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반투족)] [목차] [clearfix] == 개요 == '''반투어군'''은 [[반투족]]들이 쓰는 언어의 총칭이다. 반투어군에 속한 언어는 [[동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에티오피아]], [[지부티]], [[소말리아]], [[세이셸]], [[모리셔스]]는 제외. 이들 지역의 언어들은 반투어군과는 관계가 없고 [[말라가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와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에서 쓰이고 있다. == 특징 == 반투어군은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한 어군이다. 아프리카에선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한 언어들과 함께 세력이 매우 큰 언어들이다. 반투어족의 범위는 매우 넓어 아프리카 곳곳에 퍼져 나가면서 수많은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으로 분화하였고, 특히 스와힐리어는 아랍어의 영향으로 상당히 달라졌다. 평균 약 250가지,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535가지 언어의 사용자를 반투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 실정이다. 반투어군에 속한 언어들은 관계가 깊지만, 차이도 매우 커서 대화가 통하지는 않는다.[* 모든 반투어군의 언어들이 [[방언연속체]]에 속해 있다.] == 역사 ==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 반투어군은 현재의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국경지대에서 기원전 2천년 경에 발원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2천년 가까이 남하하면서 지금의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를 거의 모두 장악하였고, 이 과정에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일파인 [[쿠시어파]]의 언어들과 접촉하면서 영향을 받았다. 반투어군은 쿠시어파와 영향을 받으면서 확장을 계속한 뒤에 동아프리카에서 아랍, 페르시아의 영향도 함께 받고 남아프리카까지 온 반투족들은 [[코이산족]]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오늘날의 남아프리카 반투계 민족들은 동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의 반투계 민족들과 달리 코이산족처럼 코이산 제어를 쓰는 카포이드들과 비슷한 외모인데, 남아프리카의 카포이드계 토착민들이 반투계 니그로이드 정복자들에게 언어적으로 동화되었기 때문이다. 백인으로 치면 튀르크화된 [[아나톨리아]] 반도 선주민들([[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시리아]]인, [[쿠르드족]] 등)의 후손인 현대 [[터키인]], 튀르크화된 동슬라브족의 후손인 볼가 [[타타르]]인과 비슷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 문법 == 문법적인 특징은 모든 반투어군의 언어들이 접사를 붙여서 나타낸다는 점이다. 동사, 형용사, 명사에 접사를 붙여서 시제를 만드는 것이 흔하다.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명사의 뒤에 위치해서 수식한다.[* 이때 형용사도 접사를 붙여서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다.] 스와힐리어는 [[성조]]가 없지만, 거의 대부분의 반투어군의 언어들이 성조가 존재한다.[* 스와힐리어는 성조가 없는 대신 악센트가 존재한다.] 그리고 남아프리카쪽의 [[줄루어]], [[코사어]], [[츠와나어]], [[헤레로어]] 등은 [[코이산 제어|코이산어]]의 영향을 받아 [[흡착음]]이 나타난다. 일부 언어는 [[모음조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어휘에선 스와힐리어가 아랍어, 페르시아어, 힌디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존재한다. 남아프리카 지역은 코이산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은 것외에 [[영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존재한다. 스와힐리어도 영어,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있고 [[독일어]]의 영향도 일부 받았다. 중앙아프리카 지역의 반투어계 언어들은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있다. == 대표적인 언어 == * [[스와힐리어]] - 반투어군에선 널리 알려진 언어로 아프리카 연합, 동아프리카 공동체의 공용어로 지정됐을 정도로 세력이 매우 큰 언어이다. * [[르완다어]] * [[츠와나어]] * [[줄루어]] * [[코사어]] * [[스와티어]] * [[링갈라어]] * [[소토어]] * [[룬디어]] * [[코모로어]] * [[팡어]] * [[쇼나어]] * [[체와어]] * [[헤레로어]] * [[총가어]] * [[키쿠유어]] * [[은데벨레어]] [[분류:반투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