프로미스나인]] || || {{{#ffffff '''3'''}}} || [[Remember Me(오마이걸)|불꽃놀이 (Remember Me)]] || [[오마이걸]] || || {{{#ffffff '''4'''}}} || [[그날의 너]] || [[러블리즈]] || || {{{#ffffff '''5'''}}} || [[Dream your dream|꿈꾸는 마음으로]] || [[우주소녀]] || || {{{#ffffff '''6'''}}} || [[To. Heart|환상속의 그대]] || [[프로미스나인]] || || {{{#ffffff '''7'''}}} || [[the Ruby|예쁜게 죄]] || [[APRIL|에이프릴]] || || {{{#ffffff '''8'''}}} || [[To. Day|두근두근 (DKDK)]] || [[프로미스나인]] || || {{{#ffffff '''9'''}}} || [[너에게 닿기를 (To reach you)]] || [[조유리|기]][[장규리|억]] [[김채원(LE SSERAFIM)|조]][[야부키 나코|작]][[나고은|단]] || || {{{#ffffff '''10'''}}} || [[SUMMER DREAM(앨리스)|Summer Dream]] || [[앨리스(아이돌)|앨리스]] || || {{{#ffffff '''감투'''}}} || [[포도포도해]] || [[버스터즈(아이돌)|버스터즈]] || [[https://open.spotify.com/playlist/3cZm3PZqAsJTda6i3ylcyL|Spotify 재생 목록]] [[APRIL|에이프릴]]과 [[러블리즈]]를 제외하고 순위에 든 그룹들이 2017년에 비해 많이 바뀌었는데, 특히 [[오마이걸]]과 [[프로미스나인]]의 강세가 눈에 띄게 보인다. ||<-3> {{{#ffffff '''2010년대'''}}} || || {{{#ffffff '''트랙[* 순서는 등수를 매긴 게 아니라 밝혔다.]'''}}}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01'''}}} || [[I GOT A BOY]] (2013) || [[소녀시대]] || || {{{#ffffff '''02'''}}} || [[Heart Attack|심쿵해 (Heart Attack)]] (2015) || [[AOA(아이돌)|AOA]] || || {{{#ffffff '''03'''}}} || [[브레이브걸스#s-4.2.4|Rollin']] (2017) || [[브레이브걸스]] || || {{{#ffffff '''04'''}}} || [[레인보우 블랙#s-6.1|Cha Cha]] (2014) || [[레인보우 블랙]] || || {{{#ffffff '''05'''}}} || [[IT'z Different|달라달라(DALLA DALLA)]] (2019) || [[ITZY]] || || {{{#ffffff '''06'''}}} || [[FUN FACTORY|LOVE RUMPUMPUM]] (2019) || [[프로미스나인]] || || {{{#ffffff '''07'''}}} || [[지금, 우리(러블리즈)|지금, 우리]] (2017) || [[러블리즈]] || || {{{#ffffff '''08'''}}} || [[비밀정원|비밀정원 (Secret Garden)]] (2018) || [[오마이걸]] || || {{{#ffffff '''09'''}}} || [[Prelude(APRIL)#s-2.1.1|봄의 나라 이야기]] (2017) || [[APRIL|에이프릴]] || || {{{#ffffff '''10'''}}} || [[Fresh Adventure|상상더하기]] (2016) || [[라붐(아이돌)|라붐]] || || {{{#ffffff '''11'''}}} || [[오늘부터 우리는 (Me gustas tu)]] (2015)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 || {{{#ffffff '''12'''}}} || [[[X X\]|Butterfly]] (2019) || [[이달의 소녀]] || || {{{#ffffff '''13'''}}} || [[For the Summer|Boogie Up]] (2019) || [[우주소녀]] || || {{{#ffffff '''14'''}}} || [[Pink MEMORY|Remember]] (2015) || [[Apink|에이핑크]] || || {{{#ffffff '''15'''}}} || [[Chu~♡]] (2009) || [[f(x)]] || || {{{#ffffff '''16'''}}} || [[MIRAGE|SEXY LOVE]] (2012) || [[티아라(아이돌)|티아라]] || || {{{#ffffff '''17'''}}} || [[오렌지캬라멜/음반 목록#s-1.2|아잉♡]] (2010) || [[오렌지캬라멜]] || || {{{#ffffff '''18'''}}} || [[FANCY YOU|FANCY]] (2019) || [[TWICE|트와이스]] || || {{{#ffffff '''19'''}}} || [[마지막처럼]] (2017) || [[BLACKPINK|블랙핑크]] || || {{{#ffffff '''20'''}}} || [['The ReVe Festival' Day 1|짐살라빔 (Zimzalabim)]] (2019) || [[Red Velvet]] || || {{{#ffffff '''21'''}}} || [[HEART*IZ|비올레타]] (2019) || [[IZ*ONE|아이즈원]] || [[https://open.spotify.com/playlist/15RomSApUP3AXqZGnDIUYL|Spotify 재생 목록]] 원래는 '2019 여돌 악곡 베스트'가 나올 순서지만 2020년 04월 30일, 2010년대 여돌 악곡 베스트를 공개했다. 