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악기]] == [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include(틀:인도유럽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발랄라이카.jpg|width=100%]]}}}|| || ''발랄라이카 (Balalaika, балалайка)'' ||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 일대에서 탄생한 민속 [[현악기]] === 상세 === 현재의 형태로 만들어진 것은 19세기 [[러시아]]에서부터로 독특하게 생긴 삼각형의 공명통을 가지며 기타와 흡사하게 손으로 현을 퉁겨 음을 내지만 이쪽은 현이 세 개이다. 우크라이나, 러시아를 포함한 [[슬라브]] 계통의 국가에서 이 악기를 이용한 민속악을 많이 들을 수 있다. 상당히 독특한 고음을 내는데, 그 유니크함 때문에 현대 음악에도 곧잘 사용된다. 이를테면 우리에게 친숙한 [[스파게티 웨스턴]]의 음악에서도 유럽에서는 [[밴조]]보다 구하기 쉽고 연주자가 많기에 밴조의 대역으로 이 악기가 널리 쓰였다. [[스콜피언스]]의 히트곡 Wind Of Change의 가사에 등장했으며 비틀즈의 앨범 [[The Beatles]]의 첫번째 노래인 [[Back in the U.S.S.R.]]에서도 뒷부분에 언급된다. [youtube(qn06W-iBfkQ)] ▲ 러시아의 민요 [[칼린카]] 연주 [youtube(O7ShTNb_wVQ)] ▲ Osipov Folk Orchestra - The Linden Tree [youtube(YtAWkLxXWTo)] 콘트라베이스 발랄라이카라는 크고 아름다운 악기도 있다. 베이스 기타를 연상시키는 낮은 소리가 난다. 영화 [[6번 칸]]에서 밤 시간에 [[페트로자보츠크]]에 도착한 로라보고 요하가 [[페치카]]가 있는 집을 소개해주려 하지만 기차에서부터 요하에게 거리를 둔 로라는 발랄라이카가 있는 집이 아니면 가지 않겠다고 퇴짜를 놓는다. 물론 머물 곳을 찾지 못해서 결국엔 가게 되지만. == 소련제 [[기관단총]] [[PPSh-41]]과 소련제 [[전투기]] [[MiG-21]]와 소련제 요격기 [[Su-9]]의 별명 == 총끈을 목에 걸어 휴대하는 모습이나 자세가 [[악기]]를 휴대하는 모습과 흡사하다는 이유로 [[독일군]] [[병사]]들이 붙인 별명. 비슷한 이유에서 [[일본군]] 병사들은 이 총을 '[[만돌린]]'이라 불렀다. [[대한민국]]에선 총의 드럼 [[탄창]]이 머리에 무거운 물건을 일 때 받침대 역할을 해주는 따발[* "또아리"의 함경도 지방 사투리.]과 비슷하다 하여 '[[PPSh-41|따발총]]'이라 불렀다. 물론 이런 별명들은 [[소련군]] [[병사]]들 사이에선 통하지 않았고, 이들은 분류기호 PPSh의 발음대로 그냥 '뻬뻬샤', 혹은 [[아빠]]라는 뜻인 '빠빠샤'로만 불렀다고 한다. 참고로 전후 [[소련군]] [[파일럿]]들은 [[MiG-21]]이나 [[Su-9]] 같은 [[델타익]] [[전투기]]들을 모양새가 흡사하다는 이유로 '발랄라이카'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따라서 소련군에서 '발랄라이카'라고 하면 주로 PPSh-41이 아니라 MiG-21을 비롯한 델타익 전투기들을 의미한다. 상기한 대로 소련군에선 PPSh-41를 '뻬뻬샤'나 '빠빠샤'라고 불렀고 '발랄라이카'라고는 부르지 않았기 때문. == [[칵테일]] 레시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랄라이카(칵테일))] == [[애니메이션]] 〈[[키라링☆레볼루션]]〉의 삽입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랄라이카(키라링☆레볼루션))] == [[블랙 라군]]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랄라이카(블랙 라군))] [[분류:동음이의어]][[분류:러시아 음악]][[분류:현악기]][[분류:러시아의 발명품]]