다만, 2019년에 발매된 악곡이 7곡이나 포함되어 있다. 기존 여돌 악곡 베스트에 들지 않았던 [[러블리즈]]의 '지금, 우리'가 포함되어 있고, 2009년에 발매된 [[f(x)]]의 'Chu~♡'도 포함되어 있다. ||<-3> {{{#ffffff '''2020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1'''}}} || [[Da Capo(APRIL)|LALALILALA]] || [[APRIL|에이프릴]] || || {{{#ffffff '''2'''}}} || [[오마이걸/음반 목록#s-4.2|Etoile Korean ver.]] || [[오마이걸]] || || {{{#ffffff '''3'''}}} || [[NONSTOP|살짝 설렜어]] || [[오마이걸]] || || {{{#ffffff '''4'''}}} ||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Scream]]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 || {{{#ffffff '''5'''}}} || [[THE ALBUM|Lovesick Girls]] || [[BLACKPINK|블랙핑크]] || || {{{#ffffff '''6'''}}} ||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Black Or White]]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 || {{{#ffffff '''7'''}}} || [[[12:00]|Why Not?]] || [[이달의 소녀]] || || {{{#ffffff '''8'''}}} || [[Hello Summer|Now or Never]] || [[APRIL|에이프릴]] || || {{{#ffffff '''9'''}}} || [[回:Walpurgis Night|Three Of Cups]]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 || {{{#ffffff '''10'''}}} || [[-77.82X-78.29|LA DI DA]] || [[EVERGLOW]] || [[https://open.spotify.com/playlist/62Yo6mTDLWYqQI8OdZG6PB?si=8YE8lv2yTTyIsjxee4ixPg|Spotify 재생 목록]] 2020년 12월 12일 트위터를 통해 공개되었는데, 이번 년도는 지난 회차와 다르게 별 다른 코멘트가 추가되지 않았다. 다만, [[APRIL|에이프릴]]이 처음으로 1위를 달성했는데 '뻔한'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었다. [[EVERGLOW]]는 처음으로 차트인에 성공했으며 [[이달의 소녀]]도 연간 차트에서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또한, 카카오M으로 이적 후, 본인이 기획한 프로그램 '뉴팡 - 뉴스 딜리버리 서비스'에 출연한 여자 아이돌 11팀 중,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와 [[이달의 소녀]] 그리고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단 3팀만이 이름을 올렸다. ||<-3> {{{#ffffff '''2021년'''}}} || || {{{#ffffff '''순위'''}}} || {{{#ffffff '''곡 명'''}}} || {{{#ffffff '''아티스트 명'''}}} || || {{{#ffffff '''-'''}}} || [[Dystopia: Road to Utopia|Odd Eye]]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 2021년부터는 여자 아이돌 메타가 본인 취향이 아니라 노래를 별로 듣지 않았다고 하면서, 그나마 드림캐쳐의 'Odd Eye' 한 곡을 선정하며 멤버 [[지유(드림캐쳐)|지유]]의 2절 후렴 부분이 좋다고 했다. 그러면서 추가로 '여돌 악곡 베스트' 선정을 잠정 중단을 선언했다. 아마 좋은 노래가 다시 나오면 돌아올 듯. --그냥 가기는 아쉽다며 [[우연(woo!ah!)|본인과 이름이 같은 멤버]]가 있는 [[woo!ah!]]의 [["WISH"|Purple]] 무대 영상을 올리고 도망갔다-- == 여담 == * [[https://twitter.com/jinkyung|트위터]]와 [[디시인사이드]]와 [[나무위키]]를 이용한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마리텔]]에 나왔으면 하는 출연자를 추천받는다는 트윗을 올리기도 하였으며 채팅창 악성 댓글을 자제해달라는 당부의 글을 올리기도 하였다. * 이 문서의 반 정도를 지우고 싶은데, 수정 기록이 남아 못 지우고 있다고 한다. * [[PGR21]]도 눈팅한다. 인터뷰에서도 다른 커뮤니티와 함께 언급했으며 마리텔 불판이 올라오지 않자 PGR에 불판 안올라온다고 SNS에 올리기도 했고, 인증해달라는 글들이 올라오자 "지금은 일본 여자 이름스런 닉이라 인증 못하고 PGR 아이디 변경기간 되면 아이디 바꿔서 인증하겠다"라고 직접 밝히기도 했다.[[http://pgr21.com/pb/pb.php?id=humor&no=259498|#]] [[권해봄|모르모트 PD]]의 말에 따르면 게임도 즐겨하는데 롤과 하스스톤을 한다고 한다. * 자기가 2주마다 출연자 실루엣 퀴즈를 내놓고 사람들이 못 맞출 것 같은 출연자에 대해서는 디시인사이드 [[마이 리틀 텔레비전 갤러리]]에 직접 유동닉으로 사진을 올린다는 의혹이 있다. 하지만 이건 박진경 PD 이외에도 의심스러운 사람들이 한둘이 아니라서, 만일 제작진중에 누군가가 일부러 답을 주고 있다고 해도 박진경 PD 대신 AD나 작가가 답을 유출할 가능성은 꽤 있다. * [[서유리]]의 다음팟 방송 때 등장해서 마리텔 녹화에 대한 공지를 알린적이 있으며 이때 박진경 PD의 닉네임이 빡초아퀸임이 밝혀졌다. * 2015년 10월 31일 [[무한도전]] [[무한도전 특별기획전 2/웃음 사냥꾼이 간다|웃음 사냥꾼이 간다]] 편 박명수의 웃음 장례식에 나왔다. 마리텔에서 박명수가 크게 망한 걸 기념하기 위한 특집이였는데, 마리텔 PD로써 직접 나와서 얼굴을 보였다. * [[무한도전]] 출연 후 반 년 정도 백화점 엘리베이터에서 수군거리는 등 길에서 알아보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한다. * 상암 [[문화방송|MBC]]에서 "진경이 [[개새끼]]야!!" 라고 외치면 소환이 가능하다는 드립이 있었다. 실제로 여럿 마리텔갤러가 답이 상암 MBC인 좌표에 분노해 찾아가 일어난 해프닝. 그런데 진짜로 나왔다. * 웹툰 만화가 [[이말년]]한테는 5촌 당숙 사이라고 한다. 이말년의 외할머니가 박진경 PD 어머니의 언니인데, 이말년 아버지와 박진경 아버지 사이가 고등학교 동창 친구 사이라고. 그렇다고 별 교류가 있던 건 아니라고 한다. * [[LG 트윈스]]의 야구선수 [[김현수(1988)|김현수]]를 닮았다. 또 어떤 각도로 보면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 [[오주원|오재영]]과 [[신재영]]의 모습도 보인다. [[파일:OCVz1Ox.png]] * 몸과 팔다리에 비해 유독 턱에만 살이 좀 있는 편이다. 이걸로 마리텔 팬들에게서 자주 놀림을 받는다. [[http://m.dcinside.com/view.php?id=littletv&no=86374&page=1&recommend=1|턱살 헌정 영상도 있다]] 실제로 MLT-15에서 [[이말년]]이 웹툰에 박진경 PD 캐릭터를 넣게 됐을 때 "턱살을 그려달라"는 요청이 채팅창에 도배됐을 정도다. 그래서인지는 미지수이나 유독 턱을 가리는 패션을 고집한다. 터틀넥을 주구장창 입거나 자세가 뭉그러질 정도로 턱을 깊이 옷깃에 파묻거나. 이렇게 지나칠 정도로 턱을 파묻는 이유는 어릴 적 어머니가 목은 따뜻해야 좋다고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11월 21일 무한도전에 출연해 [[정준하]]를 500만 원에 낙찰해갔다. 앞서 [[박명수]]를 보내버린 전적이 있는 터라 멤버 전원이 반대했지만 비인기 매물이었던 정준하의 가격을 2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기습적으로 올려버렸던 터라 그대로... * 바지가 단 두 벌밖에 없다든가 신발이 하나뿐인 등 옷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데, 인스타그램 계정으로 미루어볼 때 옷 살 돈을 전부 LP에 몰빵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2023년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서는 농담으로 한 말이었다며 극구 부인했다. * [[디시인사이드]]에서 [[마이너 갤러리]] 서비스를 오픈하면서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choalove|박진경 마이너 갤러리]]도 생겼다. 이로써 2개의 갤러리를 가진 갤주로 등극. 다만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때 일부 [[TWICE]] 팬과 [[쯔위]] 팬들이 박진경 PD의 트위터에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ittletv&no=150121&page=3&exception_mode=recommend|사과를 요구하거나 욕설을 날렸다.]] * KBS 2016 설 특집 프로그램에 아이돌만 나오는 것을 비판했다. * [[데프콘(가수)|데프콘]] 왈, 이직을 해도 [[CJ E&M]]으로 안가고 [[JTBC]]로 갈거라 [[카더라 통신|카더라]]. 전반 끝나고 [[이재석(PD)|이재석]] PD와 함께 찾아와 MBC에 뼈를 묻을 거라며 빌었다고 한다. 하지만 2020년,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 이직했다. *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더블 LP 앨범이 발매되었을 때 가격이 너무 비싸다고 비판했다. * 16년 3월 18일 한국PD대상에서 '실험정신상 TV부문' 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재석(PD)|이재석 PD]]와 함께 참여했다. * 16년 3월 29일에 아웃도어 브랜드 [[블랙야크]]에서 주관하는 토크콘서트인 세.문.밖(세상은 문 밖에 있다)에 출연했다. [[http://img.focus.kr/mnt/news/file/2016/03/30/2016033000150547663_1.jpg]] 마리텔에 관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풀어 놓았고 마리텔 갤러리를 눈팅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본인 입으로 직접 언급했다. 더불어 만날 목티만 입는 건 턱살을 가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목을 따뜻하게 해야 좋다는 말을 들어서라고. 그런데 이불 밖은 위험하다는 양반이 '세상은 문 밖에 있다'라는 표제의 토크콘서트에서 강연을 했다는 게 참으로 미묘하다. * 통신사가 LG 유플러스라고 밝히며, 아이튠즈 스트리밍이 느리다고 트윗을 올렸다. * 스타꿀방대첩 좋아요의 생방송을 지켜본것 같다.[[http://m.dcinside.com/view.php?id=littletv&no=206339&page=1&recommend=1|#]] * 뜬금없이 트위터에서 일본인 초아 팬이[* 일본인이라고는 하는데 정작 일본어가 이상한 구석이 많아 [[트롤]]이라는 의견도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ittletv&no=211170|키배를 걸어오기도 했다.]] * 16년 7월 10일, 다음 날이 생일인 박진경 PD를 축하하기 위해 마리텔갤러 한명이 손수 만든 등신대를 들고 MBC에 찾아갔다(!!) 안내데스크에 맡기려 했지만 당사자에게 직접 전해줘야 한다는 지침때문에 거절당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박진경, [[이재석(PD)|이재석]]을 직접 만나 선물을 건네주는데 성공하였다.[* PD가 상황을 지켜보면서 맕갤러의 진심을 이해했기 때문에 성사된 것일 뿐이지, 모른 척 넘어가도 할말이 없는 무모한 상황이었다.] * 데이브레이크 이원석 등의 뮤지션을 배출했던 연세대학교 락밴드 '소나기'의 베이시스트 였다고 한다. 박PD가 1학년이던 2001년도에 소나기는 MBC 대학가요제 대상을 수상했다. * 2017년 7월 29일 방영된 [[무한도전]]이 이날따라 영 시원치 않은 재미로 [[노잼]]을 면치 못했는데 얼마나 노잼이었으면 방송 후에 올라온 무도 관련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759225|종합기사]]에 뜬금없이 '''"박진경 PD를 무도에 데려오라"'''는 몇몇의 댓글들이 호감순 댓글 상위권에 올라와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이를 본 어느 맕갤러는 "무도 시청자들이 자기들 재밌으려고 마리텔 메인 PD였던 진경이를 다시 무도 조연출로 오라하는거냐"며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 상술했듯 [[무한도전]] 연출진 출신이다. 조연출로 있던 시절인 2009년 4월 18일 YES or NO 인생극장 특집 2부에서 [[유재석]]이 마라도로 가는 배의 비용을 꿔주는 어린 PD로 출연했다. 그 장면이 흡사 일진이 돈 뜯어내는 모습 같아 보였다. 이후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무한도전 연출로 참여했다. 참고로 이 시기는 노홍철의 음주운전 하차로 한창 혼란스러웠던 동시에 [[무한도전 특별기획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토토가]]로 대박을 터트렸던 시기이다. 2014년 11월 29일 [[무한도전 특별기획전/극한알바|극한알바]] 편을 보면 박명수와 함께 63빌딩 외벽 청소용 곤돌라에 탑승하는 PD가 바로 진경 PD이다. 이후 [[무한도전]]을 떠나 [[마이 리틀 텔레비전|마리텔]]로 박명수의 웃음사망꾼을 만들었고 무한도전의 무한드림에서 정준하를 선택해서 즉 오랫동안 [[무한도전]]의 출연진들과 친분이 있다. * [[마이 리틀 텔레비전|마리텔]] 종영후 2018년 6월 3일 [[일밤]]의 2부인 [[두니아~처음 만난 세계]]를 제작, [[마이 리틀 텔레비전|마리텔]] 콤비였던 PD인 이재석PD와 함께 했다. * [[IZ*ONE]]의 [[WIZ*ONE|팬]]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인의 트위터로 [[프로듀스 48]] 파이널 투표 때 [[미야와키 사쿠라]]를 뽑았음을 [[https://twitter.com/jinkyung/status/1035487542634733568?s=19|공개하기도 했고]] 이후에도 [[IZ*ONE CHU]] 카운트다운 티저 [[https://twitter.com/jinkyung/status/1054569500509581312?s=19|사쿠라 편 영상을 리트윗하거나]] [[https://twitter.com/jinkyung/status/1063036072559501317?s=09|사쿠라의 사진을]] [[https://twitter.com/jinkyung/status/1086938800121470977|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https://twitter.com/jinkyung/status/1087247165854867456|팬이 만든 조유리가 주된 내용의 영상을 평가하기도 했다.]] 허나,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이 연루로 IZ*ONE의 활동이 중단되자 메인 MC인 [[안유진]]을 흔적도 없이 지우고 이후에도 언급조차 하지 않으면서 팬들 사이에선 체리피킹으로 이용해 놓고 일 터지니까 매정하게 버리냐는 비판이 일었고, 이후 사실상 볼드모트화 되었다. 다만 이에 대해 여론의 시선을 의식한 MBC 윗선의 결정으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는 반론도 있으나, 아이즈원 활동 재개 이후 MBC에서의 출연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며[* 심지어 2020년 6월부터 [[김민주]]가 [[쇼! 음악중심]] MC로 기용되면서 IZ*ONE은 MBC에 본진인 [[엠넷]]보다도 더 많이 출연하게 되었다.] 박진경 PD를 향한 팬덤의 부정적 시선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반대로 맕갤 등 마리텔 팬덤으로부터는 안유진의 기용에 대해 시즌1 때의 초아보다도 더 대놓고, 그리고 더 노골적으로 공영방송의 예능을 자기 덕질 충족의 용도로 만들었다는 비판이 많았다. 거기에 이채연, 강혜원, 최예나같은 다른 멤버까지 게스트로 부르자 비판은 더 거세졌고, 심지어 MLT-216에 와서는 IZ*ONE 완전체를 부르자 그 비판이 절정에 달했다. 허나 해당 방송 며칠 뒤 프로듀스 조작 사태가 아이즈원까지 옮겨가면서 컴백 연기와 더불어 무기한 활동 중단 상태에 빠지는 바람에, 해당 녹화본이 몽땅 폐기처리되고 안유진은 퇴출되었다. 이를 두고 마리텔 팬덤에서는 대부분 꼴 좋다는 반응과 함께 MBC를 비롯한 여러 매체들이 프듀 사건을 집중적으로 보도할 때 이미 낌새가 보였으므로 진작 손절했어야 한다며 조롱했다. * 2021년, MBC 예능 [[놀면 뭐하니?]]의 멤버 [[이미주]]의 [[백치미]] 캐릭터가 불편하다는 [[문화방송]] 시청자위원의 지적이 담긴 기사[*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52&aid=0001660059|#]]]를 자신의 트위터에 공유하며 이런 의견들에 저자세로 꼬박꼬박 답변해 줘야 한다는 것이 [[MBC]]를 떠난 이유라면서 '댓가를 달게 받으라'는 말과 함께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510351|#]] * 가장 친한 연예인은 [[딘딘]]이라고 한다. 버릇 없이 다가와줘서 좋았다고 하는데, 매일 메시지를 보낼 정도의 사이라고 한다. * [[Billlie]]의 멤버 [[츠키]]가 [[좀비버스]] 촬영 당시 이 나무위키 문서와 인터뷰 사진 등을 봤다면서 깜짝 놀랐다고 했다. * 167.7cm인 [[딘딘]]과 168cm인 [[츠키]]의 키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https://www.instagram.com/p/CvkWoSMrTr5|#]] * 힘든 걸 잘 견디는 타입이라고 한다. * [[좀비버스]] 촬영 당시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의료진이 대기 중이었는데, 출연자들과 좀비 연기자들은 한 명도 부상을 입지 않았지만 유일하게 본인이 좀비에 놀라 다리가 부러졌었다고 한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5169731|#]] [[분류:대한민국의 방송 PD]][[분류:1982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마이 리틀 텔레비전/관련 인물]][[분류:마이 리틀 텔레비전 V2/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